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5 17:28:24

스헬더 전투


<colkeepall> 제2차 세계 대전의 전투 목록​|​유럽/아프리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0.92em; letter-spacing: -0.3px"
※문서가 생성된 전투만 기재
둘러보기 : 아시아 및 태평양 전선 전투목록
<rowcolor=#fff> 전투 이름 교전 국가 및 세력
<rowcolor=#FFF> 공격 측 방어 측
<nopad> 1939년
<colbgcolor=#b31c31> 폴란드 침공
베스테르플라테 전투
단치히 우체국 방어전
바르샤바 전투
비츠나 전투
브주라 전투
코츠크 전투
겨울전쟁
수오무살미 전투
콜라 전투
<nopad> 1940년
가짜 전쟁
노르웨이 침공
프랑스 침공
아라스 전차전
됭케르크 철수작전
이탈리아의 프랑스 침공
북아프리카 전역
몰타 항공전
캐터펄트 작전
칼라브리아 해전
영국 본토 항공전
독수리의 날
동아프리카 전역
유고슬라비아 침공
그리스 침공
타란토 공습
<nopad> 1941년
마타판곶 해전
라인 연습 작전
크레타 섬 전투
시리아-레바논 전역
바르바로사 작전(독소전쟁)
브레스트 요새 방어전
발트해 전역
브로디 전투
비아위스토크-민스크 전투
계속전쟁
은색 여우 작전
뮌헨 작전
제1차 스몰렌스크 전투
우만 전투
모스크바 폭격
제1차 키예프 전투
페르시아 침공
레닌그라드 공방전
뱌지마-브랸스크 포위전
모스크바 공방전
툴라 전투
세바스토폴 공방전
로스토프 전투
알렉산드리아 습격
<nopad> 1942년
류반 공세
르제프 전투
데미얀스크 전투
영불 해협 돌파작전
마다가스카르 전투
제2차 하리코프 공방전
류반 구원 작전
빌헬름 작전
프리데리쿠스 작전
청색 작전
보로네시 전투
엘 알라메인 전투
PQ-17 호송선단 전투
자이들리츠 작전
칼라치 전투
제1차 르제프-시쵸브카 공세
비르벨빈트 작전
디에프 상륙 작전
스탈린그라드 전투
횃불 작전
튀니지 전투
천왕성 작전
벨리키예루키 전투
화성 작전
겨울폭풍 작전
바렌츠 해 해전
<nopad> 1943년
북캅카스 공세
콜초 작전
이스크라 작전
보로네시-하리코프 공세
스카쵸크 작전
제3차 하리코프 공방전
쿠르스크 전투
연합군의 시칠리아 침공
쿠투조프 작전
제1차 돈바스 공세
므가 공세
플로이에슈티 공습
제4차 하리코프 공방전
제2차 스몰렌스크 전투
브랸스크 공세
드네프르 강 전투
도데카니사 전투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무솔리니 구출 작전
슈바인푸르트 공습
제2차 키예프 전투
드네프르-카르파티아 공세
노스케이프 해전
<nopad> 1944년
칼린코비치-모지리 공세
몬테카시노 전투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코르순-체르카시 포위전
안치오 상륙 작전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나르바 전투
비텝스크 공세
논쟁 작전
로가체프-즐로빈 공세
카메네츠-포돌츠크 포위전
크림 반도 공세
노르망디 상륙작전
빌레르보카쥬 전투
비보르크-페트로자보츠크 공세
바그라티온 작전
레지차-드빈스크 공세
프스코프-오스트로프 공세
리보프-산도미에시 작전
루블린-브레스트 작전
타넨베르크 선 전투
바르샤바 봉기
타르투 공세
코브라 작전
팔레즈 포위전
용기병 작전
도펠코프 작전
제2차 야시-키시네프 공세
슬로바키아 민족봉기
파일:체코 국기.svg 슬로바키아 봉기군
동부 카르파티아 공세
발트해 공세
라플란드 전쟁
베오그라드 공세
휘르트겐 숲 전투
마켓 가든 작전
아헨 전투
스헬더 전투
데브레첸 전투
페차모-키르케네스 공세
판처파우스트 작전
굼비넨 작전
벌지 전투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임시정부
부다페스트 공방전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헝가리 국민단결정부
<nopad> 1945년
보덴플라테 작전
비스와-오데르 대공세
동프로이센 공세
한니발 작전
하부 슐레지엔 공세
드레스덴 공습
남풍 작전
봄의 새싹 작전
모라바-오스트라바 공세
상부 슐레지엔 공세
연합군의 독일 본토 침공
텍셀 봉기
파일:Georgische_Legion.png 조지아 군단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저항군
삼란드 공세
베를린 공방전
오드자크 전투 파일: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 깃발.svg 유고슬라비아 연방 인민공화국
이터 성 전투 파일:슈츠슈타펠 깃발.svg 항전파 무장친위대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저항군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VIP
프라하 봉기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저항군
※시기 구분은 전투 및 교전 발생 일자 기준, 전투 기간은 개별 문서 확인
}}}}}}}}} ||
스헬더 전투
Battle of the Scheldt
파일:스헬더 전투 지도.jpg
스헬더 전투의 전개도
장소
네덜란드 제일란트, 벨기에 북부
기간
1944년 10월 2일 ~ 11월 8일
교전국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캐나다 자치령|{{{#!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921-1957).svg|width=24]]}}} {{{#!if 출력 == null
캐나다 자치령}}}{{{#!if 출력 != null
}}}}}}]]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폴란드 제2공화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width=24]]}}} {{{#!if 출력 == null
폴란드 제2공화국}}}{{{#!if 출력 != null
}}}}}}]]



