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9 13:33:48

조중변계조약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E40001><tablebgcolor=#E40001> 파일:김일성투명.svg김일성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cccccc,#333333> 일생 생애 · 사망
정책 군면리 대폐합 · 공작기계새끼치기운동 · 남북기본합의서 · 조소동맹조약 · 조중동맹조약 · 조중변계조약 · 천리마 운동 · 청산리 방법· 3대혁명소조운동 · 4대 군사노선 · 7.4 남북 공동 성명 · 1980년대의 경제 정책 · 주체농법
우상화 사업 타도제국주의동맹 · 조선인민혁명군 · 조국광복회 · 보천보 전투 · 주체사상 · 구호나무 · 도서정리사업 · 김일성장군의 노래 · 압록강의 노래
관련 장소 만경대고향집 · 금수산태양궁전 · 대성산혁명렬사릉 · 화진포의 성
가족 가계도 · 증조부 김응우 · 조부 김보현 · 아버지 김형직 · 어머니 강반석 · 본처 한성희 · 이처 김정숙 · 삼처 김성애 · 남동생 김철주 · 남동생 김영주 · 아들 김정일 · 아들 김만일 · 아들 김평일 · 아들 김영일 · 아들 김현 · 딸 김경희 · 딸 김백연
사건사고 훙치허 전투 · 6.25 전쟁(평양시 학살 사건) · 8월 종파사건 · 갑산파 숙청 사건 · 베트남 전쟁 · 1.21 사태 · 푸에블로호 피랍사건 · 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사건 ·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 아웅 산 묘소 폭탄 테러 사건 · 북한의 대남 수해지원 · 김포국제공항 폭탄 테러 · 김일성 사망 오보 사건 · 임수경 방북 사건 · 프룬제 군사대학 유학파 쿠데타 모의 사건
저서 세기와 더불어
어록 이밥에 고기국 기와집에서 비단옷
기타 조선로동당 · 인민대학습당 · 북조선인민위원회 · 김일성종합대학 · 김일성군사종합대학 · 김일성방송대학 · 김일성광장 · 김일성훈장 · 김일성상 · 김일성화 · 김일성 공원 · 김일성 암살설 · 김일성 가짜설 · 김일성 시계 · 4.15절 · 인간관계
파일:낫과 망치.svg 공산주의 · 파일:조선로동당_로고.svg 주체사상
둘러보기

김일성 | 김정일 | 김정은
}}}}}}}}} ||

[[북한|
파일:북한 국기.svg
]] 북한-중화권 관계 관련 문서 [[중화권|
파일:중국 대만 국기.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북한-대만 관계
북중관계, 북중러관계, 북한-중국 국경, 조중동맹조약, 조중변계조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주재 중화인민공화국대사관, 주북한 중국군
기타
북한/외교, 중국/외교, 대만/외교, 타이완 섬, 중화민족(중화사상), 중국/경제, 대만/경제, 북한/경제, 북한-만주 관계, 북한군 vs 중국군 }}}}}}}}}

1. 개요2. 내용3.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조중변계조약()은 북한중국 간의 국경 조약이다. 원래 비밀조약이었으나 문화대혁명 때 반란파 혁명위원회에 의해 외부에 공개되게 되었다. 남한에는 1974년 6월 지린성 혁명위원회 외사판공실이 발행한 비밀문건을 2007년 동북아역사재단이 입수하여 번역하여 소개되었다. 여기서 중국어 전문을 확인할 수 있다.

2. 내용

1964년 3월 20일 북한 전권 대표 김일성(내각 수상)과 중국 전권 대표 저우언라이(周恩來, 주은래) 사이에서 체결되었다.[1] 천지의 서남쪽 마루[2]와 동남쪽 마루[3]를 잇는 선을 백두산의 국경으로 하고, 하중도의 경우 이미 국민이 사는 섬은 해당국에 귀속하는 원칙으로 결정하였다.

이 덕분에 북한은 백두산 천지의 54.5%를 중국으로 부터 양도받았고,[4] 두만강 상류의 국경에 대해서도 간도협약보다 북한에 유리하게 정해졌으며, 조선인이 사는 섬은 한반도 쪽으로 정했기 때문에 청과 조선의 분쟁 지역이었던 압록강 하구의 황초평을 비롯한 대부분의 하중도도 북한에 귀속되었다. 대한민국이 주장하는 중국과의 국경과도 백두산을 제외하고 일치하고 있다. 그러나 바다의 경계를 경선을 기준으로 정하여 크게 불리하게 체결되어 바다의 중요성이 커진 이후 북한은 이에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파일:조중변계조약 영해기점.jpg
북한과 중국의 조약이므로 이들의 국체를 인정하지 않는 분단국가대한민국중화민국에서는 조중변계조약을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북중이 각각 절반에 가깝게 나눈 천지 일대만 해도 대한민국에서 발간한 지도에는 백두산을 모두 대한민국의 영역으로, 반대로 중화민국에서 발간한 지도에는 백두산을 모두 중화민국의 영역으로 표시하고 있다.

남북통일이 된 이후 수역 문제로 다시 논쟁이 커질 것으로 보이나, 영해권 부분까지 그대로 통일 한국이 승계할 가능성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는 주장과 통일은 주변국 동의가 필수적인 만큼 북한의 모든 대외 조약은 통일 한국이 계승할 수밖에 없으므로, 통일 한국이 자신에 불리하다는 이유로 북한이 맺은 대외 조약을 임의 파기할 수는 없다는 주장이 있다.

비슷한 선례로, 서독은 동독이 폴란드와 맺은 국경 관련 조약을 인정하지 않았었다. 하지만 독일 통일 후 서독이 주도한 통일 독일 정부는 실랑이 끝에 결국 이전의 관련 조약들을 승계하게 된 예가 있다.[5]

조중변계조약이 북한에 유리하게 맺어진 것은 당시 대표인 저우언라이의 양보 덕분에 가능했다. 이 때문에 저우언라이는 중국[6] 내에서 상당한 비판을 받았었고, 반대로 대한민국에서는 김일성이 백두산 절반을 한국전쟁 도와준 보답으로 넘겼다는 루머가 있다.[7]

3. 관련 문서


[1] 다만 실제 조약문서의 서명자는 중국은 천이, 북한은 박성철이다.[2] 재운봉과 옥주봉 사이[3] 자하봉과 쌍무지개봉 사이[4] 백두산 봉우리(2,500m 이상)의 16개 중 9개가 북한영역이다.[5] 다만 서독의 경우 국경선이 2차 대전의 결과로 그어진 것이라 통일을 위해선 마찬가지로 2차대전의 산물인 국경선 또한 인정할 필요가 있었다.[6] 대륙뿐만 아닌 대만의 극단적 중화민국 정통론자도 포함. 이들 역시 '중공 빨갱이들이 신성한 조국 땅을 북한에 팔아먹었다'고 비난한다.[7] 기본적으로 한국과 (조중변계조약 이전) 중국, 중화민국 모두 백두산 천지의 완전 소유를 주장했는데 조중변계조약으로 북한과 중국이 천지를 반으로 가르자고 합의본 것에 가깝다. 국경 판정의 중요한 근거인 백두산정계비 내용이 우리 측에 불리하다보니 절반이라도 확보한 것이 다행이라는 시각도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