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5 13:17:38

이슬람/정복

이슬람 팽창에서 넘어옴
파일:The_Prophet_Muhammad_and_the_Muslim_Army_at_the_Battle_of_Uhud,_from_the_Siyer-i_Nebi,_1595.jpg

1. 개요2. 아랍 무슬림
2.1. 예언자의 시대2.2. 정통 (라쉬둔) 칼리파 시대
2.2.1. 1대 아부 바크르2.2.2. 2대 우마르
2.2.2.1. 시리아와 이라크2.2.2.2. 소강기 (638 ~ 639년)2.2.2.3. 이집트와 이란
2.2.3. 3대 우스만
2.2.3.1. 지중해 진출과 사산 왕조의 멸망
2.2.4. 4대 알리: 1차 피트나2.2.5. 우마이야 왕조
2.2.5.1. 초기: 아프리카 & 아나톨리아2.2.5.2. 2차 피트나 (683 ~ 691년)2.2.5.3. 중기: 마그레브, 이베리아, 호라산2.2.5.4. 쇠퇴기2.2.5.5. 3차 피트나 (742 ~ 751년)
2.2.6. 아바스 왕조
2.2.6.1. 시칠리아 & 크레타 정복
3. 튀르크 무슬림
3.1. 가즈니 제국3.2. 셀주크 제국3.3. 튀르크 토후국들3.4. 오스만 제국
3.4.1. 동남 유럽 (루멜리아) 정복3.4.2. 중유럽 정복 & 지중해 전역
3.4.2.1. 쉴레이만 1세 카누니3.4.2.2. 전선의 확대3.4.2.3. 13년 전쟁3.4.2.4. 빈에서 키예프까지
4. 인도 이슬람 왕조5. 관련 문서

1. 개요

파일:이슬람 정복.gif

중세 이슬람 세력[1]이 외부 세력[2]을 정복하거나 싸운 전투/활동 목록이다. 현지 세력이 이슬람화한 경우[3]는 제외하였다.

2. 아랍 무슬림

  • 이슬람력이 아닌 서기 연도입니다.
  • 승/패 여부는 이슬람의 기준으로 서술합니다.
  • 더 자세한 정보는 해당 연도나 해당 사건의 문서를 열어보시기 바랍니다.

2.1. 예언자의 시대

파일:Capture+_2018-04-09-20-54-03-1-1.png

2.2. 정통 (라쉬둔) 칼리파 시대

시리아, 이라크, 이집트, 이란 정복

2.2.1. 1대 아부 바크르

  • 릿다 (배교) 전쟁 (632 ~ 633년)
  • 632년 9-10월 : 주후사 전투 (승)[16], 부자카 전투 (승), 감라 전투 (승), 나크라 전투 (승)[17], 자파르 전투 (승), 부타 전투 (승). 타북/다뭇 원정
  • 632년 11월: 다바 전투[18]
  • 632년 12월: 야마마 전투 (승)[19]
  • 633년 1월: 타북, 다뭇 & 바레인 & 예멘 평정
  • 633년 2월: 하드라마우트[20] 평정
  • 1차 메소포타미아 정복 전쟁 (633년)
  • 633년 4월: 살리실[21] 전투 (승), 알 마드하르[22] 전투 (승), 우발라 함락 → 첫 지즈야 납부
  • 633년 5월: 왈라자 전투 (승), 울라시스 전투 (승), 아라비아 북부의 반란, 1차 다우맛 알 잔달 전투 (승)[23], 알 히라 함락[24] → 라흠 왕국 멸망
  • 633년 6월: 안바르 포위
  • 633년 7월: 아인 알 타므르 전투 (승), 안바르 함락
  • 633년 8월: 2차 다우맛 알 잔달 전투 (승)
  • 633년 11월: 무자야흐 전투 (승), 사니이 전투 (승), 주마일 전투 (승), 이라크의 이란 군대 괴멸
  • 634년 1월: 피라즈 전투 (승) 이란-로마 연합군 격파
  • 1차 시리아 정복 전쟁 (634년)
  • 634년 2월: 가자 일대 습격, 다틴 전투 (승)[25]
  • 634년 4월: 마르즈 라히트 전투 (승)[26]
  • 634년 6월: 팔미라 함락, 알 콰레야틴 전투 (승)[27]
  • 634년 7월: 보스라 함락[28], 야쿠사 전투 (승)[29]
  • 634년 8월: 아즈나딘 전투 (승)[30], 마르즈 앗 사파르 전투 (승)[31], 다마스쿠스 포위[32]

2.2.2. 2대 우마르

파일:이슬람 제국 1.png
우마르 즉위 당시 이슬람 제국의 판도

할리드 대신 아부 우바이다가 총사령관이 되며 전개 속도가 느려졌고 이때부터 통치 체계의 정립이 시작된다.
2.2.2.1. 시리아와 이라크
  • 634년 9월: 산티나 알 우캅 전투 (승)[33], 다마스쿠스 함락, 마라 알 데바 전투 (승)[34]
  • 634년 10월: 아블라 전투 (승)[35]
  • 사산 제국의 반격
  • 634년 11월: 나마라크 전투 (승)[36], 다리 전투 (패)[37]
  • 635년: 로마 제국 - 사산 제국 동맹
  • 2차 시리아 정복 전쟁 (635 ~ 636년)
  • 635년 1월: 파흘 전투 (승) : 팔레스타인 로마군 소멸
  • 635년 2월: 티베리아스 함락, 2차 아이나딘 전투 (승)[38]. 이후 군대 3개로 나눔
  • 635년 봄-여름: 나블루스, 야파, 하이파 함락[39].아크레 함락[40].시돈, 비블로스 함락[41]
  • 635년 여름-가을: 마라 알 로마 전투 (승)[42], 다마스쿠스 전투 (승)[43], 바알벡 항복, 카이사레아 포위[44]
  • 635년 가을-겨울: 하마, 마라트 알 누만 함락.[45]
  • 635년 12월: 에메사 (홈스) 포위[46]
  • 636년 3월: 에메사 함락
  • 636년 6월: 로마 황제 이라클리오스의 반격 개시
  • 636년 7월: 무슬림 군대가 야르무크 평원에 집결[47]
  • 636년 8월: 야르무크 전투 [48]
  • 636년 10월: 추후 진로에 대한 전략회의[49]
  • 636년 11월: 예루살렘 포위[50]
  • 2차 메소포타미아 정복 전쟁 (636년 ~ 637년)
  • 636년 8월: 카디시야 전투[51]
  • 636년 12월: 나자프[52] 함락, 부르스 전투 (승), 바빌론 입성[53], 데이르 캅 전투 (승)
  • 637년 1월: 크테시폰 포위
  • 637년 3월: 크테시폰 함락
  • 637년 4월: 자룰라 전투 (승), 자룰라 포위
  • 3차 메소포타미아 정복 전쟁
  • 637년 11월: 자룰라 함락. 키르쿠크 함락[62], 모술 항복 → 메소포타미아 평정
  • 637년 12월: 카니킨 전투 (승)[63], 훌완 포위
  • 638년 1월: 훌완 함락, 진격 중단[64]
  • 638년: 호르즈미드-아르다시르 함락
  • 시리아 & 메소포타미아 평정
  • 638년 3월: 자지라에서 아랍 기독교도들의 봉기[65]
  • 638년 여름: 에메사 전투 (승)[66], 자지라 평정[67]
  • 638년 가을: 에데사, 아미다, 말라티야 함락[68]
  • 638년 말: 게르마니케아 함락 [69]
2.2.2.2. 소강기 (638 ~ 639년)
파일:Syria_toward_end_of_Muslim_conquest,_c._638.png
칼리파 우마르는 동쪽으로는 자그로스 산맥, 북으로는 아르메니아 고원과 타우루스 산맥 (카파도키아), 서로는 시나이 반도의 국경선에 만족하였다.
  • 639년: 시리아, 이라크 일대에 큰 가뭄. 정복 중단
  • 639년 8월: 라카 항복[70]
  • 639년 가을: 하란, 사모사타 항복
2.2.2.3. 이집트와 이란
  • 후제스탄 정복 전쟁
  • 640년 가을: 투스타르 전투 (승), 아바즈 함락, 슈쉬 포위
  • 641년 1월: 슈쉬 항복, 준드 사부르 함락
  • 641년 여름: 페르시아 군대의 메소포타미아 습격
  • 641년 : 람-호르즈미드 함락, 슈스타르 포위
  • 642년 : 슈스타르, 군디샤푸르 함락
  • 643 / 644년: 바이루드 전투[75]
  • 페르시아 정복 전쟁
  • 638/39년 : 1차 파르스 원정 실패
  • 641년 12월: 니하완드 전투[76]
  • 642년 : 스파한 전투, 이스파한 점령
  • 642-43년 : 와즈 루드 전투, 하마단 점령
  • 643년 : 아르다빌 항복, 주르미잔 전투. 아제르바이잔 정복[77]
  • 643-44년 : 비샤푸르 전투, 파르스 진출
  • 644년 : 케르만 점령. 2차 파르스 원정 실패, 총독 샤라그 전사시킴
  • 신드 원정
  • 643년 : 시스탄 진출, 자불리스탄 국왕 루트빌 격파
  • 644년 초 : 라실 전투. 신드 (라이 왕조)의 라자 격파, 인더스 강 도달[78]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Mohammad_adil-Rashidun-empire-at-its-peak-close.png
644년, 라쉬둔 (정통) 칼리파 조의 강역

2.2.3. 3대 우스만

해군 편성과 시리아 총독 무아위야의 성장
2.2.3.1. 지중해 진출과 사산 왕조의 멸망

2.2.4. 4대 알리: 1차 피트나[82]

2.2.5. 우마이야 왕조

2.2.5.1. 초기: 아프리카 & 아나톨리아
  • 663년: 아르메니아 정복, 아나톨리아 공격 (-666)
  • 664년: 카불 함락
  • 665년: 아나톨리아 슬라브족 항복
  • 666년: 시칠리아 정복 (-667)
  • 667년: 칼리니코스의 그리스 불 발명
  • 668년: 파달라 빈 우바이드, 사보리오스의 반란 지원. 멜리테네 주둔
  • 669년: 파달라 빈 우바이드, 원군 받아 칼케돈 공격하나 실패. 야지드의 군대와 합류, 회군 도중 아모리움 점령
  • 669-670년 겨울 : 동로마 군이 아모리움 수복
  • 671년: 발흐 함락, 부하라 포위 (-674). 스미르나, 키지코스 해군 거점 마련
  • 672년: 크레타 공격. 로도스, 타르수스 점령
  • 673년: 1차 콘스탄티노플 포위
  • 674년: 포위 공격 본격 시작 (콘스탄티노플)
  • 675년: 크레타 정복
  • 676년: 바닥샨 원정, 부하라 & 사마르칸트 포위
  • 677년: 동로마의 역습 (콘스탄티노플)
  • 678년: 후퇴하던 아랍 함대 침몰
  • 679년: 30년 평화 협정
  • 680년: 카르발라 참극
  • 681년: 호젠트 원정
2.2.5.2. 2차 피트나 (683 ~ 691년)
  • 683년 : 카르발라 참극과 메카 반란
  • 684년 : 시리아 반란, 마르즈 알 라히트 전투.
  • 685년 : 아인 알 와르다 전투, 반란 세력 분열 (무크타르의 난)
  • 688년 : 시칠리아 동부 점령, 평화 협정 개시
  • 691년 : 세바스티아 전투, 아르메니아 정복
  • 692년 : 이븐 주바이르와 카와리지 세력 토벌
2.2.5.3. 중기: 마그레브, 이베리아, 호라산

자세한 내역은 레콩키스타/연표 문서 참고

파일:이슬람 인도.png
북인도 전역
2.2.5.4. 쇠퇴기
  • 740년: 아크로이논 전투
2.2.5.5. 3차 피트나 (742 ~ 751년)
  • 747년 : 호라산의 압바시야 봉기
  • 748년 : 메르브 점령
  • 749년 : 쿠파 점령, 칼리파 선언
  • 750년 : 대 자브 강 전투

