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현대 북한의 군대}}}에 대한 내용은 [[조선인민군]]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조선인민군#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조선인민군#|]]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현대 북한의 군대: }}}[[조선인민군]]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조선인민군#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조선인민군#|]]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주요 역사적 사건 | |
<colbgcolor=#ccc,#333><colcolor=black,white> 김일성 시대 | 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 설치 (1945) ·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 설립 (1946) · 김일성 암살 미수 사건 (1946) · 북조선인민위원회 설립 (1947) · 제1기 북한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 (1948)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창건 (1948) · 북·남조선로동당 합당 (1949) · 6.25 전쟁 (1950~1953) · 박헌영-리승엽 간첩 사건 (1953~1955) · 8월 종파사건 (1956) · 중국인민지원군 철수 (1958) · 재일교포 북송 (1959~1984) · 조소동맹조약 (1961) · 조중동맹조약 (1961) · 갑산파 숙청 사건 (1967) · 1.21 사태 (1968) · 푸에블로호 피랍사건 (1968) · 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사건 (1968) · 7.4 남북 공동 성명 (1972) · 사회주의헌법 제정 (1972) ·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1976) · 아웅 산 묘소 폭탄 테러 사건 (1983) · 대한항공 858편 폭파 사건 (1987) · 제13차 평양세계학생축전 (1989) · 남북기본합의서 (1991) · 남북 유엔 동시 가입 (1991) · 북일수교협상 (1991~1992) · 제1차 북핵 위기 (1993~1994) · 서울불바다 발언 사건 (1994) · 김일성 사망 (1994) | |
김정일 시대 | 남북정상회담 무산 (1994) · 고난의 행군 (1994~2000) · 북미 제네바 합의 (1994) ·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 (1996) · 심화조 사건 (1997~2000) · 제1연평해전 (1999) · 남북정상회담 (2000) · 조미 코뮤니케 (2000) · 제2연평해전 (2002) · 새로운 경제관리개선조치 (2002) · 북일정상회담 (2002~2004) · 6자회담 (2003~2009) · 제1차 핵실험 (2006) · 남북정상회담 (2007) · 제2차 핵실험 (2009) · 화폐개혁 (2009) · 천안함 피격 사건 (2010) · 연평도 포격전 (2010) · 김정일 사망 (2011) | |
김정은 시대 | 제3차 핵실험 (2013) · 장성택 처형 사건 (2013) · 5.30 조치 (2014) · 제4차 핵실험 (2016) · 제5차 핵실험 (2016) · 김정남 피살 사건 (2017) · 제6차 핵실험 (2017) · 김성일 사건 (2017) · 남북정상회담 (평양공동선언) (2018) · 북미정상회담 (2018, 2019) ·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사건 (2020) · 반체제 정당 조직 적발 사건 (2021) · 코로나 대유행 (2022) · 연평도 해역 포격 사건 (2024) · 지린성 북한 노동자 폭동 사건 (2024) · 반체제 세력 출현 사건 (2024) · 오물 풍선 살포 사건 (2024)ㆍ2024년 북러정상회담 (2024)ㆍ북한 외교관 연쇄 탈북 사건 (2024)ㆍ주러시아 북한 관전무관 폭사 사건 (2024)ㆍ평양 무인기 대북전단 살포 사건 (2024)ㆍ북한의 경의선·동해선 남북 연결도로·철도 폭파 사건 (2024)ㆍ북한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참전 (2024) | |
