뮌헨 작전 | ||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소전쟁의 일부 | ||
뮌헨 작전 진격로. | ||
날짜 | ||
1941년 7월 2일 ~ 26일 | ||
장소 | ||
헤르차 주, 북부코비나, 베사라비아 | ||
교전국 | [[틀:깃발| | ]][[틀:깃발| ]][[소련| ]][[틀:깃발| ]][[틀:깃발| ]][[루마니아 왕국| ]] |
지휘관 | [[틀:깃발| [[틀:깃발| ]][[틀:깃발| ]][[이반 튤레네프| ]] [[틀:깃발| ]][[틀:깃발| ]][[틀:깃발| ]] 파벨 포네들린 [[틀:깃발| ]][[틀:깃발| ]][[틀:깃발| ]] 필리프 옥챠브스키 | ]][[틀:깃발| ]][[야코프 체레비첸코| ]][[틀:깃발| [[틀:깃발| ]][[틀:깃발| ]][[틀:깃발| ]] 니콜라에 추페르카 [[틀:깃발| ]][[틀:깃발| ]][[틀:깃발| ]] 페트레 두미트레스쿠 [[틀:깃발| ]][[틀:깃발| ]][[오이겐 리터 폰 쇼베르트| ]] | ]][[틀:깃발| ]][[이온 안토네스쿠| ]]
참전 부대 | 오데사군구 소속 [[틀:깃발| ]][[틀:깃발| ]][[틀:깃발| ]] 제9군 [[틀:깃발| ]][[틀:깃발| ]][[틀:깃발| ]] 제12군 [[틀:깃발| ]][[틀:깃발| ]][[틀:깃발| ]] 제18군 | 안토네스쿠 집단군 [[틀:깃발| ]][[틀:깃발| ]][[틀:깃발| ]] 제3군 [[틀:깃발| ]][[틀:깃발| ]][[틀:깃발| ]] 제4군 [[틀:깃발| ]][[틀:깃발| ]][[틀:깃발| ]] 제11군 |
전력 | [[틀:깃발| 전차 700대 항공기 1750대 연안 감시선 5대 장갑무장보트 22대 | ]][[틀:깃발| ]][[틀:깃발| ]]364,700명 [[틀:깃발| 전차 201대 항공기 672대 해안감시선 1대 연안감시선 6대 무장보트 4대 이상 [[틀:깃발| ]][[틀:깃발| ]][[틀:깃발| ]] 5개 사단 항공기 420대 | ]][[틀:깃발| ]][[틀:깃발| ]] 325,685명
피해 | [[틀:깃발| 8,519명 사망/실종, 9,374명 부상 항공기 255대 연안 감시선 2대 손상 장갑무장보트 7대 침몰 | ]][[틀:깃발| ]][[틀:깃발| ]]전체: 17,893명 [[틀:깃발| 4,112명 사망, 12,120명 부상, 5,506명 실종 항공기 58대 | ]][[틀:깃발| ]][[틀:깃발| ]] 전체: 21,738명
[clearfix]
1. 개요
뮌헨 작전은 루마니아가 1940년에 소련에 양도한 헤르차주, 북부코비나, 베사라비아 지역을 점령한 작전이다. 독일군은 루마니아군과 함께 진격했으며 이는 베사라비아 지역 유대인과 집시에 대한 학살로 이어졌다.2. 전개
7월 2일 루마니아군이 북부 지역을 공격하면서 시작되었다. 7월 5일에는 북부코비나의 중심도시인 체르니우치를 제3, 제23 보병대대가 점령했다. 7월 16일, 126대의 R-2 경전차를 대동한 루마니아 제1기갑사단이 격렬한 전투끝에 베사라비아의 수도인 키시너우를 함락시켰고, 7월 26일에는 전 지역이 루마니아군과 독일군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8월 17일에 베사라비아와 북부코비나는 다시 루마니아에 통합되었다.한편 남부 베사라비아 지역에서의 공세는 양측의 포병, 군함, 항공기, 육군, 해병대가 뒤엉켜 매우 복잡하게 이루어였다. 소련의 다뉴브 소함대는 연안감시선 7대, 장갑무장보트 22대, 7대의 소해정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루마니아의 다뉴브 소함대는 7대의 연안감시선과 4대 정도의 소형 무장보트로 이루어져 있었다.
