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9 02:23:38

덕천시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e40001>
파일:북한 국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도인민위
평성시
개천시 덕천시 순천시 안주시
녕원군 대동군 대흥군 맹산군 문덕군
북창군 성천군 숙천군 신양군 양덕군
은산군 증산군 청남군 평원군 회창군
지구
운곡지구
}}}}}}}}}
파일:북한 국기.svg 평안남도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덕천시
德川市
Tŏkchŏn City
}}} ||
<colbgcolor=#ED1C27,#222222><colcolor=white>


<colbgcolor=#ED1C27,#222222><colcolor=white> 상위 평안남도
하위 22동 10리



대의원
[ 펼치기 · 접기 ]
파일:wpk.jpg 최장일 (제113호 덕천선거구)
파일:wpk.jpg 임철웅 (제114호 공원선거구)
파일:wpk.jpg 리영철 (제115호 제남선거구)
파일:wpk.jpg 문명학 (제116호 청송선거구)
파일:wpk.jpg 유림호 (제117호 상덕선거구)
파일:사민당 당기.png 김영대 (제118호 장상선거구)
시당 파일:wpk.jpg 김정철[1]
(덕천시당 책임비서)
인민위 파일:wpk.jpg 문순빈[2]
(덕천시 인민위원회 위원장)
면적 691.5㎢
시간대 UTC+9
인구 237,133명 (2008년)
인구밀도 343명/km² (2008년)
관청
소재지

덕천시 인민위원회
(위치 미상)
1. 개요2. 상세3. 역사4. 교통5. 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6. 지리7. 유적
7.1. 승리산동굴 유적

[clearfix]

1. 개요

평안남도에 위치한 도시.

2. 상세

인구는 2008년 기준으로 237,133명이라 적지 않지만 일단 평안남도에서 가장 인구가 적은 시이다. 물론 모두 20만명 정도 선이라 서로 비슷하다. 광복 당시에는 덕천군이었고 6개 면 59개 리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면적은 1,039km²였다.

도시 최대 산업은 탄광업으로 한반도 최대 규모의 탄전지대인 평남북부탄전 한가운데 있어 무연탄 채굴이 활발하다. 슬레이트와 석회석 역시 많이 난다.

또한, 북한 최대의 자동차 공장인 승리자동차종합기업소가 이 곳에 위치해있어 북한의 자동차 생산량 절반이상을 담당하고 있다. 인근에 '덕천공업대학'이라는 공장학교를 건립하여, 승리자동차공장을 비롯하여 덕천시와 주변의 공장, 기업소들에서 근무하고 있는 노동자들과 관리일꾼들을 대상으로 기술과 관리업무를 교육시키고 있다. 또한, 덕천견직공장이 있어 예로부터 이름난 '덕천향라(견직물의 일종)'를 생산하고 있으며, 대동강변에는 '대동강 발전소'라는 이름의 댐식 수력발전소가 건립되어있다.

3. 역사

고구려의 영토였다. 고구려 멸망 이후 통일신라발해의 변경지대로 방치되었다가 고려 태조 대에 북진정책으로 수복하였다. 947년(정종 2년)에 덕성진(德城鎭)을 설치하였고, 그 후 이 일대를 요원군(遼原郡) 또는 장덕진(長德鎭)이라 부르다가 1001년(목종 4년) 덕주(德州)로 개칭되었다. 1413년(태종 13년)에 덕주를 '덕천(德川)'으로 고쳐 평안도 덕천군이 되었다. 덕천군으로 고친 직후 맹산현(孟山縣)과 통폐합해 잠시 덕맹현(德孟縣)으로 격하되었으나 1415년에 덕천군으로 원복되었다.

1896년 13도제가 실시됨에 따라 평안남도 덕천군이 되었다. 1914년 군내면(郡內面)과 무릉면(武陵面)을 병합해 군무면(郡武面)을 신설하였다. 1917년 태극내면(太極內面)과 태극외면(太極外面)을 합쳐 태극면(太極面)으로 하고 군무면을 덕천면으로 개칭하였다. 1935년 덕안면(德安面)이 폐지되어 덕천면과 일하면으로 분할편입되었고 태극면이 영원군으로 이관되었다.