2.2.6. 아바스 왕조

2.2.6.1. 시칠리아 & 크레타 정복
  • 799년 : 아글라브 왕조 성립
  • 813년 : 동로마-아글라브 휴전 갱신
  • 816년 : 일단의 안달루스 인들이 코르도바에서 반란 실패하고 축출됨
  • 818년 : 쫓겨난 1만 5천의 안달루스 인들이 알렉산드리아 장악. 압바스 측의 반격
  • 824년 : 아부 하프스 휘하 1만 2천의 안달루스 인들이 크레타 점령. (크레타 후국)
  • 826년 : 시칠리아 해군 제독 에우페미오스 반란, 시라쿠사와 카타니아 장악하고 칭제
  • 827년 : 측근들에게 배신당해 축출된 에우페미오스, 아글라브 왕조에 망명. 지원 요청
  • 827년 6월 : 아글라브 함대가 수스 출항, 마자라 상륙. 동로마 제국군 격파. 아크라이 휴식
  • 827년 가을 : 아글라브 군이 시라쿠사 포위
  • 828년 : 크레타 후국이 동로마 원정군 격파. 사령관인 아나톨리콘 테마의 포테이노스 전사
  • 828년 봄 : 포위 도중 아글라브 측 사령관인 카이로완의 카디 아사드 이븐 푸라트 병사
  • 828년 여름 : 신임 사령관 무함마브 이븐 아불 자와리, 시라쿠사 포위 풀고 내륙으로 철수[86]
  • 828년 가을 : 아글라브 군이 아그리젠토와 엔나 포위. 후자에서 에우페미오스 암살됨[87]
  • 829년 : 전 총독 테오도토스가 시칠리아 당도. 엔나 구원, 아글라브 거점 미네오 포위
  • 829년 10월 : 타소스 전투. 크레타 함대가 동로마 함대 격파
  • 830년 여름 : 후우마이야 함대가 시칠리아 상륙. 미네오 구원, 테오도토스 엔나 철수
  • 830년 가을 : 후우마이야 군이 사령관 사망 후 철수. 테오도토스, 추격해 승리하나 전사. 남부의 아글라브 군이 팔레르모 포위
  • 831년 9월 : 팔레르모 (알 마디나) 수비대장 시메온, 안전 보장 대가로 항복. 남은 시민들 노예화
  • 832년 3월 : 아글라브 조의 첫 시칠리아 총독 아부 피흐르 무함마드가 팔레르모 당도
  • 833년 8월 : 압바스 칼리파 알 마문 사망
  • 834년 봄 : 아부 피흐르, 엔나 수비대 두 차례 격파
  • 835년 : 아부 피르흐, 시칠리아 중부의 동로마 군 격파. 타오르미나까지 습격대 보내나 암살됨
  • 835년 여름 : 신임 총독 알 파즐 이븐 야쿠브, 반격 나선 동로마 군 매복해 대파
  • 835년 9월 : 아글라브 아미르 지야다툴라, 사촌 이브라힘 총독 임명
  • 835년 가을 : 이브라힘, 동로마 함대의 여정 방해 대한 복수로 판텔레리아와 섬 동부 습격
  • 836년 : 알 파즐 이븐 야쿠브 휘하 함대가 리파리 섬과 틴다리 점령. 이브라힘의 육균은 격퇴됨
  • 837년 : 아글라브 군이 엔나 점령, 시타델 함락 실패하자 막대한 배상금 받고 철수
  • 838년 3월 : 테오필로스 황제의 사위 알렉시오스, 증원군과 시칠리아 당도. 체팔루 구원
  • 838년 6월 : 아글라브 아미르 지야다툴라 사망, 동생 아부 이칼 계승. 증원군 파견
  • 839년 : 테오필로스, 신하들의 모함에 알렉시오스 본국 소환
  • 839-40년 : 아글라브 군이 칼타벨로타, 코를레오네 점령. 나폴리 지원, 브린디시 습격
  • 840년 : 아글라브 군이 베네벤토 공국의 내전 틈타 타란토 점령
  • 841년 : 아글라브 군이 엔나 ~ 그로티 일대 습격
  • 842년-843년 : 아글라브 군이 나폴리 해군의 도움으로 메시나 점령
  • 845년 : 아글라브 군이 시칠리아 동남부 모디카 점령
  • 845-46년 : 부테라 전투. 알 압바스[88] 휘하 아글라브 군이 동로마 원정군 대파. 1만 전사시킴
  • 846년 : 아글라브 군이 책략으로 시칠리아 동부의 린티니 점령
  • 847년 : 시칠리아 출신 베르베르계 무슬림 칼푼이 바리 점령 (바리 토후국)
  • 848년 : 시칠리아 동남부 라구사 성채가 식량 떨어지자 항복, 파괴됨
  • 851년 : 시칠리아 총독 이브라힘 사망, 알 압바스 추대됨. 북부의 칼타부투로 점령 (시칠리아 후국)
  • 852-53년 : 알 압바스, 노토 습격. 부테라 6개월 포위, 6천 무슬림 포로 석방 대가로 철수
  • 853년 5월 : 동로마 함대가 다미에타 습격
  • 857년 : 알 압바스, 섬 북부의 체팔루 점령. 주민 안전 철수, 도시 파괴됨. 가글리아노 포위 실패
  • 858년 여름 : 알 압바스의 동생 알리, 아풀리아의 동로마 함대 40척 격파. 다만 반격에 패해 도주
  • 859년 1월 : 알 압바스, 동로마측 포로 도움으로 엔나 함락. 대규모 약탈과 학살 자행됨
  • 859년 가을 : 콘토미티스 휘하 동로마 증원군이 시라쿠사 당도. 시칠리아 해군에 함대 1/3 상실
  • 859년 말 : 알 압바스 현지인들의 봉기 진압, 체파루 전투에서 콘토미티스 격파. 시라쿠사 철수
  • 861년 가을 : 알 압바스 사망, 숙부 아흐마드 이븐 야쿠브 아미르 추대됨
  • 862년 2월 : 아흐마드 폐위되고 알 압바스 아들 압둘라 아미르 추대됨
  • 862년 7월 : 아글라브 조가 개입해 압둘라 폐위, 카파자 이븐 수피안 임명
  • 863년 : 카파자, 아들 무함마드 파견해 시라쿠사 습격하나 격퇴됨
  • 864년 2-3월 : 동로마측 배신자 도움으로 노토와 시클리 점령됨
  • 865년 : 카파자, 엔나 향하나 아들 무함마드가 매복 당하여 철수
  • 866년 : 카파자, 타오르미나와 휴전. 노토, 라구사 재점령
  • 867년 : 카파자, 건강 회복 후 시라쿠사와 카타니아 습격
  • 868년 봄 : 카파자, 동로마 증원군 격파. 시라쿠사 습격
  • 869년 1-2월 : 무함마드, 가에타 포위 후 돌아와 타오르미나 점령 시도
  • 869년 봄 : 카파자, 에트나 산 일대 습격. 무함마드, 시라쿠사 습격하나 수비대 반격에 패배
  • 869년 6월 : 카파자, 시라쿠사 몇주 간의 포위하곤 팔레르모 귀환 도중 암살됨[89] 무함마드 계승
  • 870년 8월 : 시칠리아 함대가 몰타의 중심지 멜리테 함락. 약탈 후 성벽 파괴됨
  • 871년 2월 : 프랑크-롬바르드-동로마 군대가 바리 점령. 바리 후국 멸망
  • 871년 5월 : 무함마드, 궁정 환관에게 암살당함
  • 875년 : 아글라브 아미르 무함마드 2세 사망, 이브라힘 2세 계승. 총독 자파르 이븐 무함마드와 원정군 파견
  • 877년 6월 : 자파르, 시라쿠사 외곽 요새들 정복하곤 도시 포위
  • 878년 3월 : 자파르, 시라쿠사 함락. 2달간 약탈, 주민들 학살 혹은 노예화
  • 878년 봄 : 자파르, 동생과 숙부의 음모에 암살당함
  • 878년 9월 : 시칠리아의 찬탈자들, 폐위된 후 튀니지로 보내져 처형됨
  • 879-80년 : 신임 총독 후세인 이븐 라바흐, 타오르미나 포위하나 실패
  • 880년 : 동로마 제국군이 타란토 점령 / 스탈라이 해전. 동로마 제독 나세르가 팔레르모 근해의 아글라브 함대 격파
  • 881-82년 : 아부 타우르 휘하 시칠리아 군이 타오르미나 포위하나 동로마 군의 반격에 칼타부투로에서 대패
  • 882년 : 시칠리아의 아랍인들이 동로마 총독과 내통해 재차 타란토 점령
  • 883년 : 시칠리아 군이 카타니아, 타오르미나, 폴리치 일대 습격
  • 884년 : 시칠리아 군이 카타니아, 로메타 습격
  • 885년 : 시치릴아 군이 카타니아, 타오르미나 습격
  • 885-86년 : 동로마 제국군이 재차 타란토 수복
  • 886년 12월 : 팔레르모 시민 봉기, 총독 사와바 이븐 카파자 축출
  • 888년 : 신임 총독이 밀라초에서 동로마 함대 격파, 칼라브리아 습격
  • 889년 : 사와바, 아글라브 군과 귀환. 타오르미나 공격하나 실패
  • 890년 3월 : 팔레르모의 아랍 무슬림들이 사와바 대해 반란
  • 895년-896년 : 시칠리아-동로마 휴전. 후자는 1천 무슬림 포로 석방[90]
  • 898년 : 시칠리아 내의 아랍인과 베르베르인 간 내전 발발[91]
  • 900년 여름 : 이브라힘 2세, 아들 압둘라 휘하 진압군 파견
  • 900년 9월 : 압둘라, 반군과의 협상 결렬되자 팔레르모 점령. 다수 반군이 타오르미나 향함[92]
  • 900년 말 : 동로마 증원군이 레조에 집결. 압둘라, 타오르미나 습격. 카타니아 포위 시도 후 회군
  • 901년 7월 : 압둘라, 레조 점령, 대대적 약탈, 주민 1만 5천 노예화. 귀환 도중 동로마 함대 대파, 30척 나포
  • 902년 초 : 아글라브 아미르 이브라힘 2세, 아들 압둘라에 양위. 대신 그의 시칠리아 총독위 차지
  • 902년 여름 : 이브라힘, 지하드 지원자들과 시칠리아 당도. 타오르미나 수비대 격파, 도시 포위
  • 902년 8월 : 이브라힘, 타오르미나 점령. 인근 지역에 파병, 항복 / 파괴 / 조공 중 고르게함
  • 902년 10월 : 이브라힘, 레조에서 북상해 진군하나 코센차 포위 도중 병사. 손자가 회군
  • 909년 : 파티마 제국이 아글라브 왕조 멸하고 시칠리아 장악
  • 911년 : 177척의 동로마 함대가 크레타 수복 시도하나 실패
  • 912년 : 아글라브 잔당인 이븐 쿠르훕이 파티마측 시칠리아 총독 죽이고 반란
  • 913년 : 이븐 쿠르훕, 파티마 해군 격퇴
  • 914년 : 동로마-파티마 휴전
  • 917년 : 동로마-파티마 휴전 갱신, 전자의 조공. 파티마 군이 시칠리아 수복, 타오르미나 자립
  • 923년 : 파티마 함대가 레조 인근 요새 함락
  • 924년 4월 : 파티마 함대가 타란토 습격, 이듬해 10월 1천 1백의 포로와 마디야 귀환
  • 928년 : 파티마 제독 사비르, 칼라브리아 약탈. 타란토 점령, 주민 노예화 및 도시 파괴
  • 929년 : 사비르, 나폴리와 살레르노 봉쇄. 동로마 해군 격파, 배상금 받고 철수
  • 932년 : 동로마-파티마 휴전 갱신. 전자의 연공 납부
  • 935년 : 파티마 해군이 제노바 습격
  • 937년 : 시칠리아 인들이 파티마 조에 대해 대대적으로 반란
  • 938년 : 파티마 장수 알리 알 칼비, 아그리젠토의 반란군에 살해됨
  • 941년 : 파티마 제국군이 시칠리아 반란 진압
  • 947년 4월 : 팔레르모 시민들이 재차 반란, 총독 이븐 아타프 축출. 동로마 측이 연공 중단
  • 948년 : 하산 이븐 알리 알 칼비, 시칠리아 총독 봉해짐. 팔레르모 수복, 동로마 측의 3년치 연공 받아냄
  • 949년 : 128척의 동로마 함대가 크레타 수복 나서나 칸디아 포위 도중 반격당해 대패하고 철수
  • 951년 6월 : 동로마 측 증원군 대한 하산의 지원 요청에 환관 파라즈 휘하 1만 파티마 군이 팔레르모 당도
  • 951년 6-7월 : 하산, 파라즈와 칼라브리아 침공. 카사노 공격. 동로마 군은 바리로 철수
  • 952년 5월 : 제라체 전투. 하산, 동로마 군대 격파. 페트라쿠카 습격
  • 952년 9월 : 동로마-파티마 휴전 갱신. 전자의 조공 및 칼라브리아 무슬림 자유 보장됨
  • 953년 5월 : 하산, 이프리키야 귀환. 아들 아흐마드가 총독위 계승 (칼브 왕조)
  • 957년 : 동로마 측이 레조의 사원 파괴하고 팔레르모 인근 테르미니 습격
  • 958년 : 하산, 동생 암마르와 재차 시칠리아 파견되어 동로마 원정군 격파
  • 958년 9월 : 암마르, 칼라브리아 습격 후 귀환 도중 폭풍으로 익사. 동로마-파티마 휴전 갱신됨
  • 960년 : 니키포로스 포카스 휘하 3백척의 동로마 함대가 크레타 수복 나섬
  • 961년 3월 : 니키포로스 포카스, 칸디아 함락. 3일간 약탈, 크레타 수복
  • 962년 3월 : 아흐마드, 타오르미나 포위
  • 962년 12월 : 아흐마드, 30주의 포위 끝에 타오르미나 점령[93]
  • 963년 : 아흐마드의 사촌 하산 이븐 암마르, 섬의 마지막 동로마 거점 로메타 포위
  • 964년 10월 : 니키포로스 2세의 사위 마누일, 메시나 점령하나 로메타에서 전사
  • 964년 11-12월 : 하산, 팔레르모에서 병사. 동로마 함대가 칼라브리아로 철수
  • 965년 초 : 메시나 해전. 시칠리아 해군이 철수하던 동로마 함대 격파
  • 965년 5월 : 아흐마드, 로메타 함락. 주민들 학살 혹은 노예화
  • 967년 : 동로마-파티마 간 최종 휴전 체결됨. 타란토 재건됨
  • 977년 : 아불 카심, 타란토 점령
  • 982년 7월 : 스틸로 전투. 시칠리아 군이 아불 카심의 전사에도 오토 2세 격파, 4천 독일군 전사

3. 튀르크 무슬림

3.1. 가즈니 제국

술탄 마흐무드의 힌두 샤히령 펀자브 원정

3.2. 셀주크 제국

3.2.1. 아나톨리아 정복


이후 ~ 13세기 초까지는 십자군 전쟁/연표 참고

3.3. 튀르크 토후국들

3.4. 오스만 제국

  • 비티니아 전역
  • 1326년 4월 6일 : 오르한, 프루사 점령. 부르사 개칭, 천도(부르사 공방전)
  • 1328년 : 니코메디아 포위
  • 1329년 : 펠레카논 전투, 니케아 포위
  • 1331년 : 니케아 점령, 이즈니크 개칭
  • 1333년 : 겜리크와 동명의 만 일대 점령
  • 1337년 : 니코메니아 점령, 이즈미트 개칭
  • 1340년경 : 우누르 베이, 에게 해의 동로마-제노바 해군 격파
  • 1344년 5월 : 스테파니아나 전투. 아이든 후국, 세르비아 군 격파
  • 1352년 : 크뤼소폴리스 (스쿠타리), 칼케돈 점령. 각각 위스퀴다르, 카드쾨이 개칭

3.4.1. 동남 유럽 (루멜리아) 정복

  • 소강기 ( ~ 1413)
  • 1397년 : 미르체아 1세 복위, 왈라키아의 오스만 군대 축출
  • 1397년 ~ 1399년 : 테살리아, 모레아, 알바니아, 에피로스 습격
  • 1400년 : 미르체아 1세, 오스만 군의 다뉴브 도하 시도 저지
  • 1402년 7월 20일 : 앙카라 전투
  • 1402년 11월 21일 : 트리폴제 전투. 세르비아 내전 개입 실패
  • 1402년 12월 : 티무르, 구호 기사단스미르나 점령, 이즈미르 개칭
  • 1403년 : 바예지트 1세 사망, 오스만 공위기 & 내전기
  • 1404년 : 겔리볼루 조약. 오스만-동로마 휴전. 미르체아 1세, 도브루자 점령
  • 1411년 : 무사 첼레비, 콘스탄티노폴리스 포위
  • 1413년 : 메흐메트 1세, 무사 격파하고 술탄 즉위
  • 1차 트란실바니아, 2차 세르비아 전역
  • 1436년 : 트란실바니아 진군,아하르 함락. 티미쇼아라 일대 습격
  • 1437년 9월 : 다뉴브 건너 제문 요새화, 일대 6개 성채 점령
  • 1438년 : 재차 트란실바니아 진격, 세르비아 회군하여 보라츠 점령
  • 1439년 : 세르비아 진격. 즈브로니크, 스레브레니차 점령
  • 1439년 6월 : 13만 대군과 스메데레보 포위
  • 1439년 8월 18일[96] : 세르비아의 수도 스메데레보 항복
  • 1440년 4월 : 3만 대군과 베오그라드 (난도르페헤바르) 포위
  • 1440년 10월 : 베오그라드 포위 풀고 노보 브르도 포위
  • 1441년 6월 27일 : 노보 브르도 항복
  • 바르나 십자군
  • 1442년 : 트란실바니아 공격 vs 총독 후녀디 야노시
  • 1442년 3월 : 시비우 (스제벤) 전투. 후녀디 야노시에 패배
  • 1443년 11월 : 니슈 전투. 후녀디 야노시에 패배
  • 1443년 12월 12일 : 즐라티차 전투
  • 1444년 1월 : 쿠노비카 전투. 십자군의 승리
  • 1444년 6월 29일 : 토르비올 전투. 스칸데르베그에 패배
  • 1444년 8월 10일 : 맘루크 왕조 해군이 로도스 포위
  • 1444년 8월 15일 : 세즈게드 조약. 세르비아 전제군주국 복원
  • 1444년 9월 18일 : 맘루크 해군이 로도스 포위 풀고 철수
  • 1444년 11월 10일 : 바르나 전투. 헝가리-폴란드 국왕 브와디스와프 전사
  • 1445년 : 왈라키아-부르고뉴 십자군, 지우르지우 점령
  • 1차 알바니아, 3차 세르비아 전역
  • 1445년 10월 10일 : 모크라 전투. 스칸데르베그에 패배
  • 1446년 : 보이오티아 및 펠로폰네소스 초토화, 헥사밀리온 파괴
  • 1446년 9월 27일 : 오토네테 전투. 스칸데르베그에 패배
  • 1448년 5월 14일 : 8만 대군과 스베티그라드 포위
  • 1448년 7월 31일 : 스베티그라드 항복
  • 1448년 8월 14일 : 1차 오라니크 전투. 스칸데르베그에 패배
  • 1448년 10월 18일 : 2차 코소보 전투. 헝가리-왈라키아 군 격파
  • 1449년 : 아르타 점령, 에피로스 정복
  • 1450년 5월 14일 : 10만 대군과 크루여 포위
  • 1450년 11월 23일 : 크루여에서 철수
3.4.1.1. 메흐메트 2세 파티흐, 로마 제국의 멸망
  • 2차 알바니아 전역, 로마 제국 멸망전
  • 1451년 : 무라트 2세 사망, 메흐메트 2세 계승
  • 1452년 : 루멜리 히사르 축성
  • 1452년 7월 21일 : 모드리치-메차드 전투. 스칸데르베그에 패배
  • 1453년 4월 6일 : 8만 대군과 콘스탄티노폴리스 포위
  • 1453년 4월 22일 : 폴로그 전투. 스칸데르베그에 패배
  • 1453년 5월 29일 :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로마 제국 멸망. 콘스탄티노폴리스 천도
  • 3차 알바니아, 4차 세르비아 전역
  • 1454년 9월 24일 : 레스코바츠 전투, 스메데레보 포위
  • 1454년 10월 12일 : 크루셰바츠 전투, 후녀디 야노시에 패배
  • 1455년 4월 : 3만 대군과 노보 브르도 포위
  • 1455년 6월 1일 : 노보 브르도 함락, 코소보 정복
  • 1455년 7월 : 베라트 전투, 알바니아 군 격퇴
  • 1456년 5월 18일 : 2차 오라니크 전투. 스칸데르베그에 패배
  • 1456년 7월 4일 : 3만 대군과 베오그라드 포위
  • 1456년 7월 14일 : 도나우 강 해전, 해군 패배
  • 1456년 7월 22일 : 베오그라드 전투, 후녀디 야노시에 패배
  • 1457년 9월 2일 : 알불레나 전투. 스칸데르베그에 패배
  • 아테네 정복과 로마계 국가 정리
  • 1457년 : 아테네 점령, 아크로폴리스 저항
  • 1458년 5월 : 코린트 포위
  • 1458년 6월 : 아테네 아크로폴리스 항복, 아테네 공국 멸망
  • 1458년 8월 : 코린트 항복, 모레아 북부 정복
  • 1459년 : 스메데레보 포위
  • 1459년 6월 20일 : 스메데레보 항복, 세르비아 전제군주국 멸망
  • 1460년 4월 : 모레아 진격 / 에피로스의 앙겔로카스트론 점령
  • 1460년 5월 29일 : 미스트라 점령, 데스포티스 데메트리오스 포로. 토마스 도주, 모레아 전제군주국 멸망
  • 1461년 7월 : 모레아 최후의 거점 살멘키온 점령 / 14만 대군과 트라브존 진군, 제노바 공화국아마스라 점령
  • 1461년 8월 15일 : 트라브존 항복, 트레비존드 제국 멸망
  • 2차 왈라키아 전역, 4차 알바니아 전역, 1차 베네치아 전쟁, 보스니아 멸망전
  • 1462년 5월 : 12만 대군과 왈라키아 침공
  • 1462년 6월 16일 : 트르고비슈테 전투. 블라드 3세의 기습 격퇴
  • 1462년 7월 2일 : 2차 모크라 전투. 스칸데르베그에 패배
  • 1462년 8월 : 마케도니아의 오스만 3로군, 스칸데르베그에 패배
  • 1462년 11월 : 베네치아 공화국레판토 공격
  • 1463년 4월 3일 : 베네치아령 아르고스 점령
  • 1463년 봄 : 15만 대군과 보스니아 침공 / 프레베자 만의 리니아사 성채 점령
  • 1463년 5월 : 부도바크, 보스니아 왕국 국왕 스테판 토마셰비치 처형, 보스니아 왕국 멸망
  • 1463년 8월 : 베네치아, 아르고스 수복. 헥사밀리온 성벽 재건
  • 1463년 9월 23일 : 헝가리 국왕 마차시 1세, 야이체 포위
  • 1463년 10월 20일 : 베네치아의 아크로코린트 공격 격퇴
  • 1463년 12월 16일 : 야이체, 헝가리에 항복
  • 1464년 : 헥사밀리온 파괴, 아르고스 수복
  • 1464년 7월 10일 : 3만 대군과 야이체 포위
  • 1464년 8월 24일 : 야이체 포위 풀고 회군
  • 1464년 8-10월 : 베네치아의 미스트라 포위 격퇴
  • 헤르체고비나, 5차 알바니아 전역
  • 1464년 9월 : 오흐리드 전투, 스칸데르베그에 패배
  • 1465년 4월 : 바이칼 전투, 스칸데르베그에 패배
  • 1464년 6월 : 메차드 전투, 스칸데르베그에 패배
  • 1464년 8월 : 바이칼-카샤리 전투, 스칸데르베그에 패배
  • 1465년 : 헤르체고비나의 플제블자 점령
  • 1466년 6월 : 5만 대군과 크루여 포위
  • 1467년 4월 23일 : 크루여 포위 풀고 철수
  • 1467년 6-7월 : 크루여 포위, 알바니아 해안 약탈 후 철수
  • 1468년 : 모스타르 점령, 크로아티아 습격
  • 에게 해 전역
  • 1455년 : 임브로스 섬 항복
  • 1456년 : 타소스, 렘노스 섬 장악
  • 1457년 : 사모트라케 섬 장악
  • 1462년 9월 1일 : 2만 대군과 미틸레네 포위
  • 1462년 9월 15일 : 미틸레네 항복, 레스보스 정복
  • 1464년 5월 18일 : 베네치아의 미틸리네 포위 격퇴
  • 1466년 : 베네치아, 임브로스 & 타소스 & 사모트라케 점령, 두러스 포위 실패
  • 1466년 7월 : 베네치아의 아테네, 피레우스 포위 격퇴
  • 1470년 7월 10일 : 8만 대군과 네그로폰테 포위
  • 1470년 8월 5일 : 네그로폰테 함락, 에우보이아 정복
  • 1차 몰다비아 전역, 알바니아 평정, 크림 반도 정복
  • 1473년 : 몰다비아 공 슈테판 3세, 왈라키아의 친오스만 군주 축출
  • 1474년 봄 : 슈코더르 (스쿠타리) 포위, 달마티아 공격
  • 1474년 8월 8일 : 슈코더르 포위 풀고 철수
  • 1474년 12월 : 12만 대군과 몰다비아 침공
  • 1475년 1월 10일 : 바슬루이 전투, 슈테판 3세에 패배
  • 1475년 5월 : 제노바 공화국령 가자리아의 케파 점령
  • 1475년 12월 : 크림 반도의 도로스 함락. 테오도로 공국 멸망
  • 1476년 6월 : 대군과 몰다비아 침공
  • 1476년 7월 26일 : 발레아 알바 전투, 승리하나 철수
  • 1476년 12월 : 왈라키아 내전 개입, 블라드 3세 전사
  • 1477년 봄 : 6만 대군과 크루여 포위
  • 1478년 : 크루여 함락, 자킨토스 섬 점령
  • 1478년 5월 : 5만 대군과 슈코더르 포위
  • 1479년 : 에피로스 최후 거점 보니차, 케팔로니아 & 레프카다 섬 점령, 마지막 로마계 국가 이피로스 멸망
  • 1479년 1월 25일 : 오스만-베네치아 휴전, 렘노스 등 수복
  • 1479년 4월 25일 : 슈코더르 항복
  • 1479년 10월 13일 : 브레드필드 전투. 헝가리 군에 패배
  • 1480년 : 몰다비아 공국 복속
  • 아풀리아, 1차 로도스 전역
  • 1477-78년 : 레판토, 베네토 습격
  • 1480년 5월 23일 : 로도스 포위
  • 1480년 7월 28일 : 나폴리 왕국오트란토 포위
  • 1480년 8월 11일 : 오트란토 함락, 비에스테 습격
  • 1480년 8월 17일 : 로도스 포위 풀고 철수
  • 1480년 9월 12일 : 모나스테로 디 산 니콜라스 데 카솔레 파괴
  • 1480년 가을 : 레체, 타란토, 브린디시 습격. 나폴리 군의 오트란토 공격 격퇴
  • 1481년 5월 1일 : 나폴리-아라곤-시칠리아-헝가리 군의 오트란토 포위
  • 1481년 5월 3일 : 메흐메트 2세 사망, 바예지트 2세 계승
  • 1481년 9월 10일 : 오트란토 주둔군 철수

