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18 15:30:59

보로네시-하리코프 공세


제2차 세계 대전의 전투 목록 | 유럽/아프리카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D1D1D; margin: -6px -1px -11px; font-size: 0.92em; letter-spacing: -0.8px; word-break: keep-all"
※문서가 생성된 전투만 기재
둘러보기 : 아시아 및 태평양 전선 전투목록
전투 이름 교전 국가 및 세력
<rowcolor=#FFF> 공격 측 방어 측
<nopad> 1939년
<colbgcolor=#b31c31> 폴란드 침공
베스테르플라테 전투
단치히 우체국 방어전
바르샤바 전투
비츠나 전투
브주라 전투
겨울전쟁
수오무살미 전투
콜라 전투
<nopad> 1940년
가짜 전쟁
노르웨이 침공
프랑스 침공
아라스 전차전
됭케르크 철수작전
이탈리아의 프랑스 침공
북아프리카 전역
몰타 항공전
칼라브리아 해전
영국 본토 항공전
독수리의 날
유고슬라비아 침공
그리스 침공
타란토 공습
<nopad> 1941년
마타판곶 해전
라인 연습 작전
크레타 섬 전투 파일:그리스 국기(1822-1978).svg 그리스 왕국
바르바로사 작전(독소전쟁)
브레스트 요새 방어전
발트해 전역
브로디 전투
비아위스토크-민스크 전투
계속전쟁
은색 여우 작전
뮌헨 작전
제1차 스몰렌스크 전투
우만 전투
모스크바 폭격
제1차 키예프 전투
페르시아 침공
레닌그라드 공방전
뱌지마-브랸스크 포위전
모스크바 공방전
툴라 전투
세바스토폴 공방전
로스토프 전투
알렉산드리아 습격
<nopad> 1942년
류반 공세
르제프 전투
데미얀스크 전투
영불 해협 돌파작전
마다가스카르 전투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남아프리카 연방
제2차 하리코프 공방전
류반 구원 작전
빌헬름 작전
프리데리쿠스 작전
청색 작전
보로네시 전투
엘 알라메인 전투
PQ-17 호송선단 전투
자이들리츠 작전
칼라치 전투
제1차 르제프-시쵸브카 공세
비르벨빈트 작전
디에프 상륙 작전
스탈린그라드 전투
횃불 작전
튀니지 전투
천왕성 작전
벨리키예루키 전투
화성 작전
겨울폭풍 작전
바렌츠 해 해전
<nopad> 1943년
북캅카스 공세
콜초 작전
이스크라 작전
보로네시-하리코프 공세
스카쵸크 작전
제3차 하리코프 공방전
쿠르스크 전투
연합군의 시칠리아 침공
쿠투조프 작전
제1차 돈바스 공세
므가 공세
플로이에슈티 공습
제4차 하리코프 공방전
제2차 스몰렌스크 전투
브랸스크 공세
드네프르 강 전투
도데카니사 전투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무솔리니 구출 작전
슈바인푸르트 공습
제2차 키예프 전투
드네프르-카르파티아 공세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
노스케이프 해전
<nopad> 1944년
칼린코비치-모지리 공세
몬테카시노 전투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코르순-체르카시 포위전
안치오 상륙 작전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나르바 전투
비텝스크 공세
논쟁 작전
로가체프-즐로빈 공세
카메네츠-포돌츠크 포위전
노르망디 상륙작전
빌레르보카쥬 전투
바그라티온 작전
레지차-드빈스크 공세
프스코프-오스트로프 공세
리보프-산도미에시 작전
루블린-브레스트 작전
타넨베르크 선 전투
바르샤바 봉기
타르투 공세
코브라 작전
팔레즈 포위전
용기병 작전
도펠코프 작전
제2차 야시-키시네프 공세
슬로바키아 민족봉기
파일:체코 국기.svg 슬로바키아 봉기군
동부 카르파티아 공세
발트해 공세
라플란드 전쟁
베오그라드 공세
휘르트겐 숲 전투
마켓 가든 작전
아헨 전투
판처파우스트 작전
굼비넨 작전
벌지 전투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임시정부
부다페스트 공방전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헝가리 국민단결정부
<nopad> 1945년
보덴플라테 작전
비스와-오데르 대공세
동프로이센 공세
한니발 작전
하부 슐레지엔 공세
드레스덴 공습
남풍 작전
봄의 새싹 작전
모라바-오스트라바 공세
상부 슐레지엔 공세
연합군의 독일 본토 침공
텍셀 봉기
파일:Georgische_Legion.png 조지아 군단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저항군
삼란드 공세
베를린 공방전
오드자크 전투 파일: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 깃발.svg 유고슬라비아 연방 인민공화국
