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7-28 11:24:16

아카바


1. 아랍과 이스라엘의 만2. 요르단의 도시
2.1. 역사
3. 일본의 성씨
3.1. 실존 인물3.2. 가상 인물
4. AK-47의 옛 표현

1. 아랍과 이스라엘의 만

아카바만 참조

2. 요르단의 도시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45deg, #cf0921 10%, #fff 10%, #fff 11%, #cf0921 11%, #cf0921 21%, transparent 21%), linear-gradient(to bottom, #000 10%, #FFF 10%, #FFF 90%, #007b3b 90%)"
아카바
العَقبة
Aqaba
파일:아카바 요르단 1.jpg
아랍 반란을 기념하는 헤자즈 왕국 깃발
국가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아카바 주
면적375km²
인구95,048[1]
시간대UTC+02:00(서머타임 적용)

아카바 만에 접한 요르단의 유일한 항구도시. 이스라엘에일라트와 마주보고 있으며, 수도 암만에서 남서쪽에 있다. 1925년 하심 가문이 다스리던 헤자즈 왕국을 병합한 사우드 가문이 영국과의 평화협정으로 아카바를 포기하면서 요르단의 전신인 트란스요르단 땅이 되었고, 덕분에 요르단은 내륙국 신세를 간신히 면했다. 이후 1965년 사우디아라비아와의 영토 교환으로 내륙의 사막 지역을 내어주고 (심지어 석유가 있는 땅이었다.) 아카바 인근의 해안 지역을 얻어내면서 해안선이 늘어났다. 킹 후세인 국제공항의 소재지이기도 하다.

생각보다 아카바는 중동에서 중요한 지역으로 들어가는데 이집트,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사우디아라비아를 갈 수 있는 전략적 요충지다. 만약 전쟁이 일어난다면 반드시 여길 지나가야 하므로 항구가 없더라도 요르단에선 매우 중요하게 여기는 지역이다. 세 나라 전부 육로와 항로가 연결되어 있고 당연히 출국심사대도 3개가 존재하고 있는 유일한 도시이다. 그만큼 보안도 엄격하며 다양한 국가 사람들이 모여 있다.

2.1. 역사

파일:아카바 요르단.jpg
아카바 교회 유적
파일:요르단 아카바 1.jpg
이슬람 제국기 도시 유적

성경에 엘라스로 등장할 만큼 유서 깊은 도시로, 로마 제국 시대에는 아엘라로 불렸으며 제9군단이 주둔하였다(후일 예루살렘으로 이동). 서기 300년 경에는 기독교 역사상 최초로 처음부터 교회 목적의 건물이 세워졌다. 기존 교회들은 다신교 신전을 개조한 것이었다. 다만 이는 363년 지진으로 파괴된 후 복구되지 못하였다. 이러한 영향 때문인지 아카바에는 지금도 5천여 기독교도들이 살고 있다. 전체 인구는 15만여 명이다. 이슬람 정복 후 아랍인들은 기존 성벽 밖에 새 도시 아일라(آيلا‎)를 건설하였다. 메카 순례객들과 인도양을 오가는 상인들이 거쳐가던 도시는 천일야화에도 몇 차례 등장한다. 1116년 예루살렘 왕국의 군주 보두앵 1세가 도시를 점령하고 헬림 성채를 건설하였다. 나중에 르노 드 샤티용이 이곳을 차지하여 메카 성지순례객들을 상대로 해적질을 하였으나 결과적으로 살라딘의 동생 알 아딜의 반격으로 개발살난다. 1187년 살라흐 앗 딘이 아카바를 점령하였다.

파일:아카바 요르단 2.jpg
아카바 성채. 십자군 전쟁기~오스만 시대에 사용되었다.

1332년에는 맘루크 왕조의 술탄 앗 나시르 무함마드카라크에 주둔하던 아들 아흐마드와 아부 바크르, 아나크를 이곳으로 불러들인 후 함께 메카 순례에 나서려 하였으나 변심하여 그들을 돌려보내기도 하였다. 한편 십자군 전쟁 이후 방치되던 아카바 성채는 16세기 홍해에 출몰하던 포르투갈에 대적하려 노력하던 맘루크 술탄 깐수 알 구리에 의해 재건되었고, 이어진 오스만 제국기에 수비대가 주둔하였다.

아라비아의 로렌스로 유명한 아랍 반란에서 로렌스와 아랍 연합군이 가장 먼저 점령하는 도시도 여기로, 1917년 아랍 봉기군은 오스만 수비대를 습격하고 아카바를 장악하며 시리아 진격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이후 헤자즈 왕국에 포함되었는데, 헤자즈 왕국이 1925년 사우디아라비아에게 멸망하고 수년이 지나 1965년 요르단과의 국경 조약으로 아카바 지역은 구 헤자즈 왕국령 중 유일하게 하심 왕가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2022년 6월 27일에 아카바 항구에서 유독가스[2]가 유출돼 10명이 사망하고 251명이 부상당했다.#

3. 일본의 성씨

赤羽 등의 표기가 존재한다.

3.1. 실존 인물

3.2. 가상 인물

4. AK-47의 옛 표현

60년대~80년대에 군생활하면서 적성화기 교육을 받으셨거나 방위산업체에 몸을 담구셨던 분들은 AK 소총을 "아카바 소총" 또는 "아카바 보총" 이라고 지칭하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
어원은 AK소총의 풀네임인 Автома́т Кала́шникова에서 따온것으로 추정된다.

[1] 통계인구, 2021년 기준.[2] 그중 염소가 함유된 가스다.[3] 이쪽은 코드네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