3.4.2. 중유럽 정복 & 지중해 전역

  • 헤르체고비나 정복, 2차 몰다비아 전역
  • 1481년 11월 : 헤르체그 노비 포위
  • 1482년 1월 : 헤르체고 노비 점령, 성 사바 공국 멸망
  • 1484년 : 다뉴브 삼각주의 킬리야 점령
  • 1485년 11월 18일 : 카탈부가 전투, 슈테판 3세에 패배
  • 1487년 8월 5일 : 아크케르만 점령
  • 1487년 9월 8일 : 오스만-폴란드 휴전
  • 1차 크로아티아 전역
  • 1483년 10월 : 우나 전투, 크로아티아에 패배. 휴전 체결
  • 1490년-93년 : 헝가리 내전 개입, 트란실바니아 습격
  • 1491년 9월 : 브르필레 전투. 크로아티아에 패배
  • 1493년 9월 9일 : 크르바바 전투, 대승
  • 1495년 : 젬, 카푸아에서 병사
  • 1495년 4월 : 크로아티아와 휴전
  • 1496년 : 타란토 만 습격
  • 1499년 : 제타 공국 복속
  • 2차 베네치아 전쟁
  • 1499년 8월 25일 : 존치오 해전, 베네치아 함대 격파.
  • 1499년 가을 : 레판토 (나우팍투스) 점령, 이네바흐트 개칭
  • 1499년 : 베네치아의 레판토 공격 격퇴
  • 1500년 8월 : 모돈 해전, 폭격 후 모돈 점령
  • 1500년 12월 24일 : 베네치아-스페인 군의 케팔로니아 점령
  • 1501년 : 두러스 점령, 스페인령 발레아레스 제도사르데냐 습격
  • 1501-03년 : 달마티아, 베네토 습격
  • 1503년 3월 20일 : 베네치아와 휴전, 모돈-코로네 장악
  • 1503년 10월 9일 : 오스만-폴란드 휴전
  • 2차 크로아티아, 티레니아 해 전역
  • 1505년-1506년 : 로도스, 칼라브리아, 시칠리아, 안달루스 습격
  • 1508년-1509년 : 리구리아 습격
  • 1510년 : 스페인령 베자이아, 오랑, 알제 습격
  • 1511년 : 레조 칼라브리아 습격 / 헝가리와의 휴전 갱신, 정권 교체 후 백지화
  • 1512년 : 몰다비아 공국 복속 / 메노르카 습격. 바예지트 2세 사망, 셀림 1세 계승
  • 1513년 8월 16일 : 두비체 전투. 크로아티아에 패배
  • 1513-14년 : 알리칸테, 말라가 습격
  • 1514년 : 알 마디야, 지젤 점령. 베자이아 폭격. 세우타, 메노르카, 사르데냐, 시칠리아 습격 / 제타 병합
  • 1516년 : 바바 우르지, 스페인령 알제 점령 / 엘바, 리구리아 습격
  • 1517년 : 칼라브리아 습격 / 칼리파 칭호 / 알제리 복속
  • 1517년 12월 16일 : 포르투갈의 제다 포위 격퇴
  • 1518년 1월 : 크로아티아-헝가리 군의 야이체 공격 격퇴
  • 1519년 : 스페인 군의 알제 공격 격퇴, 툴롱 습격
  • 1520년 : 셀림 1세 사망, 쉴레이만 1세 계승
3.4.2.1. 쉴레이만 1세 카누니
  • 1차 헝가리, 3차 크로아티아 전역, 로도스 정복
  • 1521년 6월 25일 : 2만 대군과 베오그라드 포위
  • 1521년 7월 12일 : 제문 함락
  • 1521년 8월 29일 : 베오그라드 함락
  • 1522년 5월 29일 : 크닌 항복, 스크라딘 점령
  • 1522년 6월 3일 : 스플리트 근교 클리스 성채 포위
  • 1522년 6월 18일 : 클리스 포위 풀고 철수
  • 1522년 6월 26일 : 6만 대군과 로도스 포위
  • 1522년 9월 : 크로아티아 군의 크닌 습격
  • 1522년 12월 22일 : 로도스 항복
  • 1523년 : 보드룸 (할리카르나소스) 성채 항복
  • 헝가리 멸망전
  • 1526년 4월 16일 : 7만 대군과 헝가리 진격
  • 1526년 7월 15일 : 페트로바라딘 점령
  • 1526년 8월 8일 : 오시예크 (이요크) 점령
  • 1526년 8월 29일 : 모하치 전투, 헝가리 국왕 러요시 2세 전사
  • 1526년 9월 11일 : 헝가리의 수도 부다 항복, 헝가리 왕국 사실상 멸망
  • 1526년 9월 25일 : 부다 약탈 후 철수[97]
  • 1차 합스부르크 전쟁 (전반)
  • 1527년 7월 8일 : 독일 군의 헝가리 진군, 브라티슬라바와 자그레브 접수[98]
  • 1527년 8월 20일 : 독일 군의 부다, 에스테르곰 장악
  • 1528년 : 야이체 점령
  • 1528년 4월 10일 : 세게드 습격, 크로아티아 군에 패퇴
  • 1529년 : 포르멘테라 해전, 스페인 함대 격파
  • 1529년 봄 : 13만 대군과 헝가리 진군
  • 1529년 5월 29일 : 알제의 페뇽 성채 점령
  • 1529년 9월 3일 : 부다 포위
  • 1529년 9월 8일 : 부다 항복, 부딘 개칭[99]
  • 1529년 9월 22일 : 에스테르곰 점령
  • 1529년 9월 14일 : 동맹 야노시 1세에 부다 넘기고 진군
  • 1529년 9월 27일 : 12만 대군과 1차 빈 포위
  • 1529년 10월 15일 : 빈 포위 풀고 철수[100]
  • 1529년 10월 25일 : 부다의 3천 수비대 철수
  • 1차 합스부르크 전쟁 (후반)
  • 1530년 7월 : 크로아티아 군의 크닌 습격
  • 1530년 10월 31일 : 독일 군의 부다 포위
  • 1530년 11-12월 : 독일 군의 에스테르곰, 비셰그라드 점령
  • 1530년 12월 20일 : 독일 군의 부다 포위 격퇴
  • 1532년 4월 25일 : 재차 헝가리 진격
  • 1532년 8월 5일 : 10만 대군과 귄스 (쾨세그) 포위
  • 1532년 8월 30일 : 귄스 포위 풀고 슬로베니아 남하
  • 1532년 9월 12일 : 10만 대군과 마리보르 포위
  • 1532년 9월 19일 : 레오베르스도르프 전투, 독일 군에 패배
  • 1532년 9월 21일 : 마리보르 포위 풀고 철수[101]
  • 1532년 : 스페인 군이 코로네 점령
  • 1533년 7월 22일 : 코스탄티니예 조약, 오스트리아와 휴전. 헝가리 속국화
  • 1534년 4월 1일 : 코로네 항복, 오스만령으로 회복
  • 1535년 7월 21일 : 스페인-독일-이탈리아 군, 튀니스 점령
  • 1535년 9월 1일 : 메노르카 대규모 습격
  • 3차 베네치아 전쟁, 3차 몰다비아, 4차 크로아티아 전역
  • 1537년 초 : 포제가 점령
  • 1537년 3월 : 클리스 성채 점령, 베네치아령 달마티아 접경
  • 1537년 5월 : 낙소스 원정, 낙소스 공국 복속
  • 1537년 7월 : 아풀리아의 오트란토, 카스트로 대대적 습격
  • 1537년 8월 26일 : 2만 5천 대군과 베네치아령 코르푸 포위
  • 1537년 9월 : 코르푸 포위 풀고 회군
  • 1537년 10월 9일 : 고르자니 전투. 독일-크로아티아 군 격파
  • 1538년 : 나딘, 브라나, 코토르 점령. 달마티아 해안 도달 / 스페인 함대, 헤르체그 노비 (카스텔 누오보) 점령[102]
  • 1538년 7월 9일 : 몰다비아 진격[103]
  • 1538년 9월 16일 : 몰다비아의 수도 수체이바 항복[104]
  • 1538년 9월 23일 : 수체이바 떠나 귀환, 베사라비아 병합
  • 1538년 9월 28일 : 프레베자 해전, 신성동맹 격파. 지중해 제해권 장악
  • 1539년 7월 18일 : 카스텔 누오보 성채 포위
  • 1539년 8월 6일 : 카스텔 누오보 성채 함락
  • 1540년 10월 2일 : 오스만-베네치아 휴전
  • 2차 합스부르크 전쟁 (전반)
  • 1540년 6월 15일 : 지롤라타 해전, 스페인에 패배. 투르굿 포로
  • 1540년 7월 22일 : 헝가리의 야노시 1세 사망, 야노시 2세 지지
  • 1540년 10월 1일 : 알보란 해전, 스페인 군의 알보란 섬 점령
  • 1540년 10월 말 : 독일 군의 부다 포위
  • 1540년 11월 21일 : 독일 군의 부다 포위 격퇴
  • 1541년 5월 4일 : 독일 군의 부다 포위
  • 1541년 6월 23일 : 재차 헝가리 진격
  • 1541년 8월 22일 : 부다 전투, 합스부르크 군 격파
  • 1541년 8월 29일 : 부다 항복, 4일 후 입성
  • 1541년 9월 5일 : 부다 떠나 회군[105]
  • 1541년 10월 24일 : 스페인 군의 알제 공격 격퇴
  • 1542년 9월 27일 : 독일 군의 부다 포위[106]
  • 1542년 10월 8일 : 독일 군의 부다 포위 격퇴
  • 2차 합스부르크 전쟁 (후반)
  • 1543년 2월 : 세게드 점령
  • 1543년 4월 23일 : 재차 헝가리 진격[107]
  • 1543년 6월 22일 : 발포보 점령, 다뉴브 강변 성채들 항복
  • 1543년 6월 28일 : 발포보 떠나 북상
  • 1543년 6월 29일 : 페치 항복
  • 1543년 7월 6일 : 시클로스 항복
  • 1543년 7월 12일 : 시클로스 떠나 북상
  • 1543년 7월 21일 : 부다 당도, 북상
  • 1543년 7월 25일 : 14만 대군과 에스테르곰 포위
  • 1543년 8월 6일 : 프랑스 군과 니스 포위
  • 1543년 8월 7일 : 에스테르곰 함락[108]
  • 1543년 8월 15일 : 타타 성채 항복
  • 1543년 8월 16일 : 에스테르곰 떠나 남하
  • 1543년 8월 20일 : 세케슈페헤르바르 포위[109]
  • 1543년 8월 22일 : 니스 함락, 약탈 후 툴롱 월동
  • 1543년 9월 3일 : 세케슈페헤르바르 점령, 이스톨니 벨그라드 개칭
  • 1543년 9월 16일 : 세케슈페헤르바르 떠나 회군[110]
  • 1544년 : 헝가리 북부 노그라드 점령
  • 1544년 5월 23일 : 툴롱의 오스만 함대 퇴거
  • 1545년 11월 : 오스트리아-오스만 휴전 성립
  • 1547년 6월 19일 : 코스탄티니예 조약, 헝가리 3분
  • 지중해, 7차 헝가리 전역
  • 1550년 9월 10일 : 스페인 군의 알 마디야 점령
  • 1551년 7월 : 몰타, 고초 섬 습격
  • 1551년 8월 15일 : 트리폴리 항복
  • 1552년 6월 24일 : 티미쇼아라 포위
  • 1552년 7월 27일 : 티미쇼아라 점령, 테메셰바르 개칭
  • 1552년 8월 5일 : 폰차 해전, 제노바 해군 격파
  • 1552년 9월 2일 : 솔노크 포위
  • 1552년 9월 4일 : 솔노크 점령
  • 1552년 가을 : 에게르 39일간 포위, 함락 실패
  • 1553년 여름 : 프랑스와 제노바령 코르시카 침공
  • 1553년 8월 24일 : 바스티아 점령
  • 1553년 9월 : 보니파시오 점령, 프랑스에 섬 넘기고 회군
  • 1554년 : 알 마디야 접수
  • 1555년 9월 22일 : 베자이아 포위
  • 1555년 9월 27일 : 베자이아 항복
  • 1556년 : 키오스 섬 정복
  • 1556년 8월 : 오랑 포위하나 실패
  • 티레니아 해 전역
  • 1558년 6월 13일 : 소렌토 등 나폴리 만 습격
  • 1558년 7월 9일 : 메노르카의 시우타델라 포위
  • 1558년 7월 17일 : 시우타델라 함락, 약탈 후 철수
  • 1558년 9월 : 스페인의 모스타가넴 포위 격퇴
  • 1560년 5월 11일 : 제르바 섬의 스페인 성채 포위
  • 1560년 5월 14일 : 제르바 성채 함락
  • 1561년 : 하라스토비차 전투. 크로아티아 군에 패배
  • 1563년 4월 3일 : 프랑스와 오랑 & 메르스 엘 케비르 포위
  • 1563년 6월 6일 : 오랑 포위 풀고 철수
  • 몰타, 5차 크로아티아, 8차 헝가리 전역
  • 1565년 5월 11일 : 몰타 상륙, 성 엘모 요새 포위
  • 1565년 6월 4일 : 크루파 성채 포위[111]
  • 1565년 6월 23일 : 성 엘모 요새 함락 / 크루파 성채 함락
  • 1565년 9월 10일 : 오브레슈카 전투. 크로아티아 군에 패배
  • 1565년 9월 11일 : 몰타에서 철수
  • 1566년 5월 1일 : 재차 헝가리 진격
  • 1566년 8월 6일 : 10만 대군과 시지게트바르 성채 포위
  • 1566년 9월 6일 : 쉴레이만 1세 사망, 셀림 2세 계승
  • 1566년 9월 8일 : 시지게트바르 성채 함락
  • 1568년 2월 17일 : 아드리아노플 조약
3.4.2.2. 전선의 확대
파일:오스만 제국.png
1590년경, 최대 판도에 이른 오스만 제국
  • 1차 러시아 전쟁 (크림 칸국 주도)
  • 1480년 가을 : 타타르의 멍에 종결, 모스크바 대공국 독립
  • 1521년 : 모스크바 외곽 2주간 습격[112]
  • 1533-47년 : 20여차례 러시아 국경 습격
  • 1541, 55년 : 오카 강 넘어 대규모 습격
  • 1556년 : 러시아의 아스트라한 칸국 정복
  • 1556-59년 : 러시아 군이 흑해 연안 4차례 습격
  • 1564년 : 라쟌 습격, 방화
  • 1568-69년 : 돈-볼가 강 운하 추진
  • 1569년 : 아스트라한 포위
  • 1570년 : 아스트라한 포위 풀고 철수[113]
  • 1571년 5월 : 오카 강의 러시아 군 격파
  • 1571년 5월 15일 : 모스크바 방화, 약탈 후 회군
  • 1572년 7월 26일 : 오카 강 넘어 진격
  • 1572년 8월 2일 : 몰로디 전투, 러시아 군에 패배
  • 1592년 : 모스크바 외곽 방화
  • 4차 베네치아 전쟁 (키프로스 정복), 튀니지 정복
  • 1569년 12월 : 스페인령 튀니스 점령
  • 1570년 6월 27일 : 키프로스 원정 함대 출정
  • 1570년 7월 3일 : 키프로스 남해안 살리네스 상륙
  • 1570년 7월 22일 : 니코시아 포위
  • 1570년 9월 9일 : 니코시아 함락
  • 1570년 9월 15일 : 카이레나 항복
  • 1570년 9월 17일 : 파마구스타 (가지마우사) 포위
  • 1571년 : 안티바리 (바르), 울친즈 점령
  • 1571년 8월 5일 : 파마구스타 항복
  • 1571년 10월 7일 : 레판토 해전
  • 1573년 3월 7일 : 베네치아-오스만 휴전
  • 1573년 10월 : 스페인 군의 튀니스 재점령
  • 1574년 7월 15일 : 튀니스 포위
  • 1574년 9월 3일 : 튀니스 항복
  • 동아프리카 전역
  • 1557년 : 메드리 바흐리 침공, 마사와 & 데바르와 점령
  • 1572년 ; 데르바와 주둔군 철수, 에티오피아가 접수하나 반환
  • 1579년 : 에티오피아 군, 마사와 습격
  • 1586년 초 : 스와힐리 해안의 친오스마 봉기, 몸바사 요새 건설[114]
  • 1587년 초 : 포르투갈 함대의 몸바사 위협[115]
  • 1588년 : 에티오피아 대한 반격 실패
  • 1589년 3월 : 포르투갈의 몸바사 점령[116]
  • 1591년 : 하베쉬 에얄레트에 자치 부여