이터 성 전투 파일:슈츠슈타펠 깃발.svg 항전파 무장친위대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저항군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VIP
프라하 봉기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저항군
※시기 구분은 전투 및 교전 발생 일자 기준, 전투 기간은 개별 문서 확인
}}}}}}}}} ||
보로네시-하리코프 공세
러시아어: Воронежско-Харьковская операция
독일어: Woronesch-Charkiwer Operation
영어: Voronezh–Kharkov offensive
제2차 세계 대전동부전선의 일부
파일:Eastern Front 1943 January-March.png
▲ 1943년 초반의 동부전선
날짜
1943년 1월 13일 ~ 3월 3일
장소
교전국 [[틀:깃발|
파일:기.svg
기 명칭
]][[틀:깃발|
파일: 깃발.svg
깃발 명칭
]][[소련|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소련
]]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헝가리 왕국
지휘관 [[틀:깃발|
파일:기.svg
기 명칭
]][[틀:깃발|
파일: 깃발.svg
깃발 명칭
]][[필리프 골리코프|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필리프 골리코프
]]
(보로네시 전선군 사령관)
[[틀:깃발|
파일:기.svg
기 명칭
]][[틀:깃발|
파일: 깃발.svg
깃발 명칭
]][[파벨 리발코|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파벨 리발코
]]
(제3전차군 사령관)
[[틀:깃발|
파일:기.svg
기 명칭
]][[틀:깃발|
파일: 깃발.svg
깃발 명칭
]][[스테판 크라솝스키|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스테판 크라솝스키
]]
(제17항공군 사령관)
[[틀:깃발|
파일:기.svg
기 명칭
]][[틀:깃발|
파일: 깃발.svg
깃발 명칭
]][[니칸드르 치비소프|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니칸드르 치비소프
]]
(제38군 사령관)
[[틀:깃발|
파일:기.svg
기 명칭
]][[틀:깃발|
파일: 깃발.svg
깃발 명칭
]][[키릴 모스칼렌코|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키릴 모스칼렌코
]]
(제40군 사령관)
[[틀:깃발|
파일:기.svg
기 명칭
]][[틀:깃발|
파일: 깃발.svg
깃발 명칭
]][[이반 체르냐홉스키|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이반 체르냐홉스키
]]
(제60군 사령관)
[[틀:깃발|
파일:기.svg
기 명칭
]][[틀:깃발|
파일: 깃발.svg
깃발 명칭
]][[막시밀리안 폰 바익스|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막시밀리안 폰 바익스
]]
(B 집단군 사령관)
[[틀:깃발|
파일:기.svg
기 명칭
]][[틀:깃발|
파일: 깃발.svg
깃발 명칭
]][[볼프람 폰 리히트호펜|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볼프람 폰 리히트호펜
]]
(제4항공함대 사령관)
[[틀:깃발|
파일:기.svg
기 명칭
]][[틀:깃발|
파일: 깃발.svg
깃발 명칭
]][[한스 폰 살무트|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한스 폰 살무트
]]
(제2군 사령관)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구스타프 야니
(헝가리 제2군 사령관)
[[틀:깃발|
파일:기.svg
기 명칭
]][[틀:깃발|
파일: 깃발.svg
깃발 명칭
]][[이탈로 가리볼디|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로 가리볼디
]]
(이탈리아 제8군 사령관)
[[틀:깃발|
파일:기.svg
기 명칭
]][[틀:깃발|
파일: 깃발.svg
깃발 명칭
]][[에른스트에버하르트 헬|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에른스트에버하르트 헬
]]
(제7군단 사령관)
결과
소련군의 승리
소련군이 보로네시,쿠르스크,하리코프 탈환
헝가리군과 이탈리아군 괴멸
영향
추축군의 돈 강 전선 붕괴
독일 동맹국들이 동부전선에서 철수
독일군이 청색 상황 개시선보다 서쪽으로 밀려남
오룔에 독일군 돌출부 형성
전력 병력 명 병력 명
피해 규모 전사/실종 55,475명
부상 98,086명