역사왜곡* | ||
항일무장투쟁 | 타도제국주의동맹 (1926) · 카륜회의 (1930) · 명월구회의 (1931) · 조선인민혁명군 (1932) · 민생단 사건 (1932~1936) · 남호두회의 (1936) · 미혼진회의 (1936) · 동강회의 (1936) · 조국광복회 (1936) | |
6.25 전쟁 | 전쟁 발발 책임 · 승패 인식 | |
백두혈통 우상화 | 김응우 (제너럴 셔먼호 사건) · 김형직 · 강반석 · 김정숙 · 김정일 출생지 왜곡 | |
관련 서적 | 미제와 일제의 조선침략죄행 · 백두혈통 우상화 교과서 · 세기와 더불어 · 조선력사 | |
* 괄호 안의 연도는 북한의 주장에 근거한 연도이며, 실제 역사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단체 및 사건이거나 실제와는 다른 연도일 수 있음. | ||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
{{{#!wiki style="margin:-10px" | <tablebordercolor=#E40001><tablebgcolor=#E40001> | 김일성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cccccc,#333333> 일생 | 생애 · 사망 | |
정책 | 군면리 대폐합 · 공작기계새끼치기운동 · 남북기본합의서 · 조소동맹조약 · 조중동맹조약 · 조중변계조약 · 천리마 운동 · 청산리 방법· 3대혁명소조운동 · 4대 군사노선 · 7.4 남북 공동 성명 · 1980년대의 경제 정책 · 주체농법 | ||
우상화 사업 | 타도제국주의동맹 · 조선인민혁명군 · 조국광복회 · 보천보 전투 · 주체사상 · 구호나무 · 도서정리사업 · 김일성장군의 노래 · 압록강의 노래 | ||
관련 장소 | 만경대고향집 · 금수산태양궁전 · 대성산혁명렬사릉 · 화진포의 성 | ||
가족 | 가계도 · 증조부 김응우 · 조부 김보현 · 아버지 김형직 · 어머니 강반석 · 본처 김정숙 · 이처 김성애 · 남동생 김철주 · 남동생 김영주 · 아들 김정일 · 아들 김만일 · 아들 김평일 · 아들 김영일 · 아들 김현 · 딸 김경희 · 딸 김백연 | ||
사건사고 | 훙치허 전투 · 김일성 암살 미수 사건 · 6.25 전쟁(평양시 학살 사건) · 8월 종파사건 · 갑산파 숙청 사건 · 베트남 전쟁 · 1.21 사태 · 푸에블로호 피랍사건 · 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사건 ·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 아웅 산 묘소 폭탄 테러 사건 · 북한의 대남 수해지원 · 김포국제공항 폭탄 테러 · 김일성 사망 오보 사건 · 임수경 방북 사건 · 프룬제 군사대학 유학파 쿠데타 모의 사건 | ||
저서 | 세기와 더불어 | ||
어록 | 이밥에 고기국 기와집에서 비단옷 | ||
기타 | 조선로동당 · 인민대학습당 · 북조선인민위원회 · 김일성종합대학 · 김일성군사종합대학 · 김일성방송대학 · 김일성광장 · 김일성훈장 · 김일성상 · 김일성화 · 김일성 공원 · 김일성 암살설 · 김일성 가짜설 · 김일성 시계 · 태양절 · 인간관계 | ||
| |||
<colbgcolor=#DA251D><colcolor=#D49E3E> 조선인민혁명군[1]반일인민유격대가 적혀있다. 오른쪽부터 읽어야 한다. Korean People's Revolutionary Army | |
| |
설립 | 1932년 4월 25일[2] (북한 주장) |
|
조선인민혁명군 선전화 |
1. 개요
북한 정권 측에서 김일성이 1932년 4월 25일 노동자, 농민, 청년학생들을 주축으로 창건했다고 날조한 가공의 항일 무장군사조직. 북한은 이반 치스차코프의 25군의 행적을 이 군대의 행적으로 둔갑시켜 조선인민혁명군이 일본군을 물리치고 한반도를 해방시킨 군대이자[3] 조선인민군의 기원이라고 선전하고 있다. 그러나 북한군의 진짜 모체는 소련군정 시절 공산주의자들을 모아서 만든 보안대와 철도경비대이다.##북한에서는 2021년부터 1932년 4월 25일을 기점으로 매년 4월 25일을 조선인민혁명군 창건일로서 기념하고 있다.