광복 이후에는 6.25 전쟁 당시 김일성평양을 버리고 임시수도 강계시로 도망칠 때 이 곳에 잠시 머물렀으며 1952년 군면리 대폐합 당시 남부 잠도면과 잠상면이 북창군으로 분리되면서 떨어져나갔다. 이후 1987년 시로 승격되었다.

지난 2017년 4월 북한이 미사일 발사 실험에 실패해 이 도시가 큰 피해를 입었다(...)#

4. 교통

교통면에서는 평덕선이 지난다. 덕천역(평덕선)이 시의 중심에 있다.

5. 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2d914b>
파일:평안남도 휘장(이북5도위원회)_wih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or: #181818"
파일:평안남도 평양시 휘장.svg
평양시
파일:진남포시 상징.png
진남포시
파일:평안남도 대동군 휘장.svg
대동군
파일:순천군 상징.png
순천군
파일:맹산군 상징.png
맹산군
파일:양덕군 상징.png
양덕군
파일:덕천군 상징.png
덕천군
파일:성천군 상징.png
성천군
강동군 파일:중화군 상징.png
중화군
파일:용강군 상징.png
용강군
영원군
파일:강서군 상징.png
강서군
파일:평원군 상징.png
평원군
파일:안주군 상징.png
안주군
파일:개천군 상징.png
개천군
명목상 도청소재지 : 평양시 }}}}}}}}}

파일:덕천군기.png

파일:덕천군.jpg

성양면과 풍덕면은 북한에서 영원군과의 사이에 인공호수인 금성호(金城湖)를 건설해서 수몰된 곳이 많다.

잠도면 전지역과 잠상면 상당 지역은 북한에서 북창군득장지구로 편입시켰다.
  • 덕천면(德川面)
    • 관할 리 : 읍북(邑北), 덕동(德洞), 무릉(武陵), 산양(山陽), 안동(安洞), 운송(雲松), 읍남(邑南), 읍동(邑東), 장안(長安), 제남(濟南), 청룡(靑龍), 향원(鄕元)
    • 원래 군무면(郡武面)[3]이었으나 1917년에 개칭되었다. 1935년 덕안면(德安面) 덕동리·안동리·향원리를 편입했다. 덕안면은 덕천면과 일하면에 분할 편입되어 폐지되었다. 덕천면 서쪽에 해발 404m의 '승리산'이 고고학적으로 중요한데, 원래 이름은 신산(申山)으로 김일성이 자칭 조국해방전쟁의 승리를 기념한답시고 멋대로 이름을 바꾸었다.
  • 성양면(城陽面)
    • 관할 리 : 수하(水下), 금성(金城), 남상(南上), 남중(南中), 남하(南下), 삼도관(三都官), 연당(蓮塘), 연풍(淵豊), 운탄(雲灘), 좌양(左陽)
    • 1914년 금성면(金城面)과 좌양면(左陽面)을 병합하여 신설하였다. 면소재지인 수하리는 금성호 건설로 인해 수몰되었다.
  • 일하면(日下面)
    • 관할 리 : 운평(雲坪), 구정(九政), 귀상(貴上), 달하(達下), 상신(上新), 상심(尙深), 운곡(雲谷), 장상(長上), 전성(錢城), 회둔(檜屯), 흥덕(興德)
    • 1935년 덕안면 구정리·귀상리·장상리를 편입하였다. 덕천에서 개천 방면으로 가는 길에 있다.
  • 잠도면(蠶島面)
    • 관할 리 : 대평(大坪), 삼동암(三童巖), 송림(松林), 양촌(陽村), 용상(龍上), 원동(院洞), 잠평(蠶坪)
    • 조선시대 순천군 잠하면(蠶下面)과 용도면(龍島面)이었으나 1906년에 덕천군으로 편입되었고, 1914년에 합병되었다. 맹산군 옥천면과 봉인면을 오가려면 이곳을 거쳐야 한다. 북한 행정구역상 북창군 소재지로, 북창군 옛 소재지는 이웃한 맹산군 옥천면 북창리였다. 또한 잠상면과 걸쳐 북한 행정구역상 득장지구가 소재한다.
  • 잠상면(蠶上面)
    • 관할 리 : 도령(陶令), 길상(吉祥), 내포(內浦), 동평(洞坪), 번석(番石), 서학(棲鶴), 선가(船街), 용소(龍沼)
    • 조선시대 순천군 지역이었으나 1906년 덕천군으로 편입되었다.
  • 풍덕면(豊德面)
    • 관할 리 : 송정(松亭), 신덕(新德), 신평(新坪), 신풍(新豊), 신흥(新興), 옥유(玉楡), 율곡(栗谷), 임하(林下), 척장(尺長), 추동(楸洞), 풍덕(豊德)
    • 1914년 신덕면(新德面)과 신풍면(新豊面)을 병합하여 신설되었다. 면소재지인 송정리는 금성호에 의해 수몰되었다. 덕천에서 영원으로 가는 중간에 있다.

