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5 21:24:03

스텔라 블레이드


파일:시프트업 로고(전체 화이트).svg파일:시프트업 로고.svg
{{{#!wiki style="min-height: calc(1.5em + 5px);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uJHTXLnF_400x400.png 파일:IMG_1922.jpg 파일:channels4_profile_nike.jpg 파일:IMG_1923.png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데스티니 차일드
서비스 종료
}}}}}}}}} ||
<colbgcolor=#1a1e23,#000><colcolor=#fff> 파일:Stellar_Blade_Korean_logo.webp
일반 정보 업데이트 · OST · 평가 · 논란 및 사건 사고
주요 콘텐츠 스토리 · 지역 · 임무 · 상점 · 엔딩 · 업적
장비 슈트 · 엑소스파인 · 기어 · 헤어 · 액세서리 · 스킬 · 드론 · 사용 아이템
데이터 뱅크 메모리 스틱 · 문서 · 암호 · 인물 · 네이티브 · 물고기 · 포토 챌린지
기타 콘텐츠 · 별의 눈물 · 기타 적
스텔라 블레이드
Stellar Blade
<nopad> 파일:StellarBladeMainCover.webp
<colbgcolor=#0056b8,#010101><colcolor=#fff,#e0e0e0> 개발 시프트업[1]
유통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플랫폼 PS5[2] | Windows
ESD PlayStation Store, Steam, 에픽게임즈 스토어
장르 액션 어드벤처
출시 PS5
2024년 3월 29일(데모판)
2024년 4월 26일(정식 출시)
PC
2025년 5월 31일(데모판)
2025년 6월 12일(정식 출시)
한국어 지원 음성·자막 지원
엔진 언리얼 엔진 4.26
심의 등급
파일:게관위_평가용.svg 평가용
파일:게관위_등급분류거부.svg 등급 분류 거부
심의 예정(한국)
심의 없음(한국)
##
파일:ESRB Everyone.svg ESRB E
파일:ESRB Everyone 10+.svg ESRB E10+
파일:ESRB Teen.svg ESRB T
파일:ESRB Mature.svg ESRB M
파일:ESRB Adults Only.svg ESRB AO
파일:ESRB Rating Pending.svg ESRB RP
##
파일:CERO A.svg CERO A
파일:CERO B.svg CERO B
파일:CERO C.svg CERO C
파일:CERO D.svg CERO D
파일:CERO Z.svg CERO Z
##
파일:EOCS 전연령.gif EOCS 전연령
파일:EOCS E12.gif EOCS E12
파일:EOCS E15.gif EOCS E15
파일:EOCS 18금.gif EOCS 18금
##
파일:PEGI 3.svg PEGI 3
파일:PEGI 7.svg PEGI 7
파일:PEGI 12.svg PEGI 12
파일:PEGI 16.svg PEGI 16
파일:PEGI 18.svg PEGI 18
##
파일:USK 0 로고.svg USK 0
파일:USK 6 로고.svg USK 6
파일:USK 12 로고.svg USK 12
파일:USK 16 로고.svg USK 16
파일:USK 18 로고.svg USK 18
##
파일:ACB General.svg ACB G
파일:ACB Parental Guidance.svg ACB PG
파일:ACB Mature.svg ACB M
파일:ACB Mature Accompanied.svg ACB MA15+
파일:ACB Restricted(R18+).svg ACB R18+
파일:ACB Refused Classification.svg ACB RC
##
파일:GSRR G 로고.svg GSRR G
파일:GSRR P 로고.svg GSRR P
파일:GSRR PG 12 로고.svg GSRR PG 12
파일:GSRR PG 15 로고.svg GSRR PG 15
파일:GSRR R 로고.svg GSRR R
##
파일:CADPA-8+.png CADPA 8+
파일:CADPA-12+.png CADPA 12+
파일:CADPA-16+.svg CADPA 16+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상점 페이지 파일:플레이스테이션 스토어 아이콘.svg | 파일:스팀 아이콘.svg | 파일:에픽 게임즈 아이콘.svg

1. 개요2. 특징3. 출시 에디션
3.1. 데모판3.2. PC판3.3. 스탠다드 에디션3.4. 디럭스 에디션3.5. 컴플리트 에디션
4. 확장팩
4.1. 디럭스 팩4.2. 타키온 팩4.3. 니어:오토마타 DLC4.4. 승리의 여신: 니케 DLC4.5. 트윈 확장팩
5. 시스템 요구 사항6. 업데이트7. 설정
7.1. 역사7.2. 단체 및 인물7.3. 지역7.4. 시설
8. 기성 작품 레퍼런스
8.1. 소재/세계관 측면의 레퍼런스8.2. 표현/네이밍 측면의 레퍼런스
9. OST10. 주요 콘텐츠11. 장비12. 데이터 뱅크13. 기타 콘텐츠14. 평가15. 흥행16. 논란 및 사건 사고17. 미디어 믹스
17.1. 모션 코믹스17.2. 입체화
18. 기타19. 외부 링크20. 둘러보기

1. 개요

한국의 게임회사 시프트업에서 제작한 액션 어드벤처 게임. 시프트업의 3번째 작품이며 최초의 AAA급 게임이다.

2. 특징

플랫폼은 원래 PC, XBOX One, PS4가 계획되어 있었으나 PS5 콘솔 독점작으로 변경되고 소니가 직접 유통까지 하게 됨으로써 한국 게임 중 최초의 플레이스테이션 5 독점작이자 유통 게임이 되었다.[3] 다만 어디까지나 기간 한정 독점작이었기에 발매 1년 후 PC판이 발매되었다.
스텔라 블레이드 - 출시 트레일러
인류를 위해 지구를 탈환하세요
지구는 버려졌습니다.
우리는 지구를 공격한 알 수 없는 존재를 저지할 수 없었습니다.
희망이 빠르게 사라지는 지금.
한 정예 강하 부대원이 인류를 구원하기 위한 절실한 임무를 준비합니다.
패키지 커버 소개 문구
==# 발매 전 정보 #==
2019년 프로젝트 이브라는 이름으로 공개 이후 많은 기대를 받은 게임이지만 비주얼에 관해선 상당히 호불호가 갈리는 편이다.

우선 호평하는 측에서는 수려한 그래픽과 미술 디자인, 그리고 콘솔 게임의 불모지인 한국에서 이런 게임을 만든다는 것 자체를 높게 평가한다. 디자인에 대해서도 김형태의 디자인과 아트 스타일을 좋아하는 게이머 층에선 긍정적인 반응이 있다. 반면 마그나카르타 2, 데스티니 차일드 등에서 선보였던 김형태 특유의 얼굴 조형이 3D로 옮겨지니 사람이 아니라 인형 같은 느낌이 든다는 점에서 불호를 보이는 게이머도 일부 있었고[4] 이에 어울리지 않는 세계관으로, 한국산 게임의 큰 틀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는 점이 지적받기도 한다.

비주얼 외적으로도 김형태 대표와 시프트업의 데스티니 차일드가 워낙 안 좋은 의미로 강력했다 보니 별다른 기대를 하지 않는 게이머들도 적지 않은 편이었다. 물론 위에서 언급했듯이 콘솔 게임의 불모지에서 이런 시도가 나온다는 것 자체를 긍정적으로 보는 반응도 있었으나, 아무래도 시프트업의 그동안의 행보가 썩 긍정적이진 않으니 반응이 다소 좋지 못했다. 다만, 전작은 스마트폰 성능의 한계로 인한 문제점이 대부분인지라 콘솔 전용으로 출시되는 이번 작품은 괜찮을 수 있다. 애초에 콘솔기기는 게임 구동에 최적화가 되어 있어서 게임 개발력이 어느 정도만 있어도 평타 이상은 보여줄 수 있기 때문이다.

국외 반응은 그럭저럭 괜찮은 편으로 유튜브 트레일러를 보면 상당수의 외국인들이 이 게임을 기대한 것을 볼 수 있다. 시프트업 역시 글로벌 출시를 준비 중이라고 했다.

트레일러 속 기계 괴물에 의해 멸망한 포스트 아포칼립스 분위기나 김형태 대표가 설명한 지구에서 쫓겨났던 최후의 인류 이브가 우주 외계 침략자와 싸워서 지구를 탈환하는 이야기라는 내용 때문인지 호라이즌 제로 던, 니어:오토마타와 비슷한 것 같다는 반응이 많다. 김형태 대표 역시 인터뷰에서 갓 오브 워니어:오토마타의 영향을 받았다고 언급한 바 있다.[5] 니어 시리즈의 디렉터인 요코오 타로도 프로젝트 이브를 보고 기대가 된다는 트윗을 남기기도 했다. 요코오 타로:산다.

김형태 대표는 첫 발표회에서 "지금 AAA 게임에 도전하지 않는다면 계속 비슷한 게임만 반복해서 만들게 된다"며 현 한국 게임의 문제와 그에 대한 절박함을 표명했다. 프로젝트 이브도 그러한 마음에서 탄생한 것이라고 한다. #

2020년 11월 26일, 장검을 든 캐릭터가 보스와 전투를 하는 전투 플레이 영상이 공개되었다. 해당 영상에선 회피(정확한 타이밍에 회피 시 무적시간 제공으로 추측), 막기(정확한 타이밍에 막을 시 경직 없음으로 추측) 같은 전투 시스템의 기본을 볼 수 있으며 19금 액션이라는 말 답게 보스의 손아귀에 캐릭터가 붙잡혔을 때 전기톱으로 갈려버리는 료나 게임스러운 연출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유튜브나 한국 사이트에서는 어색한 부분들도 많이 지적받았다. 대표적으로 몸을 뚫고 다니는 포니테일 머리카락[6], 바닥을 미끄러지듯 움직이는 캐릭터 애니메이션 및 이동속도, 주인공의 젤리 같은 움직임이나 타격 등이 있다. 오히려 해당 전투씬에서 가장 칭찬받는 부분은 적의 디자인이다. 그래도 마냥 부정적인 반응만 있는 건 아니고 전반적인 평가를 보면 기대되는데 이런 부분이 아쉽다는 지적에 가깝다. NC의 블소2가 심각한 모습을 보여주자 이브가 진짜 블소 2라는 평가도 나왔다. 특히 시프트업에는 블소 개발자들이 다수 포함되었다.