2. 상세
북한은 조선인민혁명군과 관련하여 “주체사상을 지도적 지침으로 하고 인민의 리익을 위하여 투쟁”하고 “모든 계급적 압박과 착취를 청산하고 사회주의를 건설할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고 주장하고 있다.북한의 기록에 따르면 김일성은 1932년부터 항일 빨치산으로 활동했다.[4] 1932년 4월 25일[5] 김일성은 반일 인민유격대를 결성한 빨치산 대장이었는데 이 시기에는 만주에 여러 군벌, 마적, 독립군, 혁명군 등 다양한 무력집단이 군웅할거하고 있던 시기였다. 1933년쯤 되면 이러한 단체들이 연합하기 시작하고 만주에 조선/중국 양국의 인민들의 "혁명적 지방주권기관"이자 "해방구"가 등장하기 시작했다. 당시 신생 괴뢰국이었던 만주국의 행정 능력은 산간 오지나 황무지까지 미치지 못했고, 이를 이용하여 무력단체들은 자신들의 영역에서 자체적으로 활동할 수 있었다고 주장한다.그러나 실제로는 반일유격대를 결성했다는 것도 거짓말인데, 그는 1931년부터 중국공산당이 창건한 '왕청 유격대'의 소대장에 불과한 부대원이었기 때문이다.#
북한은 "1934년에 이르러 김일성은 동만주의 반일 인민유격대와 남만주 반일유격대를 통합하여 조선인민혁명군을 창설하였으며, 그 이듬해인 1935년 5월에는 반일 민족 통일전선 본보인 조국광복회를 조직하고 그 회의 회장으로 추천되었다. 그리고 김일성은 만주 각지의 혁명적 무장세력을 통합하여 신기한 영도력을 발휘하여 조선인민혁명군을 만들었다"고 주장하지만 조선인민혁명군은 1930년대 만주 지방에서 민족주의자들을 중심으로 결성된 '조선혁명군'과 중국공산당 만주성위원회가 소비에트 홍군이라는 명칭을 취소하고 다시 성립할 것을 지시했던 코민테른의 '1월 서한'에 따라 결성한 동북인민혁명군의 명칭을 조합해서 고안해낸 가공의 조직이다. 김일성이 가공해 만들어낸 군사조직김일성의 자서전 <세기와 더불어>에도 "중국 동북지방에서 활동할 때에는 동북항일연군이라고 하였고, 조선 사람들이 많은 곳에 가거나 조선에 나와서는 조선인민혁명군이라고 정황에 맞게 이름을 바꾸어 가며 활동했다."고 서술되어 있다.
동북항일연군은 조선인민혁명군과는 전혀 다른 실존했던 군사조직이었다. 동북항일연군 제2군이 김일성이 이끌던 부대였으며 이때 김일성이 항일 빨치산 투쟁을 한 것은 사실이지만, 북한이 혈맹이라고 표현하는 중국조차도 조선인민혁명군의 존재를 부인했다. 예컨대 1962년 4월 25일 평양에선 항일유격대 창설 30주년 기념행사를 전례 없이 대대적으로 개최했는데, 이 자리에 초청된 중국공산당 수뇌급 간부 펑전(彭眞)은 "중국 측은 김일성이 주도하여 조직했다는 조선인민혁명군은 날조된 것이며, 김일성은 중국공산당의 지역조직에서 중간간부로서 어디까지나 중앙당의 지도 하에 행동했던 자로 규정했던 것이다."라는 입장을 피력했다.
특히 북한에서 대대적으로 선전하는 내용 중에는 "양세봉의 조선혁명군을 김일성이 흡수해서 대규모 부대로 거듭나게 되었다"는 것도 있는데 이 역시 거짓이다. 조선혁명군의 일부 대원이 ‘동북항일연군’ 제1로군[6]에 자발적으로 참여했다고 보는 것이 사실에 부합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북한에서 주장하는 조선혁명군과 실제 사료에 등장하는 조선혁명군은 다르다.
북한에선 조선인민군의 전신이 조선인민혁명군이라 주장하기 때문에 조선인민군가의 첫 소절이 "항일의 빛나는 전통을 이어"다. 자신들이 항일운동을 하던 조선인민혁명군을 계승했다는 자부심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 역시 거짓이며, 실제 조선인민군의 전신은 한인계 소련군 출신으로 구성된 보안대다.
현재는 김일성 우상화 작업의 도구 중 하나로 이용되며, 김정은 집권 후 열병식을 할 때마다 존재하지도 않았던 조선인민혁명군을 재현해 행진시킨다(...) 열병식[7]에서는 앞에서 3번째 종대의 위치로 행진한다.[8]
김일성의 소련군 입대 당시 스스로 작성한 문건에는 그 어디에도 조선인민혁명군에 대한 언급이 없다.# 갑산파 숙청 이후 북한은 완전한 만주파의 왕국으로 탈바꿈 하게 되는데 '조선인민혁명군'이라는 군대가 창작된 것도 김일성의 <5·25 교시>를 기점으로 시작된 것이다.# 88여단 출신의 만주파는 연안파, 국내파, 소련파 등 다른 공산주의 계파들을 모두 숙청하고 '조선인민혁명군'이라는 가상의 조직을 만들어 지금까지도 김씨일가 중심의 절대적 지배 독재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3. 비판
나는 웅기는 물론, 나진·청진에서 단 한 사람의 인민혁명군도, 항일투사도, 혁명가도 戰場(전장)에서 보지 못했습니다. 전투에 참전한 조선인은 나 한 사람뿐이었소. 우리 부대가 피를 흘리며 청진에서 싸우고 있을 때, 金日成이나 오백룡은 하바로프스크 인근 왜트스코예 마을에 주둔한 소련군 88정찰여단 막사에서 편하게 지내고 있었습니다.