지휘관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가이 시먼즈|{{{#!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가이 시먼즈}}}{{{#!if 출력 != null
}}}}}}]]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해리 크레러|{{{#!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해리 크레러}}}{{{#!if 출력 != null
}}}}}}]]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버나드 로 몽고메리|{{{#!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버나드 로 몽고메리}}}{{{#!if 출력 != null
}}}}}}]]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버트럼 램지|{{{#!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버트럼 램지}}}{{{#!if 출력 != null
}}}}}}]]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문서명}}}{{{#!if 출력 != null
}}}}}}]]
구스타프아돌프 폰 잔겐
결과
연합군의 승리
연합군이 안트베르펜을 통한 원활한 보급이 가능해짐
전력 45만 명 이상 23만 명
피해규모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캐나다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캐나다군}}}{{{#!if 출력 != null
}}}}}}]]

사상자 6,367명
총합
사상자 20,873명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독일 국방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독일 국방군}}}{{{#!if 출력 != null
}}}}}}]]

사상자 약 10,000~13,000여명
포로 41,043명

1. 개요2. 배경
2.1. 연합군의 준비2.2. 독일군의 상황2.3. 공세계획
3. 전개
3.1. 남베벨란트 진입로 확보3.2. 스위치백 작전3.3. 바이탈리티 작전3.4. 인패튜에이트 작전

1. 개요

파일:스헬더도하.jpg
<rowcolor=white> 캐나다군을 태우고 스헬더강을 가로지르는 LVT들, 1944년, 제일란트
스헬더 전투는 연합군의 보급을 위해 북해안트베르펜 사이의 스헬더강을 확보하기 위한 작전이었다. 1944년 10월 2일 부터 11월 8일까지 벨기에 북부와 네덜란드 남서부의 스헬더 강 부근에서 벌어졌다. 이 전투는 영국폴란드의 지원을 받은 캐나다군이 수행했다.

이 전투에서 승리로 스헬더 강에서 독일군의 위협이 사라지자 안트베르펜 항구로 연합군의 막대한 물자가 쏟아져 들어오며 연합군이 독일로 성공적으로 진격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2. 배경

노르망디 상륙작전의 성공 이후, 연합군은 프랑스 북부 해안의 보급로에서 멀리 떨어진 저지대 국가들을 향해 빠르게 진격하기 시작했다. 1944년 가을 무렵, 셰르부르와 같은 점령된 항구들은 전선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 보급로가 늘어지고 심각한 병참 문제를 야기했다.

안트베르펜은 내륙 항구지만, 스헬더 강을 통해 북해와 연결되어 있어 원양 선박의 통행이 가능했다. 독일군은 스헬더강 하구의 발헤렌 반도를 요세화하여 공습을 견딜 수 있는 견고한 진지를 구축하고 강으로의 접근을 통제했다. 이로인해 연합군의 기뢰제거 부대가 지뢰를 제거하고 강을 확보하는 것이 불가능했다.

2.1. 연합군의 준비

9월 5일, 연합원정군 최고사령부(SHAEF)의 해군 사령관 버트럼 램지 제독은 제21군단 사령관 버나드 몽고메리 장군에게 스헬더강을 최우선 순위로 삼으라고 조언했다. 같은 날, 울트라의 정보 덕분에 몽고메리는 히틀러가 무슨 희생을 치르더라도 스헬더강을 사수하려는 것을 알았다. 하지만 몽고메리는 9월 말에 시작되는 한 작전을 준비하는 데에만 집중했다. 연합군 고위 지도자들중 램지 제독만이 독일을 침공할때 안트베르펜이 중요하다고 생각했었다.

9월 9일, 몽고메리는 앨런 브룩 제국총참모장에게 편지를 써서 "파드칼레 항구 하나"가 프랑스에 주둔한 미군은 아니더라도 제21군단의 보급을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3일 전인 9월 6일, 몽고메리는 캐나다의 해리 크레러 장군에게 제21군단의 보급을 충족시킬 수 있을만한, 볼로뉴쉬르메르를 점령하는 것을 우선시 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몽고메리의 견해는 아이젠하워가 제21군단의 독일 침공 계획을 지지하도록 했지만, 안트베르펜을 사용하면 모든 연합군이 독일 본토 침공에 필요한 보급품을 충분히 받을 수 있었다.