이번 트레일러는 프로토타입이어서 전체적인 완성도를 왈가왈부할 단계는 아니다. 일반적으로 프로토타입 버전은 대외비로 하며, 어른들의 사정으로 공개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렇게 한국뿐만 아니라 해외에도 동시에 프로토타입을 공개한 것은 그만큼 자신감과 포부를 보여준 셈이며 해당 영상을 통해 개발자를 추가적으로 모집하는 목적도 있을 것이다.

2021년 9월 10일 PlayStation Showcase 2021에서 첫번째 트레일러가 공개되었다. 성우는 이브 역을 박리나, 아담 역을 정재헌이 맡았다.링크

역시 공통된 의견으로는 김형태 특유의 엉덩이 사랑이 잘 드러난다는 반응이 많다. 허리와 넓적다리의 선부터 시작해서 캐릭터의 3D 모델에서 전체적으로 딱 엘더스크롤 5: 스카이림의 모드에나 나오는 여캐 같은 느낌이 드는데 이는 김형태 취향이라는 게 공통된 의견이다.[7] 인터뷰에서도 게이머가 주로 보는 모습이 뒷모습이기에 더욱 신경썼다고 한다.[8]

특정 몬스터들의 디자인은 데드 스페이스 같은 호러 게임에서 나올 법한 분위기를 풍기기도 한다. AAA급 게임을 만든 적이 없던 회사의 첫 AAA급 게임 제작치고는 트레일러는 괜찮게 나온 편이다. 캐릭터와 몬스터 디자인이나 액션 역시 괜찮게 나온 것 같다고 평하는 이들이 많다. 특히 전기톱 크리처[9]는 매우 인상적인 디자인이라며 많은 호평을 받았다.

단순히 캐릭터성 외에도 국외 게이머들 사이에서는 게임 플레이 요소 역시 인상적이었는지 플스 쇼케이스에서 꽤나 주목받는 기대작이 되었다. 심지어 한 게임 웹진에서는 프로젝트 이브가 세키로: 섀도우 다이 트와이스와 유사한 면이 있고 세키로의 팬들이 기대할 만한 게임으로 보인다며 호평했다. #

시프트업의 전작인 데스티니 차일드에도 참여했던 박진배 작곡가가 첫번째 트레일러 음악에 참여했다. 바람의 나라, AION, OVERHIT 등에 참여해 유명한 황주은(be) 디렉터가 해당 게임의 사운드 디렉터로 참여하고 있음을 밝혔다.#

밝혀진 정보에 의하면 여러 가지 스킬을 포함해 콤보를 엮어가며 막기와 회피를 사용하는 전투 방식이라고 한다. 룩 변경이 가능한 코스튬 기능도 있다고 한다.[10]

2022년 트레일러 공개와 함께 게임명을 기존의 프로젝트 이브에서 스텔라 블레이드로 변경[11]하였으며 추가로 새 등장인물들과 원거리 공격, 새로운 적들의 모습이 등장했다. 1년만의 트레일러라 그런지 이전 트레일러들보다 시각 효과와 캐릭터 애니메이션 등이 더 자연스러워졌고 막거나 패링하는 동작, 분신과 함께 검으로 베어버리는 동작 등에서 베요네타, 데빌 메이 크라이 같은 느낌이 든다는 평이다.

같은 시기 소니 글로벌 파트너쉽 부사장 크리스티안 스벤슨이 스텔라 블레이드가 플레이스테이션의 세컨드 파티 게임이라고 밝히면서 소니가 상당한 투자와 지원을 하고 있다는 추측이 기정사실화되었다.#

플레이스테이션 공식 블로그에 의해 2024년 중 출시가 사실상 확정되었고, 2024년 State of Play에서 4월 26일 발매 확정 및 사전 예약을 받기 시작했다.

2024년 3월 29일, 데모판이 정식으로 릴리즈되었다.

2024년 4월 15일, 디렉터 김형태와 요코 타로가 서울에서 만났다. #

==# 트레일러 #==
한국어 영어
중국어 대만어
공식 로고 로딩 화면
Project EVE 티저 트레일러
Project EVE Battle Report
2021 PlayStation 쇼케이스 트레일러
스토리 트레일러
사전 예약 트레일러
데모 공개 트레일러
이브 비네트 트레일러
타키 비네트 트레일러
아담 비네트 트레일러
릴리 비네트 트레일러
메이킹 필름 다큐 ep 1.
메이킹 필름 다큐 ep 2.
PS5|스텔라 블레이드 - "EVE" 티저 (4K)
PS5|스텔라 블레이드 - "EVE" 뮤직 비디오 (4K)
PS5|스텔라 블레이드 - "EVE" 뮤직 비디오 비하인드씬
PS5|스텔라 블레이드 - 출시 트레일러
PS5|스텔라 블레이드 - PC판 트레일러
PS5|스텔라 블레이드 - 니케 DLC 트레일러
PS5 & PC|스텔라 블레이드 - PC판 출시 트레일러
PS5 & PC|스텔라 블레이드 - 포토모드 트레일러

3. 출시 에디션

파일:st deluxe.jpg

3.1. 데모판

2024년 3월 29일 공개. 약 1시간 분량의 도입부 플레이가 제공되며 보스 아바돈까지 플레이할 수 있다. 아바돈 클리어 후에는 본편의 보스전, 강화된 베타 스킬들을 보여주는 트레일러가 나오고 보스 전투 모드가 해금된다. 보스 전투 모드에서는 더 많은 스킬, 아이템, 슈트가 해금된 채 보스 스토커와 전투를 체험할 수 있다.

PC판용 데모는 2025년 5월 31일 공개되었으며 PS5판 데모와 동일한 플레이 분량을 제공한다. 차이점은 아바돈 클리어시 나오는 트레일러가 PS5 데모버전과는 다른 버전으로 2025년 6월 12일 추가될 콘텐츠 및 의상들이 담긴 트레일러가 나온다.

3.2. PC판

PC판은 PS5판 대비 하드웨어 사양 차이로 인해 다음과 같은 성능적 차이점이 있다.
  • NVIDIA DLSS 4 및 AMD FSR 4을 통한 AI 업스케일링 및 프레임 생성
  • 프레임레이트 제한 해제
  • 울트라와이드 디스플레이 지원
  • 듀얼센스 컨트롤러 햅틱 피드백 및 트리거 효과는 유선으로 지원 (PS5는 유/무선)
  • 고해상도 텍스처

그리고 PC판은 PS5판보다 13~14개월 정도 늦게 발매했기 때문에 기존 PS5판(1.010.000 버전) 대비 다음과 같은 업데이트 된 콘텐츠를 제공한다,

* 슈트 25종 추가
* 액세서리 9종 추가
* 보스 챌린지에 신규 보스(만) 추가
* 일본어 및 중국어 음성 지원

PC판 예약 주문자에게는 다음의 특전이 제공된다. 예약 특전은 일부 아이템을 게임 초반에 지급하는 방식이므로, 예약자가 아니라도 게임 플레이 후반에 얻을 수 있다.

기존 PS5판은 PC판과 동일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1.011.000 버전 업데이트를 PC판 발매와 동시에 실시했다.

Note : 일부 유저들에게서 크래시나 블루스크린 후 세이브 파일이 손상되는 문제가 보고되고 있어 게임 진행 중에 세이브 파일을 자주 백업하는 것이 좋다.
  • 세이브 파일 경로 : c:\\Users\\(사용자명)\\AppData\\Local\\SB\\Saved\\SaveGames\\(스팀ID)\\ [12]
  • 세이브 파일명 : StellarBladeSave00.sav

세이브 파일 슬롯에 따라 두 자리 숫자는 00, 01, 02... 로 바뀔 수 있다. *.sav 파일을 다른 곳에 복사하여 보관하거나 압축 프로그램으로 압축하여 보관하면 된다. 백업을 복구할 때는 기존의 세이브 파일을 덮어 쓰면 된다.

개인적으로 백업하지 않았더라도, 마지막 세이브 두 개는 스팀 클라우드에 저장된다.
https://store.steampowered.com/account/remotestorage
상기 사이트에 스팀 로그인 접속하면 최종 세이브 파일을 로컬 드라이브에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다운 받은 파일명을 위의 세이브 파일명으로 바꾸어 덮어쓰면 세이브를 복구할 수 있다. 1.2.0 버전 업데이트에서 세이브 복구 기능을 인게임 상에 넣어주었다.

3.3. 스탠다드 에디션

PS5판은 디스크(피지컬)판과 디지털(DL)판이 있으며 가격은 동일하다. PC판은 디지털(DL)판만 있다. 가격은 다음과 같다.
<rowcolor=white> 에디션 PS5판 PC판
스탠다드 에디션 79,800원 62,800원

PS5용 디지털 판 예약 주문자에게는 다음의 특전이 제공된다. 예약 특전은 일부 아이템을 게임 초반에 지급하는 방식이므로, 예약자가 아니라도 게임 플레이 후반에 얻을 수 있다.

3.4. 디럭스 에디션

스탠다드 에디션 + 확장팩인 디럭스 팩이 통합된 에디션으로, PS5용만 판매된다.
<rowcolor=white> 에디션 PS5판 PC판
디럭스 에디션 89,000원 (미발매)

3.5. 컴플리트 에디션

2025년 6월 12일 PC판 발매와 함께 제공되는 에디션. PS5용으로도 동일한 구성으로 발매되었다.
파일:Stellar Blade PC Release - 25 New Outfits - New boss fight.jpg
PC판은 스팀에픽게임즈를 통해 스탠다드 에디션(본편)과 컴플리트 에디션 2가지로 판매된다. 가격은 다음과 같다.
<rowcolor=white> 에디션 PS5판 PC판
컴플리트 에디션 99,800원 83,800원

컴플리트 에디션은 스탠다드 에디션(본편) 외에 다음의 확장팩 콘텐츠 및 특전을 포함한다.

PS5용은 기존 구입자들을 위해 확장팩들을 개별 구입할 수 있지만, PC판에서는 이들이 통합된 컴플리트 에디션으로 판매하고 있다.