6. 지리

근처에 금성호라는 제법 큰 호수가 있다. 덕천시 자체도 금성호에서 분리되는 지류에 따라 시가지가 형성되어 있다.

7. 유적

7.1. 승리산동굴 유적

한반도 선사 유적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구석기시대상원 검은모루동굴유적, 덕천 승리산동굴 유적[1], 만달리 유적, 연천 전곡리 유적[2], 공주 석장리 유적[3], 두루봉동굴 유적, 대전 둔산 선사유적지혼합
신석기시대서울 암사동 유적, 울산 반구천 일대 암각화 (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울주 천전리 암각화 ), 대전 둔산 선사유적지혼합
청동기시대고창, 화순, 강화의 고인돌 유적, 대구 진천동 입석, 사월동지석묘군, 속초 조양동 유적, 대전 둔산 선사유적지혼합
초기 철기시대광주 신창동 유적
※ 문서가 있는 경우만 서술.
[ 각주 펼치기 · 접기 ]

[1] 문서에 나오듯 산 이름이 우상화 지명이라서 통일 후 개명 가능성이 높다.[2] 사적 지정, 학설을 뒤집은 유적[3] 남한 최초로 발견된 구석기 유적이며 한강 이남에도 구석기 문화가 있었음을 밝혀냈다.
}}}}}}}}}

승리산(勝利山) 동굴에서는 네안데르탈인[4]의 뼈와 중기 구석기시대 인류의 뼈가 출토됐다. 특히 여기서 발견된 네안데르탈인은 덕천 승리산인으로 명명됐다. 뿐만 아니라 청동기 시대 유물인 석제칼, 옥구슬, 민무늬 토기의 일종인 미송리식 토기도 발견되어서 오랜 시간 사람들이 살았음을 알 수 있다.

승리산은 덕천 시가지 서남쪽에 있는 산인데 전술한 대로 김일성이 체제 선전을 위해 멋대로 개명한 것이므로, 남북통일 후 원래 명칭인 신산으로 환원하며 본 유적 역시 개명할 가능성이 높다.

[1] 2022년[2] 2022년[3] 1914년 군내면(郡內面)과 무릉면(武陵面)을 병합하여 신설되었다.[4] 대체로 자국의 역사를 더 끌어 올리기 위한 북한 당국의 억지로 본다. 네안데르탈인은 중앙아시아 동쪽으로 이동한 다른 예가 없으며, 한반도는 구석기 시대의 고인류 화석이 남아있기 힘든 환경이다. 네안데르탈인으로 추정하는 근거인 화석의 특성 또한 객관적으로 보기 힘들며 구체적이지 못하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