파일:오스만 유럽 전선.png
1591년경 크로아티아 전선. 보스니아의 오스만 제국군바냐루카를 중심으로 공세를 이어갔다.
  • 6차 크로아티아 전역
  • 1578년 8월 : 독일-크로아티아 군의 우나 강변 공세[117] 격퇴
  • 1584년 10월 26일 : 슬룬즈 전투, 크로아티아군에 패배
  • 1585년 9월 14일 : 비하치 포위, 수비대의 포격
  • 1585년 9월 15일 : 비하치 포위 풀고 철수, 주변 방화
  • 1586년 12월 6일 : 이바니치 전투, 크로아티아군에 패배[118]
  • 1587년 : 너지커니저 전투, 크로아티아 군에 패배[119]
  • 1590년 11월 29일 : 오스트리아-오스만 휴전 갱신
3.4.2.3. 13년 전쟁
  • 7차 크로아티아 전역
  • 1591년 8월 1일 : 시사크 포위
  • 1591년 8월 11일 : 시사크 포위 풀고 철수
  • 1591년 8월 12일 : 크로아티아에 모슬라비나 상실
  • 1591년 11월 : 리파치 점령
  • 1592년 6월 10일 : 비하치 포위[120]
  • 1592년 6월 14일 : 이자치치 점령
  • 1592년 6월 19일 : 비하치 항복
  • 1592년 7월 19일 : 브레스트 전투, 크로아티아-독일군 격파
  • 1592년 7월 24일 : 재차 시사크 포위
  • 1592년 7월 29일 : 시사크 포위 풀고 일대 약탈
  • 1592년 7-10월 : 크로아티아, 보헤미아, 헝가리 습격[121]
  • 1593년 6월 15일 : 쿠파 강 건너 재차 시사크 포위
  • 1593년 6월 21일 : 쿠파 강 건너 재차 시사크 포위
  • 1593년 6월 22일 : 시사크 전투, 크로아티아-독일 군에 패배[122]
  • 1593년 8월 24일 : 재차 시사크 포위[123]
  • 1593년 9월 10일 : 시사크 점령
  • 13년 전쟁 (3차 합스부르크 전쟁)
  • 1593년 10월 10일 : 베스프렘 포위[124]
  • 1593년 10월 13일 : 베스프렘 항복
  • 1593년 10월 19일 : 바르파톨라 포위
  • 1593년 10월 2일 : 바르파톨라 항복, 빈 200km 육박하나 부다 회군
  • 1593년 11월 4일 : 세케슈페헤르바르 전투, 독일 군에 패배
  • 1593년 11월 10일 : 롬하니 전투. 필라코보 원군, 헝가리 군에 패배
  • 1593년 말: 독일-헝가리 군에 필라코보, 케코, 노그라드 등 슬로바키아-헝가리 접경지 상실
  • 1594년 3-7월 : 바나트[125]의 세르비아인 봉기, 트란실바니아 공 바토리 지그몬드 반란
  • 1594년 5월 : 독일 군의 하트반[126] 포위 격퇴
  • 1594년 6월 1일 : 철수하는 독일 군 추격해 격파
  • 1594년 8월 7일 : 죄르 포위
  • 1594년 8월 11일 : 시사크 수비대, 성채 방화 후 철수
  • 1594년 8-9월 : 오스트리아 대공 마티아스 휘하 5만 원군 격파
  • 1594년 9월 27일 : 죄르 항복, 야느칼레[127] 개칭. 빈 120km 거리
  • 1594년 10월 초 : 수비대 철수한 파퍼 점령
  • 1594년 10월 16일 : 코마롬 포위
  • 1594년 10월 22일 : 코마롬 포위 풀고 부다 회군
  • 13년 전쟁 (3차 왈라키아 전역)
  • 1594년 11월 : 왈라키아 공 미하이 비테아줄 반란, 부쿠레슈티 오스만 주둔군 일소[128]
  • 1595년 1월 16일 : 미하이, 지르우지우 성채 점령 후 전소시킴[129]
  • 1595년 봄 : 미하이 비테아줄, 니코폴리스 지나 트라키아 습격 후 회군
  • 1595년 5월 : 바토리 지그몬드, 몰다비아 공국 복속시킴
  • 1595년 7월 1일 : 에스테르곰 포위됨
  • 1595년 8월 4-5일 : 에스테르곰 구원 실패
  • 1595년 8월 23일 : 지르우지우 수복 후 북상
  • 1596년 8월 25일 : 컬루거레니 전투, 미하이에 패하나 철수시킴
  • 1595년 8월 28일 : 부쿠레슈티 무혈입성 후 회군[130]
  • 1595년 9월 2일 : 에스테르곰, 독일 군에 항복
  • 1595년 9월 8일 : 독일군에 비셰그라드 상실
  • 1595년 여름 : 폴란드군, 몰다비아 장악[131]
  • 1595년 9월 19일 : 체초라 전투, 폴란드 군에 패배
  • 1595년 10월 18일 : 미하일, 오스만 원군 격파 후 트르고비슈테 점령[132]
  • 1595년 10월 21일 : 폴란드와 휴전, 폴란드 군 몰다비아 주둔. 공동 속국
  • 1595년 10월 22일 : 미하이, 부쿠레슈티 점령
  • 1595년 10월 26일 : 미하이, 지르우지우 점령
  • 1595년 10월 27일 : 지르우지우 전투, 미하일에 패배. 왈라키아 공국 자립[133]
  • 1595년 말 : 미하일, 브러일라 / 킬리아 / 이스마일 / 악케르만 점령
  • 13년 전쟁 (케레츠테스)
  • 1596년 봄 : 미하일, 비딘과 니코폴리스 등지 습격
  • 1596년 6월 21일 : 5만 대군과 헝가리 진격[134] \
  • 1596년 여름 : 독일군, 하트반 점령[135]
  • 1596년 9월 20일 : 에게르 포위
  • 1596년 10월 10일 : 에게르 함락[136]
  • 1596년 10월 24-26일 : 케레츠테스 전투', 독일군 격파[137]
  • 13년 전쟁 (신성동맹의 반격)
  • 1597년 5월 23일 : 헝가리 군, 터터 점령
  • 1597년 여름 : 막시밀리안 대공 휘하 3만 독일군, 머저로바르 집결
  • 1597년 8월 20일 : 독일군, 파퍼 점령하나 곧 철수
  • 1597년 9월 : 터터 성채 포위[138]
  • 1597년 10월 12일 : 터터 성채 점령
  • 1597년 가을 : 바토리 지그몬드, 서부 바나트 점령. 트므슈바르 포위, 원군 파견
  • 1597년 11월 1일 : 바츠 전투. 독일군에 패배, 벨그라드 회군
  • 1598년 3월 29일 : 독일군이 죄르 점령
  • 1598년 여름 : 독일군이 터타 점령, 바르파톨라 포위 / 바나트 진군[139]
  • 1598년 9월 : 미하일, 비딘 함락하고 니코폴리스 포위하나 회군
  • 1598년 9월 8일 : 처나드 점령
  • 1598년 9월 10일 : 어러드 점령
  • 1598년 10월 1일 : 너지바러드 포위[140]
  • 1598년 가을 : 막시밀리안 대공 휘하 8만 독일군, 베스프렘과 바르파톨라 점령 후 부다 포위
  • 1598년 11월 3일 : 너지바러드 포위 풀고 부더 방면 남하
  • 1598년 말 : 예니체리 종군 거부, 벨그라드 철수. 독일군 역시 악천후로 철수
  • 1599년 : 미하일, 오스만 대신 트란실바니아 공격
  • 1599년 9월 30일 : 독일군, 바츠 방화 후 철수
  • 1599년 가을 : 에스테르곰 건너 파르카니에서 휴전 협상 결렬, 에르셰쿠이바르 습격
  • 1599년 10월 16일 : 에르셰쿠이바르 진군, 악천후로 포위 대신 철수[141]
  • 13년 전쟁 (제국의 역습)
  • 1600년 : 미하이, 몰다비아 정복, 루마니아 통합하나 암살됨[142]
  • 1600년 5월 11일 : 파퍼의 왈롱 수비대 반란, 잔당 망명
  • 1600년 8월 : 선봉 바보츠사 진군, 시지케트바르 작전회의
  • 1600년 9월 12일 : 헝가리 서남부의 너지커니저 포위
  • 1600년 10월 7일 : 너지카니저 구원 나선 4만 독일군 격퇴
  • 1600년 10월 22일 : 너지카니저 점령, 카니예 개칭[143] 후 회군
  • 1601년 : 루마니아 파병, 트란실바니아 & 왈라키아 공국 재차 복속
  • 1601년 7월 10일 : 그랜드 와지르 다마트 이브라힘 파샤, 베오그라드에서 병사
  • 1601년 9월 9일 : 오스트리아 대공 페르디난트 휘하 4만 독일군이 너저카니자 포위
  • 1601년 9월 20일 : 5만 독일군이 세케슈페헤르바르 점령
  • 1601년 10월 : 세케슈페헤르바르 회복 시도 실패, 벨그라드 철수[144]
  • 1601년 11월 18일 : 너지카니저 포위군 야습하여 격퇴[145]
  • 1602년 4월 : 오스트리아 대공국, 트란실바니아 합병 / 독일군의 시몬토르냐 공격 격퇴
  • 1602년 8월 6일 : 세케슈페헤르바르 포위[146]
  • 1602년 8월 29일 : 세케슈페헤르바르 점령
  • 13년 전쟁 (부다페스트 공방전)
  • 1602년 9월 : 트란실바니아 진군, 세케이인 반란 지원[147]
  • 1602년 10월 2일 : 독일군, 부다 외곽 오부다 장악 후 부다-페슈트 포위
  • 1602년 10월 6일 : 독일군, 다뉴브 동안의 페슈트 점령
  • 1602년 10월 13일 : 부다 방면 회군, 페슈트 포위. 독일 원군 격파[148]
  • 1602년 10월 17일 : 오스트리아 대공 마티아스 휘하 3만 대군이 부다 포위
  • 1602년 10월 26일 : 독일군의 페슈트 포위망 공격 격퇴[149]
  • 1602년 11월 1일 : 페슈트 포위 풀고 철수, 독일군의 추격 격파[150]
  • 1602년 11월 14일 : 독일군, 부다 포위 풀고 철수. 페슈트 수비대 남김[151]
  • 1603년 2-3월 : 부다-페슈트 산발적 충돌[152]
  • 1603년 봄 : 서부 헝가리 - 크로아티아 습격[153]
  • 1603년 7월 초 : 코마롬 휴전 협상, 전쟁 준비[154]
  • 1603년 7월 17일 : 오스트리아 대공국, 트란실바니아 평정
  • 1603년 8월 : 섹사르드 전투, 독일군에 패배[155]
  • 1603년 8월 30일 : 휴전 협상 결렬[156]
  • 1603년 9월 19일 : 부다 보급, 상호 대치[157]
  • 1603년 9월 28일 : 체플 섬 전투, 독일군에 패배[158]
  • 1603년 10월 13일 : 하로스 섬 전투. 독일군 교두보 격파[159]
  • 1603년 10월 31일 : 독일군, 부다-페슈트 떠나 철수[160]
  • 1603년 11월 19일 : 하트반, 독일군에 항복[161]
  • 13년 전쟁 (재정복과 종전)
  • 1604년 : 트란실바니아의 보치커이 이슈트반 반란[162]
  • 1604년 9월 25일 : 페슈트 입성[163]
  • 1604년 10월 : 하트반 회복 후 북상
  • 1604년 10월 15일 : 바츠 점령 / 보치카이, 데브레첸 점령
  • 1604년 10월 18일 : 에스테르곰 포위
  • 1604년 10월 19일 : 에스테르곰 포위 풀고 회군[164]
  • 1604년 11월 11일 : 보치카이, 코시체 입성
  • 1605년 8월 : 비셰그라드 점령 후 에스테르곰 진군[165]
  • 1605년 8월 29일 : 에스테르곰 재차 포위, 건너편 슈투로보 점령
  • 1605년 9월 19일 : 에스테르곰 외곽 성 토마스 성채 장악[166]
  • 1605년 10월 4일 : 에스테르곰 점령
  • 1605년 10월 17일 : 노베점키 점령, 동맹 보치카이에 넘김[167]
  • 1605년 말 : 베스프렘, 바르파톨라 점령 후 부다 회군[168]
  • 1606년 6월 15일 : 오스트리아-오스만 휴전 성립[169]
  • 1606년 6월 23일 : 빈 조약. 오스트리아 대공국, 트란실바니아 종주권 철회. 보치카이 인정
  • 1606년 10월 20일 : 코마롬에서 오스트리아-오스만 사절단 회동
  • 1606년 11월 11일 : 지트바토로크 조약, 배상금 납부와 현상유지[170]
3.4.2.4. 빈에서 키예프까지
파일:헝가리-오스만 국경.jpg
1620년대 오스만-합스부르크 국경
  • 1차 트란실바니아 전역
  • 1611년 7월 : 브라소브 전투, 작센-헝가리-코사크 군이 트란실바니아 군 격파
  • 1611년 여름 : 트란실바니아 파병, 시비우 포위 격퇴
  • 1612년 5월 : 안드레아 기츠지의 반 바토리 반란 도우나 실패
  • 1612년 10월 : 바토리 가보르, 작센 반란 진압 후 오스트리아와 동맹
  • 1613년 9월 : 트란실바니아 침공, 바토리 가보르 폐위 후 가보르 베틀렌 옹립[171]
  • 1615년 : 지트바토로크 조약 갱신, 트란실바니아 대공국의 오스만 복속 승인
  • 지중해, 1차 흑해-러시아 전역
  • 1609년 : 코사크 함대가 악케르만, 이즈마일 습격
  • 1612년 : 스페인 함대의 라 굴레트 & 셰르셸 습격
  • 1612년 8월 : 메시나 공격하나 격퇴됨
  • 1613년 8월 : 코르보 곶 해전, 스페인 해군에 패배[172]
  • 1614년 : 노가이 칸국, 모스크바 인근 약탈 / 코사크 함대의 시노프 습격
  • 1614년 7월 : 몰타의 제즈툰 습격, 몰타 기사단에 격퇴됨
  • 1615년 5월 : 코사크 함대가 위스퀴다르 습격, 오스만 함대의 반격 실패[173]
  • 1616년 7월 14-16일 : 겔리도냐 해전, 스페인 해군에 패배
  • 1616년 7월 22일 : 코사크 함대가 카파 함락, 약탈 후 남하
  • 1616년 여름 : 코사크 함대가 시노프, 트라브존 습격
  • 1620년 : 코사크 함대가 코스탄티니예 외곽, 바르나 습격
  • 1624년 여름 : 오스만 함대의 카파 일대 수복
  • 1624년 7월 9일 : 코사크 함대가 위스퀴다르 습격 후 철수[174]
  • 1624년 8월 20일 : 코사크 함대가 재차 코스탄티니예 외곽 습격
  • 2차 폴란드 전쟁
  • 1612년 7월 9일 : 코르눌 루이 사스 전투. 몰다비아 도와 폴란드 군 격파
  • 1615년 11월 : 폴란드의 몰다비아 개입, 친오스만 슈테판 9세 폐위
  • 1616년 8월 : 폴란드-몰다비아 군 격파, 친폴란드 알렉산드루 모빌라 폐위
  • 1617년 : 재차 몰다비아 파병, 부스자에서 양군 대치
  • 1617년 9월 23일 : 부스자 조약, 폴란드-오스만 휴전. 호틴 할양받음
  • 1618년 9월 28일 : 카미야네치포딜스키 전투, 폴란드 군에 패배
  • 1619년 : 30년 전쟁. 트란실바니아 공국, 몰다비아 공국이 각각 신교, 구교측 가담
  • 1619년 11월 : 트란실바니아 공 가브리엘 베틀렌, 빈 포위
  • 1619년 11월 22-23일 ; 호몬나이 전투. 폴란드군, 트란실바니아군 격파
  • 1620년 9월 : 폴란드에 선전포고, 몰다비아 진군. 폴란드, 호틴 요새화
  • 1620년 9월 20일 : 체초라 전투, 폴란드-몰다비아 군 격파. 몰다비아 공국 복속
  • 1621년 4월 : 오스만 2세, 13만 대군과 폴란드 출정[175]
  • 1621년 9월 2일 : 호틴 성채 포위[176] (호틴 공방전)
  • 1621년 9월 28일 : 호틴 대한 마지막 공격, 협상 나섬
  • 1621년 10월 9일 : 호틴 조약. 폴란드의 몰다비아 간섭 중단, 호틴 할양됨
  • 대서양 전역
  • 1616년 : 리스본-카디스 해안 습격
  • 1617년 : 대서양의 마데이라 습격
  • 1617년 8월 : 서부 잉글랜드의 플리머스, 데본 등 습격
  • 1625년 : 브리스톨 만의 룬디 섬 장악, 바르바리 해적 기지 (~ 1632년)
  • 1627년 7월 16-19일 : 아이슬란드의 베스트만 제도 습격
  • 1627-60년 : 셰틀랜드, 페로 제도와 덴마크 ~ 버지니아 습격
  • 1631년 6월 20일 : 아일랜드의 볼티모어 습격
  • 3차 폴란드 전쟁
  • 1633년 6월 29일 : 타타르 군이 호틴 부근 카메니에크 포돌스키 습격
  • 1633년 7월 4일 : 프루트 강변 전투, 폴란드 추격대에 패배[177]
  • 1633년 9월 : 포돌리아 진군[178]
  • 1633년 10월 22일 : 폴란드 군에 패하고 철수
  • 1634년 4월 8일 : 무라트 4세, 대군과 출정[179]
  • 1634년 6월 14일 : 러시아-폴란드 휴전
  • 1634년 7월 27일 : 오스만-폴란드 휴전
  • 2차 트란실바니아, 흑해-러시아 전역
  • 1632년 : 타타르 군이 러시아 남부 습격
  • 1633년 : 타타르 군이 오카 강변 습격[180]
  • 1634년 6월 : 타타르 군이 쿠르스크, 오렐, 민스크 습격
  • 1636년 : 트란실바니아 대공 기오르기 1세, 조공 거부
  • 1636년 10월 6일 : 살론타 전투, 트란실바니아 군에 패배
  • 1635-37, 41, 43년 : 러시아 남부 대한 소규모 습격[181]
  • 1637년 6월 21일 : 코사크 군에 아조프 상실
  • 1641년 6월 : 아조프 탈환 시도 실패
  • 1642년 9월 : 코사크 철수, 아조프 수복[182]
  • 1644, 45년 : 타타르 군의 남부 러시아 습격[183]
  • 5차 베네치아 전쟁 (크레타, 달마티아 전역)
  • 1645년 6월 26일 : 크레타 상륙, 산 테오도로 성채 함락 후 하니아 포위
  • 1645년 8월 22일 : 하니아 항복, 수다 진군
  • 1645년 10월 1일 : 신성동맹 함대의 하니아 수복 시도 격퇴
  • 1646년 : 달마티아의 크르크, 파그, 크레스 섬 점령
  • 1646년 3월 : 베네치아, 테네도스 섬 공격 후 다르다넬스 봉쇄
  • 1646년 5월 : 오스만 함대의 봉쇄 돌파 시도 실패
  • 1646년 6월 : 베네치아 봉쇄 돌파, 크레타 보급. 레티모 포위
  • 1646년 7월 2일 : 이스트리아 반도의 노비그라드 공격
  • 1646년 7월 4일 : 노비그라드 항복
  • 1646년 8월 : 베네치아의 하니아 항구 공격 및 레티모 구원 시도 격퇴
  • 1646년 10월 20일 : 레티모 함락
  • 1646년 11월 13일 : 레티모 시타델 항복
  • 1647년 1월 : 베네치아 함대 기습해 격파
  • 1647년 6월 : 크레타의 토스카나 용병대 격파
  • 1647년 여름 : 베네치아에 노비그라드, 클리스 성채 상실[184]
  • 1647년 9월 : 쉬베니크[185] 포위 실패
  • 1648년 5월 1일 : 칸디아 (이라클리온) 포위, 장기화
  • 3차 트란실바니아 전역
  • 1652년 8월 26일 : 베저카니 전투, 헝가리 군에 패배
  • 1657년 : 트란실바니아 대공 기오르기 2세, 허가 없이 폴란드 침공
  • 1658년 : 기오르기 2세, 친오스만 대공 아코스 바르차이 격파
  • 1660년 봄 : 트란실바니아 진군[186]
  • 1660년 4월 29일 : 허이두소보슬로 점령, 파괴
  • 1660년 5월 : 데브레센 일대 약탈 후 클루지나포카 진군
  • 1660년 5월 22일 : 사스페네스 전투, 기오르기 2세 격파[187]
  • 1660년 7월 14일 : 오라데아 포위
  • 1660년 여름 : 크로아티아-헝가리 군이 너저카니자 포위
  • 1660년 8월 28일 : 오라데아 항복, 바라트 에얄레트 창설[188]
  • 1661년 4월 : 신임 트란실바니아 대공 케메니 야노시, 오스트리아에 복속[189]
  • 1661년 5월 : 오스트리아-오스만 협상[190]
  • 1661년 여름 : 트란실바니아 진군, 미하일 1세 옹립[191]
  • 1662년 1월 22일 : 셀레우스 전투, 케메니 야노시 전사[192]
  • 1662년 초 : 독일군 주둔 클루지나포카 포위
  • 1662년 6월 15일 : 클루지나포카 포위 풀고 철수
  • 4차 합스부르크 전쟁 (슬로바키아 남부 정복)
  • 1662년 8월 7일 : 헝가리 군의 슈투로보 공격 격퇴
  • 1662-63년 : 합스부르크령 헝가리 각지에서 민란 발발
  • 1663년 초 : 오스트리아-티미쇼아라 파샤 간의 휴전 수용 안함
  • 1663년 4월 12일 : 헝가리 출정, 오스트리아 대공국에 선전포고[193]
  • 1663년 여름 : 부다 집결, 우기 후 노베잠키 진군[194]
  • 1663년 8월 6일 : 쾨벨쿠트 전투. 헝가리 군 격파[195]
  • 1663년 8월 13일 : 1차 노비즈린 전투, 즈리니에 패배
  • 1663년 8월 18일 : 노베잠키 포위
  • 1663년 9월 24일 : 노베잠키 항복[13]
  • 1663년 가을 : 노그라드 점령[197]
  • 1663년 10월 10일 : 비즈바르 전투, 즈리니에 패배
  • 1663년 10월 12일 : 니트라 점령
  • 1663년 10월 26일 : 베오그라드 회군
  • 1663년 11월 1일 : 레비체 항복
  • 1663년 11월 27일 : 2차 노비즈린 전투, 즈리니에 패배
  • 4차 합스부르크 전쟁 (신성 동맹의 반격)
  • 1664년 초 : 클루지나포카, 서쿠에니가 미하일 1세에 항복[198]
  • 1664년 1월 21일 : 즈리니, 베르젠체 포위[199]
  • 1664년 1월 22일 : 베르젠체, 크로아티아-헝가리-독일 군에 항복
  • 1664년 1월 23일 : 즈리니, 바보차 포위
  • 1664년 1월 22일 : 바보차, 크로아티아-헝가리-독일 군에 항복[200]
  • 1664년 1월 27일 : 즈리니, 페치 포위
  • 1664년 1월 31일 : 즈리니, 오시예크 다리 파괴
  • 1664년 2월 6일 : 페치 포위 격퇴
  • 1664년 4월 17일 : 독일-헝가리 군이 니트라 포위
  • 1664년 4월 21일 : 즈리니, 너저카니자 포위
  • 1664년 5월 3일 : 니트라 수비대 항복
  • 1664년 5월 16일 : 자르노비차 전투 패배, 독일군이 레비체 포위[201]
  • 1664년 5월 27일 : 오라데아 전투, 독일-헝가리 군 격퇴[202]
  • 1664년 5월 30일 : 너저카니자 포위 격퇴[203]
  • 1664년 6월 2일 : 노비즈린 포위[204]
  • 1664년 6월 14일 : 레비체 수비대 항복
  • 1664년 6월 30일 : 노비즈린 함락, 파괴
  • 4차 합스부르크 전쟁 (센트 고트하르드)
  • 1664년 7월 12일 : 빈 향해 진군[205]. 레비체, 니트라 수복 시도 실패
  • 1664년 7월 19일 : 장크트 베네딕트 전투, 독일-헝가리 군에 패배[206]
  • 1664년 7월 26-27일 : 쾨르멘드 전투, 독일-프랑스-헝가리 군에 패배[207]
  • 1664년 8월 1일 : 장크트 고트하르드 전투[208], 독일-체코-프랑스 군에 패배
  • 1664년 8월 초 : 슈메그 공격 실패, 포위된 노베잠키 구원 준비
  • 1664년 8월 10일 : 바스바르 조약, 오스트리아-오스만 휴전[209]
  • 5차 베네치아 전쟁 (칸디아 공방전)
  • 1651년, 1653년, 1655년 : 베네치아의 오스만 보급 함대 습격
  • 1667년 5-11월 : 오스만 군의 칸디아 총공격
  • 1668년 봄 : 칸디아에 프랑스 의용군 당도
  • 1668년 12월 16일 : 프랑스 의용군 격파
  • 1669년 봄 : 프랑스 의용군 떠남
  • 1669년 9월 6일 : 베네치아-오스만 휴전, 칸디아 항복
  • 4차 폴란드 전쟁 (포돌리아 정복)
  • 1666년 : 코사크 (자포리지) 헤트만국의 복속
  • 1667, 1670년 : 코사크의 폴란드 공격 실패[210]
  • 1671년 : 코사크-타타르의 폴란드 공격 실패
  • 1672년 : 폴란드 휘하 립카 타타르 반란, 복속해옴
  • 1672년 7월 18일 : 라디진 전투, 폴란드-자포리지 군에 패배
  • 1672년 8월 : 폴란드 진격[211], 코사크 도와 우만 점령
  • 1672년 8월 14일 : 카메네츠 포돌스키 포위[212]
  • 1672년 8월 26일 : 카메네츠 포돌스키 항복[213]
  • 1672년 9월 : 우크라이나 북부 코레츠 습격
  • 4차 폴란드 전쟁 (폴란드의 반격)
  • 1672년 9월 20일 : 르부프 포위[214]
  • 1672년 가을 : 타타르 군이 폴란드 동남부 습격, 얀 소비에스키의 반격
  • 1672년 10월 5-6일 : 크라스노브로드 전투, 얀 소비에스키에 패배
  • 1672년 10월 6일 : 배상금 대가로 르부프 포위 풀고 철수
  • 1672년 10월 7-8일 : 니에미로프 전투, 얀 소비에스키에 패배
  • 1672년 10월 9일 : 코마르노 전투, 얀 소비에스키에 패배
  • 1672년 10월 14일 : 칼루슈 전투, 얀 소비에스키에 패배
  • 1672년 10월 18일 : 부카츠 조약, 포돌리아 획득 및 연공 얻음[215]
  • 1673년 4월 : 폴란드-리투아니아 의회, 휴전 승인 거부
  • 1673년 가을 : 얀 소비에스키, 호틴 포위
  • 1673년 11월 11일 : 호틴, 폴란드-왈라키아 군에 함락됨[216]
  • 1673년 말 : 얀 소비에스키, 수체이바 등 몰다비아 장악
  • 1673년 12월 13일 : 폴란드 군이 야시 점령
  • 1674년 1월 : 타타르 군이 몰다비아 수복[217]
  • 1674년 5월 21일 : 얀 소비에스키, 폴란드-리투아니아 국왕 등극
  • 우크라이나 전역
  • 1672년 : 동안의 코사크, 크림 반도 습격
  • 1674년 : 코사크 내전, 서안 vs 동안 분열[218]
  • 1674년 7월 23일 : 러시아-코사크 군이 서안 수도 키히린 포위
  • 1674년 8월 : 서안 도와 우크라이나 진군. 라디진, 우만 점령[219]
  • 1674년 8월 10일 : 키히린 구원
  • 1675년 : 친오스만 헤트만 페트로 도로셴코 퇴임
  • 4차 폴란드 전쟁 (폴란드의 반격)
  • 1675년 여름 : 재차 폴란드 방면 진격
  • 1675년 7월 27일 : 루테니아의 즈브라 성채 접수
  • 1675년 8월 24일 : 리시니치 전투, 얀 소비에스키에 패배[220]
  • 1675년 9월 11일 : 피다이치 점령
  • 1675년 9월 20일 : 테레보빌랴 포위[221]
  • 1675년 10월 11일 : 테레보빌랴 포위 풀고 회군
  • 1676년 여름 : 재차 폴란드 진격[222]
  • 1676년 9월 24일 : 보이닐리프 전투, 폴란드 군 철수[223]
  • 1676년 10월 5일 : 주라브노 공방전[224]
  • 1676년 10월 14일 : 주브라노 포위 풀고 휴전
  • 1676년 10월 17일 : 주라브노 조약[225], 호틴 상실
  • 2차 러시아 전쟁
  • 1676년 가을 : 러시아 군이 키히린 점령
  • 1677년 7월 : 우크라이나 진격
  • 1677년 8월 3일 : 키히린 포위[226]
  • 1677년 8월 27-28일 : 부진 전투, 러시아-코사크 군에 패배
  • 1677년 8월 29일 : 키히린 포위 풀고 철수[227]
  • 1678년 봄 : 우크라이나 진격
  • 1678년 7월 8일 : 키히린 재차 포위[228]
  • 1678년 8월 11-13일 : 차스민 전투, 러시아 군에 패배[229]
  • 1678년 8월 21일 : 키히린 함락[230]
  • 1678년 9월 : 키예프 방면 북상, 카니프 점령[231]
  • 1678년 가을 : 친오스만 헤트만 유리 크멜니츠키의 네미리프, 칼니크 점령 도운 후 회군[232]
  • 1679년 7월 24일 : 타타르 군이 러시아 남부 습격
  • 1679년 8월 4일 : 모자 강 전투, 코사크 군에 패배
  • 1680년 : 타타르 군이 우크라이나 동부 습격[233]
  • 1681년 1월 3일 : 바흐치사라이 조약, 드네프르 경계로 우크라이나 분할[234]
  • 슬로바키아 전역
  • 1671년 : 오스트리아, 상헝가리 (슬로바키아) 봉기 진압
  • 1673년 : 상헝가리에 대한 오스트리아의 군정, 다수 망명해옴
  • 1677년 5월 : 바르샤바 조약, 프랑스의 헝가리 독립 지원 약속[235]
  • 1678년 6월 : 상헝가리 봉기. 퇴쾨이 임레, 트란실바니아 군과 침공[236]
  • 1678년 가을 : 퇴쾨이 임레, 상헝가리의 13개 백작령 장악
  • 1679년 11월 3일 : 우즈팔루 전투. 퇴쾨이 임레, 독일군 격파[237]
  • 1680년 : 퇴쾨이 임레, 모라비아 습격[238]
  • 1681년 : 퇴쾨이 임레 지원 약속[239]
  • 1681년 9월 : 슬로바키아 진격, 곧 회군[240]
  • 1682년 : 퇴쾨이 임레의 상헝가리 공국 복속
  • 1682년 8월 : 슬로바키아 진격, 오노드 점령[241]
  • 1682년 8월 14일 : 코시체 (커셔) 점령
  • 1682년 8-9월 : 프레쇼브, 레보차, 필라코보 점령
  • 1682년 9월 16일 : 퇴쾨이 임레, 필라코보에서 '헝가리의 왕' 등극[242]
  • 1682년 11월 19일 : 퇴쾨이 임레, 흐론 강 경계로 오스트리아와 휴전[243]