1. 개요2. 1943년 겨울의 돈강 전선3. 전투 서열
3.1. 소련군3.2. 추축군
4. 전개
4.1. 오스트로고시스크-로로쉬 작전4.2. 보로네시-카스토르노예 작전4.3. 즈베즈다 작전
5. 결과

[clearfix]

1. 개요

2. 1943년 겨울의 돈강 전선

3. 전투 서열

3.1. 소련군[1]

  • 브랸스크 전선군 ( 사령관 : 막스 레이테르 중장[2]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3군
  • 제13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8소총사단
  • 제15소총사단
  • 제74소총사단
  • 제132소총사단
  • 제143소총사단
  • 제148소총사단
  • 제307소총사단
  • 제2전투기사단
  • 제12포병사단
  • 제1박격포여단
  • 제118전차여단
  • 제129전차여단
    }}}
  • 제15항공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225돌격항공사단
  • 제284야간폭격항공사단
  • 제286전투항공연대
  • 제778폭격항공연대
  • 제876혼성항공연대
  • 제877혼성항공연대
  • 제879혼성항공연대
    }}}
  • 제48군
    }}}
  • 보로네시 전선군 ( 사령관 : 필리프 골리코프 상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전선군 직할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7기병군단
    • 제11기병사단
    • 제83기병사단
    • 제20소총사단
    • 제7대전차사단
  • 제18소총군단
    • 제161소총사단
    • 제219소총사단
    • 제270소총사단
    • 제340소총사단
    • 제10전투기여단
  • 제180소총사단
  • 제305소총사단
  • 제37소총사단
  • 제104소총사단
  • 제1전투기사단
  • 제5대공포사단
  • 제10포병사단
  • 제129소총여단
  • 제15근위박격포여단
  • 제96전차여단
  • 제150전차여단
  • 제173전차여단
  • 제201전차여단
  • 제4광산여단
  • 제60공병여단
    }}}
  • 제2항공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205전투항공사단
  • 제208야간폭격항공사단
  • 제227돌격항공사단
  • 제375혼성항공연대
  • 제376혼성항공연대
  • 제878혼성항공연대
    }}}
  • 제3전차군 ( 사령관 : 파벨 리발코 소장[3]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직할
    • 제48근위소총사단
    • 제184소총사단
    • 제179전차여단
  • 제12전차군단
    • 제30전차여단
    • 제97전차여단
    • 제106전차여단
    • 제13차량화소총여단
  • 제15전차군단
    • 제88전차여단
    • 제113전차여단
    • 제195전차여단
    • 제52차량화소총여단

    }}}
  • 제38군 ( 사령관 : 니칸드르 치비소프 중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167소총사단
  • 제237소총사단
  • 제240소총사단
  • 제248소총여단
  • 제7전투기여단
    }}}
  • 제40군 ( 사령관 : 키릴 모스칼렌코 소장[4]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25근위소총사단
  • 제107소총사단
  • 제141소총사단
  • 제309소총사단
  • 제253소총여단
  • 제86전차여단
  • 제116전차여단
  • 제192전차여단
    }}}
  • 제60군 ( 사령관 : 이반 체르냐홉스키 소장[5]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100소총사단
  • 제121소총사단
  • 제206소총사단
  • 제232소총사단
  • 제303소총사단
  • 제8전투기여단
  • 제14전투기여단
  • 제16전투기여단
  • 제14전차여단
  • 제180전차여단
    }}}
    }}}
  • 남서 전선군 ( 사령관 : 니콜라이 바투틴 상장[6]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1근위군
  • 제3근위군
  • 제5전차군
  • 제5충격군
  • 제6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직할
    • 제127소총사단
    • 제160소총사단
    • 제8포병사단
    • 제106소총여단
    • 제115전차여단
    • 제42특수공병여단
    • 제82전차연대
    • 제212전차연대
  • 제15소총군단
    • 제172소총사단
    • 제267소총사단
    • 제350소총사단