어떻게 소련군 88여단 예하 일개 조선인 부대가 하루아침에 조선인민혁명군이 돼서 8월9일부터 만주 일대와 북한 웅기·나진·청진·어대진을 해방시킨단 말입니까? 아무리 역사와 백성을 속이려 해도 거짓은 드러나게 마련입니다.
내가 북한에 있던 1950년대 중반까지 金日成은 「내가 이끄는 조선인민혁명군 부대가 북한을 해방시켰다」는 얘기는 감히 꺼내지 못했습니다
해방작전 당시 유일한 조선인 소련군 참전자, 정상진#
어떻게 소련군 88여단 예하 일개 조선인 부대가 하루아침에 조선인민혁명군이 돼서 8월9일부터 만주 일대와 북한 웅기·나진·청진·어대진을 해방시킨단 말입니까? 아무리 역사와 백성을 속이려 해도 거짓은 드러나게 마련입니다.
내가 북한에 있던 1950년대 중반까지 金日成은 「내가 이끄는 조선인민혁명군 부대가 북한을 해방시켰다」는 얘기는 감히 꺼내지 못했습니다
해방작전 당시 유일한 조선인 소련군 참전자, 정상진#
- [ 펼치기 · 접기 ]
- >지금까지 살펴본 대로 김일성이 항일무장투쟁에 참여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북한의 김일성 항일무장투쟁에 대한 주장과 역사기술은 왜곡이 너무 많다는 것이 밝혀졌다. 북한 역사서의 어느 한 줄도 왜곡되지 않은 곳이 없다. 사실에 가깝게 기술된 부분도 미화되는 방식으로 왜곡되어 있다. 이처럼 사실이 너무 많이 왜곡되어 있기 때문에 남한에서는 오히려 김일성은 통째로 가짜라는 주장이 나왔는지도 모른다. 북한 역사서들의 김일성 항일무장투쟁에 대한 왜곡의 유형은 크게 네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중국 공산당 주도의 동북항일연군의 활동에 대하여 북한은 김일성이 창설한 조선인민혁명군의 활동으로 기술하고 있다. 중국공산당과 군사간부들의 결정과 지휘를 김일성의 결정과 지휘로 바꿔치기 하였다. 30년대 만주에서의 항일무장투쟁은 중국공산당 동북항일연군의 영도 밑에 전개된 것인데 김일성이 독립부대를 가지고 독립적으로 지휘한 것인양 왜곡하였다. 김일성이 주체로 한 것이 아닌데 자신이 주체로 했다고 왜곡하였으며, 김일성이 결정한 것이 아닌데 김일성이 결정했다고 왜곡한 부분이 많다. 당시 항일무장투쟁은 중국공산당의 계획과 명령에 의한 것인데 마치 김일성이 혼자서 주도하고 혼자서 결단한 것인양 왜곡하였다. 당시 김일성은 중국공산당원으로서 철저히 중국공산당의 지휘에 따라 움직인 동북항일연군의 일개 부대원이었다. 말기에 가서는 제2군 6사 사장의 자리에 있었으나 동북항일연군의 지휘자는 중국공산당이며, 강령은 중공의 강령이었고, 김일성 부대의 일거수일투족은 중국공산당의 명령에 의하였다. 북한은 김일성이 항일무장 투쟁의 개척자이며 영도자라고 주장하고 있는데 이는 사실을 너무 왜곡한 것이다. 중국이 일본의 침략을 당한 상황에서 조선인 김일성에게 동북지방의 항일무장투쟁을 주도하도록 내버려두었다고 볼 수 있는가? 당시 중국공산당 중앙은 주보중을 동북으로 보내어 항일무장투쟁을 개척하게 하였고 실제로 주보중이 1940년에 소련의 하바로프스크로 피난하기 전까지 항일무장투쟁을 지휘한 사람이다. 양정우는 수만명 대오의 사령관이었다. 이들이 실제로 항일무장투쟁을 개척한 사람들이다. 김일성은 일개 병사에서 시작하여 정위, 단장, 사장이 되었다. 세기와 더불어 를 집필한 당역사연구소 소장 최진혁은 연변대 역사학자들이 역사왜곡의 실상을 비판하는데 대하여 대응하여 말하기를 “선생님 왜 모릅니까. 우리 민족은 주체사학을 세워야 합니다”라고 변명하였다고 한다.