이러한 요인들로 9월 동안 안트베르펜은 연합군의 관심 밖에 있었다. 9월 12일과 13일 사이에 몽고메리는 불로뉴, 칼레, 덩케르크를 점령한 후, 캐나다 제1군에게 스헬더 강을 정리하라고 명령했다. 해리 크레러 장군은 병력부족으로 이를 거절하였고, 몽고메리에게 닐 리치 장군이 지휘하는 영국 제12군단을 스헬더 강에 투입해달라는 요청을 했지만 몽고메리는 이를 거절했다.[1]

램지 제독이 조언 한대로 몽고메리가 이때 스헬더강을 확보했더라면 안트베르펜을 통해 훨씬 더 수월하게 연합군의 보급품을 들여올 수 있었고, 독일 제15군이 프랑스에서 탈출하는 것을 막을 수 있었다. 이로인해 독일 제15군은 몽고메리의 삽질로 번 시간으로 병력을 방어적으로 배치하고 더 쉽게 공격에 대응할 수 있었다.

2.2. 독일군의 상황

발헤렌 반도의 수비군들은 빌헬름 다저 장군이 지휘하는 해군 병력들과 육군 병력이 혼재되어 있었다. 이 수비군들은 제202해안포병대대, 제810해군대공포대대, 제89요새연대, 제70보병사단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포티튜드 작전의 일환으로, 연합군은 독일 국방군을 속여 노르망디가 아닌 칼레에 상륙할 것이라고 오판하게 했다. 이에따라 독일 국방군은 파드칼레에 있는 제15군을 증원하여 스헬더 강 하구 근처에 규모의 병력들과 물자를 지원했다.

히틀러는 1944년 9월, 안트베르펜 탈환을 목표로한 아르덴 대공세 계획을 수립하도록 명령했다. 히틀러는 스헬더강을 무조건 사수하라고 하며 발헤렌 섬의 요새들을 발헤렌 요새로 불렀다.

발헤렌은 독일군 전선의 최우측에 있었고 독일군이 아르덴 공세에 집중하고 다른 지역에서 발생한 손실을 보충하는 동안 보급이 차단되었다. 그러나 네덜란드 시골의 평평한 지형은 방어에 유리했고, 이는 제15군의 줄어든 병력을 보완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게르트 폰 룬트슈테트 원수는 구스타프아돌프 폰 잔겐 장군에게 "안트베르펜 항구를 이용하기 위해 스헬더강 서부를 점령하려는 적의 시도는 최대한 저항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2.3. 공세계획

9월부터 램지 제독은 발헤렌 반도 공격 계획에 깊이 관여하고 있었다. 그는 노르망디에서 캐나다의 제3사단과 제7여단을 상륙시켰던 영국 해군토니 퍼그슬리 대위를 캐나다 제1군 사령부에 임명하며 준비에 착수했다.

몽고메리는 이전에 점령한 항구를 먼저 정리하라고 명령했지만 안트베르펜의 중요성 때문에 덩케르크 점령을 지연시킬수 있다고 결정했다. 가이 시먼즈 중장의 임시 지휘 하에 캐나다 제1군은 영국 제1군단, 캐나다 제2보병사단, 캐나다 제2군단으로 보충되었고, 폴란드 제1기갑사단, 영국 제49보병사단, 영국 제52보병사단이 배속되었다. 영국 제51보병사단은 전투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송을 포기해야 했다. 몽고메리는 "해당 날짜에" 독일군 요새를 공격하는 데 있어 영국 공군 폭격기 사령부와 미 공군 제8항공군의 지원을 약속했다.

스헬더강 어귀 확보 계획에는 험난한 지형에서 수행되는 4가지 주요 작전이 있는데,
  • 안트베르펜 북쪽 지역을 정리하고 남베벨란트 반도로의 진입로 확보
  • 레오폴드 운하 북쪽과 스헬더강 서부 남쪽의 브레스켄스 포위망을 정리하는 스위치백 작전
  • 스헬더강 서쪽, 발헤렌 반도의 동쪽에 있는 남베벨란트 반도를 점령하는 바이탈리티 작전
  • 발헤렌 반도를 점령하는 인패튜에이트 작전
이 포함되었다. 첫번째 공격은 9월 13일에 일어났다. 캐나다 제4기갑사단이 단독으로 레오폴드 운하를 습격하려다 큰 피해를 입고 퇴각했고, 캐나다 제2군단을 지휘하던 시먼즈 장군은 프랑스 해협 항구들이 점령 될 때까지 스헬더에서의 작전을 중지시켰고, 스헬더강에는 1개 이상의 사단이 필요할 것이라고 보고한다. 반면, 독일 제15군은 캐나다군의 공격이 중지되자 스헬더강의 강둑에 있는 새로운 기지를 방어할 충분한 시간을 확보한다.

스위치백 작전은 9월 21일, 캐나다 제4기갑사단이 헨트-테르노이젠 운하를 따라 북쪽으로 이동하면서 개시되었다. 제4기갑사단은 네덜란드의 브레스켄스 마을 주변 스헬더강 남쪽 해안의 브레스켄스 포위망을 정리하는 임무를 맡았다. 폴란드 제1기갑사단은 동시에 동쪽으로 네덜란드-안트베르펜 북쪽의 요충지를 향해 진격했다. 캐나다 제4기갑사단은 뫼르브뤼헤의 헨트-브뤼헤 운하를 건너 어렵게 확보한 교두보를 출발해 레오폴드 운하와 스히프동크 운하의 이중 방어선이라는 강력한 적을 만난 연합군 최초의 부대가 되었다. 뫼르케르케 인근에서 공격이 시작되어 교두보를 확보했지만, 반격으로 인해 큰 피해를 입고 철수했다. 폴란드 제1기갑사단은 헨트에서 북동쪽으로 진격하면서 동쪽으로 큰 성공을 거둔다. 제1기갑사단은 기갑부대가 진입하기 어려운 지형과 강해지는 독일군의 저항에 맞서, 9월 20일에 해안으로 진격해 테르노이젠을 점령하고 스헬더 강의 남쪽 기슭을 정리하며 안트베르펜으로 진격했다. 시먼즈 장군은 제브뤼헤에서 브라크만 만까지, 내륙으로 레오폴드 운하까지 뻗어있는 브레스켄스 돌출부는 독일군에 의해 강력하게 유지되고 있었기 때문에 스헬더 강에서 더 이상의 이익을 얻으려면 막대한 비용이 들 것이라는 걸 깨달았다.