4. 확장팩

스탠다드 에디션에 추가 아이템이나 퀘스트 등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확장팩에 대해 기술한다. 이들 확장팩의 일부는 스탠다드 에디션과 통합된 별도의 에디션으로 구성되어 판매되기도 한다.

4.1. 디럭스 팩

다음의 특전이 주어진다. 가격은 10,800원.

특전으로 주어지는 슈트는 게임 시작시 바로 지급되지 않고, 에이도스 7 지역을 클리어한 뒤, 자이온까지 가게 되면 자이온의 아지트 앞에서 얻을 수 있다.

파일:특전_디럭스팩_스타게이저 슈트.jpg

4.2. 타키온 팩

파일:SB_TachyonPack.png
PC판 컴플리트 에디션 발매에 의해 추가된 다음의 콘텐츠를 PS5에서도 동일하게 제공하기 위한 확장팩. PC판에서는 개별 제공하지 않고 컴플리트 에디션에 포함되어있다. 가격은 1,200원.

슈트는 게임 시작시 바로 지급되지 않고, 에이도스 7 지역을 클리어한 뒤, 자이온까지 가게 되면 자이온의 아지트 앞에서 얻을 수 있다.

파일:SB_플래닛 다이브 슈트(캡틴)_get.jpg

4.3. 니어:오토마타 DLC

파일:스텔라블레이드-니어오토마타-DLC.png
2024년 11월 20일 발매. 니어:오토마타와의 콜라보를 통해 다음의 슈트와 수집 요소가 추가되었으며, 신규 맵이나 스토리는 없다. PC판은 컴플리트 에디션에 포함되어 있으며 PS5판은 10,800원에 개별 구입할 수 있다.

상기 아이템들은 에밀 상점에서 구입할 수 있다. 에밀 상점은 황무지, 대사막에서 출현하므로, 게임을 최소한 황무지까지는 진행해야 DLC를 즐길 수 있다.

DLC 공개와 함께 1.009.001 버전 업데이트(무료)가 진행되었다.

4.4. 승리의 여신: 니케 DLC

파일:스텔라블레이드x니케.pn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텔라 블레이드/승리의 여신: 니케 DLC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텔라 블레이드/승리의 여신: 니케 DLC#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텔라 블레이드/승리의 여신: 니케 DLC#|]]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5. 트윈 확장팩

파일:스텔라블레이드 트윈 익스패션 팩.png
다음의 2개 DLC 내용을 1번에 묶어서 구입하는 확장팩. PS5 기준 가격은 19,800원.

5. 시스템 요구 사항

시스템 요구 사항[15]
구분 최소 사양 권장 사양
<colbgcolor=#000><colcolor=White> 운영체제 Windows 10 64-bit
프로세서 Intel® Core™ i5-7600k
AMD Ryzen™ 5 1600X
Intel® Core™ i5-8400
AMD Ryzen™ 5 3600X
메모리 16 GB RAM
그래픽 카드 NVIDIA GeForce GTX 1060 6GB
AMD Radeon RX 580 8GB
NVIDIA GeForce RTX 2060 SUPER
AMD Radeon RX 5700 XT
API DirectX 12
저장 공간 75 GB
추가 사항 1080P. 그래픽 품질 "Low". 60FPS 타겟.
HDD 지원, SSD 권장
1440P. 그래픽 품질 "Medium". 60FPS 타겟.
SSD 권장
시스템 요구 사항[16]
구분 MINIMUM RECOMMENDED HIGH VERY HIGH
<colbgcolor=#000><colcolor=White> 평균 성능 1080P @ 60FPS 1440P @ 60FPS 1440P @ 60FPS 4K @ 60FPS
그래픽 설정 Low Medium High Very High
프로세서 Intel® Core™ i5-7600k
AMD Ryzen™ 5 1600X
Intel® Core™ i5-8400
AMD Ryzen™ 5 3600X
그래픽 카드 NVIDIA GeForce GTX 1060 6GB
AMD Radeon RX 580 8GB
NVIDIA GeForce RTX 2060 SUPER
AMD Radeon RX 5700 XT
NVIDIA GeForce RTX 2070 SUPER
AMD Radeon RX 6700 XT
NVIDIA GeForce RTX 3080
AMD Radeon RX 7900 XT
메모리 16 GB RAM
저장 공간 75GB HDD (SSD 권장) 75GB SSD
운영체제 Windows 10 64-bit

6. 업데이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텔라 블레이드/업데이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텔라 블레이드/업데이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텔라 블레이드/업데이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설정

7.1. 역사

  • 네이티브의 발생
    인류는 인류의 영도자 마더 스피어의 가호와 천재 과학자 라파엘 마크스 덕분에 번영을 누렸으나, 어디선가 갑자기 '네이티브'라는 흉폭한 괴물들이 나타나 영화롭던 인류 문명은 갑작스런 위기를 맞게 된다.
  • 최후의 전쟁
    인류가 네이티브의 침공에 맞서 싸운 전쟁. 인류의 군대인 리전은 인류의 존망을 걸고 싸웠으나 결국 생체 병기 네이티브를 이겨낼 수 없었으며, 결국 마지막 전장이었던 에이도스 7에서 패배하면서 인류는 지구를 네이티브에게 빼앗기고 말았다. 지구의 궤도 링 콜로니에 살고 있던 선택받은 자들은 비교적 안전했지만 지표면에 살던 인류는 큰 피해를 입었다.
    한편, 최후의 전쟁 이전에 큰 전쟁이 하나 더 있었다는 말이 있는데...
  • 콜로니 폴
    최후의 전쟁 이후 네이티브 군단은 궤도 엘리베이터를 장악하여 콜로니와 그곳에 있는 마더 스피어를 향해 오르기 시작했으며, 그 여파인지 궤도 링이 파손되면서 수많은 콜로니가 지표면으로 낙하했다. 콜로니 폴의 여파는 기후와 지형까지 바꿀 정도로 파괴적이었으며, 떨어진 콜로니에 살던 거주민들은 물론, 지표면에 살던 네이티브와 잔존 인류는 궤멸적인 피해를 입었다. 그나마 네이티브는 특유의 튼튼한 신체와 적응력으로 인해 콜로니 폴 이후에도 다시 개체수가 늘어난 듯 하지만 지표면의 인류는 사실상 전멸에 가까웠으며, 극소수 살아남은 사람들은 바위틈 내 숨겨진 도시인 자이온에 모여 생존을 위한 투쟁을 이어나갔다. 불행 중 다행으로 콜로니 폴로 인해 콜로니까지 네이티브에게 침공당하는 일은 발생하지 않았다.
  • 이브 프로토콜
    마더 스피어는 콜로니 폴 이후 네이티브로부터 지구를 되찾기 위해 콜로니에서 강력한 전사들을 길러내 지상으로 강하시켰다. 이브 프로토콜의 최우선 목표는 모든 네이티브의 원점인 엘더 네이티브를 찾아 제거하는 것이었으며 궁극적인 목표는 모든 네이티브의 말살이다.

7.2. 단체 및 인물

  • 인간
    네이티브에게 지구를 빼앗기기 전 까지는 지구를 지배했던 종족으로, 유기물과 기계가 완벽하게 조합된 신체를 가지고 있다. 에너지를 생성하는 '바디셀'을 탑재했으며 이 바디셀 덕분에 우주나 물속에서도 생존할 수 있다. 네이티브 만큼은 아니지만 신체가 튼튼하며 장수한다. 죽기 전 마지막 기억은 메모리 스틱에 보관되며, 시체는 잘 부패하지 않는다.
  • 마더 스피어
    인류가 신으로 숭배하는 존재로, 인류의 생존과 번영을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하고 있다. 지금의 당면 과제는 역시나 네이티브의 손아귀로부터 지구를 재탈환하는 것이다. 자세한 것은 해당 문서 참조.
  • 네이티브 (Naytiba)[17]
    어느날 갑자기 지구에 출현한 괴생물체들로 작중 인류의 주적이다. 자세한 것은 해당 문서 참조.
  • 리전
    지구를 빼앗기기 전 활동하던 인류의 부대 또는 부대원들의 총칭. 초반에 얻을 수 있는 데이터에 따르면 1개 리전당 약 2만명의 병력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하는데, 이는 현대의 완편 사단이나 조금 널널하게 편제된 군단과 비슷한 수치다. 하지만 게임내의 묘사를 보면 사단처럼 운영된 것에 가깝다. 즉, 리전은 쉽게 말해서 사단으로 번역하면 된다. 하지만 보통 인게임에선 전사한 리전의 부대원 자체를 리전으로 부르는 경우가 많다. 텍스트상 표시로는 숫자를 붙여쓰냐 띄어쓰냐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는데, 예를 들어서 리전8이라고 붙여 쓰면 대략 제8사단 같은 부대를 의미, 리전 244로 띄어쓰면 244번 군번을 가진 병사를 뜻한다.
  • EVE 강하 부대
    이브 프로토콜에 따라 콜로니에서 지표면으로 보내진 특수부대. 한번 보낸 후 실패하면 더 강력한 전투원을 만들어 그 다음 회차 강하에 투입했으나, 주인공 이브가 속한 7차 강하부대가 투입될 때 까지 임무에 성공한 부대는 없었다.[18] 지구의 생존자들에게는 '천사'라는 은어로 불린다. 주인공 이브 07은 7차 강하부대 소속이며, 이브 07이 속한 스쿼드[19]는 이브 07과 타키(생존여부 불명)를 제외하면 강하현장에서 모두 전사했다.
    전사로 만들어진 인간인 만큼 콜로니의 최신 기술의 정수가 녹아든 신체 부품을 사용하는데, 대표적으로 유니즈너스 바디라는 특이한 소체를 사용한다. 유니즈너스 바디는 다양한 외부 인자를 흡수하여 스스로를 강화하는 특성이 있어 전장에 오래 싸운 부대원일수록 그만큼 강해진다. 이렇게 흡수할 수 있는 인자로는 대표적으로 네이티브의 유전자가 있으며, 전사한 아군으로부터 인자를 '코어'라는 형태로 흡수할 수 있다. 강화 부대의 세대가 지날 수록 유니즈너스 바디 역시 더 개량되어 외부 인자 수용성이 높아진다.
    등장하는 주요 강하부대원은 2차, 5차, 7차 부대원인데 해당 개체들 신체 일부가 절단되는 연출이 나온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2차 부대원은 체내에 광채를 내는 인공적인 섬유 조직으로 구성되어있으며 더 후세대인 5차 부대원은 의외로 기계조직으로만 이루어져있다.[20] 이 중 가장 진보된 유니즈너스 바디인 7세대가 되어서야 인간의 생체조직과 거의 비슷하다는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 할 수 있다. 게임을 처음 하는 유저들이 강화부대원을 순수한 인간으로 생각하게 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강하 부대의 신체 부품은 콜로니에서 생산한 최신 특수 제품을 사용하다 보니 이를 노리는 사람들도 있는 모양이다. 장기 매매
  • 파수대
    자이온의 치안과 국방을 담당하는 집단.
  • 메가컴퍼니
    인류 멸망 이전 지구에 존재했던 기업들.
    • 에이도스 컴퍼니
      사이버네틱스, 인공지능 분야에서 두각을 드러낸 기업으로 다름아닌 라파엘 마크스가 이곳의 대표였다.
    • 테트라스타
    • 오르카 항공우주회사
      우주 개척을 주도한 기업으로 궤도 엘리베이터 등을 제작하였다.