둘째, 실재하지 않은 역사를 실재한 것으로 조작하였다. 역사적으로 존재하지 않았던 조선인민혁명군이 존재한 것인양 왜곡하였다. 김일성은 조선인민혁명군을 창설하여 지휘하여 조국을 해방시켰다고 선전하고 있다. 그런데 조선인민혁명군이라는 부대가 존재한 적이 없다. 중국공산당 동북항일연군의 명칭이 개칭되기 전에 동북인민혁명군으로 불렸는데 북한은 이 이름을 모방하여 조선인민혁명군으로 왜곡하였다. 역사적으로 존재한 적이 없는 조직이다. 동북항일연군의 전 역사를 왜곡하여 조선인민혁명군이라고 사칭하고 김일성이 지휘한 것으로 왜곡하였다. 북한은 김일성이 1934년 3월에 조선인민혁명군을 창설하고 사령관으로 취임하였다고 주장하고 있는데 이것은 완전한 왜곡이다. 1934년 3월의 역사에 대한 완전한 문건이 중국에 있다. 중국 문건에 의하면 1933년 12월 3일에 만주성위의 지시문건에 의하여 연변인민 유격대를 동북 인민혁명군 제2군 제1독립사로 개편하고 조건이 성립된 다음에 제2독립사를 세우도록 지시하였다. 이 문건에 따라 중공 동만 특위에서 1934년 3월에 삼도만 능지영에서 회의를 열고 제1독립사를 설치하였고 사장에 주진, 정위에 왕덕태를 임명하였고, 연길현 유격대를 제1탄(団), 왕청현 산림대를 제2탄, 화룡유격대를 제3탄으로 조직하였다. 김일성의 소사 별동대는 여기에 포함되지도 않았다. 또한 북한 역사서는 김일성이 14살 때인 1926년 10월에 ㅌ·ㄷ 동맹을 건설하고 조선혁명에서 완전한 강령을 제시했다고 주장한다. 김일성이 18세인 1930년 6월 카륜회의에서 김일성이 역사적 결정인 “조선혁명의 진로”라는 연설을 하면서 주체사상을 창시했다는 주장이다. 중국 문헌에 없으며 당시 상황으로 보아 불가능한 것들이다.
셋째, 북한 역사서는 실재한 역사를 실재하지 않은 것으로 은폐하였다. 만주에서 항일투쟁을 하다가 1940년 11월에 일군의 반격에 밀려서 러시아 하바로프스크 지역으로 피신하여 소련 극동군에 배속되어 있다가 1945년에 소련에 의하여 북한의 지도자로 선발되어 입국하였다는 사실은 북한의 역사에서는 숨겨져 있다. 또한 김일성이 1945년 9월 19일에 입국하기 직전 모스크바에 호출되어 스탈린을 면담하고 북한의 최고지도자로 옹립되어 귀국하였는데 북한 역사서는 이를 은폐하고 있다. 김일성은 자신의 활동이 1940년까지 중국공산당과 연결되는 것을 부인하였을 뿐만 아니라 1941년 이후 소련 홍군 88여단에 가담하였다는 사실도 부인하였다. 북한이 소련의 위성국이라는 사실을 은폐하고 주체사상을 주장하기 위한 것이다.