10월에 몽고메리는 캐나다 제1군에서 영국 제51하이랜드보병사단과 폴란드 제1사단, 영국 제49보병사, 캐나다 제2기갑여단을 분리해 영국 제2군이 노르트브라반트를 해방하고 아른험 돌출부를 확장하기 위한 공세인 훼전트 작전에 참여 할 수 있도록 도왔다.시먼즈 장군은 스헬더 전투를 자신의 능력에 대한 실험이자 극복해야만 할 도전으로 여겼으며 방어에 유리한 지형에서 견고화된 방어선을 가진 독일 제15군을 상대해야 했음에도 불구하고 제2군단의 3개 사단만으로 스헬더를 정리 할 수 있을거라고 믿었다. 시먼즈 장군은 인력, 탄약, 공중지원이 부족하다는 점에 대해 불평하지 않았다.

3. 전개

3.1. 남베벨란트 진입로 확보

파일:LVT행렬.jpg
<rowcolor=white> 1944년 10월, 스헬더 강에서 테라핀 수륙양용차량(사진 왼쪽)을 지나가는 LVT행렬(오른쪽)
10월 2일, 캐나다 제2사단이 안트베르펜에서 북쪽으로 진군을 시작했다. 10월 6일, 첫번째 목표였던 보엔스드레흐트에서 격렬한 전투가 벌어졌다. 독일군은 제85보병사단의 분견대인 "칠 전투단(Kampfgruppe Chill)"의 지원을 받으며 보엔스드레흐트를 사수하고 남베벨란트와 발헤렌 섬으로 가는 직접적인 진입로를 통제하는 것을 최우선 목표로 삼았다.

캐나다군이 개활하고 침수된 땅을 공격하면서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고, 폭우, 부비트랩, 지뢰로 인해 진격에 어려움을 겪었다. 10월 7일, 짙은 안개 속에서 공격에 나선 캐나다 10연대는 독일군의 맹렬한 포격을 받았다. 캐나다의 메종뇌브 연대는 목표 지점에서 910m 떨어진 곳에서 진격을 멈췄고, 다음 날엔 블랙 워치 연대가 진격을 멈췄다. 10월 9일에는 독일군이 반격하여 캐나다군들을 밀어냈다.

연합군 원정군 최고사령부로 돌아온 램지 제독은 캐나다군 장교들보다 캐나다군이 직면한 문제에 더 큰 우려를 품었다. 램지는 연합군 최고사령관인 아이젠하워에게 몽고메리가 아른험 돌출부에만 신경을 써서 캐나다군이 탄약을 배급해야한다고 불평했다. 램지가 아이젠하워에게 이 문제를 재기한 후, 10월 9일경 몽고메리에게 안트베르펜의 중요성에 대해 보고했다. 이에 대해 몽고메리는 램지가 아무것도 모른다면서 탄약은 부족하지 않다고 답했다.

B집단군을 지휘하는 발터 모델은 발헤렌으로 가는 회랑은 무조건 열려 있어야 하며, 필요하다면 다른 구역에서 무자비하게 분리된 병력으로 되찾을 것이라고 명령했다. 모델은 제256국민척탄병사단과 돌격포중대를 파견하고 제6낙하산연대와 돌격포중대로 구성된 '소방여단'인 "칠 전투단(Kampfgruppe Chill)"이 출동하도록 했다. 10월 10일, 캐나다 왕립연대는 보엔스드레흐트의 독일군 방어선에 기습공격을 가했지만 그 다음 날엔 칠 전투단의 반격에 맞서 격렬한 전투를 벌인다. 제2사단의 찰스 차울크스 소장은 블랙워치연대를 파견해 왕립연대를 지원했다. 보엔스드레흐트의 독일군은 캐나다군보다 숫적으로 훨씬 우세했고 모델이 이 사실을 알았다면 반격을 가했을지도 모른다. 모델은 대신 조각조 공격만 가하는 소모전술을 사용했다.