이들은 이미 작전 며칠 전부터 교전을 시작하였고, 첫 교전은 6월 23일 루마니아군의 해상봉쇄를 부수기 위한 소련군의 공격으로 시작되었다. 6월 26일, 콘스탄차 해상에서의 기습을 지원하기 위해 장갑무장보트들은 칠리아 베체(Chilia Veche)에 병력을 상륙시켜 루마니아 제15해병대대의 많은 병력을 포로로 잡았고, 루마니아군은 468명을 잃었다. 이 대대의 잔존 인원들은 한 대의 무장보트와 2대의 모터보트의 지원을 받으며 스티포크 섬(Stipoc Island)을 소련군의 공격으로부터 방어해냈다.
루마니아 제17해병대대는 소련군의 공격을 며칠동안 방어해내면서 페리프라바(Periprava) 지역을 방어해냈고, 이동안 포병들은 소련의 무장선 4대를 침몰시켰다. 7월 9일 밤에서 10일 새벽 사이에는 소련 군함은 봉쇄선을 돌파하여 탈출하였으며 7월 18~19일 밤에 소련 다뉴브 소함대는 다뉴브 삼각주에서 후퇴하였다. 7월 22~23일 밤, 대대는 타타르부나리(Tatarbunary)를 점령하였고, 결국 소련 다뉴브 소함대의 손실은 최종적으로 연안감시선 2대가 파손되고, 장갑무장보트 5대가 침몰하였고 1대는 손상되었다.
그리하여, 7월 22일, 루마니아군은 레니(Reni), 이즈마일, 킬리야, 빌코프(Vylkove)를 점령했다.
2.1. 해전
루마니아군의 툴체아 그룹(Tulcea Group)은 소련 해군과 여러번의 해전을 벌였고, 이 전투로 소련군 감시선 2대와 2대의 장갑무장보트를 손상시켰고, 1대의 장갑무장보트는 침몰시켰다.7월 13일에는 루마니아의 모니터함 미하일 코걸니체아누(Mihail Kogălniceanu)[1]는 코파나 발카(Copana Balca) 마을 근처에서 소련 감시선과 조우하였고, 양방의 포격이 있었고 소련 감시선은 직격탄을 맞고 바로 포격을 가했지만, 피해를 주진 못했다.
7월 14일, 미하일 코걸니체아누는 이번에는 이스마일 근처에서 소련 감시선 우다르니(Udarnyy)를 공격하였다. 전날과 비슷하게 소련 감시선은 직격탄을 얻어맞으며 반격을 가했지만 피해를 주지 못했다.
어느 날은 루마니아의 무장바지선이 이자체아(Isaccea)근처에서 장갑무장보트를 포격하여 침몰시키기도 하였다.
2.2. 공중전
첫번째 공중전은 루마니아 공군 에스카드릴라 51(Escadrila 51) 소속 테오도르 모스쿠(Teodor Moscu) 중위가 He 112 B를 몰고 남부 베사라비아 공중을 비행하던 도중에 5대의 I-16 편대의 공격을 받았다. 그는 즉시 3대를 빠르게 격추하자 나머지 2대는 후퇴하였다.소련 공군은 이 기간동안 8대의 전투기가 격추되었고 40대의 항공기둘은 루마니아군의 공격으로 지상에서 파괴되었다. 반면에 루마니아군은 11대만 지상에서 파괴되었다.
7월 12일, 소련군의 반격에 대비하여 루마니아 공군은 PZL P.37와 IAR 79로 구성된 폭격기 59대와 이를 엄호할 I.A.R. 80를 주력으로 한 전투기 54대를 집결시켰다. 이 혼성 비행대는 소련 육군을 폭격하기 전에 소련 공군부터 소탕하였다.이날 I.A.R.80를 몰던 바실레 클라루(Vasile Claru) 중위는 I-16 6대가 추격해오자 3대를 격추시켰는데, 탄약이 떨어지자 4번째 스코어로 편대장 샤마노프(M.Shamanov) 중위의 탑승기를 그의 길동무로 삼았다. 이를 목격한 윙맨 가바네스쿠는 루마니아 공군에 진술하여 클라루 중위의 살신성인을 프로파간다에 이용하였으며 클라루 중위는 미하이 용맹 전공 3급 훈장이 추서되었다.
루마니아 공군의 분전으로 소련군의 반격은 엄청난 손실을 입으며 실패했고, 7월 26일까지 북부코비나와 베사라비아의 제공권을 장악할 수 있었다. 루마니아 공군은 소련 전투기 88대를 공중전에서 격추했고 대공포로 59대를 격추했으며 지상에서 108대를 파괴하였고, 58대를 손상시켰다고 주장했다.
[1] 함명의 유래는 루마니아 왕국 총리, 외교부 장관, 내무부 장관을 역임한 정치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