넷째, 사실을 미화하거나 과장하였다. 보천보 전투에 대한 과장된 평가나, 김정일의 백두산 출생 등은 사실을 과장하거나 미화하기 위한 왜곡들이다. 북한의 역사서들은 단순히 사실을 왜곡하였을 뿐만 아니라 우리민족의 보편적 역사를 김일성 개인의 유일한 역사로 왜곡하였다. 일제시기 우리 민족은 중국의 동북지방(만주), 중국 화북지방(관내), 미주, 국내 등 광범위한 지역에서 항일운동을 전개하였고, 김일성이 태어나기 전인 1905년대부터 김일성이 소련으로 피난한 이후 해방직전까지도 지속적으로 항일운동을 전개하였으며, 수많은 사람들이 목숨을 바치며 항일운동을 전개하였다. 북한 역사서는 당시 우리민족의 보편적 역사를 김일성만의 유일성 역사로 왜곡한 것이다. 김일성이 활동한 만주지역에서도 동북항일연군의 숫자는 4만명에 달하였는데, 대부분의 대원들은 산화하여 1940년경에는 1천여명 정도밖에 남지 않았다. 김일성은 항일무장투쟁 중에 운이 좋은 사람이었다. 양정우, 위증민, 왕덕태, 조상지 등 최고위급 지휘관과 지도자들이 대부분 전사하였는데 반하여 김일성은 생존하였다. 김일성은 500여명의 조선족 항일 전사들이 민생단으로 몰려서 처형되었는데 반하여 김일성은 중국어를 잘하고 중국사람과 잘 어울렸으며, 민생단 사건 재판에 통역을 하는 등의 역할을 하였기 때문에 살아남아서 2군 3사가 신설되었을 때 사장으로 임명될 수 있었다. 대부분의 항일무장투쟁 전사들은 만주 벌판에서 싸우다 일제토벌대의 전투기 기총소사에 희생된데 반하여 김일성은 백두산 밀림에 배치되어 있었기 때문에 끝까지 살아남을 수 있었는지도 모른다. 공산국제의 결정에 따라 조선인들의 독립의지를 감안하여 1개 부대를 조선국경지대인 백두산 지역에 배치하였는데 김일성이 그 부대장으로 발탁되었고, 그 취지에 따라 첫 국내진공작전이었던 보천보 전투에 참여함으로써 당시의 국내언론에 보도되어 이름이 국내에 알려지는 계기가 되었다. 김일성은 1940년 10월에 소련에 피신하여 생명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물론이고, 소련군 간부들과의 친분을 맺게되어 해방후 소련군정하에서 북한 최고지도자로 옹립될 수 있었다. 김일성은 또한 북한의 최고지도자가 되었기 때문에 항일무장투쟁의 역사를 자신의 역사로 기술할 수 있게 하였다.
김일성 항일무장투쟁의 신화화 연구
북한은 조선인민혁명군이 김일성의 “세련된 령도와 뜨거운 사랑 속에서 창건 후 빠른 시일 안에 주체의 혁명위업을 확고히 떠메고 나갈 수 있는 믿음직한 혁명적 무장력으로 자라났으며, 마침내 겹쌓인 난관과 시련을 용감하게 뚫고 일제를 반대하는 항일혁명전쟁에서 력사적 승리를 쟁취하였다”고 주장하지만, 이러한 주장은 김일성 혁명전통에 입각한 것으로 김일성 우상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일단 주체사상이라는 개념 자체가 1950년대 중후반에야 나오며, 조선인민혁명군 한반도 해방설 또한 1960년대에 들어서 나오게 됐다. 당시 김일성은 중국공산당 노선을 따르는 재만 무장투쟁 세력의 일원에 지나지 않았다.1국 1당주의란 원칙하에 중국 내에 있는 조선인 부대원들은 철저하게 중국공산당의 영도를 받아야해서 독자적 활동은 거의 불가능했다.
1936년경 동북항일연군에 참가하고 이들은 1937년 보천보 전투로 일약 유명해졌지만, 조선인민혁명군이라는 이름이 국내에 크게 알려지지는 않았고 김일성과 공산비적의 준동으로 보도되었으며, 1970년대와 1980년대 동아일보에서 몇 차례 소개되었으나 그마저도 조선인민혁명군이 실제하였는가에 대한 의문을 제시하는 기사들이다.
당시의 신문 기사
4. 여담
《… 우리들이 도시에 가까이 다가갔을 때 기관총의 따르륵소리와 포사격소리가 들려왔다.
도시변두리로 나온 조선농민들이 손을 휘저으면서 〈만세〉소리를 웨치고있었다. 그들의 말을 들으면 시내에서는 벌써 이틀째 김일성빨찌산부대와 일본군사이에 전투가 벌어지고있다는것이였다. 라진시의 조그마한 광장들과 좁다란 길거리들은 적군의 자동차들과 짐수레들로 미여질듯 꽉 차있었다.