시먼즈는 제3사단을 지원하여 브레스켄스 포위망을 정리하기 위해 제4사단을 투입할 계획이었지만, 제2사단이 직면한 문제로 인해 제4사단에서 부대를 때어내기 시작했다. 10월 9일, 사우스 앨버타연대는 제2사단의 우측을 보호하고 제2사단과 폴란드 제1기갑사단 사이의 침투를 방지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다음 날엔 해리 포스터 소장에게 제4중기갑여단을 안트베르펜 지역으로 파견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10월 13일, 검은 금요일이라 알려지게 되는 그날에 캐나다 제5보병여단의 블랙워치연대는 공격해 실패했고, 사실상 전멸당했다. 블랙워치연대는 이미 방어가 잘 되어 있다고 알려진 독일군 진지를 공격했고, 나머지 제2사단의 부대들은 교전중이 아니었다. 이는 폴크스와 시먼즈가 스헬더 강변에서의 전투를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미 동년 7월에 있던 베리에르 능선 전투에서 큰 손실을 입은 블랙워치연대는 전투력을 상실해 버렸다. 캘러거 하이랜더연대는 성공적으로 후속조치를 취했고, 이들의 장갑차소대는 브엔스드레흐트 북쪽 코르테벤에 있는 기차역을 점령했다. 후거하이데에서도 전투는 이어졌다. 10월 16일, 데니스 휘태커 중령의 왕립 해밀턴 경보병연대는 보엔스드레흐트를 공격하여 마을 대부분을 점령한다. 하지만 서쪽 능선으로 나아가지는 못한다. 아 날까지 보엔스드레흐트는 연합군이 확보했고 남베벨란트와 발헤렌으로의 육로 연결이 끊어졌다. 왕립 해밀턴 경보병연대는 검은 금요일의 블랙워치연대가 입은 것과 같은 큰 피해를 입는다. 캐나다군은 첫번째 목표를 달성했지만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

10월 14일, 몽고메리는 아이젠하워의 지도력을 강하게 비판하는 "지휘관에 관한 메모"를 발표하고 아이젠하워에게 다시 육군 사령관을 임명해 줄 것을 요구했다. 다음 날, 아이젠하워는 문제가 지휘 체계가 아니라 몽고메리가 명령을 따를 능력과 의지라고 답하며 스헬더 강을 정리하라는 명령을 내렸고 명령을 따르지 않으면 해임하겠다고 경고했다.아이젠하워의 말에 충격받은 몽고메리는 자신에게서 지휘권에 관한 말은 더이상 듣지 못할 것이라며 영국 제21군단의 작전에서 최우선 목표는 안트베르펜이라고 약속했다. 10월 16일, 몽고메리는 동쪽에서 영국 제2군이 훼전트 작전이 진행되는 동안 뫼즈 강 남쪽의 네덜란드를 정리하기 위해 서쪽으로 공격하여 스헬더 지역을 반격으로부터 보호했다.

시먼즈를 지원하기 위해 몽고메리는 영국 제52로우랜드사단을 캐나다 제1군에 배정했다. 제52사단은 영국의 정예사단 중 하나였고, 시먼즈는 영국 제52사단을 지휘하는 것에 감사를 표했고 제52사단장 에드먼드 스미스 소장에게 52사단은 발헤렌 섬을 점령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며 상륙준비 명령을 내렸다.

한편, 시먼즈는 남베벨란트 반도의 좁은 지점에 병력을 집중시켰다. 10월 17일, 포스터는 제4사단이 10월 20일까지 바우셰 플렌티지로 알려진 지역을 점령할 것이라고 했다. 공세는 10월 20일 아침에 시작되었고 아가일 연대와 슈피리어 호 연대가 이끌었다. 10월 22일, 캐나다군의 링컨 앤 웰랜드 연대와 알곤퀸 연대가 에센을 기습 공격해 점령한다. 10월 23일, 독일 제85사단이 자주포들을 앞세워 반격에 나섰다. 총독 근위 보병연대와 슈피리어 호 연대의 M4 셔먼 전차들은 독일군 자주포들에 의해 모두 격파되었다. 다음 날, 바우셰 플랜티지에서의 전투가 중요하다고 생각한 몽고메리가 캐나다 제4사단 사령부에 와서 포스터에게 속도를 요구했다. 하지만 포스터는 특유의 평평한 폴더 지형 때문에 속력을 낼 수 없다고 항의했다. 링컨 앤 웰랜드 연대의 한 중대는 단 하룻동안 벌어진 전투에서 병력의 절반을 잃었고 알곤퀸 연대의 선발중대는 독일군에 의해 고립당해 필사적인 전투를 벌여야 했다. 이후 캐나다군은 베르겐옵줌을 점령하기 위해 훼전트 작전에 참여한다. 룬트슈테트는 그때까지 베르겐옵줌을 방어하기 위해 베벨란트 지협에서 캐나다 제2사단을 방어하고 있던 제6낙하산연대를 재배치해야만 했다.

10월 24일까지 연합군의 방어선은 베벨란트의 좁은 지형에서 밀려나며 이로써 독일군의 반격이 캐나다 제2사단이 고립시키지 못하게 되었고 그후 서쪽으로 이동하여 발헤렌 섬으로 진격할 수 있게 된다.

3.2. 스위치백 작전

파일:브레스켄스포위망.jpg
<rowcolor=white> 브레스켄스 포위망의 지도
두번째 작전인 스위치백 작전은 브레스켄스의 포위망를 축소하는 치열한 전투로 시작되었다. 이때 캐나다 제3보병사단은 레오폴드 운하를 건너려다 독일군의 강력한 저항에 부딪혔다. 이전에 캐나다 제4기갑사단이 뫼르브뤼헤에서 실패했던 것처럼 이들이 직면한 어려움을 보여주었다. 작전지역이었던 레오폴드 운하와 스히프동크 운하에는 독일군의 강력한 방어선이 있었고 지역 대부분이 침수된 상태였다.