파일:오스만 국경 1683.png
1660 ~ 1682년까지의 정복. 오라데아, 노베잠키, 포돌리아, 서부 우크라이나, 슬로바키아
  • 5차 합스부르크 전쟁
  • 1683년 3월 31일 : 오스트리아에 선전포고
  • 1683년 6월 : 죄르 포위
  • 1683년 7월 : 빈 근교 페르츠톨즈도르프 항복, 학살
  • 1683년 7월 17일 : 2차 빈 포위
  • 1683년 9월 11일 : 폴란드-독일 군에 패배, 포위 풀고 철수

대튀르크 전쟁 문서로 이어짐
  • 1687-89년 : 러시아의 크림 반도 침공 격퇴
  • 1691-92년 : 이지움 선 공격, 수천 포로

1685년 10월 25일 : 코시체 상실

1687년 9월 27일, 트란실바니아가 오스트리아 대공국에 복속
  • 1690년 4월 13일 : 너지커니저 상실
1689년 바덴 변경백 루트비히의 오라데아 포위 실패
1692년 오라데아 점령

  • 1699년 : 라구사 공화국, 네움 할양[244]. 폴란드, 몰다비아에 호틴 할양
  • 1711년 : 호틴 점령
  • 1715년 : 크레타의 베네치아 최후의 거점 스피나롱가, 수다 항복
  • 1769년 : 노보 세르비아 습격, 수천 포로
  • 1774년 : 크림 칸국, 러시아에 복속
  • 1783년 : 러시아의 크림 반도 병합

4. 인도 이슬람 왕조

4.1. 가즈나 왕조

4.2. 구르 왕조

4.3. 델리 술탄 왕조

4.4. 무굴 제국

사실 무굴 제국은 인도를 정복하면서 힌두교 세력과 싸운 사례보다는 다른 이슬람 왕조와 싸운 사례가 많았다. 그러나 무굴 제국을 붕괴시킨 가장 큰 원인은 시크교 반란과 힌두교 세력인 마라타 연합이다.