조선빨찌산들이 일본군의 퇴로를 막고 그들이 도시에서 빠져나갈수 없게 만들었다는것을 알게 되였다. 우리들과 빨찌산들사이에 갇히게 된 일본사무라이들은 무기를 내던지고 포로로 되기 시작하였다. 우리들은 도시변두리로부터 우리를 향해 급히 달려오는 100여명의 무장인원을 보았다. 〈우리들은 김일성빨찌산 대원들입니다.〉라고 급히 부대지휘관이 땅크병대좌에게 말했다.》(이.우르쥬멜라슈윌리《조선에서의 수기》중에서)
세기와 더불어[9]
북한에서는 조선인민혁명군이 실존했던 조직이라고 잘못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세기와 더불어에서는 김일성이 조선인민혁명군을 창설하였고, 조선인민혁명군이 나중에 동북항일연군 제2군 소속으로 활동하였다고 주장한다. 꽤 그럴싸한 주장으로 들리지만 애초에 김일성은 빨치산 중에서도 특별히 높은 계급도 아니었고, 북한에서 김일성의 부하였다고 주장하는 김책과 최용건은 김일성의 상관이었다. 일개 당원에 불과했던 김일성을 제1로군 제2군 6사 사장 자리에 앉힌 것은 엄연히 중국공산당의 결정 덕분이었다. 게다가 북한은 조선인민혁명군이 조선을 해방시켰다고 주장하는데 당시 김일성을 포함한 모든 동북항일연군의 멤버들은 소련에서 88여단으로 있었다.도시변두리로 나온 조선농민들이 손을 휘저으면서 〈만세〉소리를 웨치고있었다. 그들의 말을 들으면 시내에서는 벌써 이틀째 김일성빨찌산부대와 일본군사이에 전투가 벌어지고있다는것이였다. 라진시의 조그마한 광장들과 좁다란 길거리들은 적군의 자동차들과 짐수레들로 미여질듯 꽉 차있었다.
조선빨찌산들이 일본군의 퇴로를 막고 그들이 도시에서 빠져나갈수 없게 만들었다는것을 알게 되였다. 우리들과 빨찌산들사이에 갇히게 된 일본사무라이들은 무기를 내던지고 포로로 되기 시작하였다. 우리들은 도시변두리로부터 우리를 향해 급히 달려오는 100여명의 무장인원을 보았다. 〈우리들은 김일성빨찌산 대원들입니다.〉라고 급히 부대지휘관이 땅크병대좌에게 말했다.》(이.우르쥬멜라슈윌리《조선에서의 수기》중에서)
세기와 더불어[9]
5. 창작물
6. 관련 항목
[1] 깃발에는[2] 1932년 4월 25일에 반일인민유격대가 만들어졌고, 이후 1934년 3월에는 조선인민혁명군으로 개편되었다고 한다.[3] 대표적으로 청진 상륙작전에 참가했다는 것인데, 정작 이 작전에 참전한 유일한 조선인 소련군이었던 정상진은 당시 조선인민혁명군을 보지 못했다고 증언했다.[4] 이 무장투쟁 노선은 북한의 주장에 따르면 1930년 카륜회의까지 거슬러 올라가는데, 김일성은 이 회의에서 무장투쟁 노선을 정립했다고 주장했지만 이 회의에서 주체사상을 주장했다고 하는 등 후대에 윤색되고 소급된 내용들이 많다. 카륜회의에 관한 내용[5] 조선인민군은 1978년부터 2017년까지 이 날짜를 창군일로 삼고 있었다. 그러나 2018년부터는 다시 원래대로 정규군 창건일인 2월 8일로 돌아갔다.[6] 그 산하 제2방면군장이 김일성이었음[7] 2012년, 2013년, 2015년, 2017년 열병식. 참고로 김정은 집권 후 열병식에서는 김일성/김정일 집권기 당시의 열병식과는 다르게 조선인민혁명군 및 6.25 전쟁 당시의 복장을 한 열병부대를 행진시킨다. 그런데 항상 모든 열병식에 등판시키는 것은 아닌 건지, 당 창건 75주년 기념열병식부터는 등장하지 않다가 2022년 4월 진행된 열병식에서 다시 등장했다.[8] 첫번째 종대는 김일성 초상기 종대, 2번째 종대는 김정일 초상기 종대다.[9] 조선인민혁명군이 조선을 해방시킬 당시 급히 도우러 참전한 소련군이 조선인민혁명군을 목격했다고 주장하는 내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