브레스켄스의 포위망의 독일군은 동부 전선에서 많은 경험을 쌓은 보병 전문가이자 방어전의 전문가로 여겨졌던 크누트 에버딩 장군이 지휘하는 제64보병사단이 장악하고 있었다. 1944년 9월, 제64사단은 프랑스에서 후퇴하면서 이곳으로 20mm 대공포 100문을 포함해 다른 많은 양의 무기와 탄약이 브레스켄스로 들어온다. 이밖에도 대전차용으로 88mm 대공포 23문과 경기관총 455정, 박격포 97문을 보유하고 있었다.

몽고메리가 마켓 가든 작전에 집중하는 동안, 제64보병사단은 3주간 조용히 방어선을 구축한다.[2] 독일군은 브레스켄스의 특유의 지형을 활용[3]해 제방을 폭파시켜 땅을 침수시켰고, 브레스켄스를 섬처럼 만든다. 이렇게 해 캐나다군이 특정한 길만 이용하도록 했다.

한편, 캐나다군은 공격에 가장 적합한 장소로 두 운하가 갈라지는 지점 바로 동쪽으로 결정한다.[4] 연합군은 울트라를 통해 독일군이 참호를 파고있다는 정보와 에버딩의 결사항전 명령을 알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독일군의 전력을 심각할 정도로 과소평가했다. 캐나다군은 제3캐나다사단이 공격을 시작하면 발헤렌 반도로 후퇴할 것이라 생각했지만, 시먼즈는 폴더 지형과 독일군이 육교에 병력을 집중시키는 것의 문제점을 잘 알고 있었다. 그래서 LVT를 이용해 침수된 땅을 가로질러 독일군을 포위하려 했다. 또한 브라크만에도 상륙해 레오폴드 운하와 브레스켄스 포위망 후방을 모두 공격할 계획을 세웠다.

작전 시작 이후, 캐나다 제3사단 소속 제7여단이 레오폴드 운하를 건너 공격을 시작했고, 제9여단은 돌출부 북쪽, 해안에서 상륙 공격을 진행했다. 제7여단의 노스 쇼어연대가 레오폴드 운하를 건너 견제를 했고 레지나 소총대와 캐나다 스코틀랜드연대가 공격을 맡았다. 왕립 몬트리올연대도 1개 중대가 참여했다.

그러나 북부에서는 제9하이랜드여단이 수륙양용차량에 익숙치 않았기 때문에 예상 시간 안에 상륙하지 못했다. 이들은 광범위한 포병지원 및 화염방사기를 장착한 유니버설 캐리어들에게 지원을 받았다. 제7여단은 캐나다군을 막기위해 모든 수단을 동원한 독일군과의 전투에 직면했다.

시먼즈 장군은 포격을 피하고 "와스프"[5]들이 화염방사기로 독일군을 기습공격하려 했다. 와스프들은 레오폴드 운하를 가로질러 불꽃 세례를 해 캐나다 제7여단 병력이 가파른 제방 위로 올라가 돌격정을 출격시킬 수 있도록 했다. 하지만 독일군의 참호는 잘 파여있었고 많은 독일군이 화염방사기를 피했다. 왕립 몬트리올연대의 한 중대는 레오폴드 운하 가장자리에서 전멸해 버렸다. 독일군은 왕립 몬트리올연대의 병력에게 중기관총과 박격포 사격을 퍼부었고 이 연대의 병력 중 소수만이 운하를 건넜다. 왕립 몬트리올연대의 큰 피해와 달리 캐나다 스코틀랜드연대에는 화염방사기가 효과가 있었고 큰 저항 없이 레오폴드 운하를 건넜고, 건넌지 1시간만에 육교를 세웠다.

독일군은 캐나다군의 화염방사기 공격에서 회복했지만 캐나다군을 밀어낼 수 없었다. 이때, 레지나 소총대는 독일군과 격렬한 전투를 벌이고 있었고 이들이 전멸할까봐 걱정한 사령부는 왕립 위니펙 소총대에 캐나다 스코틀랜드연대의 교두보를 건너 레지나 소총대와 합류하도록 명령했다. 당시 캐나다군의 피해가 너무 커서 제17후사르연대의 전차병들이 소총을 지급받고 보병으로 투입될 정도였다. 10월 9일까지 캐나다군의 두 개의 교두보 사이의 간격은 줄어들었고 10월 12일 아침에 아르덴부르크 도로 건너의 진지를 확보한다.