7.3. 지역

  • 자이온
    이름의 모티브는 성경에 나오는 시온. 지구에 남은 인류가 모여서 만든 최후의 도시이자 국가. 오르칼이 건국했으며 아무래도 상황이 좋지 않다 보니 콜로니에 거주하는 인류와 다르게 투박한 모습을 하고 있으며, 정품 신체 부품을 구하기 어려운 탓에 신체 구성 중 기계의 비중이 아주 높다.
    작중 주인공인 이브가 도착할 시점에서는 심각한 전력난으로 인해 필수 인원을 제외하고 요람이라는 장치에서 동면을 취하고 있다.
    시민들 중 주변 황무지와 사막에서 각종 부품과 고철을 수거해 오는 스캐빈저의 비율이 높다.
  • 콜로니
    지구 궤도상 다수의 고리 형태로 만들어진 우주 거주지. 궤도상에 있다 보니 네이티브의 위협으로부터 어느정도 안전하다. 마더 스피어도 이 우주 콜로니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덕분에 고철을 주워 근근히 살아가는 자이온에 비해 기술적으로 크게 앞서고 있다.

7.4. 시설

  • 궤도 엘리베이터
    지표면에서 지구 궤도까지 이어주는 초대형 승강장치로 지구에 총 4개가 있었으나 지금은 스파이어 4를 제외하면 파괴되었다. 지면에서 수직으로 쌓은 탑처럼 보이지만 사실 약간 기울어져 있으며 고도가 높아질 수록 이 기울어짐이 크게 체감된다.
  • 솔라 타워
    지구 곳곳에 설치된 탑으로 표면적으로는 태양열 발전을 통해 주변에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이지만, 실제로는 일종의 테라포밍 장치로 주변 기후를 제어하도록 설계되었다.
  • 하이퍼튜브
    거대한 튜브를 통해 물건을 운송하는 초고속 화물 운송 시스템. 과거 여러 도시를 이어주는 역할이었지만 콜로니 폴 당시 대부분 파괴되었다.
  • 캠프
    과거 전장에서 휴식과 보급을 위해 설치해둔 임시 휴게소. 리전이 만든 리전 캠프는 자판기 + 의자 + 스킬 단말기 + 턴테이블만 있으며, 강하부대가 만든 레퓨즈 캠프는 리전 캠프의 구성물에 전화기와 작업대가 있으며 특유의 원반형 지대 및 홀로그램 경계선으로 구분할 수 있다. 작중에선 디트 코인을 자판기에 넣으면 가동하며, 세이브 포인트 역할을 한다.
    • 자판기: 캠프를 가동하는 역할. 각종 소모품과 탄을 구매할 수 있다. 리전 캠프에 있는 작은 자판기는 마구 공격하면 골드가 드랍된다.
    • 의자: 체력을 회복하고, 수납한 아이템을 소지 인벤토리로 가져오고, 회복제 텀블러를 보충하고, 네이티브를 리스폰시킨다.
    • 스킬 단말기: SP로 스킬을 배우거나 미리 시험해 볼 수 있다.
    • 턴테이블: 캠프 BGM을 변경할 수 있다.
    • 전화: 다른 전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 작업대: 각종 업그레이드를 할 수 있다.

8. 기성 작품 레퍼런스

8.1. 소재/세계관 측면의 레퍼런스

  • 황무지를 돌아다니다 보면 호외를 뿌리고 다니는 'THE TRUTH'라는 곳에서 보도한 내용을 볼 수 있는데 여기서 에이도스 컴퍼니가 진행하는 극비 프로젝트의 이름이 인류보완계획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당시 CEO였던 라파엘 마크스의 명언인 "혁신 기업은 기술 발전, 사회 발전을 통해 인류라는 종의 보완에 도달해야 한다."에서 인류의 보완을 과대해석한 것이다. 인류보완계획은 안노 히데아키의 대표작인 신세기 에반게리온에서 파생된 것으로 작품 내에서 매우 중요한 설정으로 작용한다.[21] 김형태 대표는 요코 타로와의 인터뷰에서 "신세기 에반게리온의 난해한 줄거리에 큰 영향을 받았고, 그 영감에서 벗어나기 힘들었다."고 밝혔다. 그런데 해당 인터뷰에서 요코 타로도 니어 오토마타가 신세기 에반게리온의 주제를 재해석한 작품이라고 같이 밝혔다. 니어 오토마타에 대한 레퍼런스가 많은 스텔라 블레이드 역시 자연스럽게 에반게리온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 셈이다.
  • 만화 총몽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다고 밝혔다. 주인공인 이브는 총몽의 주인공인 갈리처럼 강력하면서도 스스로를 통찰해 나가는 여성형 안드로이드이며, 궤도 엘레베이터의 시작점은 고철마을자렘의 구도와 유사하다. 한때 궤도 엘레베이터의 끝에 존재했던 콜로니는 동일한 설정을 지닌 예루의 레퍼런스로 보인다.
  • 영화 매트릭스 시리즈의 레퍼런스도 쉽게 찾을 수 있다. 이브가 빠른 이동에 공중전화를 사용하는 점이나 선지자 오르칼(오라클)의 존재, 시온(자이온)을 비롯한 많은 기독교적 은유는 매트릭스 시리즈와 겹친다.
  • 게임 내에서 크리스트교의 요소가 떠오르는데 먼저 주인공과 조력자는 이브아담을 따왔으며 몇몇 보스들은 천사의 모습[22]을 하고 있다. 주인공의 캐치프레이즈는 주기도문광야의 유혹을 적당히 섞은 개념이 들어 있다.

8.2. 표현/네이밍 측면의 레퍼런스

  • 마더 스피어와의 조우시 대사와 인게임에서 입수할 수 있는 모든 플래닛 다이브 슈트에는 공통적으로 "별 헤아리는 밤에 태어난 아이들" 문구가 들어있다. 출전은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알고 있을 윤동주의 『별 헤는 밤』.[23]# 영어로는 starry night(별이 빛나는 밤)으로 번역되었는데, 이는 빈센트 반 고흐의 그림 이름이다. 한국어의 '별을 헤(아리)다'처럼 특정 용례를 제외하면 극히 드물게 쓰이는 것과 달리 starry night은 말 그대로 별이 많은 밤을 묘사할 때 자주 쓰이므로 고흐의 그림과 강하게 엮이는 표현은 아니다. 또한 고흐의 그림 안에서 별이 의미하는 바가 윤동주의 시 안에서 별이 의미하는 바만큼 중요하거나 본 게임의 스토리와 연관이 있지는 않아 약간 아쉬운 부분. '헤다'의 의미를 살려 counting stars라고 했다면 동명의 노래에 등장하는 '별=꿈'의 상징과 어느 정도 의미를 맞출 수 있었을 것이다.
  • 나는느꼈다라는 입수물엔 '나를보셨다여길보셨다나를보셨다'라고 적혀 있는데[24] 이는 매드 맥스 시리즈의 등장인물인 임모탄 조워보이를 참고한 것으로 보인다.[25]
  • 에이도스 7을 돌아다니다 보면 'BAR 99'라는 간판이 나온다. 이는 만화 총몽에서 갈리가 모터볼 선수로 활동했을 때의 번호(99번)다.
  • 에이도스 7에서 발견할 수 있는 'THE TRUTH 3호'에 적혀 있는 내용에 터미네이터가 언급된다. 기사 이름이 '오르카 터미네이터'이며, 생존자 증언에서 "그것들은 터미네이터에요. 용서가 없죠."라고 언급된다. 이는 터미네이터 1편에서 카일 리스가 사라 코너에게 T-800을 설명할 때 말한 "저 밖에 터미네이터가 돌아다녀요! 협상도, 설득도 통하지 않아요. 동정심, 후회, 두려움 따위도 없어요."의 레퍼런스이다. 추가로 드로이드 상체의 모습과 설정은 1편 최후반부에 하체가 통째로 날아갔는데도 기어서 사라 코너를 추격하는 T-800의 모습과 겹친다.[26]
  • 두 번째 트레일러에서 릴리가 아담에게 "그건 신성모독이에요!"라고 말하는 대사에서 성우 개그가 성립한다. 이는 본작의 아담 역의 정재헌블리자드의 게임 디아블로 3에서 연기했던 임페리우스의 명대사를 가져온 부분이다.
  • 릴리가 에이도스 9에서 지내던 시설을 그녀는 '아틀리에'라고 부르고 있는데, 릴리 + 아틀리에를 붙이면 리리의 아틀리에가 된다.
  • 서브 임무 중 '지구 청소 계획'은 애니메이션 월-E에 나오는 설정과 이름이 동일하며, 이 임무 후에 진행하게 되는 'CnL' 서브 임무는 역시 '월-E'에서 지구 청소 계획을 실행하는 BnL사를 염두에 두고 이름을 지은 것으로 보인다.
  • 서브 임무 이름 중 '기계 부인'은 푸치니의 오페라 제목 나비부인을 변형시켰다고 보인다.
  • 니어:오토마타 DLC에서 추가된 에밀 상점 삼륜차의 번호판 번호는 니어:오토마타의 출시일과 같다. DLC의 수집 요소인 별의 눈물을 얻을 때 이브가 취하는 포즈도 니어:오토마타의 2B가 취하는 포즈와 같다.
  • 자사의 게임 승리의 여신: 니케에 등장하는 캐릭터 중 라피아니스가 인게임 문서와 메모리스틱을 통해 언급되지만, 단순 동명이인으로 보인다. 이름이 확실히 나오진 않지만, 대화 내용상 네온도 나온다.
  • 디거와 함께 있는 드론 로봇의 이름이 스포터(SP0-tt2r)인 것은, 보스턴 다이내믹스 사의 4족 보행 산업용 로봇 Spot에서 모티브를 얻은 것으로 보인다.

