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auto" | <tablebordercolor=#321a88,#8f77e5><tablealign=center> | 안산시 |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color=#fff> 광역급행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0%" | |
직행좌석 | |||
일반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0%"{{{#!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0%" | ||
''' {{{#ddd,#44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currentcolor" ''' | |||
경기도 시내버스 목록 |
태화상운 시절. | 직행좌석버스 전환 후 |
1. 노선 정보
| |||||
| |||||
기점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시동(경인합섬앞) | 종점 |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매산로1가(수원역) | ||
종점행 | 첫차 | 04:30 | 기점행 | 첫차 | 05:40 |
막차 | 19:50[1] | 막차 | 21:10[2] | ||
배차간격 | 180분(일 6회) | ||||
운수사명 | 경원여객 | 인가대수 | 1대 | ||
노선[3] | 경인합섬앞/계양전기 - 원시역 - 안산스마트허브경기행복주택/다다산업 - 안산역(도로변) - 원곡동행정복지센터 - 군자시장 - 원곡초등학교 - 벽산아파트 - 푸르지오에코/초지두산위브아파트 - 푸르지오메트로/푸르지오파트.시민시장 - 단원구청.단원보건소 - 안산문화예술의전당 - 자유센터 - 안산시청 - 힐스테이트중앙아파트/중앙주공5단지 - 센트럴푸르지오/중앙초등학교 - 스타프라자 - 한양대입구 - 상록수역 - 수인로 - 수원역 |
2. 개요
경원여객에서 운행하는 직행좌석버스 노선. 전체 정류장 목록3. 역사
- 2019년 6월 12일에 707-1번 신설로 인해 4대가 감차되었다.
- 2021년 3월 30일에 707-1번과 함께 운행업체가 태화상운에서 경원여객으로 이관되었다.
운행구간 | 정류장 |
반월공단↔안산역 | 경인합섬, 원시역, 한국에보트, 안산역 |
안산역↔스타프라자 | 전체 정류소 정차(기존와 동일) |
스타프라자↔수원역 | 한양대입구, 상록수역 |
4. 특징
- 110번, 909번과 더불어 수요가 넘치는 노선이었다. 특히 출퇴근 시간에 수원역이나 상록수역에서 앞문만 열리면 사람들이 엄청 많이 탄다. 덕분에 배차 간격도 촘촘한 편이다. 하지만 가끔 배차가 꼬이면 세 노선 모두 10분이 한참 지나도 안 올 때가 있다. 세 노선이 한 번에 오거나 줄줄이 오는 경우도 흔하게 볼 수 있다.
- 하지만 2020년이 되면서 수요가 급격히 줄어들기 시작했다.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전 구간이 개통하면서 예전의 피터지던 경쟁은 사라지고 세 노선이 통합 20분 간격은 기본이 되었다. 거기에 코로나 19라는 악재까지 겹치면서 경원여객의 태화상운 인수 후에는 아예 1대 운행이라는 막장을 달리고 있다. 이로 인해 707-1번과 마찬가지로 운이 좋게 타는 노선 정도가 되어 버렸다.
- 일반좌석버스 시절에는 서수원시외버스터미널~상록수역 구간에 정류장이 몇 개 있었는데 예전에는 무정차했다. 덕분에 엄청난 스피드와 시너지를 이뤄 수원역~상록수역을 '10분도 안 되어' 주파하던 적도 있었으나 무정차 통과 지역인 반월동, 사동, 당수동 주민들의 민원 폭주로 인해 정차하게 되었었다. 직행좌석버스 전환 이후에는 다시 무정차하면서 10분컷을 볼 수 있게 되었다.
- 안산시 시내버스 중 첫차가 가장 이른 노선이다. 04시 30분으로 1회만 운행하는 66번보다도 10분이 빠르다. 추가로 반대편에서는 909번이 707번과 같은 시간에 수원역에서 출발하다보니 사실상 양방향 출발 노선인 셈.