10월 10일에서 12일에는 왕립 위니펙 소총대의 제7여단의 병사들이 그라프 얀으로 알려진 집들을 점령했다가 빼앗겼다가 하는 격렬한 전투가 일어났다. 레지나 소총대는 포격에도 견딜 수 있는 참호에 갇혀버렸다. 독일군은 충분한 야포들과 많은 탄약을 가지고 있었고 이것들을 이용해 캐나다군을 향해 맹렬한 포격을 퍼부었다. 레오폴드 운하를 건넌 다음날부터 폭우가 쏟아졌고 폭우는 전투를 어렵게 만들었다. 캐나다군은 레오폴드 운하에 있는 교두보 너머로 진격 할 수 없었지만 캐나다군을 막는 것 만으로 만족하지 못한 에버딩은 반격을 통해 캐나다 제7여단을 섬멸하고자 했다. 제9여단이 제7여단이 레오폴드 운하를 건너는 동안 상륙하지 못했고 결정적으로 제64보병사단이 제7여단의 진격을 막았기 때문에 시먼즈의 계획은 실패했다. 전투에 참여한 병력의 사상자 비율을 보면 레오폴드 운하에서의 전투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캐나다군이 겪은 가장 피비린내 나는 전투였으며 533명이 전사하는 피해를 입었다.

캐나다 제9여단은 수륙양용차량들을 이용해 브라크만 만 후방의 후프드플라트 근처에 상륙할 계획이었지만, 수문들이 손상을 입은 상태라 조종이 어려웠고 경사로를 만들어 장애물들을 우회해야 했으며 많은 선박이 손상되었기 때문에 작전은 24시간 연기했다. 작전이 지연된 덕분에 캐나다군의 수륙양용차량들이 독일군이 눈치채지 못하게 스헬더강 하구로 이동할 수 있었다. 작전이 지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캐나다군은 독일군을 기습해 교두보를 점령했다. 이후, 추가로 캐나다군의 카메론 하이랜더 연대와 스톰몬트, 던다스, 글렌개리 하이랜더 연대가 상륙했다. 독일군은 캐나다군을 향해 반격을 했지만 천천히 후퇴했다. 발터 모델은 캐나다군의 상륙 소식을 듣고 에버딩 장군에게 제9하이랜드여단을 섬멸하라고 지시했다.

10월 10일 새벽부터 제9하이랜드여단은 반격을 받기 시작했고 스톰몬트, 던다스, 글렌개리 하이랜더 연대는 후프드플라트 마을에서 전투를 벌여 전사자 17명과 부상자 44명이 발생했다. 노바스코샤 하이랜드 연대는 드리베겐 마을을 점령하는데 3일이 걸렸다. 캐나다 하이랜드 경보병연대는 독일군의 야간 공격을 받았고, 혼란스러운 전투 중에 비에르블리트 마을을 잃었다가 탈환한다.

캐나다 제4기갑사단 소속 제10보병여단은 레오폴드 운하를 건너 진격하기 시작했고 캐나다 제3보병사단 소속 제8보병여단은 포위망의 해안에서 남쪽으로 이동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에버딩은 반격에 예비대를 사용했고 OKW에 제64보병사단의 일부 부대가 3분의 1로 줄었다고 보고했다. 캐나다 스코틀랜드연대는 에데 마을이 비어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진입하자마자 맹렬한 포격을 받았다. 캐나다 하이랜드 경보병연대와 스톰몬트, 던다스, 글렌개리 하이랜더 연대는 독일군의 주요 방어선을 돌파하는데 성공했지만 이를 알지 못했던 대니얼 스프라이 소장은 병력을 집중시키기 위해 철수를 명령했다.

후퇴한 독일 장교들은 전차들에게 압도당했다고 주장하며 후퇴를 변명했지만, 사실 레오폴드 운하 북쪽에서 작전을 펼치던 브리티시컬럼비아연대가 가진 전차는 4대뿐이었다. 독일 장교들이 주장한 전차는 캐나다 제3대전차연대의 M10 GMC들이었다. 10월 20일에는 캐나다군에 영국 제52로우랜드사단의 제157하이랜드 경보병여단이 합류했고 이를통해 스프라이 소장은 제3보병사단의 3개여단을 모아 공격을 할 수 있었다.

캐나다 제3사단은 브레스켄스, 오스트부르크, 자위트잔데, 카잔드 마을과 프레데릭 헨드릭 요새에서 독일군을 몰아내기 위한 추가작전을 수행했다. 캐나다군은 진격하는 동안 매우 느리게 전진했고 독일군의 방어에 직면했을때는 공습과 포격과 같은 대규모 화력을 사용했다. 캐나다군은 병력이 부족했기 때문에[6] 캐나다의 장교들은 큰 손실을 입을 수 있는 작전에 참여하기를 꺼렸다. 10월 24일, 몽고메리가 캐나다 제3사단의 사령부에 도착했다. 몽고메리는 9월에 스헬더 강을 정리하는 대신 아른험을 공격해 독일군이 방어선을 만들 시간을 주었지만 몽고메리는 캐나다 제3사단의 느린 진격을 비판하며 브레스켄스의 포위망은 몇 주 전에 정리되었어야 하고, 캐나다의 장교들이 큰 손실을 감수하려 하지 않는 것에 대해 비겁하다고 했다. 이로인해 제157하이랜드 경보병여단은 철수하였고 캐나다 제3사단은 최대한 빠른속도로 진군하라는 명령을 받는다.

