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epall> {{{#!wiki style="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006ba4, #0084c9 33%, #0084c9 67%, #006ba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color: #fff;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방향 | ||||
남한 주도 | 흡수통일 · 북진통일 | |||
남북합의 | 평화통일 · 남북연합 | |||
북한 주도 | 적화통일 · | |||
기타 | 영구분단 · 제3국 주도(한미합방 · 한중합방) · 북한 분할 | |||
영향 | ||||
남북통일의 이점 | ||||
과제 | ||||
경제 (통일 비용) | 군사 | 정치 | 행정 및 사법 (행정구역·치안) | |
외교 | 교육 | 인프라 (교통·남한) | 스포츠 | |
사회 및 문화 (상징물 변화) | 수도 (후보지) | 급변사태 | ||
노력 | ||||
정상회담 | 2000년 · 2007년 · 2018년(1차 · 2차 · 3차) | |||
남북합의 | 7.4 남북 공동 성명 · 남북기본합의서 · 6.15 남북공동선언 · 10.4 남북공동선언 · 판문점 선언 · 9월 평양공동선언 | |||
관련 인물 | 통일운동가 | |||
관련 문서 | ||||
한반도기 · 남북관계 · 6.25 전쟁 · 통일반대론(근거) | }}}}}}}}}}}} |
#!if 문서명2 != null
, [[분류:북한의 상징]]
#!if 문서명3 != null
, [[한반도기]]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1. 개요
대한민국과 북한의 남북통일시 국가상징물의 변화에 대한 문서.2. 배경
대한민국과 북한은 남북분단과 6.25 전쟁을 거치면서 서로 완전 다른 상징물을 갖고 있고, 국가(노래)의 이름 조차 대한민국의 애국가와 북한의 애국가로 전부 다 애국가이므로, 상징물을 이해하기 어렵다. 결국 상징물 문제는 남북통일의 사회 및 문화 분야 중 가장 고민거리가 큰 요인이다. 하지만 한반도가 통일이 된다면 둘의 사회 및 문화가 변동 및 통합되어 두 국가의 상징물은 합쳐지고 새로워질 전망이다.3. 제안된 상징
이 제안 상징물은 나무위키의 나무위키:상징 비공식 상징시안(비공식 로고(나뮷쿠리 등), 비공식 패비콘(나w 등), 비공식 캐릭터(N.무, 모나 등), 비공식 슬로건(나무위키는 위키러의 작업에서 싹튼다. 등))의 조건과 같은 뿐이라서 비공식 시안이 넘쳐난다. 유력하다고 하는 상징물은 밑줄로 처리된다.3.1. 국기
3.1.1.
태극기 유지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태극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태극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태극기는 대한민국의 국기다. 통일된다면 이 태극기를 국기로 삼을 전망이다.
3.1.2.
한반도기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반도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반도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대표적인 통일한국 국기 제안. 2018 평창올림픽 때 한국 공동입장 때 나타난 국기이기도 한다. 한반도기 문서로.
3.2. 국장
3.2.1.
나라문장 유지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나라문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나라문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나라문장은 대한민국의 국장이다. 통일한국 국장 시안이 없기 때문에 아마도 나라문장이 국장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