9. OST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텔라 블레이드/OST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텔라 블레이드/OST#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텔라 블레이드/OST#|]]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주요 콘텐츠

10.1. 스토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텔라 블레이드/스토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텔라 블레이드/스토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텔라 블레이드/스토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2. 지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텔라 블레이드/지역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텔라 블레이드/지역#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텔라 블레이드/지역#|]]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3. 임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텔라 블레이드/임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텔라 블레이드/임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텔라 블레이드/임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4. 상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텔라 블레이드/상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텔라 블레이드/상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텔라 블레이드/상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5. 엔딩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텔라 블레이드/엔딩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텔라 블레이드/엔딩#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텔라 블레이드/엔딩#|]]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6. 업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텔라 블레이드/업적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텔라 블레이드/업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텔라 블레이드/업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7. 새로운 게임 플러스

1회차 게임 플레이를 완료하고 엔딩 중 1가지를 보게 되면 엔딩 크레딧 이후 타이틀 화면으로 돌아왔을 때 「새로운 게임 플러스」 메뉴가 열리게 된다. '새로운 게임 플러스'는 캐릭터 스탯, 수집물 등을 유지한 상태로 게임을 처음부터 다시 즐기는 다회차 플레이다. 1회차에서 MAX를 찍었던 스탯 속성들에 일부 추가 확장이 일어나서 능력치를 강화할 수 있으며, 슈트와 액세서리도 파생형을 입수할 수 있다. 기존 회차를 완료했던 세이브 슬롯을 덮어 써서 플레이하게 된다.

이와 달리 「새로운 게임」은 모든 스탯과 수집물을 초기화하고, 게임을 다시 (1회차부터) 시작하는 것이다. 기존 회차의 세이브 슬롯을 덮어 쓸 수도 있지만, 기존 회차와 별개의 세이브 슬롯을 새로 파서 할 수도 있다. (세이브 슬롯은 최대 5개까지)
<rowcolor=white> 대분류 소분류 새로운 게임 새로운 게임 플러스 상세 설명
스탯 공격력, 체력, 베타 게이지, 버스트 게이지, 텀블러, 드론 업그레이드 초기화 유지 체력, 베타게이지, 버스트 게이지는 코어 풀파밍시 1회차에서 각각 5000, 2200, 1600을 찍게 된다. 2회차에서 각각 6500, 2800, 1600에 도달하면 최대치에 도달한 것이다.[27]

공격력은 최대 40단계까지지만 풀파밍을 해도 3회차 정도가 되어야 40단계에 도달할 수 있다. 텀블러 강화II는 2회차에서 추가되며 드론 업그레이드도 2회차에서 추가 확장이 일어난다.
  • 공격력 강화: 15->40단계
  • 텀블러 강화: 횟수 증가 5단계
  • 텀블러 강화II: 회복량 증가 8단계 (새로운 게임 플러스)
엑소스파인 소켓, 기어 소켓, 2단 점프 스킬 초기화 유지 소켓류는 스토리 진행에 따라 확장이 일어나며 1회차로 최대치에 도달할 수 있다.
  • 엑소스파인 소켓: 최대 2개까지
  • 기어 소켓: 최대 4개까지
공격 스킬, 생존 스킬, 베타 스킬, 버스트 스킬, 타키 모드 초기화 유지 2회차에서 베타 스킬이 확장된다. 베타 스킬은 업그레이드시 모션과 판정이 변경된다.
엑소스파인, 기어 초기화 유지 재 입수시 성능이 강화된 Mk2 버전을 획득.
엑소스파인은 기존 버전의 상위호환, 기어는 MK2 1성 기어가 일반 기어 2성과 3성 사이의 수준이며 2성부터는 일반 기어 3성의 스펙을 능가한다.
사용 아이템 재화류, 탄환류, 회복 소모품, 전투 소모품, 강화 소재 초기화 유지 2회차부터 강화 소재를 스포터에게 판매할 수 있다.
니어 오토마타 DLC-별의 눈물 초기화 유지 재입수 불가. 전 회차에서 한번이라도 에밀 상점의 아이템을 모두 구매해서 에밀과 헤어지는 컷신을 봤다면 새로운 게임 플러스에선 에밀을 다시 볼 수 없다.[28]
승리의 여신 니케 DLC- 뼈다귀 스패너 초기화 유지 재입수 불가 (별의 눈물과 마찬가지)
외형 슈트, 액세서리 초기화 유지 재 입수시 파생형 획득 or 디트코인 획득
헤어 초기화 유지
수집물 메모리 스틱, 문서, 물고기 초기화 유지 입수 상태 유지 & 재입수 가능[29]
초기화 유지 재입수 가능. 지급된 보상은 유지. 재달성시 추가 보상 없음.
포토 챌린지 초기화 초기화 지급된 보상은 유지. 재달성시 슈트 대신 소량의 디트코인 획득
승리의 여신 니케 DLC- 도로롱 스티커 초기화 유지 전 회차에서 한번이라도 도로롱을 잡아 스티커를 얻었다면 새로운 게임 플러스에선 도로롱을 다시 볼 수 없다.
임무 임무, 암호, 캠프 활성화, 릴리 게이지 초기화 초기화
승리의 여신 니케 DLC- 홍련 임무 초기화 유지 전 회차에서 한번이라도 홍련의 임무를 마쳤다면 새로운 게임 플러스에선 임무 수락/완료가 불가능하다.

11. 장비

11.1. 슈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텔라 블레이드/슈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텔라 블레이드/슈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텔라 블레이드/슈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2. 엑소스파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텔라 블레이드/엑소스파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텔라 블레이드/엑소스파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텔라 블레이드/엑소스파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3. 기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텔라 블레이드/기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텔라 블레이드/기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텔라 블레이드/기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4. 헤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텔라 블레이드/헤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텔라 블레이드/헤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텔라 블레이드/헤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5. 액세서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텔라 블레이드/액세서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텔라 블레이드/액세서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텔라 블레이드/액세서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6. 스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텔라 블레이드/스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텔라 블레이드/스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텔라 블레이드/스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7. 드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텔라 블레이드/드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텔라 블레이드/드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텔라 블레이드/드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8. 사용 아이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텔라 블레이드/사용 아이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텔라 블레이드/사용 아이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텔라 블레이드/사용 아이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데이터 뱅크

옵션 화면의 데이터 뱅크를 통해 각종 수집물에 대한 정보, 게임 중의 NPC, 적(네이티브)들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 수집물에는 메모리 스틱, 문서, 암호, 물고기 도감, 포토 챌린지가 있다.
  • 도 수집물의 하나지만, 데이터 뱅크에서는 확인이 불가능하며 별도로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데이터 뱅크에서 다루지 않고 별도의 기타 수집물 챕터에서 다룬다.
  • 별의 눈물도 수집물의 하나이고 데이터 뱅크에서 확인도 가능하지만, 유료 구입하는 니어:오토마타 DLC의 일부로서 미구입자에게는 표시되지 않고 수집이 완료되면 데이터 뱅크에서 사라지는 차이점 등이 있어 별도의 기타 수집물 챕터에서 다룬다.

12.1. 메모리 스틱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텔라 블레이드/메모리 스틱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텔라 블레이드/메모리 스틱#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텔라 블레이드/메모리 스틱#|]]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2. 문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텔라 블레이드/문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텔라 블레이드/문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텔라 블레이드/문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3. 암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텔라 블레이드/암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텔라 블레이드/암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텔라 블레이드/암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4. 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텔라 블레이드/인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텔라 블레이드/인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텔라 블레이드/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5. 네이티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네이티브(스텔라 블레이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네이티브(스텔라 블레이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네이티브(스텔라 블레이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6. 물고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텔라 블레이드/물고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텔라 블레이드/물고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텔라 블레이드/물고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7. 포토 챌린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텔라 블레이드/포토 챌린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텔라 블레이드/포토 챌린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텔라 블레이드/포토 챌린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 기타 콘텐츠

13.1.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텔라 블레이드/캔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텔라 블레이드/캔#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텔라 블레이드/캔#|]]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2. 별의 눈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텔라 블레이드/별의 눈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텔라 블레이드/별의 눈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텔라 블레이드/별의 눈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3. 기타 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텔라 블레이드/기타 적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텔라 블레이드/기타 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텔라 블레이드/기타 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4. 평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텔라 블레이드/평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텔라 블레이드/평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텔라 블레이드/평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5. 흥행