캐나다군은 큰 손실을 감당할 수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브레스켄스 포위망을 정리하기위해 격렬한 전투를 벌인다. 라쇼디에르연대는 10월 24일 오스트부르크를 공격해 한개 중대를 잃었지만 방어를 위해 캐나다 여왕의 소총연대가 도착할 때까지 참호를 파고 대기했다. 10월 25일, 여왕의 소총연대는 상당히 많은 사상자를 내며 오스트부르크를 점령했다. 에버딩은 탈영병들을 즉결처분하였고 이로인해 독일군은 캐나다군의 공격에 완강히 저항했지만 계속 밀려난다. 손실을 감당할 수 없었던 라쇼디에르연대는 아플리딩스카날 반 데 리제(Afleidingskanaal van de Lije, 리스강의 파생 운하)의 교두보를 점령했고 공병들은 그곳에 다리를 건설했다.

11월 1일, 노스 노바스코샤 하이랜드연대는 벙커를 공격해 에버딩을 포로로 잡는다.[7] 이후 캐나다 제1군이 크노케와 제브뤼헤를 해방하면서 브레스켄스 포위망은 소멸되었고 스헬더 강 남쪽의 모든 독일군이 사라지며 스위치백 작전은 11월 3일에 끝난다.

3.3. 바이탈리티 작전

파일:제2캐나다사단.jpg
<rowcolor=white> C15TA 장갑차를 타고 이동하는 캐나다 제2보병사단 소속 왕립 해밀턴 경보병연대
10월22일 오후, 제2캐나다군단의 임시 지휘관 폴크스 소장은 캐나다 제2사단에 남베벨란트 반도를 점령하는 바이탈리티 작전이 몽고메리의 명령에 따라 이틀 앞당겨 졌다고 말했다. 캐나다 제2사단의 사기는 낮았고 캐나다 왕립연대, 에식스 스코틀랜드연대, 캐미런 하이랜드연대, 캘러거 하이랜드연대 만이 4개 소총중대에 가까운 병력을 모을 수 있었다. 공격은 캐미런 하이랜더연대, 손실을 입은 사우스 서스캐처원연대, 더 큰 손실을 입었던 푸질리어 몽 루아얄연대로 구성된 제6여단이 이끌 예정이었는데, 병력이 매우 부족했음에도 불구하고 중앙을 공격하는 데에 배정된다. 작전은 캐나다 제2보병사단이 남베벨란트를 따라 진격한 10월 24일에 시작되었다. 캐나다군은 방어를 우회하고 남베벨란트 운하에 있는 교두보를 점령하며 빠르게 진격하기를 바랐지만, 지뢰, 진흙, 독일군의 강력한 방어선 때문에 진격 속도가 느려졌다.

퓨질리어 몽루아얄연대는 심각한 사상자를 냈다고 보고했고, 캐미런 하이랜드연대는 제6낙하산연대의 강력한 저항에 직면했고, 사우스 서스캐처원연대는 지형때문에 공격을 하기 어렵다는 보고를 했다. 그날 늦게 제6여단에 합류한 건 제5여단이었고 캘러거 하이랜드연대 공격을 이끌고 제방 너머로 진격한 두 소대의 잔여 병력이 밤이되자 블랙워치연대와 합류한다고 보고했다. 왕립연대는 밤동안 공격 개시선을 점령했고 이른 아침에 에식스 스코틀랜드연대와 포트 개리 기병연대와 합류해 포격지원을 받으며 천천히 진군했다. 10월 25일, 에식스 스코틀랜드연대는 독일군 120명이 항복했으며 반도의 가장 좁은 지점의 방어선이 무너졌다고 보고했다. 10월 26일, 제70보병사단의 사단장 빌헬름 다저 장군은 룬트슈테트에게 상황을 유지할 수 없으며 후퇴가 불가피하다고 보고했다.

영국 제52로우랜드사단은 스헬더 강 서부를 가로질러 상륙 작전을 펼쳐 남베벨란트의 방어 진지를 통과해 독일군이 점령하고있던 운하 뒤로 진입했다. 독일군의 강력한 방어선의 측면이 공격을 받자 캐나다 제6보병여단은 돌격정을 동원하여 정면 공격을 시작했다. 공병들은 주요 도로를 통해 운하에 다리를 놓을 수 있었다.

운하를 잃은 독일군의 방어선은 무너졌고 남베벨란트는 함락되었다. 다저 장군은 부하들에게 후퇴하여 발헤렌 요새에 방어선을 구축하라고 명령했다.

3.4. 인패튜에이트 작전


[1] 이유는 마켓 가든 작전에 필요했던 부대였기 때문이다.[2] 방어선을 구축하는 동안 연합군의 폭격은 거의 없어서 사단장 에버딩은 놀라워했다고[3] 대부분의 땅이 통행이 불가능한 곳이었고 본토와 연결된 육교는 얼마 없었다.[4] 레오폴드 운하 너머 폭이 수백미터에 불과한 좁은 땅이 있었다.[5] 위에 서술한 화염방사기를 단 유니버설 캐리어들[6] 당시 캐나다의 총리 윌리엄 라이언 매켄지 킹퀘백의 프랑스계 주민들이 징병을 거부하자 충돌을 피하기 위해 자원입대자만 해외로 파병했기 때문[7] 에버딩은 총통을 위해 목숨을 걸고 싸우라는 명령을 받았지만 총 한 발 쏘지않고 항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