5. 관련 문서



[1] 아랍, 베르베르, 튀르크, 몽골이란[2] 기독교, 조로아스터교, 힌두교, 유교불교, 토속 신앙[3] 동남아시아의 말레이계 술탄국이나 서아프리카의 이슬람 제국 등.[4] 후에 예언자의 도시라는 뜻의 메디나로 개칭[5] vs 메카 쿠라이쉬 기득권 세력[6] vs 메카 쿠라이쉬 기득권 세력[7] vs 메카 쿠라이쉬 기득권 세력[8] 원래 10년 기한이었다.[9] vs 가산 왕국 + 동로마 제국[10] 629년에 동로마 군대가 크테시폰까지 밀어붙인 후, 이 해에 로마와 사산 제국은 평화 조약을 맺었다. 그렇다고 두 세력이 동맹을 맺은 것은 아니다. 아직까지 양국은 아랍 무슬림 세력에 대해 잘 몰랐다. 그들의 속국이자 방패인 가산 왕국라흠 왕국의 간곡한 권고를 양측 모두 레반트를 둘러싼 싸움에만 집중하다보니 귀담아 듣지 않은 것이다. 그리고 그에 대한 결과는... 지금 쓰고 있다.[11] vs 베두인[12] vs 산악민족[13] 함락에 실패했지만 주민들이 이슬람으로 개종하고 항복하였다.[14] 10월, 북부 아라비아. 이후 아카바의 단성론파 기독교도들이 이슬람 진영으로 이탈함.[15] 서북부 아라비아[16] 9월[17] 10월[18] 오만 방면[19] 12월[20] 남부 아라비아[21] 사슬 / 카지마흐 전투[22] 4월 3번째 주, 유프라테스 강 / 우발라 전투[23] 할리드 알 왈리드[24] 5월 말, 라흠 왕국의 멸망[25] Battle of Dathin, 2월. 가자 인근, 아므르 이븐 알 아스[26] Battle of Marj Rahit, 4월 24일, vs 가산 왕국[27] Battle of Al-Qaryatayn[28] 6~7월. 가산 왕국 멸망[29] 7월 20일, 티베리아스 호수 근처[30] 7~8월, Battle of ajnadayn[31] 8월 19일, Battle of Marj al-Saffar (634)[32] 8월 21일 ~ 9월 19일, Siege of Damascus (634)[33] 할리드가 다마스쿠스를 향하던 로마군 격파[34] Battle of Maraj-al-Debaj[35] 할리드 이븐 알 왈리드가 베이루트 인근에서 로마군에 포위되어 있던 아부 알 쿠다스의 군대를 구원. 10.15[36] Battle of Namaraq, 쿠파(도시) 인근[37] Battle of al-Jisr[38] 아인나딘 요새 함락[39] 아므르[40] 슈라빌[41] 야지드[42] Battle of Maraj-al-Rome, 아부 우바이다 지휘[43] 할리드 이븐 알 왈리드가 친위대만을 이끌고 테오도로스의 다마스쿠스 탈환 시도 격퇴[44] 실패, 하지만 야르무크 전투 이후 이어진 2차 포위에서 결국 함락 (640년)[45] 무슬림 군대는 일시적으로 킬리키아 지방의 마라쉬 (현재 터키)까지 점령하였다.[46] 원래 칼키스와 에데사는 아부 우바이다와 1년간의 휴전 조약을 맺었으나 이라클리오스가 대규모 군대를 안티오키아에 군집시키자 아랍 측은 조약의 파기를 선언하고 두 도시를 포위하였다.[47] 헤라클리우스의 포위 후 각개격파 전술을 간파한 할리드가 아부 우바이다에게 간언한 전술이 채택된 것이다. 점령지의 무슬림 군대는 전부 도시를 버리고 후퇴하였다. 경기병대가 강점인 아랍 군대는 전통적으로 회전에 강했다. 자비야 평원에서 야르무크 평원으로 이동하던 아랍 군대의 후미는 할리드와 그 친위대가 지켰고, 동로마 선발대를 격파하여 기선을 제압하였다.[48] 8월 15 ~ 21일, 할리드의 지휘. 이후 로마의 레반트 포기[49] 이븐 우바이다의 주최. 예루살렘과 카이사레아 놓고 출동. 칼리파 우마르: 예루살렘 지목[50] ~ 637년 4월, 무슬림 군대는 수비군의 식량이 바닥나기만을 기다렸다. 이후 총대주교는 칼리파 우마르에게 직접 항복한다는 조건으로 백기를 들었다.[51] 사드 이븐 아비 와카스의 지휘[52] 이후 쿠파(도시)가 세워진다.[53] 12월 20일경[54] 야지드[55] 슈라빌[56] 아므르[57] 항복 후 로마 사령관 요아킴은 4천명의 병사들과 함께 이슬람으로 개종, 충실한 장군이 되었다.[58] 현재 시리아 북부 터키와의 국경도시. 터키 도시인 킬리스와 마주하고 있으며, 알레포와 가지안테프 중간 쯤에 있다. 이들리브 - 알레포 - 킬리스 - 가지안테프로 도로가 이어진다. 안티오키아 포위의 전초전[59] 아이나딘, 야르무크 전투 다음으로 동로마 측이 가장 큰 인명 손실을 본 전투.[60] 10월 31일. 패잔병들은 로마로 떠날 수 있게 해주었다.[61] 할리드의 원정대[62] 강력한 저항에 부딪혔으나 내부의 기독교도들이 내통하여 함락하였다.[63] 직후에 도시도 함락됨[64] 칼리파 우마르가 장군 쿠아카에게 서신을 보내어 점령지 (수아드)와 페르시아 간의 국경선은 자그로스 산맥이 적합하다고 명령.[65] 헤라클리우스의 사주를 받았다.[66] 7월경으로 추정됨. 할리드의 친위대의 대승리. 기독교 아랍인들의 후퇴[67] 8월[68] 할리드 이븐 왈리드와 리야드 이븐 가늠[69] 현재. 터키의 카라만마라쉬. 할리드의 마지막 원정. 로마 황제 이라클리오스가 킬리키아 관문을 넘어 콘스탄티노플로 돌아가던 중 할리드의 군대와 간발의 차이로 접촉을 피하얐다. 시리아를 두고 후퇴하며 그가 남긴 시는 이라클리오스 문서의 후반 부분 참고[70] 이야드 이븐 가님. 수비대가 강경 저항하자 후퇴하여 5-6일간 주변 초토화시키자 항복해옴. 후에 자지라 총독으로 부임[71] 7/6[72] 12/21[73] 12/22[74] 헤라클리우스 사망[75] 피루즈의 반란 진압[76] 무슬림 측도 앗 누만 이븐 무크린 전사[77] 다만 산간 지방은 정복되지 않음[78] 다만 칼리파 우마르의 지시로 회군[79] 무아위야[80] 4만여 학살[81] 이후 야즈대게르드 3세는 페르가나 칸국을 거쳐 당나라로 도피, 다시 거병하여 호라산으로 돌아오나 다시 패배하고 살해당한다.[82] 무슬림 내전[83] 동로마 당국이 주민 시칠리아로 대피시키고 사실상 포기함[84] 동로마-베르베르 군 격파[85] 카히나의 베르베르 군.이후 도시 공격해 초토화시켜 아랍인들의 야욕 낮추려 함[86] 본래 본국으로 철수하려 했는데 동로마 함대의 방해로 좌절되자 함대 불사르고 내륙의 미네오 향함. 3일간의 포위 끝에 항복하자 그곳을 거점으로 삼음.[87] 엔나 측이 항복 제안하며 초청, 이에 에우페미오스가 소수의 호위대와 입성하자 살해함[88] 위에 활약한 알 파즐 이븐 야쿠브의 아들로 추정됨[89] 베르베르계 암살자는 이후 시라쿠사로 도주[90] 이때 동로마 측은 아랍인과 베르베르인들을 따로 석방하며 두 집단의 반목 부추겼다고 함[91] 점차 팔레르모 vs 아그리젠토 간 지역 대결로 전개됨[92] 일부는 콘스탄티노폴리스까지 당도[93] 하필은 그날이 크리스마스였다고[94] 힌두 샤히의 수도[95] 앞서 점령한 후 자치 주었다가 완전히 다시 점령함[96] 혹은 14238년 9월 5일[97] 그후 11월 1일, 트란실바니아 공 서포여이 야노시가 입성해 헝가리 왕에 오른다. 다만 이듬해 8월, 대립 국왕인 오스트리아 대공 & 보헤미아 국왕 페르디난트가 부다를 장악한다[98] 7월 31일 : 머저로바르와 죄르, 합스부르크 군에 항복, 8월 8일 도나우 건너 대포 운송. 8월 9일 코마롬 점령. 8월 10일 자폴랴, 타타 점령. 8월 12일 야노시 1세, 세케슈페헤르바르 포기하고 페슈트 향함. 8월 18일 에스테르곰 포위[99] 혹은 7일[100] 다음날 본격 철수, 12월 16일 코스탄티니예 당도[101] 11월 21일 코스탄티니예 귀환[102] 같은해 디우 공방전[103] 5월 결정, 8월 6일 실리스트라 당도. 도브루자로 향하여 8월 17일 바바 다그의 13세기 수피인 사리 살투크 바바 영묘 방문. 9월 10일 8천 크림 칸국군과 합류[104] 7일간 머물며 9월 21일 몰다비아 영주들의 봉신 서약 받고 스테판 옹립, 11월 27일 귀환[105] 이때 시지게트바르 합스부르크에 귀순[106] 9월 2일 오스만 원군 파견[107] 12월 17일 에드르네, 월동 후 6월 4일 벨그라드 당도[108] 10일이라고도. 7월 31일 항복 제안 거절, 8월 6일 도시 함락. 다음날 시타델[109] 당도한 날짜. 본격적인 공격은 2일 후부터[110] 5일 후 벨그라드 당도, 11월 16일 코스탄티니예 귀환[111] 무려 28명의 수비대와 1만 2천 포위군의 싸움[112] 그 전에도 1507, 1514년 칸의 제지에도 귀족들이 독립적으로 습격함. 1533년 러시아 : 브랸스크 - 툴라 - 라쟌 방어선 구축, 1552년 카잔 칸국 정복[113] 유일한 성과라면 테레크 강의 러시아 요새 파괴[114] 1월에 미르 알리 베그, 예멘에서 소말리아 향함. 모가디슈 주민들 봉기 선동. 바라와, 파자 인들 오스만에 충성. 15척 지님, 포르투갈 선박 나포. 라무의 군주가 시내의 포르투갈 피난민 인도. 몸바사에 요새 건설. 20척과 1백 포르투갈 포로 대동하고 모카 귀환[115] 1월에 포르투갈령 고아 총독, 18척의 함대와 650 병력 스와힐리 해안 파견. 파자 습격, 몸바사 위협해 4천 크루자도 뜯어냄. 말린디는 여전히 포르투갈에 충성. 밀 알리 베그 발견 못하자 소코트라, 호르무즈 거쳐 고아 귀환[116] 알리 베그, 5척의 함대와 모카 귀환. 모가디슈부터 스와힐리 해안으로부터 보호 명목 조공 받아냄. 말린디 공격 시도하나 포르투갈 군 주둔, 밤에 접급하는 알리 베그 함대 포격해 몸바사로 몰아냄. 알리 베그, 몸바사 섬 해안에 작은 요새 건설하고 포대 설치. 고아에서 19척의 함대와 900 포르투갈 병력 파견. 2월 라무 당도. 3월 5일 포르투갈 함대 몸바사 당도, 포화에도 항구 당도해 3척의 오스만 함대 나포. 함상 포격에 요새 버림. 3월 7일에 5백여 포르투갈 군 상륙, 몸바사 주민들은 오스만 군과 인근 숲 피신한 상태. 포르투갈, 식인 부족인 짐바스 부족을 섬에 들여보내자 주민들 대혼란 겪으며 선박으로 도주. 다수 익사, 피난 도중 알리 베그 등이 포르투갈에 사로잡힘. 3월 24일 포르투갈 함대 말린디 개선, 친오스만 반군에 축출된 군주 펨바 복위시킴. 라무 군주는 사로잡혀 공개 처형됨. 포로된 알리 베그는 환대받으며 포르투갈로 보내져 기독교 개종[117] 한때 즈린, 카진, 오스로비차 상실[118] 파크락 산작베이 알리 베그 전사[119] 이후 1588/89년의 센즈 습격 외에는 양측의 충돌 없이 평화 유지[120] 선발대. 3일 후 본군 당도, 14일부터 포격[121] 하산 파샤, 3만 5천 포로 얻음[122] 하산 파샤 및 산작베이 5인 전사. 그중엔 술탄 무라트의 조카 술탄자데 메흐메트 베이도 포함, 복수 분위기. 휴전 깨고 선전포고, 긴 전쟁 혹은 13년 전쟁의 시작[123] 크로아티아 군이 군량 부족 해산, 승리 활용 못함. 고작 1백 수비대 배치된 상태의 성채에 대군 및 포병대와 함께 포위. 8월 30일 성벽 붕괴[124] 코자 시난 파샤, 7월 19일 코스탄티니예 출정 후 9월 4일 벨그라드 당도[125] 옛 로마 도나우-다키아 사이 평야지대. 벨그라드 위의 현 루마니아령 티미쇼아라 ~ 헝가리령 세게드에 해당. 이에 대해 오스만 당국은 세르비아 인들의 상징인 성 사바의 성유물을 그의 축일인 4월 27일에 불태운 후 흐트려 훼손함 https://en.wikipedia.org/wiki/Burning_of_Saint_Sava%27s_relics[126] 부다와 에게르 사이. 5월 6일 코자 시난 파샤가 벨그라드 출정, 터터 진군[127] 불타버린 성[128] 약 2천, 그외에 오스만 상인들 처형[129] 다만 실리스트레 공격은 실패, 4천 왈라키아 병력 처형됨. 정권 교체기 및 4월 22일 시파히 봉기 진압 후 5월 1일 10만 원정군 출정. 그외에 스페인 함대가 파트라스 습격해 전소, 보복으로 코스탄티니예의 미혼 그리스인 축출 혹은 레조 습격[130] 3500 수비대 남김, 트르고비슈테와 함께 요새화[131] 8월 27일 호틴, 9월 3일 이아시. 이에 크림 칸국 역시 개입, 9월 6일 폴란드 군 프루트 강 건넘[132] 수비대는 항복했으나 관통형 당해 죽음[133] 도나우 도하해 후퇴하는 오스만 군 습격해 격파[134] 23일이라고도. 30여년만에 처음으로 있는 술탄의 친정. 8월 9일 베오그라드 당도[135] 항복한 수비대 학살[136] 9월 21일 포위, 10월 12일 함락이라고도. 하트반의 복수로 수비대 전원 학살. 10월 22일 1만 2천 독일군과 조우[137] 막대한 화력에 흩어졌으나 독일군이 전리품 약탈에 몰두하자 반격해 승리[138] 사트르즈 메흐메트 파샤, 6월 9일 출정, 8월 13일 벨그라드 당도[139] 사트르즈 메흐메트 파샤, 6월 18일 벨그라드 떠나 베츠케르크에서 55일간 크림 칸국군 기다림, 오지 않자 출정. 독일군의 헝가리 진군에도 소수의 원군 보내고 그대로 트란실바니아 향함[140] 지지부진, 대포를 겨우 3문만 가져옴. 에게르에 요청한 대포알 역시 기상 조건으로 당도하지 못함[141] 다마트 이브라힘 파샤, 5월 23일 플로브디프 당도. 10월 26일 페슈트 당도 후 벨그라드 향함. 크림 칸국이 에르셰쿠이바르 습격 담당[142] 1599년 10월 트란실바니아, 1600년 6월 몰다비아 정복하며 왈라키아 공 미하이가 루마니아 통합, 1601년 4월 트란실바니아 복구[143] 23일이라고도, 공격 제안한 티르야키 하산 파샤가 신설된 주의 총독 부임. 쿠유 무라트 파샤 - 바보츠사 진군. 시지케트바르 회의 - 에스테르곰 대신카니예 공격 결정, 부다 공격하려던 독일군 진로 바꿈. 점령 후 벨그라드 월동[144] 예미슈지 하산 파샤. 8월 9일 출정, 9월 6일 제문 당도. 공백기 동안 독일군이 공세. 티르야키 하샨 파샤의 구원 요청에도 대신 세케슈페헤르바르 향했다가 패하고 철수[145] 30년 전쟁 시의 신성 로마 제국 황제가 되는 페르디난트, 원군 당도했다 여기고 도주. 그의 왕관 및 47문의 대포와 라이플 1만 4천정 등 막대한 전리품 획득. 베이럴베이 거쳐 1603년 루멜리아 총독위 제수[146] 6월 20일, 세케슈페헤르바르 향하는 보급선 습격. 예미슈지 하산 파샤, 6월 26일 사바 강 건너 진군. 세케슈페헤르바르 수비대장이 7월 7일 마티아스에 보고. 7월 24일 회의에서 마티아스, 5만 대군 원정 지시. 예미슈지 하산 파샤, 부다에서 7만 대군과 당도. 12일부터 포격, 23일로 예정되었던 독일 원군 지체됨. 28일 총공격 실패했지만 수비대 절반으로 감소. 부관이 수비대장 명령도 없이 협상 나섬, 사기 저하를 틈타 29일 재차 공격해 대부분의 수비대 죽이고 장교들 포로 되어 벨그라드 압송. 4천 수비대 배치, 파퍼 공격 예상과는 달리 바르파톨라 습격 외엔 별 움직임 없음.[147] 6월 29일 오스트리아 군에 패하고 오스만령 티미쇼아라 도주, 8월 23일 클루지나포카 의회에서 총독 바스타는 친오스만 귀족들 처형. 9월 9일 죄르 작전회의, 오스만 군의 에스테르곰 진군 예상. 포로 심문 끝에 트란실바니아 진군 계획 실토. 