최근 수정 시각 : 2024-10-19 01:10:43

김일성광장

김일성 광장에서 넘어옴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이 문서 내 '주석단' 표현을 '대주석단'으로 한다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토론 - 이 문서 내 '주석단' 표현을 '대주석단'으로 한다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ablebgcolor=white,black> 체제선전시설
평양시
<colbgcolor=#cccccc,#333333> 중구역 김일성광장 (대주석단) · 당창건사적관 · 조선혁명박물관 · 천리마동상
대동강구역 당창건기념탑 · 옥류전시관
대성구역 금수산태양궁전 · 대성산혁명렬사릉
만경대구역 국가선물관 · 만경대고향집 · 청년운동사적관 · 칠골혁명사적관
모란봉구역 개선문 · 조중우의탑 · 해방탑
보통강구역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관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탑 / 푸에블로호) · 중앙계급교양관
서성구역 3대혁명전시관 · 조국해방전쟁참전렬사묘
기타 애국렬사릉 (형제산구역) · 재북인사릉 (룡성구역) · 조국통일3대헌장기념탑 (락랑구역) (철거) · 주체사상탑 (동대원구역)
량강도
전체 백두산지구 혁명전적지 (정일봉) · 보천보전투승리기념탑
자강도
전체 국제친선전람관
함경북도
전체 회령고향집
황해남도
전체 신천박물관
전국
전체 구호나무 · 김일성김정일동상 · 명제비 · 영생탑
일반 박물관
평양시
중구역 조선미술박물관 · 조선민속박물관 · 조선우표박물관 · 조선중앙력사박물관 · 철도성 혁명사적관
대성구역 자연박물관 · 조선중앙동물원 · 조선중앙식물원
락랑구역 과학기술전당 · 락랑박물관
기타 지하철도건설박물관 (모란봉구역) · 평양문화전시관 (대동강구역)
개성시
전체 개성고려박물관
강원도
전체 원산력사박물관
자강도
전체 강계력사박물관
량강도
전체 혜산력사박물관
평안남도
전체 평성력사박물관
평안북도
전체 신의주력사박물관 · 향산력사박물관
함경남도
전체 함흥력사박물관
함경북도
전체 청진력사박물관
황해남도
전체 해주력사박물관
황해북도
전체 사리원력사박물관
}}}}}}}}}
파일:북한 국기.svg 평양시광장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e40001,#222222><tablebgcolor=#e40001,#222222> 파일:북한 국장_White.svg김일성광장
金日成廣場

Kim Il Sung Square
}}} ||
파일:김일성광장 전경.jpg
▲ 김일성광장의 전경
(대동강구역에서 본 모습)
파일:김일성광장 전경2.jpg
▲ 김일성광장의 전경
(인민대학습당에서 본 모습)
<colbgcolor=#e40001,#222222><colcolor=white> 준공 1954년 8월
기능 광장
(열병식 등 정치행사용)
규모 크기 75,000㎡[1]
수용인원 10만 명
주소

김일성광장
(평양시 중구역 중성동, 경림동)[2][3]

1. 개요2. 특징

[clearfix]

1. 개요

북한광장. 평양시 중구역 중성동, 경림동에 있다.

1954년 김일성이 구상한 '평양시복구건설총계획도'에 의거하여 건설됐다.

주요 시설물로 김일성광장 대주석단이 있다.

2. 특징

파일:김 일성 광장과 로동자 아빠트.jpg
1954년경 공사중인 김일성광장
러시아 모스크바붉은 광장, 중국 베이징천안문 광장처럼 북한을 상징하는 광장으로, 면적은 75,000㎡[4]이며 바닥은 화강암으로 되어 있다. 6.25 전쟁 후 복구 과정에서 1954년 8월 완공되었으며 건설에 연인원 100만 명이 동원되었다고 한다. 한때 일본어 위키백과세계에서 16번째로 큰 광장이라고 서술되었으나 영어 위키백과세계의 광장 목록 문서에 따르면 54위라고 한다.