4.1. 시간표
시간표 공지 이미지 출처4.2. 사고
2012년 11월 16일 밤 10시 24분 경 수원역으로 향하던 707번 버스가 수인산업도로의 북고개 커브 구간에서 과속 및 추월을 시도하다 빗길에 미끄러지며 전복하는 사고가 발생하여 1명 사망, 2명 중상, 기사를 포함한 17명이 경상을 입었다. #대부분의 탑승객들이 경상을 입은 것 외에도 버스가 빗길에 미끄러지면서 인근 가로등에 좌측을 들이받는 바람에 그 주변에서 사망자와 중상자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불행 중 다행으로 사고 발생 시각이 평일 퇴근 시간대를 지난 늦은 밤이었던지라 더 큰 인명피해로 번지지 않았지만, 사망자가 나온 것만으로도 이미 충분한 대형사고이다. 만약 퇴근 시간대에 입석 승객까지 넘치는 상황에서 이런 사고가 났다면 더 심각한 상황이 되었을것이다.
2014년 3월 25일에는 북고개삼거리에서 안산행 버스가 추돌사고를 냈다. 707번이 좌회전을 하던 중 직진하던 승용차와 정면으로 충돌했다. 버스와 승용차 둘 다 신호를 위반한 것으로 추정된다.
2016년 8월 6일에는 와스타디움 인근에서 정차중이던 버스를 달려오던 909번이 추돌했다.[6]
5. 연계 철도역
수도권 전철 1호선 : 수원역
수도권 전철 4호선 : 안산역, 초지역[초지역], 상록수역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안산역, 초지역[초지역], 수원역
수도권 전철 서해선 : 원시역, 초지역[초지역]
- 일반 철도역 : 수원역(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등)
6. 둘러보기
| |
<colbgcolor=#aaa><colcolor=#000> 일반시내버스 | 11광교-수원역-상록수역-반월공단 |
수원역 출발 - 상록수역 | 110선부동 707반월공단 707-1신안산대 909안산역 |
(의왕TG) - 대명고 - 상록수역 | 700-1 강남역 3102강남역 8147동서울TR |
수원터미널 출발, 인천광역시 방면 | 8851숭의역 |
기타 노선 | 1004-1대부도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00><colcolor=#fff> | <colcolor=#fff><colbgcolor=#f00>광주시[미] | 3200[통] ···· |
김포시 | · 9008[통] | ||
성남시 | ···· | ||
수원시 | ······· | ||
안산시 | · 300[관] ·· | ||
파주시[관] | ·· | ||
화성시 | ··· | ||
기타 | · | ||
[관] 주말 관광노선 / [미] 광주시 미경유 / [통] 서울시를 경유하나 정류장이 없는 경우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f00> | <colcolor=#fff><colbgcolor=#f00>가평군 | ·· |
고양시 | 1000[2] ··· | ||
광주시 | · | ||
김포시 | · | ||
수원시 | ··· | ||
안산시 | · 300[주] ···· | ||
용인시 | ·· | ||
파주시 | 7500[주] ·7700[주] ·7701[주] ···9710-1[2] | ||
기타 | ·· | ||
[2] 2층버스 운행 노선 / [주] 주말에만 운행, 2층버스 운행 노선 이 틀에 기재된 노선은 입석금지 제도 적용을 받지 않아 합법적으로 입석 승차가 가능하나, 업체 재량으로 입석 승차가 불가능할 수 있음. |
[1] GBIS 인가 상으로는 04:50 ~ 22:50[2] GBIS 인가 상으로는 05:40 ~ 23:50[3] 기재된 정류장만 정차하며, 그 외의 중간 정류장들은 모두 통과한다.[4] 시외버스들이 정차하는 웃거리, 서수원터미널, 대명고등학교, 서원호텔입구(푸른마을4단지), 삼태기길입구(푸르지오2차) 정류장마저 모두 통과하여 정차 정류장이 대폭 감소됐으며 특히 수원역~상록수역 구간은 아예 직통이 됐다.[5] 탄 사람들은 알겠지만 이 707번이 수원역-상록수역 707초(11분 47초)라는 말이 돌 정도다. 지정속도대로 가면 아무리 자가용이더라도 15~20분은 걸린다. 더 심하면 10분 이내로도 컷이 된다.[6] 기사에서는 시외버스라고 보도했는데, 737번과 혼동한 것으로 보인다.[초지역] 푸르지오메트로 하차 후 도보[초지역] [초지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