  • 2024년 4월 2일, 예약구매로 아마존 PS5 게임 베스트셀러 1위와 일본 아마존 PS5 게임 베스트셀러 1위를 기록했다.##
  • 발매 한 달 앞서 공개된 데모가 일일 이용자 수 75만명을 기록하면서 파이널 판타지 VII 리버스 데모의 거의 두 배에 달하는 이용자 수를 달성했다.[30]
  • 영국 주간 패키지 게임 차트에서 발매 1주차에 1위를 차지했다. 한국 게임으로는 역대 최초이다. 2주차 차트에선 사이버펑크 2077 얼티밋 에디션에 밀려 2위를 기록했다. 3주차부터 10위권에서 떨어졌고 4주차는 23위, 5주차는 37위까지 떨어졌다.
  • 2024년 출시 PS5 독점작 중 출시 첫주 간 플레이어 활성자수 순위 3위를 기록했다. #
  • 일본에서 첫 2주간 패키지로 6만 7천여장을 판매하며 동기간 1위에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 1주 차는 4만 8천여 장이며 2주 차는 1만 8천여 장을 판매하면서 2위를 기록했다. 스텔라 블레이드의 패키지 공급 부족으로 인해 매장에서 매진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는 언급이 있다. #
  • 서양 PS 스토어 순위에선 2주만에 10위권 밖으로 떨어졌다.
  • 일본에서 3주 연속 판매 1위를 했으며 이에 감사하는 트윗이 올라왔다.#. 그러나 2주차 합산치를 2주 동안 1위를 했다는식으로 왜곡한 글이며 2주차는 2위로 밀려나 있다. 4주차에는 다시 판매량 1위를 기록하며 판매량 91,099장으로 드래곤즈 도그마 2의 피지컬 판매량을 추월했다.#
  • 미국에서 4월 판매량 1위를 달성했고 2024년 미국에서 가장 많이 팔린 타이틀 16위를 달성했다. #[31]
  • 【PS 스토어】5월의 DL 랭킹이 발표되었다. PS5에서는 '스텔라 블레이드'가 2개월 연속 1위 #
  • 포브스, PS5의 '스텔라 블레이드' 4월 판매 차트 1위 #
  • 2024년 6월 20일, 시프트업이 공시한 증권 신고서의 내용에 따르면 스텔라 블레이드 관련 매출은 2024년 4월에 약 63억원, 5월에는 약 157억원으로, 발매 후 2개월 간 약 220억원의 매출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 이는 게임의 총 매출이 아니라 시프트업이 소니로부터 정산받은 금액이며, 소니와 시프트업의 정산 비율은 공개되지 않았다.
  • 2024년 6월 25일, 시프트업은 IPO기자간담회를 통해 게임의 판매량이 100만장을 돌파한 것으로 추산된다고 직접 밝혔다. #
  • 2025년 2월 200만장 판매량 돌파가 공식화되었다.
  • 2025년 5월 16일 사전 주문 시작 후 전세계 스팀 판매 순위 3위를 찍고 중국과 대만 1위, 한국 4위, 독일 5위, 일본 6위, 프랑스 7위, 미국 8위, 영국 11위를 달성했다. 5월 17일 스텔라 블레이드 X를 통해서 스팀 전세계 판매 순위 2위를 달성했다는 트윗을 올렸다. 이후 6월 12일에는 판매순위 1위를 달성했다.
  • PC 출시 첫날 스팀 동시 접속자 수 18만명을 달성했다.[32] 이를 통해 역대 PC로 출시된 PlayStation 독점작 중 가장 높은 동접자 수를 달성하였다.[33] 이후 발매 4일차인 6월 15일에는 동시 접속자 19만명을 달성, 이와 동시에 누적 판매량 300만장 돌파가 공식화되었다.
  • 게임메카 - 스텔라 블레이드, 6월 스팀 신작 중 매출액 '1위' #

16. 논란 및 사건 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텔라 블레이드/논란 및 사건 사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텔라 블레이드/논란 및 사건 사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텔라 블레이드/논란 및 사건 사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7. 미디어 믹스

17.1. 모션 코믹스

보러가기
출시에 앞서 본작의 프리퀄 스토리를 다루는 모션 코믹스가 공개되었다.

17.2. 입체화

  • 이브 & 타키 & 드론 하이퍼 리얼 스태츄
    파일:stb_스블하이퍼리얼스태츄.jpg

    <colbgcolor=#0056b8,#010101><colcolor=#ffffff,#e0e0e0> 메이커 JND 스튜디오

    발매일 2026년 3분기

    가격 이브 단독 ₩3,390,000
    세트 ₩5,590,000

    1/3 스케일의 대형 피규어이며 이브는 785mm, 타키는 980mm다. 이브 단독 제품과 이브 + 타키 + 드론 세트 제품이 있다. JND 스튜디오 특유의 현실성이 가미되어 얼굴이 묘하게 달라진 것이 호불호가 갈리지만, 무시무시한 가격에도 불구하고 2025년 4월 18일 예판이 시작되자 전량 품절되었다.
  • 이브 넨도로이드
    파일:stb_이브넨도.jpg

    <colbgcolor=#0056b8,#010101><colcolor=#ffffff,#e0e0e0> 메이커 굿스마일 컴퍼니

    발매일 미정

    가격 미정
  • 스텔라 블레이드 SD 세트
    파일:stb_SD세트.jpg

    <colbgcolor=#0056b8,#010101><colcolor=#ffffff,#e0e0e0> 메이커 하비사쿠라

    발매일 미정

    가격 미정
  • 이브 1/7 스케일 피규어
    파일:stb_스케일피규어.jpg

    <colbgcolor=#0056b8,#010101><colcolor=#ffffff,#e0e0e0> 메이커 플레어

    발매일 미정

    가격 미정

18. 기타

  • 스토리 트레일러가 공개된 뒤 데스티니 차일드 운영 초창기였던 2016년 당시 메갈리아 관련 사건으로 퇴사한 일러스트레이터인 루키아나가 아직도 원한을 가지고 있는지 스텔라 블레이드를 보이콧해 달라는 트윗을 작성했다가 외국인들의 조롱을 받았다. 데스티니 차일드/사건 사고 문서 참조.
  • 갓 오브 워: 영혼의 반역자의 디렉터로 유명한 게임 개발자 데이비드 자페가 본작을 비꼬는 트윗을 게시하여 논란이 되었다. 섹시한 여자가 좋은 남자들을 대상으로 한다는 게임의 예약 구매 보상이 옷 입히기 놀이에 쓰는 복장과 액세서리 같은 것들이라며 놀리는 내용이다. 다만 자페는 본 게임을 진지하게 문제삼았다기보다는 조롱조의 농담을 한 것에 가깝기 때문에 크게 이슈로 번지지는 않았다.
  • 작품의 주요 성우진인 윤은서, 정재헌, 박리나는 같은 제작사의 전작인 데스티니 차일드에 캐스팅됐다. 이 중 윤은서박리나승리의 여신: 니케에 캐스팅 되기도 했다.
  • 더빙 음성은 한국어, 영어, 일본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독일어, 포르투갈어가 수록된다. 단 PS5판의 경우 일본어 음성은 일본 현지 성우 소속사 특유의 계약 문제 때문에 일본어판에만 수록된다. 특이한 점은 영음의 경우 미국 성우들이 아닌 영국 성우들이 더빙해서 영국식 억양으로 말한다. 한편 한영일을 가리지 않고 더빙 품질이 좋지 않다는 평가가 많다. 서로 다른 나라 언어가 더 좋게 들린다고 한다. 즉, 더빙 품질이 국가를 가리지 않고 모두 안 좋다는 것이다. 원래 자국어가 아닌 언어를 들으면 그 언어의 연기 수준이 조금 떨어져도 자연스럽게 들린다.
  • 몬스터 디자인은 봉준호의 영화 괴물의 디자이너로 유명한 장희철 등 여러 유명 클레이 디자이너들이 담당했다. #
  • ESTIMATE공식 홈페이지에 따르면 ESTIMATE도 OST 작업에 참여했다고 표기되어 있으나 실제 게임 엔딩 크레딧 및 미니 사운드 트랙 리스트엔 스튜디오 대표인 ESTi가 작곡한 곡은 등장하지 않는다.[35] ESTi가 처음부터 곡을 제공하지 않았거나, 2023년에 일어났던 노동법 위반 논란으로 인해 승리의 여신: 니케처럼 다른 아티스트가 작곡한 곡들로 대체됐을 가능성이 있다.
  • 한국인 디렉터가 한국 소재 게임 스튜디오에서 제작하는 프로젝트 중에선 SIE의 최초의 세컨드 파티 게임이다.# Julien Chièze와 시프트업의 독점 인터뷰에 따르면 2021년에 요시다 슈헤이가 접근해 이브의 프로토타입을 본 후 퍼블리싱 계약을 진행했다고 한다.# SIE와의 파트너십 이전에는 좀 더 작은 규모였으며 SIE는 완전한 현지화 지원, 마케팅, 전체 QA 테스트, 다른 SIE 스튜디오의 툴 공유를 제공했다고 한다. 게임은 60% 액션과 40% 스토리와 내러티브로 이루어졌고 20개 이상의 보스와 게임에 영향을 주지 않는 다양한 슈트를 제공한다고 한다.
  • 주제곡 영상 'EVE'에는 BIBI가 본작의 포스트 아포칼립스 세계관이 연상되는 일명 '세기말' 콘셉트의 슈트를 입고 등장한다. 짙은 붉은색의 드레스와 징이 박힌 포인트, 한껏 올라간 어깨의 실루엣이 눈길을 사로잡는다.
  • 패키지 커버 이미지가 다소 구리다는 평가가 많은데 더도 덜도 말고 딱 00년대 초중반 PS2와 JRPG의 전성기에 20대를 보낸 영포티 감성이다. #1 #2 #3
  • 발매된 모든 국가에서 무삭제 무검열로 등급 분류를 받을 수 있었다. 다만 일본에서는 등급 분류로 인해 컴퓨터 오락 등급 기구를 비난하는 개발자들과 게이머들이 있다. 즉, 두 작품 다 고어 묘사 수위가 상당하고 큰 차이가 아닌데도 스텔라 블레이드는 등급 분류를 받을 수 있었지만 데드 스페이스는 등급 분류를 거부당해 일본에서 물리 매체 발매가 좌절되었다는 불만이다. 기준 없이 매번 자기들 마음대로 검열한다고 한다. # 다만 예시로 나온 데드 스페이스는 사망 장면이 길고 다양하며 자세하지만 스텔라 블레이드는 일반적인 죽는 장면조차 간략하기 때문에[36] 디테일한 부분에서 차이가 크다.
  • 게임 개발자 송재경의 외모를 본뜬 NPC가 카메오로 등장하는데 김형태 디렉터가 송재경에 대한 리스펙트 차원에서 본인에게 직접 허락을 받았다고 한다. 공교롭게도 송재경은 콘솔의 미래가 없다는 발언을 한 적이 있는데 아이러니하게도 본인이 콘솔 게임의 카메오로 나오게 되었다.[37]
  • 사다리를 타는 모션이 굉장히 특이한데, 원래 올라가야 하는 반대쪽에서 사다리를 타면 플레이어블 캐릭터가 봉춤을 타듯이 사다리를 잡고 반대로 재빠르게 돌아 원래 방향으로 이동한다.
  • 2024년 5월 18일 새벽 2시경 다음주를 기대해 달라는 트윗#이 업로드됐다. 배경에 그려진 캐릭터가 보스 중 하나인 스포일러 주의고, 발매 직후 인터뷰에서 포토모드와 보스러시 모드를 업데이트 한다고 예고했던 만큼 보스러시 모드가 업데이트될 거라는 추측이 매우 강했다. 5월 24일 보스 챌린지 모드 추가와 함께 신규 슈트가 추가되고 몇몇 검열됐던 슈트들이 디자인이 바뀌어서 검열전으로 돌아왔다.
  • 2024년 5월 20일 시프트업의 증권신고서의 자사 신규 사업에 대한 설명 중 스텔라 블레이드 IP 확장, PC판, 후속작 개발을 검토 중이라는 언급이 있었다.#
  • 2024년 시프트업의 실적 발표 문서에 따르면 PC판은 2025년 내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한다.
  • 실시간 저장 방식이 아니라 캠프나 이동 포인트에서 상호작용을 해야 제대로 저장된다.
  • 스텔라 블레이드가 영국 차트에서 1위를 하자 발매한 사실을 담은 한 인터넷 기사에서 하필 출시한지 이미 7년이 다 되어가는 마리오 카트 8 디럭스를 제쳤다는 식으로 비교하는 내용인지라 이에 비판이 있었다.#
  • 중국의 게임 제작사인 Leniu Games에서 스텔라 블레이드의 3D 모델 등을 무단 도용[38]해서 허위 광고를 제작, 유포하여 논란이 되었다.#
  • 2025년 5월 31일 스팀에 PC 데모판이 업로드됐고 스팀덱에서도 무리없이 구동이 가능하다. 정식 발매 이후에도 스팀덱(LCD버전)에서 40프레임 2시간~2시간30분 플레이가 보장될 정도로 훌륭한 최적화를 선보였다. 플레이는 온라인이 필수지만 로고 혹은 게임타이틀 화면이 표시될때 까지 온라인 상태로 유지한 뒤 온라인 접속을 끊으면 오프라인으로도 플레이가 가능하다.[39] 그래픽은 스팀덱옵션이라는 이름으로 세팅이 되어있고 그래픽 옵션에서 일부는 아예 사용자가 손댈수 없게 되어있으며 캐릭터를 제외한 배경과 오브젝트등이 사실상 하옵이지만 게임을 진행하는데 지장이 없다. 그래픽은 사용자 설정으로 변경 가능하며, 일부 선예도 관련 옵션을 제외하고 거의 모든 옵션을 꺼도 플레이할 만할 정도로 스팀덱 최적화가 잘 되어있다.
  • 퀘이사존협력을 통해 PC 버전 최적화를 진행했다. 퀘이사존 벤치마크 기사에서는 낮음 프리셋이긴 하지만, GTX 1060으로도 원활하게 플레이 가능할 정도로 높은 최적화 수준을 보여주었다.
  • 언리얼 엔진을 사용했기에 PC판은 UEVR등의 보조프로그램을 사용하면 VR로 플레이가 가능하다. PC판이식 최적화도 최고수준으로 RTX4070 정도의 사양으로 크게 타협하지 않아도 무난하게 플레이가 가능 할 정도다. #
  • PC판 발매 후 300만장이 팔리자 이를 기념하기 위해 2025년 6월 18일 직원 300명에게 Nintendo Switch 2를 선물했다. 또한 시프트 업이 Nintendo Switch 2 개발 킷을 받았다는 점과 겹쳐 NS2판 개발에 대한 말이 수면 위로 부상했다. 18일 당일 플레이포럼단독 기사에서는 NS2판 개발에 착수했다고 보도한 반면, 루리웹 측 기사에서는 아직 확정된 바 없다고 서로 상충된 보도를 냈기에 좀 더 지켜봐야 알 수 있을 듯 하다.
  • 2025년 9월 20일, 공식 X에 한 이미지가 포스트되었다. 신규 컨텐츠 발표 예고로 추정되었고, 얼마 지나지 않아 1.4.0 업데이트가 공개되었다.