명칭은 당연히 북한의 초대 독재자김일성의 이름에서 따 왔다. 처음 이름은 중앙광장이었으나 완공 전 김일성 우상화를 위해 김일성광장으로 바뀌었다. 남북통일 이후에는 이름을 당연히 바꿔야 될 1순위인데, 미래 사람들이 알아서 하겠지만 대동(大同)광장이 될 수도 있다. 광장 자체가 대동강 옆에 있기도 하지만 '대동'이란 단어의 뜻도 좋다.[5]

광장 바로 뒤편으로는 대동강이 흐르고 주체사상탑 맞은 편에 있다. 대주석단, 인민대학습당, 내각종합청사, 외무성 청사, 대외경제성 청사, 조선중앙력사박물관, 조선미술박물관, 평양제1백화점 등 중요 시설들이 광장을 둘러쌌다. 여러모로 소련붉은 광장을 본떠서 만든 듯하다. 승리거리, 대학습당거리 등과 직접 연결되었고 보조광장도 있다고 한다. 원래는 카를 마르크스블라디미르 레닌초상화가 걸려 있었으나 2012년 철거되었다.[6]

자칭 국가의 중앙광장이다 보니 각종 군중대회, 정치적 행사, 경축회, 추모행사 따위를 하는데, 북한이 자주 하는 열병식도 이 광장에서 한다. 따라서 남한과 세계 각국의 TV 뉴스에서도 북한 관련 보도를 할 때마다 자료화면으로 이 장소가 자주 등장하곤 한다. 큰 인공기가 보이는 건물 옆으로 탱크가 지나가고 북한군이 열병식을 하고 김정은조선로동당 및 국방성 고위간부들은 맞은편 건물에서 박수치는 그런 모습. 이 광장의 다양한 활용 모습을 보고 싶으면 열병식/북한 문서를 참고하는 것도 좋다.

이 광장은 1996년 북한 도로망의 출발점인 도로원표의 역할도 하고 있다. 정확히는 대주석단 바로 아래 쪽이며 이곳에 '평양 나라길 시작점' 비석이 있다.(#1#2) 1990년대 초 이전에는 평양 중구역 중성동 승리거리의 해방산려관 앞마당, 1996년까지는 평양 중구역 평양성 중성 출입문 중 함구문이 도로원표였으나 김정일이 지시하여 이곳으로 옮겼다고 한다.[7]

2021년에는 북한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방역체제에 들어갔음에도 불구하고 정권수립 73주년 열병식을 강행한 와중에, 광장 우측의 선전문구를 "백전백승의기치"에서[8] "새로운 승리를 향하여"로 바꾸었음이 영상으로 확인되었다.

2024년 신년에는 화려한 축포를 터뜨리는 행사를 하는 모습이 포착됐다. #
[1] 세계에서 37번째로 큰 광장.[2] 광장을 가로지르는 큰 도로가 승리거리고, 승리거리를 경계로 강변이 경림동, 반대편이 중성동이다.[3] 1946년 미군이 발행한 지도에 의하면 광복 당시 행정구역상으로는 평양시 아청리(衙廳里)이다.(범례 칸에 한국식, 일본식 발음이 병기되어 있는데 한국어 발음은 '이위편리'라고 엉뚱하게 적혀 있지만 일본어 발음은 "가쵸-리"로 적혀 있음을 알 수 있다.)[4] 10만여 명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다. 참고로 서울의 구 여의도광장이 약 237,600㎡였고 # 광화문광장이 약 2만㎡.[5] 초기 이름인 중앙광장은 단순히 한 도시의 중앙이 아니라 나라/수도의 중앙임을 내포하고 있기에, 통일 한국이 평양으로 천도하지 않는 한 새 명칭으로 그리 적절하지 않다.[6] 이는 북한이 자국 헌법에서 공산주의를 삭제했던 시기와도 맞물린다.[7] 북한은 "나라길 시작점을 혁명활동 역사와 결부시켜 올바로 정한다."는 것이 옮긴 이라고 밝혔다.[8] 이전에는 "선군혁명총진군"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