원군 파견 후 마티아스는 빈 회군. 9월 12일 부다 출정한 예미슈지 하산 파샤는 솔노크, 서르버시, 리포바 거쳐 트란실바니아 향함. 죄르의 독일군 염려한 부다 성주 알리의 요청에도 회군 안함. 9월 20일 2만 4천 독일군이 에스테르곰 진군. 15일 랄라 메흐메드 파샤의 2천 원군이 부다 입성[148] 10월 9일 마티아스, 빈에서 출정. 11일부터 독일군의 포격 개시. 13일엔 리포바에서 비보를 듣고 회군한 예미슈지 하산 파샤가 2만 병력과 페슈트 당도. 14일부터 페슈트 포격. 16일 3천 독일 기병대가 부다 급수탑 장악 시도, 세케슈페헤르바르의 오스만 군은 부다 포위망 향하는 보급 탈취[149] 18일 페슈트 대대적 포격, 독일 원군 격퇴 후 21일 총공격하나 실패. 22일엔 독일군이 부다에 총공격하나 역시 1500 잃고 실패. 휴식 후 25일 재차 페슈트 공격, 다음날 독일군이 페슈트 포위망 야습. 10월 말엽 보스니아의 6천 오스만 원군이 세케슈페헤르바르 당도. 하지만 페슈트 포위군의 보급을 맡은 부다의 지휘관이 성내의 식량 부족하다며 후퇴 부탁. 28일 총공격 실패 후 결정[150] 3일 부다 수비대가 오부다의 2천 독일군 진영 야습, 4시간 동안 격전 끝에 물러났으나 1천 이상 죽임. 톨너로 후퇴한 예미슈지 하산 파샤는 보스니아 병력의 합류 기다림. 마티아스, 5천 차출해 다뉴브 강변 장악하여 보스니아 군의 도하 저지하고 컬로처 약탈 후 방화. 독일군, 기근 / 질병 / 공격 시달리며 지침. 9일 마티아스, 철수 결정. 10일, 12일 부다 수비대의 역습. 13일에는 마티아스 본영 공격, 코시체 기병대에 격퇴됨. 지속적인 출혈, 페슈트는 부다의 포격에 시달리고 용병 위주의 수비대 반발하여 역시 철수 원함. 13일 항명하자 포격, 12명 살상하여 복종시킴. 4천여 수비대 남김. 다뉴브 도하처인 아도니에도 병력 파견[151] 에스테르곰으로. 15일 기병대 호위, 19-20일 전부 떠남. 부다 수비대는 추격 안함. 철수 직후 1만 3천의 보스니아 원군이 부다 당도. 언덕 성채 장악하고 페슈트 포격. 마티아스, 페슈트에 탄약 보내줌. 교황 자금 지원, 이탈리아 공병대로 요새화. 마티아스, 내년 4월에 오스만 군이 당도하기 전에 부다 재차 포위할 것 공언[152] 1월 6일 코스탄티니예 시파히들의 조르바 반란, 10월에야 예니체리에 의해 진압됨. 1월 중순 에스테르곰에서 페슈트 향하던 보급 탈취, 바르다 민병대가 회복. 2월 10일 부다 수비대가 페슈트 공격하나 격퇴당하고 대부분 전사. 3월 1일 페슈트 포격, 페슈트 측의 대응 사격이 부다의 화약고 명중해 성벽 허뭄. 1300 독일군이 야습하나 격퇴됨. 5월 말 독일측 보급선 공격, 6월 초 재차 에스테르곰-페슈트 보급선 공격해 탈취는 실패하나 호위 병력 5백에 큰 타격. 7월 10일 포격 이어지던 와중의 페슈트에 5백 기병대와 함께 6개 병단의 새 병력 당도[153] 2월 24일 루돌프 2세, 브라티슬라바 의회 여나 전쟁에는 소극적. 4월 15일 프라하 회의 전달하나 5월 9일 역시 비관적 답장. 크림 칸국군이 판노니아 평원 (트란스다누비아) 습격, 현지 크로아티아 병력이 격퇴[154] 루돌프 2세는 외부 지원금 사적으로 착복, 스페인 측의 지원 중단. 이탈리아-독일 지도부 다투다가 칼부림까지, 6월 5일 루스보름 재신임. 메흐메트 3세, 작년 사로잡은 세케슈페헤르바르 수비대장 지오반니 마리오 이솔라노 석방하며 평화 협상 제안. 에게르, 너저카니자 영유 대가로 페슈트, 에스테르곰, 트란실바니아 영유 인정. 협상 기간 동안 양측은 재차 전쟁 준비. 8월 2일 오스트리아 군 빈 출정, 부다 대한 무력시위 위해 에스테르곰 향함. 10일 후 출정한 랄라 메흐메트 파샤, 페슈트 수복 초점. 다만 휘하 1만 병력 중 상당수는 기존 카라야즈즈 반란 후 사면된 데일 하산 파샤 휘하의 비정규군. 그들과 다투기 싫었던 크림 칸국군 귀환[155] 8월 12일 독일 해군 역시 탄약과 함께 에스테르곰 당도. 섹사르드에서 3천 독일 기병과 루멜리아 총독 무라드 파샤의 군이 조우, 전자의 공격으로 후자에 8백 전사. 독일군 강변 장악, 다리 방화하자 무라드 파샤 후퇴. 9월 초 1만 넘게 증강되어 돌아오자 부다에 있던 독일 기병대는 바츠로 철수[156] 루돌프 2세, 마티아스에게 코마롬 협상 중단케 하고 루스부름에게 진격 지시. 9월 17일 루스부름, 오스만군 진격 접수. 섬들에 병력 배치. 10월초, 센텐드레 섬에 배다리 놓음. 그외 체펠, 하로스 섬[157] 4만 오스만 군이 부다 남쪽 당도, 60척의 함대와 3천 예니체리 대동. 9월 21-23일 독일군 집결, 역시 4만이었으나 10월 말에야 전원 집결했기에 그전까지 제대로 맞서지 못함. 24일 루스부름, 첩자 보고로 오스만 군에서 실질 무장 인원은 1만 5천 남짓이고 나머진 보조병이라 여김. 다만 24-26일의 폭풍우로 교전 못함. 다뉴브 건넌 난민이 다음날 오스만 군의 체펠 섬 공격 계획 알려줌[158] 27일부터 다리 놓으며 진군, 교전 시작. 장교들의 반대에도 28일 새벽 재차 공격, 루스부름이 8천 기병대와 지원하며 포로 잡지 말고 강으로 밀어넣으라 지시. (왈롱 병사들 사체 훼손 대한 보복) 퇴로 막힌 예니체리 부대 결사저항, 저녁까지 싸우며 페슈트 다리와 독일군 진영까지 이르렀으나 독일 기병대의 반격에 밀려난 후 학살당함. 지휘관인 보스니아 총독 데르비스 파샤 포함 7천 전사, 역사가 크자탑 첼레비 포함 2천 생환. 독일군은 겨우 수십여 전사 및 150 부상, 오스만 지도부 서로 탓함. 다만 전투 틈타 부다의 독일군 진영 기습해 약탈. / 10월 4일 베오그라드에서 당도한 예미슈지 하산 파샤 해임, 16일 파트와 후 처형. 사파비 조의 아바스 1세, 9월 니하반드와 하마단 점령. 10월 15-21일 타브리즈 수복 후 11월 15일 레반 포위, 루돌프 2세의 사절 접견[159] 루스부름, 섬들 감시하며 평정. 체플 섬 중심 삼음, 10월 6일 부다 부근 오스만 진영 포격해 강변에서 철수시킴. 루돌프 2세, 10월 1일과 2일의 편지에서 루스부름에게 겨울 다가오니 부다 포위 포기하고 큰 전투에 응전하지 말며 페슈트와 체플 섬 방어에 치중할 것을 지시. 그외에 오스만 진영 습격해 와해시키고 그들의 철수 기다린 후 세케슈페헤르바르 탈환 시도하도록. 이에 부다 오스만 진영 근처에 진지 세우기 위해 서안과 다리로 연결된 하로스 섬 점령 계획, 11일 헝가리 군이 서안 진출. 12-13일 토벽 세워 600명 전초기지. 체플 섬의 포병대 엄호, 만약 대비해 후퇴 위한 선박 대기. 13일 정오 오스만 기병대의 습격, 30여 전사. 혼란 속에 사려관 콜니치 겨우 선박 당도. 루스부름, 총병과 대포 보내 지원하려 했으나 일요일에 병사들 취해 있어 실패. 장교들이 직접 포격하나 효과 미미. 2시간 교전 끝에 3개 전초기지 장악됨. 14일부터 체플 섬과 페슈트 대대적 포격, 오부다에 오스만 함선 끌어옴. 오스만 본영 에르드에서 언덕으로 남하. 다만 머르기트 섬 방면 대비 위해 오부다에도 재차 일부 배치. 20일 헝가리 군 탑승한 페슈트의 함대가 남쪽 퇴쾰리 섬의 오스만 함대 공격하나 병력 차이 지대함을 깨닫고 루스부름에게 지원 청하나 독일인들의 목숨 허비할 수 없다며 거부하자 철수, 그나마 큰 피해 없이 귀환.[160] 27일 비가 오자 루스부름, 체플 섬의 진영 접고 31일 전군과 북상. 센텐드레 섬의 다리 건너 서안 건너감. 교두보는 21일부터 기오르기 투르조가 지킴, 섬 남쪽에 사열한 후 편지 보내 전투 신청하나 응답 없음. 11월 1일 루스부름, 수백 기병대와 부다 성채 무력시위 나서나 랄라 메흐메트 파샤는 응전 금함. 독일군은 말을 전부 잃었고 고작 4-5일치 식량만 남은 상태, 2일 작전 회의에서 부다 포위는 불가능하다고 결론. 5일, 이번엔 오스만 기병대가 무력시위. 루스부름이 대군과 진군했으나 교전 없이 저녁에 양측 모두 회군. 6일 밤, 무라트 파샤에게 부다 맡기고 랄라 메흐메트 파샤 휘하 주 병력이 조용히 베오그라드 철수. 부다 수비대는 약화된 독일군 공격 안함, 13일 이성 잃은 일부 독일군이 인근 터키탕에서 발견한 비무장 터키인 30명 학살.[161] 지도부는 10주 간의 원정에도 2번째로 실패한 루스부름 비난, 이에 그는 돌연 하트반 공격 결정.12일 선발대 파견 후 15일 루스부름이 본군과 하트반 진군해 18일 당도. 포격하며 수비대에 항복 요구, 다음날 안전 철수 대가로 항복하고 솔노크 철수. 20일 루스부름과 독일군 역시 4백 수비대 남기고 철수. 12월 20일 메흐메트 3세 사망, 13세 아흐메트 1세 계승[162] 1604년 1월 헝가리 장군 페렌츠 나다스디 사망, 1605년 루스부름 기소된 후 처형됨. 아흐메트 1세, 재정 위기와 군부 반란에 시달리던 루돌프 2세에게 휴전 제의[163] 랄라 메흐메트 파샤, 독일군이 보치카이 반란에 집중된 틈에 진군. 독일 수비대 철수, 입성 후 부다 더욱 요새화[164] 11월 25일 벨그라드 당도[165] 1605년 전방위적인 오스트리아 측 전서의 붕괴 가속화. 랄라 메흐메트 파샤, 독일 점령 하에 놓인 마지막 주요 오스만 거점인 에스테르곰 해방을 통해 합스부르크 측을 협상 테이블로 끌어내기로 결정[166] 성 토마스 언덕 = 테페델렌.[167] 1605년 2월 21일 트란실바니아 의회, 보치카이 대공 선출. 3월 총독 바스타를 브라티슬라바로 축출 후 랄라 메흐메트 파샤에게 노베잠키 점령에 있어 도움 요청. 보스니아 총독 휘스레브 파샤 파견됨. 11월 11일 페슈트 당도한 보치카이는 랄라 무스타파 파샤의 주재 하에 헝가리 왕관 받음[168] 전 너저카니자 베이이자 신임 루멜리아 총독 티르야키 하산 파샤, 노베잠키 점령 후 남하하며 1598년에 잃은 두 도시 수복한 것[169] 신성로마제국, 에스테르곰 상실 후 전의 상실. 오스만 제국 역시 페르시아 전선 집중 요망. 5월 14일 협상 개시[170] 아흐메트 1세와 대공 마티아스 간에 서명. 북헝가리 소유 명목으로 납부하던 금화 3만닢의 연공 폐지, 20만닢 일시불로 퉁침. 신성로마제국의 '카이사르' 인정, 바츠 할양 외에는 헝가리 국경 현상 유지. 크로아티아 전선의 페트린자, 모슬라비나, 차즈마 할양. 합스부르크 왕가가 헝가리 왕으로써 체결한 첫 조약. 1627년 갱신[171] 클루지나포카 항복, 10월 22일 의회에서 가보르 베틀렌 대공 선출. 오라데아에서 오스트리아 지원 기다리던 바토리 가보르는 10월 27일 살해됨[172] 사모스 부근, 시나리 파샤와 알렉산드리아 베이 마하메트 등 6백여 포로. 9월 27일 팔레르모 개선[173] 궁전에 있던 술탄 아흐메트 1세가 연기를 목도하고 경악, 반격하게 하나 격파됨[174] 궁전을 비우게 된 무라트 4세의 분노로 민간 선박까지 징발해 함대를 급조하자 철수한 것[175] 그중 1/4는 크림칸국, 왈라키아, 몰다비아 등 제후국 병력, 7월 12일 몰바비아의 야시 당도. 8월 27일 코사크 기병대 공격 받아 큰 피해 입었으나 전멸시킴. 31일 반격, 코사크와 폴란드 본군 분리해 섬멸하려 하나 실패[176] 당일 코사크 부분, 3일 주요 방어선 공격하고 재차 코사크 진영 총공격하나 실패하고 진지까지 밀려남. 4일 다시 코사크 진영 공격 실패, 폴란드 군의 반격으로 대포 일부 파괴됨. 7일 또다시 코사크 진영 공격하나 격퇴됨, 낮에 예니체리 부대가 잠든 폴란드 진영 기습해 수백 보병 살상하나 역시 밀려남. 다시 1만 대군으로 공격하나 시파히가 윙드 후사르에 분쇄됨, 30:500 교전비. 폴란드군, 10일 제안으로 12-13일 밤 야습 준비하나 장마로 철회. 그후 봉쇄하여 말려죽이기로 함. 14일 드네스트르 강에 가교 건설해 연락 차단, 15일 공격 역시 실패. 18일 코사크 군이 강변 진영 습격, 다수 전사. 21-22일 반복, 오릴리 후세인 파샤 막사 집중하여 포로될뻔. 24일 폴란드군 사령관 얀 카롤 코드키에비츠 과로사. 전날 위임받은 부관 루보미르스키, 약화된 수비대를 더 짧은 내벽으로 철수시킴. 오스만 군의 공세 실패, 28일 최후의 공세. 4만 손실, 오스만군 역시 식량 떨어져감. 오스만 2세, 수비대 측의 협상 요구 수용 (사실 호틴 수비대 화약 사실상 바닥난 상태)[177] 노가이의 칸 테미르의 사위 등도 포로 되고 노획물 대부분 상실[178] 폴란드 사령관 코네스폴스키, 카메니에크 포돌스키 요새화. 실리스트라 총독 아바지, 수천 타타르 보조병과 진군. 10월 중순 호틴 당도, 10월 20일 드네스트르 도하. 같은날 코네스폴스키와 충돌 ~ 21일까지. 22일 아바지가 공격하나 큰 손실과 격퇴됨. 폴란드 원군 / 조정의 명령 / 승산 없다 여김 중의 이유 중 하나로 철수[179] 4월 27일 에디르네 당도 후 상황 주시, 이라크 회복이 더 시급. 폴란드가 휴전 의사 내비치자 수용, 코스탄티니예 회군[180] 당시 러시아-폴란드 전쟁 중, 러시아 본토 심부에 대한 마지막 타타르 습격[181] 1636년 1만 포로, 마지막은 코즐로프 습격. 1636년[182] 술탄 이브라힘의 최후 통첩에 러시아가 굴복[183] 각각 1만, 6천 포로. 베네치아와의 전쟁에 있어 노꾼이 필요했던 포르테의 부추김에 의한 것이라고도[184] 일시적으로 크닌까지[185] 자다르 ~ 스플리트 사이[186] 술탄 지시, 세게드의 파샤 트란실바니아 공격. 6만 대군과 대포 60문, 2월 12일 동북 헝가리 하즈두 대표들이 모여 전쟁 결의[187] 중상 입고 6월 7일 오라데아에서 사망함. 7월 13 혹은 14일 오스만 구이 도시 포위. 8월 27 혹은 28일 항복[188] 모든 교회 파괴, 궁전 교회는 모스크 전환[189] 크로아티아의 반 미크로시 즈리니, 1661년 너저카니자 부근에 즈리니-우즈바르 (노비즈린) 성채 건설. 지속되는 크레타 전쟁에 오스만 재상 메흐메트 쾨프륄뤼 역시 베네치아 본토 공격 구상, 남부 헝가리-카린티아-프리울리 혹은 달마티아 루트 구상. 레오폴트 1세, 트란실바니아 개입 원치 않음, 1661년 트란실바니아 합병 가능성 보이자 빈, 죄르, 코마롬 보급 기지로 삼고 트란실바니아에 소수 병력 파견. 다만 여전히 양 제국은 최대한 전쟁 피하려 함[190] 노비즈린 파괴, 레오폴트 1세는 케메니 야노시 돕지 않을것. 코마롬에서 출정한 1만 5천의 독일군은 식량 부족으로 도중 8천 상실, 트란실바니아 진군 후에도 9월 18일 미하일 1세 아파피 등극 소식에 클루지나포카 포기하고 철수[191] 9월 14일 선출, 11월 20일 의회 승인[192] 시기쇼아라 부근. 그후로도 오스만 지휘관 쿠추크 메흐메트는 계속 주둔[193] 빈에 당도한 날짜. 독일군이 트란실바니아 일부 계속 주둔, 레오폴트 1세의 빈약함을 이유삼아 재상 쾨프륄뤼 파즐 아흐메트가 전쟁 추진. 모라비아, 체코, 슐레지엔 정복해 빈을 양면으로 압박할 계획. 또 1661년의 협정 당시 파괴된 즈리니-우즈바르가 재건된 것 역시 전쟁 구실. 