19. 외부 링크

20.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0000><tablebgcolor=#000000> 파일:PlayStation 아이콘 화이트.svgPlayStation
주요 게임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PS 스튜디오 ]
파일:PlayStation Studios 로고.svg
재팬 스튜디오
Japan Studio
파일:Piposaru logo.png 파일:나와 여름방학 로고 다크.png파일:나와 여름방학 로고.png 파일:이코 로고.svg파일:이코 로고 화이트.svg 파일:사이렌 시리즈 로고.png
삐뽀사루 겟츄! 나의 여름방학 이코 사이렌
파일:ShadowOfTheColossusLogo.png파일:ShadowOfTheColossusLogowhite.png 파일:1200px-LocoRoco.png 파일:파타퐁 로고.png파일:파타퐁 로고 화이트.png 파일:무한회랑 로고.png
완다와 거상 로코로코 파타퐁 무한회랑
파일:데몬즈 소울 로고.png파일:데몬즈 소울 로고 화이트.png 파일:GRAVITY RUSH 로고.png파일:GRAVITY RUSH 로고 화이트.png 파일:TokyoJungle_logo.png 파일:퍼피티어 로고.png
데몬즈 소울 그래비티 러쉬 도쿄 정글 퍼피티어
파일:Astro_Bot_logo_black.png파일:Astro_Bot_logo_white.png 파일:블러드본 로고.png파일:블러드본 로고 화이트.png 파일:The_last_guardian_logo.png파일:The_last_guardian_logo_white.png 파일:Knack 로고.png
아스트로봇 블러드본 더 라스트 가디언 Knack
너티 독
Naughty Dog
파일:잭 앤 덱스터 시리즈 로고.webp 파일:언차티드 시리즈 로고.png파일:언차티드 시리즈 로고 화이트.png 파일:라스트오브어스 로고 블랙.png파일:라스트오브어스 로고.png 파일:Intergalactic_Logo.webp
잭 & 덱스터 언차티드 인터갤러틱
인섬니악 게임즈
Insomniac Games
파일:라쳇 앤 클랭크 로고.png 파일:레지스탕스 시리즈 로고.png파일:레지스탕스 시리즈 로고 화이트.png 파일:marvels-spider-man-logo-02-ps4-us-05feb18.png 파일:마블 울버린 로고.jpg
라쳇 & 클랭크 레지스탕스 Spider-Man Wolverine
산타모니카 스튜디오
Santa Monica Studio
파일:god-of-war-logo-us-18oct17.png 파일:IMG_577362.webp 파일:Everybody_s-Gone-to-the-Rapture-Logo.png
갓 오브 워 플레이스테이션 올스타즈 에브리바디스 곤 투 더 랩처
서커 펀치 프로덕션
Sucker Punch Productions
파일:250px-Sly_Cooper_series.png 파일:인퍼머스 로고.png파일:인퍼머스 로고 화이트.png 파일:고스트 시리즈 로고 블랙.png파일:고스트 시리즈 로고.png
슬라이 쿠퍼 인퍼머스
미디어 몰리큘
Media Molecule
파일:LBP_Stacked_Logo_500x373.png 파일:테어어웨이 로고.png 파일:드림즈 유니버스.png
리틀빅플래닛 테어어웨이
하우스마크
Housemarque
파일:ALIENATION 로고.png 파일:리터널 로고.png 파일:Saros Logo.webp
ALIENATION 리터널 SAROS
벤드 스튜디오
Bend Studio
게릴라 게임즈
Guellila Games
파일:Syphon_filter_logo.png 파일:days-gone-logo.png파일:Days-Gone-Logo.png 파일:킬존 시리즈 로고.png 파일:호라이즌 게임 시리즈 로고.svg파일:호라이즌 게임 시리즈 로고 화이트.svg
사이폰 필터 데이즈 곤 KILLZONE 호라이즌
스튜디오 리버풀
Studio Liverpool
폴리포니 디지털
Polyphony Digital
샌디에이고 스튜디오
San Diego Studio
에볼루션 스튜디오
Evolution Studios
파일:와이프아웃 로고.png 파일:그란 투리스모 로고.png파일:그란 투리스모 로고 세로형 화이트.png 파일:MLB 더 쇼 로고 블랙.png파일:MLB 더 쇼 로고.png 파일:드라이브 클럽 로고.png파일:드라이브 클럽 로고 화이트.png
와이프아웃 그란 투리스모 MLB The Show 드라이브클럽
발키리 엔터테인먼트
Valkyrie Entertainment
픽셀오푸스
PixelOpus
팀 아소비
Team ASOBI
파이어워크 스튜디오
Firewalk Studios
파일:Guns Up!-logo.png 파일:concrete-genie-mainvisual-logo-en.png 파일:Astro_Bot_logo_black.png파일:Astro_Bot_logo_white.png 파일:concord logo.png파일:concord logo white.png
GUNS UP! 콘크리트 지니 아스트로 봇 콘코드
헤이븐 인터랙티브 스튜디오
Haven Interactive Studios
파일:FairGames_logo.png
Fairgame$
PlayStation Publishing LLC
(PS 스튜디오 IP)
파일:Twisted Metal Logo.png 파일:helldivers-logo-dark.png파일:Helldivers 1 로고.svg 파일:Everybody_s-Gone-to-the-Rapture-Logo.png 파일:언틸 던 로고.png파일:언틸 던 로고 화이트.png
트위스티드 메탈 HELLDIVERS™ 에브리바디스 곤 투 더 랩처 언틸 던
(서드 파티 개발 · 전(全) 기종 PS 유통)
파일:Stellar_Blade_Korean_logo.webp 파일:Midnight Murder Club logo.png 파일:로스트 소울 어사이드 로고.png 파일:Marvel Tōkon Fighting Souls_logo.png
스텔라 블레이드 Midnight Murder Club 로스트 소울 어사이드 마블 투혼: 파이팅 소울
<colbgcolor=#000> PlayStation 관련 문서
}}}}}}
[ SIE 유통 ]
||<-4><bgcolor=#000> 파일: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로고 화이트.svg ||
파일:DS-LOGO_white.png파일:DS_LOGO.png 파일:더 투모로우 칠드런 로고.png파일:더 투모로우 칠드런 로고 화이트.png 파일:디 오더: 1886 로고.png파일:디 오더 1886 로고 화이트.png 파일:Destruction_AllStars_logo.webp
데스 스트랜딩 더 투모로우 칠드런 디 오더: 1886 디스트럭션 올스타즈
파일:디트로이트: 비컴 휴먼 로고.png 파일:라이즈 오브 더 로닌 로고.png 파일:모두의 골프 로고.png 파일:비욘드 투 소울즈 로고 블랙.png파일:비욘드 투 소울즈 로고.png
디트로이트: 비컴 휴먼 라이즈 오브 더 로닌 모두의 골프 비욘드: 투 소울즈
파일:쉐도우 오브 더 비스트 로고.png파일:쉐도우 오브 더 비스트 로고 화이트.png 파일:Star Wars Knights of the Old Republic - Remake 로고.webp 파일:헤비 레인.png
스타워즈: 구 공화국의 기사단 헤비 레인 PHYSINT
[ BUNGiE ]
||<-4><bgcolor=#fff,#000000> 파일:번지 로고.svg파일:번지 로고(화이트).png ||
파일:데스티니 시리즈 로고.png파일:데스티니 시리즈 로고 화이트.png 파일:MARATHON 신규 로고 다크.svg파일:MARATHON 신규 로고.svg
데스티니 MARATHON
}}} ||
파일:대한민국 게임대상 로고.svg
최우수상
2023년 2024년 2025년
데이브 더 다이버 스텔라 블레이드