    }}}
  • 제17항공군 ( 사령관 : 스테판 크라솝스키 항공중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직할
    • 제221폭격항공사단
    • 제262야간폭격항공사단
    • 제282전투항공사단
    • 제23혼성항공연대
    • 제282혼성항공연대
    • 제208돌격항공연대
    • 제637돌격항공연대
    • 제371경폭격기항공연대
  • 제1혼성항공군단
    • 제267돌격항공사단
    • 제288전투항공사단
  • 제3혼성항공군단
    • 제202폭격항공사단
    • 제290돌격항공사단
    • 제207전투항공사단

    }}}
    }}}

3.2. 추축군

  • B 집단군[7] ( 사령관 : 막시밀리안 폰 바익스 상급대장[8]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2군[9] ( 사령관 : 한스 폰 살무트 상급대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55군단
    • 제299보병사단
    • 제45보병사단
    • 제383보병사단
    • 제88보병사단
  • 제13군단
    • 제82보병사단
    • 제68보병사단
    • 제340보병사단
    • 제377보병사단
  • 제7군단 ( 사령관 : 에른스트에버하르트 헬 포병대장 )
    • 제57보병사단
    • 제75보병사단
    • 제323보병사단

    }}}
  • 헝가리 제2군[10] ( 사령관 : 구스타프 야니 상급대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크라머 집단[11]
    • 제168보병사단
    • 헝가리 제1기갑사단
  • 헝가리 제3군단
    • 헝가리 제6경보병사단
    • 헝가리 제7경보병사단
    • 헝가리 제9경보병사단
  • 헝가리 제4군단
    • 헝가리 제10경보병사단
    • 헝가리 제13경보병사단
    • 헝가리 제20경보병사단
  • 헝가리 제7군단
    • 헝가리 제19경보병사단
    • 헝가리 제12경보병사단
    • 헝가리 제23경보병사단

    }}}
  • 이탈리아 제8군[12] ( 사령관 : 이탈로 가리볼디 대장[13]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이탈리아 제2산악군단
    • 이탈리아 제2산악사단
    • 이탈리아 제3산악사단
    • 이탈리아 제4산악사단
  • 제24기갑군단
    • 제27기갑사단
    • 제385보병사단
    • 제387보병사단

    }}}
  • 프레터-피코 분견군
    }}}
  • 제4항공함대[14] ( 사령관 : 볼프람 폰 리히트호펜 상급대장[15]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돈 공군사령부[16]
  • 코카서스 공군사령부[17]
  • 제1항공군단[18]
  • 제8항공군단
  • 루마니아 항공군단
  • 제1대공포군단[19]
  • 제5대공포사단
  • 흑해 항공여단
  • 하리코프 항공관구
  • 로스토프 항공관구
    }}}

4. 전개

4.1. 오스트로고시스크-로로쉬 작전

4.2. 보로네시-카스토르노예 작전

4.3. 즈베즈다 작전[20]

5. 결과


[1] 1월 1일 기준[2] 1월 30일에 상장으로 진급[3] 1월 18일에 기갑중장으로 진급[4] 1월 19일에 중장으로 진급[5] 2월 14일에 중장으로 진급[6] 2월 13일에 대장으로 진급[7] 2월 9일에 전선에서 철수, 이탈리아 8군과 헝가리 2군은 본국으로 돌아갔고 2군은 중부 집단군, 란츠 분견군은 남부 집단군에 배속됐다.[8] 2월 1일에 원수로 진급[9] 1월 1일 기준[10] 1월 13일 기준[11] B집단군이 돈강 전역에서 보유한 유일한 예비 제대로 후방대기[12] 1월 13일 기준, 1월 31일에 해체[13] 이탈리아 왕국군의 계급 체제가 현재랑 좀 다르긴 한데 타국의 4성 장군과 비슷하다.[14] 1월 13일 기준[15] 2월 16일에 원수로 진급[16] 42년 8월 26일에 1항공군단으로부터 창설됐고 2월 17일에 다시 1항공군단으로 개칭[17] 42년 11월 25일에 1대공포군단으로부터 창설됐고 2월 6일에 다시 1대공포군단으로 개칭[18] 2월 17일부터[19] 2월 6일부터[20] 하리코프 작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