브라티슬라바 제국 의회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역시 전쟁 준비, 용병들의 횡포에 헝가리 영주들이 코시체에 모여 분노 표출 후 빈에 사자 보내 오스만 측에 복속할 것이라 통보. 빈 조정은 프랑스의 오스만측 참전 여부를 두려워하며 우유부단, 12월 포르시아 공이 제국 지원금을 수비에만 쓰겠다며 반격 기류에 찬물 끼얹음. 12월 31일 코마롬 사령관 크리스토프 백작은 완전한 패배를 당할 것이기에 선전포고해선 안될 것이라 간언, 오스만 제국이 베네치아와 러시아를 공격하도록 협상해야 한다고 주장. 그럼에도 전쟁 준비 지속, 스페인과 교황청 도움 없이 헝가리 통합 돕기로 한 라인 연맹과 프랑스의 지원 수용.[194] 8만 오스만 군 진군, 7월 말에야 진군 가능. 노베 잠키 공격 결정, 강우 동안 오스트리아측 숨돌림. 그럼에도 머저로바르의 독일군은 기병 4300, 보병 1200, 경대포 24문에 불과. 한편 트란실바니아 군은 크림 칸국의 침공 위협을 받은 8월에야 오스만 진영 합류. 미하일 1세는 비밀리에 오스트리아와 협상, 개신교 자유 인정해주면 협력할 것을 시사 (다만 오스트리아 역시 페렌츠 라코치 옹립 고려함). 브라티슬라바가 전장이 될 것을 두려워한 레오폴트 1세는 왕관을 빈으로 옮기려 했지만 귀족들이 반대, 조정을 후방의 린츠로 옮길 것 역시 고려. 페렌츠 베셀레니, 16세 이상 장정 총 들 것을 요구[195] 에스테르곰에서 다뉴브 건너 북상, 노베 잠키 수비대가 응전해오자 격파. 2일 후 노베잠키 집결. 1만 2천-5천 독일군 준비되었지만 다른 영주들 응답 없고 감히 빈을 비우지 못함. 크로아티아의 즈리니는 9월 9일 1만 병력 모은 후 쾨세그 거쳐 브라티슬라바 건너편 루소프체 당도. 한편 9월 8일 파즐 아흐메트는 인접국에 술탄에게 복속할 것을 요구함[13] 혹은 25일이라고도. 원군이 10월 초 브라티슬라바 당도, 급 문제로 진군 못함. 프랑스 병력 지체, 독일-체코 농민들은 보급 명령에도 숲과 산으로 도주. 11월 10일 레오폴트 1세, 외부 원조 수용 결정 후 프랑스-스웨덴-영국-스페인 등지에 사절 파견. 12월 22일 레겐스부르크 향하여 제후들의 도움 호소. 다만 직접 이끌기 원함[197] 바츠 북쪽, 27일간 포위[198] 배치된 독일 용병대가 한달 이상 급료 체불되자 도시 헌납하고 본국 귀환한 것. 한편 오스만 군은 모라비아 습격. 2백만 플로린 배상금, 미하일 1세의 헝가리 왕 인정, 노비즈린 등의 성채 파괴 요구[199] 2만 5천에 달하는 크로아티아-헝가리-독일군과 진군[200] 그후 페치 방면 습격대 파견, 시지케트바르 부근 쉴레이만 1세의 가묘 파괴. 2월 15일, 프랑스-네덜란드-영국이 대오스만 동맹 결성. 루마니아와 러시아에도 접근.[201] 오라데아 총독 쿠추크 메흐메트 파샤가 레비체 향하는 독일군의 흐론 강 도하 막으려 한 것[202] 출정한 오라데아 수비대 전멸, 다만 라슬로 라코치 전사. 남은 수비대 굳건하여 독일군 철수[203] 파즐 아흐메트, 오시예크 다리 대신 배다리 건설한 후 드라바 강을 건너 6만 대군과 구원 나섬. 6월 11일 마인츠 대주교, 그만 싸우고 레오폴트의 대튀르크 전쟁 협력 지시[204] 즈리니의 요구에도 독일 군부는 식량, 지형 언급하며 돕지 않음. 오스만 군을 소진시키고 모으는 희생양 역할. 분노한 즈리니는 빈으로 회군, 파즐 아흐메트는 노비즈린 파괴한 후 너저카니자 주둔. 한편 빈 당도한 즈르니에 시민들은 6주간 축하해줌[205] 빈 조정은 프랑스 출신의 장 루이 드 수쉐에게 전군 통솔 맡김, 방어전 준비. 7월 22일 장 드 콜리니의 8천 프랑스 병력이 알프스 넘어 남서부 헝가리의 렌티에서 독일-헝가리군 합류 후 레바 강변 북상. 7월 23일 오스만 군이 바스 진입, 레바 강 따라 행군[206] 전선이 레바 강에 집중된 틈에 에스테르곰 총독 알리 파샤가 레비체, 니트라 수복 나섰으나 격퇴당하고 전사함. 이후 독일-헝가리 군은 8월 1일 슈투로보 진군하여 다리를 파괴함[207] 파즐 아흐메트 휘하의 선발대가 레바 강 도하 시도하나 우주방어에 실패, 프랑스 지휘관 장 드 콜리니 부상 입히긴 함[208] 7월 31일 남안의 오스만 군이 다리 건설, 1만 2천 선발대가 새벽에 건너 북안의 너지팔바 장악하며 개전. 수차례 연합군의 공격 버텼으나 예니체리 제외 병력이 약탈하던 틈에 프랑스 군이 공격해오자 무너짐. 한편 오스만 본군은 부족한 말먹이 모으며 다음날 개전 염두에 두느라 북안 돕지 않음. 게다가 금요일이라 열심히 싸울 마음 없음, 정오에야 증원됨. 참호 파며 다음날까지 버틸 준비, 콜리니가 철수하려 했으나 독일 사령관 볼프강이 루이 14세가 자신에게 지휘권 위임했다는 서신 보이며 무마시킴. 직속 상관 몬테쿠콜리의 저녁 철수 지시까지 거부, 1시에 초승달 모양으로 총공격. 오스만 군은 힘들게 버텼으나 전세가 불리해지자 파즐 아흐메트가 예니체리 부대를 다리 교두보 방어를 위해 철수시킴. 이에 남은 병력이 붕괴, 무질서한 후퇴. 프랑스 군의 추격과 사격으로 다수 사망, 홍수와 함께 다리까지 붕괴. 갑옷으로 수영 힘들고 수영 가능한 자도 못하는 자에 눌려 익사함. 가까스로 남안까지 간 이들도 집중 사격받아 학살됨. 7시간의 전투 끝에 약 2만여 오스만 군 전사. 부다 총독이자 메흐메트 4세의 매부인 이스마일 파샤 포함 35명의 아가-파샤 전사. 유럽 측은 약 4천 전사. 다만 홍수로 추격당하진 않음[209] 노비즈린 재건 금지, 노베잠키-니트라-레베치 영유 인정. 양측 모두 헝가리 독립 지원 않고, 그들의 준동 서로 알려줄 것을 합의. 프랑스 외에 오스트리아에도 오스만 제국 내의 무역 특권 줌. 다만 빈 조정은 이를 비밀에 부침, 그동안 루이 14세, 헝가리에 4천 추가 파병. 8월 16일 브라티슬라바 작전 회의, 전쟁 지속 주장. 8월 29일 미하일 1세, 승리 축하. 9월 27일에도 전략 회의 열려 향후 진로 논하나 휴전 알려지자 격노. 헝가리의 대실망, 유럽 전역 걸쳐 합스부르크 명성 추락. 한편 오스만 조는 협약 준수, 1670년 1월 즈리니 등 불만 품은 헝가리 귀족들이 반란 모의하며 지원 청하자 거절[210] 특히 1667년 10월 포다이체 전투에서 얀 3세 소비에스키에게 대패, 후자는 이듬해 2월 폴란드군 사령관 등극[211] 파즐 아흐메트 휘하 8만 대군[212] 10만 대군과 1천여 수비대. 8월 12일 접근, 14일 파즐 아흐메트 휘하 본군 당도하여 포격. 16일 후발대 당도, 20일 구 성채 탑의 화약고 명중해 폭발. 그후 공격하나 큰 피해와 격퇴됨, 계속 포격만 지속. 수비대는 구 성채로 물러남. 25일 구 성채의 탑 폭파, 공격하나 재차 격퇴됨. 다만 3차례 공격하며 압박[213] 27일이라고도. 30일 수비대 떠남, 9월 3일 파즐 아흐메트 입성해 성당 모스크 전환. 1만 수비대 주둔, 유대인 보호.[214] 5만 대군 vs 5백 수비대. 27일 성탑 중 하나 점령하나 다음날 격퇴됨, 지속된 포격으로 29일 틈 생김. 그러나 30일 협상[215] 무려 2만 2천 두카토, 한편 얀 소비에스키는 후사르와 10일 450km 를 누비며 4만 4천명을 구출함[216] 후사르의 진격에 시파히 붕괴, 혼란 초래. 후세인 파샤, 드네스트르 건너편으로 피신 명령하지만 연방군의 포격으로 유일한 다리가 파손된 탓에 오스만 군의 하중에 붕괴함. 3만 5천 수비대 중 수천만이 카미에니츠 당도. 그후 얀 소비에스키는 루마니아 일대 정복하려 했지만 승전 후 군대가 해산하여 카미에니츠 수복 나서지 못하고 수체아바, 호틴에 수비대 배치하는 것에 만족[217] 연방군은 저항하지 않고 철수[218] 서안 코사크의 헤트만 페트로 도로셴코는 여전히 오스만에 충성, 동안의 이반 사모일로비치는 러시아에 충성. 러시아-동안 코사크 군대는 도로셴코의 수도 키히린 포위[219] 9일간의 포위 끝에 함락한 우만에서 코사크-오스만 군은 남성 인구 학살하고 여성과 어린이 노예화함[220] 1675년 6월 말엽 이브라힘 시슈만 휘하 2만 군대가 르부프 진군, 7월 3만 크림 칸국군 합류. 얀 소비에스키 역시 르부프 남하해 주둔, 8월 22일 1만 타타르 군을 르부프 근교로 파견. 협곡에 갇혀 섬멸당함[221] 1만 병력, 루브프-케미아네츠 사이의 요충지. 1백 수비대와 2백 주민 결사항전, 르부프의 얀 소비에스키가 구원 준비[222] 이브라힘 시슈만과 기라이 1세 휘하 4만 오스만-크림 칸국군, 얀 소비에스키가 2만 대군과 반격 나섬[223] 타타르 군이 카루쉬 부근 약탈, 주라브노의 얀 소비에스키가 반격 나섰으나 타타르 군이 증원되어 철수. 이를 타타르 군이 공격하나 격퇴됨, 그후 폴란드 군은 3면이 강으로 보호받는 주라브노 요새화하고 주둔[224] 9월 26일 크림 칸국군, 28-29일 오스만 제국군 당도. 29일 얀 소비에스키가 강변으로 진영 옮기자 폴란드 군을 끌어내려 하나 실패, 포위 개시. 포격으로 큰 피해 입고 13일 밤에 일선 옛 방벽 버리고 진영 근처의 새 방벽으로 옮김. 도중 폴란드 포병대장 마르친 카지미에레즈 카트스키가 근교 성에서 옛 대포를 가져오게 하여 발사, 폴란드 군에 대포가 없다는 것을 알았던 이브라힘 시슈만은 원군 당도했다고 여겨 협상 개시 (포위측 역시 손실 큼)[225] 1만 기독교 포로 석방하고 포돌리아와 일부 루테니아 등 우크라이나 1/3의 지배권 공고히함. 다만 호틴 상실, 폴란드의 연공 백지화[226] 포르테는 유리 크멜니츠키를 헤트만으로 옹립, 4만 5천 대군 준비. 선발대와 타타르 군이 7월 30일 키히린 접근, 8월 3일 본대 당도. 10일 러시아군 출정, 24일 술라 강을 건너 진군. 오스만 군, 드네프르 건너편 부진에 교두보 마련하나 러시아-코사크 군이 습격해옴[227] 2만 상실, 9월 5일 러시아 군이 키히린 구원[228] 그랜드 와지르 카라 무스타파 휘하 12만 대군, 수비대는 1만 4천. 9일 카라 무스타파, 성채에 항복 요구. 저녁 드네프르 건너 성채로 향하던 2200의 원군을 격퇴, 20일부터 포격. (하루 최대 1천발) 22일 러시아-코사크 군이 부진 건넘, 다음날 2만 선발대가 포위망 공격해오자 격퇴. 25일 러시아 군의 공세에 밀리나 러시아 군이 원군 기다리며 고착화. 8월 5일 우크라이나 공 유리 크멜니츠키, 코사크 수비대에 항복 권유. 7일 외성의 교회 불 붙음, 4천의 러시아 원군 당도. 8일부터 특정 구역에 17문 집중 포격, 13일부터 틈에 3번 공격. 다른 곳에서 갱도 폭발로 성벽 붕괴, 맹공 하나 2시간 혈전 끝에 격퇴됨, 피해 살피던 장군 이반 레제프스키가 포탄 파편 맞아 전사[229] 드네프르 강변의 차스민 언덕. 10일 러시아 군, 오스만 선발대 격파하고 드네프르 도하. 11일 차스민 언덕의 오스만 진영 공격하나 혼란 빠져 패주. 13일 재차 공격해 1천 5백 잃었으나 3만 대군으로 밀어붙여 점령, 오스만 군은 다리 불사르고 후퇴. 러시아 측에 2명의 파샤 포함한 5백 병력 및 28문 대포 상실. 14일 러시아 군이 키히린 근교 주둔, 감히 응전하진 못하고 성채에 제한적 원군 보냄. 오스만 군, 재차 틈 벌려 공격하나 격퇴됨[230] 16-17일 러시아 군이 하류 방면 섬에 교두보 마련하나 격퇴. 오스만 진영 대한 포격도 효과 없음. 20일 성채로 1만 5천 보냄, 반격하나 무용. 21일 틈이 2개 증가, 오스만 군의 총공격. 코사크 부대의 분전으로 밀려나나 재차 공격, 차스민의 다리에서 러시아 군 격파. 수비대 혼비백산 하여 다리로 몰려들다가 무너져 다수 익사. 오스만 군은 시가지에 방화, 내성의 수비대 저항하나 22일 새벽 철수하며 화약고 발화해 진입한 4천 오스만 병력 폭사시킴. 22일 러시아 군이 수레를 두른 채로 드네프르 방면 철수, 추격 나섬, 23일 고지대 점령하고 러시아 군에 포격, 밀집된 탓에 모든 포탄에 살상. 24-26일 러시아 군이 고지대 공격하나 격퇴, 드네프르 건너편 코사크 병력 역시 공격하자 러시아 장교들 이탈 시도. 8월 31일 오스만 군이 키히린 파괴 후 철수, 9월 2일 소식 러시아 진영 닿음. 9월 6일 러시아 군 역시 철수[231] 주민 학살, 크멜니츠키의 부탁으로 교회에 피신한 70여 명은 살려줌[232] 1679년 1월 1일 러시아 특사가 코스탄티닝 당도, 2년간 협상 지연되다가 동맹 못찾은 러시아가 오스만 측 제안 수용[233] 러시아, 흑해 150km 거리 이지움 선 진출[234] 러시아는 크림 칸국에 사실상 조공, 코사크 인들의 권리 확대[235] 9월 26일 트란실바니아에서 모인 망명 귀족들 (쿠루크)은 케스마르키 퇴쾨이 임레를 지도자로 선출, 트란실바니아 대공 미하일 1세의 지원과 함께 상헝가리에서의 봉기 준비. 11월 27일 쿠루크 병력 헝가리 동부의 데렉스케에 집결시킴. 1678년 2월 16일 프랑스-트란실바니아의 추천으로 미할리 텔레키가 지휘관 되나 여전히 임레가 실권 지님. 터슈나드에서 트란실바니아 군과 합류, 6월 침공[236] 8월 초 센드르, 무란 요새 점령, 다만 텔레키와 트란실바니아 군의 프라쇼브 포위는 오스트리아의 원군 당도에 실패. 임레는 현지 슬로바키아 농민들과 침공 지속, 질리나-프레쇼브 사이 북부 일대와 흐론 강 유역 광산촌 점령. 10월 10일 반스카비스트리차 저항 없이 항복, 다만 11월 1일 지아르나트흐로놈에서 패한 후 광산촌 포기[237] 코시체 부근, 이로써 1680년 1월 8일 상헝가리의 단독 지도자로 선출됨[238] 8월 15일 케주마로크 점령, 레보차 포위 실패. 11월 15일 오스트리아와 휴전[239] 휴전 후 비노라디브, 베레호베 (둘다 우크라이나), 사투 마레 (루마니아)에서 월동. 1681년 4월 28일 레오폴트 1세, 쇼프론 의회 소집, 개신교 문제를 논의하지 않아서 쿠루크 측은 참가 거부. 5월 30일 부다의 이브라힘 파샤가 그랜드 와지르의 협력 제안 전달, 휴전 파기. (4월에 이미 지시한대로) 8월 말 트란실바니아 대공 미하일 1세가 출정[240] 트란실바니아 + 오라데아 파샤 휘하 오스만 병력, 1만 정도. 다만 티서 강 유역 습격한 후 회군, 11월 13일 오스트리아와 재차 휴전. 12월 평화 협상, 지지부진 되자 1682년 1월 코스탄티니예 사절 파견. 포르테는 2년 내로 헝가리 왕국 수복해 돌려주겠다고 약속. (퇴쾨이에는 헝가리 국왕 혹은 트란실바니아 대공 약속) 바스바르 조약 연장하려 와있던 오스트리아 대사에게 지나친 요구하며 근래의 원정 준비. 6월 24일 퇴쾨이, 오스트리아와의 협상 중단.[241] 7월 말 부다의 이브라힘 파샤 휘하 3만 대군, 8월 초 미하일 1세의 8천 병력 출정. 도중 오노드 점령, 파괴[242] 그후 쿠루크 군대는 바흐 강 유역에서 오스ㅌ리아 군과 싸우고 이브라힘 파샤는 노베잠키 향함. 10월부터 광산촌에서 자금 조달, 오스만 제국에 매년 4만 탈러 연공[243] 광산촌 오스트리아에 돌려주었으나 5만 포린트의 수익 중 3천을 매년 상헝가리에 줌,그후 퇴쾨이는 오스트리아-오스만 중재[244] 베네치아 견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