[1] XDEV 제작 지원[2] PlayStation 5 Pro Enhanced 대응, 템페스트 3D 오디오, 햅틱 피드백, 적응형 트리거 지원[3] 물론 한국산 PS 독점작은 PS3를 제외하고 매번 나오긴 했다. 매닉 게임걸, 엑셀 임팩트, DJMAX RESPECT 등.[4] 이 부분에 대해서는 3D 캐릭터가 무조건 실사에 가까워야 된다는 건 아니다. 파판 7의 리메이크처럼 의도적으로 CG 애니메이션에 가까운 조형미로 디자인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본작의 캐릭터가 인형 같다는 것은 그야말로 취향의 영역이다.[5] 하지만 괴수인 네이티브의 정체, 이브의 정체를 생각해 보면 니어 오토마타보다 니어 레플리칸트의 영향을 더 강하게 받은 것을 볼 수 있다.[6] 이 부분은 최적화 문제로 어쩔 수 없는 면도 있다. 머리카락까지 물리연산을 넣으면 막상 게임할 때는 별로 티는 안 나면서 자원만 엄청 잡아 먹기 때문에 다른 부분의 표현력을 떨어트려야 한다. 게임 장르와 무엇을 우선시 하는지에 따라 헤어 연산을 넣기도 빼기도 한다.[7] 김형태의 그림들을 보면 알겠지만 김형태는 여캐를 그릴 때 가슴, 엉덩이, 허벅지를 매우 과장되게 강조한다. 덕분인지 또 다른 빅히프 하면 떠오르는 게임인 니어 오토마타의 디렉터 요코오 타로 역시 이 게임을 보자마자 짤막하게 사겠다는 반응을 보였다.[8] 아머드 코어 시리즈의 메인 메카 디자이너인 카와모리 쇼지도 강연에서 매체에 따른 디자인의 변화에 대해 설명하면서 게임의 경우 게이머가 자주 보는 것은 뒷모습이기에 다른 매체보다 후방 실루엣을 중시해야된다고 설명했는데 이와 일맥상통하는 내용이다.[9] 후에 밝혀진 명칭은 Stalker(스토커).[10] 트레일러를 자세히 보면 상의는 세라복에 하의는 흰줄이 들어간 검은 레깅스로 슈트가 바뀌는 부분이 있다.[11] 라틴어로 별을 의미하는 스텔라와 검을 직역한 블레이드, 즉 우주에서 태어나 지구로 강하 한 뒤 인류를 위해 싸우는 이브의 캐릭터성을 한 단어로 함축한 제목. 변경된 이유는 EVE 온라인의 상표권 등록 때문이다. 이브와 같은 명사는 일반적으로 상표권 등록이 되지 않지만 특이한 케이스가 적용된 것.[12] 윈도우 + R 키 누르고 AppData 입력 후 확인 버튼. 탐색기가 열리면 Local\\SB\\Saved\\SaveGames 경로를 찾아가면 된다.[13] 2025년 12월 11일까지 발급, 12월 12일까지 사용 가능[14] 에밀 상점에서 슈트를 구입하면 음악이 추가된다.[15] 스팀 제공[16] 플레이스테이션 블로그 제공. 스팀덱은 그래픽 옵션에서 스팀덱으로 기본 세팅이 되어있으며 사용자설정으로 변경 가능하다. 스팀 데모 버전에서 확인 가능.[17] 영문판 명칭은 'Naytiba'로 스펠링이 살짝 다르며 발음도 네이티바, 네티바 정도다.[18] 주인공 이전에 내려왔던 강하부대 출신의 일부 생존자들은 임시 기지를 설치하는 등 임무를 속행하다 죽거나 지구에 남아있는 일반인 생존자들을 도우며 임무를 지속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 때문에 강하부대를 환호하며 희망을 가지는 군인도 있었지만 반대로 강하 부대가 실패하는 것을 보고 실망과 절망을 가진 군인도 있었다.[19] 오프닝 강하씬에서 이브 07이 탑승한 포드의 GUI에 떠오르는 스쿼드 리스트를 보면 한 화면에만 40명 가량의 명단이 보이는 것으로 보아 현실 군대의 '분대'로서의 스쿼드가 아니라 그냥 부대, 무리라는 의미로서 사용하는 독자적인 편제인 듯하다.[20] 다만 해당 강화부대원은 서포트라 전투에는 특화되어있지 않다.[21] 사실 두 작품 사이에는 의외로 중복되는 설정이 꽤 있는데 인류를 침공하는 흉악한 적의 정체가 사실은 지구의 원래 주인이었다는 반전이 그 예시다.[22] 심지어 엔젤링을 달고 있기도 하다![23] 참고로 '헤다'는 '세다'라는 뜻이고 '헤아리다'는 '짐작하다'의 뜻이므로 의미는 약간 다르다.[24] 원문 자체가 띄어쓰기가 안 되어있다.[25] 워보이의 한 명인 눅스가 임모탄 조를 부르다가 그가 자신을 바라보자 "나를 보셨어!"라며 감격하는 장면의 대사가 화 되었다. 마더 스피어와 임모탄 조 사이에는 많은 공통점이 존재하는데, 포스트 아포칼립스 세계관에서 스스로를 위대한 존재로 포장하여 부하들에게 광적인 숭배심을 가지게 만들지만 실상은 잔악하고 간악한 독재자에 지나지 않다는 점이나, 본인들은 안전한 장소에서 풍족한 생활을 하며 부하들을 일회용 도구로 취급한다는 악랄한 점이 비슷하다.[26] 데이터뱅크의 정보에 의하면 오르카 항공우주회사에서 출시한 각 타입 드로이드는 생존성을 위해 제어 및 동력 계통을 상체에 설치하였다고 한다. T-800 역시 CPU를 머리 안에 설치하여 하체가 날아간들 여전히 구동이 가능하다.[27] 2회차 매트릭스 11 보스전 직전에 체력 MAX 달성, 대사막 초반에 베타게이지 MAX 달성[28] 에밀 상점의 아이템을 모두 구매하려면, 재화로 사용되는 별의 눈물을 모두 모아야 한다.[29] 단 획득 시 릴리 게이지가 상승하는 수집 아이템의 경우 계승한다고 해서 그만큼 릴리 게이지가 유지되는게 아니며 재입수 해야 릴리 게이지가 오른다.[30] 물론 이미 전작이 있는 데다 게임성 자체도 전작과 크게 달라진 것도 아니어서 이미 팬들에게 게임성 자체가 검증된 데다가 확고한 팬층을 가진 유명 ip기 때문에 완전 신작인 스텔라 블레이드보다는 데모를 하는 횟수가 떨어질 수밖에 없어 이것만으로는 정확한 판매량의 차이를 나타내는 지표는 아니다. 이는 이 데모의 숫자를 언급하고 분석한 암페어에서 직접 거론한 사항이다.[31] 해당 지표에서 스텔라 블레이드는 4월 26일에 발매하고 5월 4일까지 약 2주도 채 안 된 기간동안 집계된 수치다. 연간 판매량 역시 동기간 집계된 수치를 사용한다.[32] 비교를 위해 33원정대는 13만, 어쌔신 크리드 쉐도우는 6만을 기록했다.[33] 직전 최고 기록은 고스트 오브 쓰시마의 77,154명으로, 두 배 이상 차이가 난다.[34] 재밌는 점은 후속작인 갓 오브 워갓 오브 워 라그나로크에서도 방패와 방어구 세트를 특전으로 제공했다.[35] 데스티니 차일드에도 활동했던 seibin#이나 다른 작곡가들은 확인된다.[36] 주인공이 쓰러지기도 전에 컨티뉴 메뉴로 바뀌어 버리는데 부활 아이템이 있을 경우에만 쓰러지는 모습이 나온다. 료나류 게임으로 착각되지 않도록 신경을 많이 쓴 듯하다. 신체 훼손의 중요도 차이가 큰데, 데드 스페이스는 신체 훼손이 없으면 게임 진행이 불가능하다. 작중 아직 변이하지 않은 인간의 시체 또한 변이하기 전에 훼손해야 한다는 시스템이 심의에 영향을 줬을 가능성이 크다. 분야는 조금 다르나 유튜브 가이드라인에도 같은 묘사라고 해도 맥락에 따라 영상 규제 여부가 갈린다고 적혀 있다.[37] 다만 송재경은 2019년에 저 발언을 번복했다.[38] 게다가 등장 캐릭터가 입고 있는 코스튬은 원신의 코스튬이다(...).[39] 온라인필수인 게임들을 오프라인으로 구동시키는 일종의 꼼수와 같은 방식인데 모든 게임에서 적용되는것은 아니다. 싱글게임이지만 온라인필수인 일부 게임이 이와 같은 방식으로 플레이가 가능한데 스텔라 블레이드도 이와 같은 방식으로 플레이가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