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 철학사 현대 철학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16px -11px;" | <tablewidth=100%> 고대 철학 | 중세 철학 | 근대 철학 | 현대 철학 | }}} | |||
<colbgcolor=#545454><colcolor=#fff> 현대철학 | |||||||||
현상학 | 후설 · 슈타인 · 레비나스 · 앙리 | ||||||||
철학적 인간학 | 셸러 · 부버 · 겔렌 | ||||||||
하이데거 | |||||||||
실존주의 | 무신론적 실존주의: 우나무노 · 사르트르 · 보부아르 · 메를로퐁티 · 시오랑 · 카뮈 / 유신론적 실존주의: 야스퍼스 · 라벨 · 틸리히 · 마르셀 | ||||||||
해석학 | 가다머 · 리쾨르 | ||||||||
소비에트 마르크스주의: 레닌 · 루카치 · 그람시 · 마오 · 일리옌코프 / 서구 마르크스주의: 블로흐 · 코르쉬 · 르페브르 · 드보르 / 구조 마르크스주의: 알튀세르 · 발리바르 · 랑시에르 / 포스트 마르크스주의: 제임슨 · 라클라우 · 무페 / 기타: 진 · 네그리 · 바디우 · 가라타니 · 지젝 · 피셔 | |||||||||
비판 이론 | 호르크하이머 · 아도르노 · 벤야민 · 마르쿠제 · 프롬 · 하버마스 · 벨머 · 네크트 · 프레이저 · 호네트 | ||||||||
구조주의 | 소쉬르 · 야콥슨 · 레비스트로스 · 바르트 · 라캉 · 푸코 · 부르디외 | ||||||||
리오타르 · 들뢰즈 · 가타리 · 보드리야르 · 데리다 · 바티모 · 아감벤 · 버틀러 · 아즈마 | |||||||||
21세기 실재론 | 신유물론: 해러웨이 · 라투르 · 데란다 · 브라이도티 · 베넷 / 사변적 실재론: 브라시에 · 메이야수 · 하먼 / 신실재론: 페라리스 · 가브리엘 / 기타: 바스카 · 랜드 | ||||||||
실용주의 | 퍼스 · 제임스 · 듀이 · 미드 · 산타야나 · 굿맨 · 로티 | ||||||||
20세기 전반 수학철학 | 프레게 · 괴델 · 브라우어 · 힐베르트 | ||||||||
무어 · 화이트헤드 · 러셀 · 램지 | |||||||||
비트겐슈타인 | |||||||||
슐리크 · 노이라트 · 카르납 · 에이어 | |||||||||
옥스퍼드 학파 | 라일 · 오스틴 · 스트로슨 · 그라이스 | ||||||||
언어철학 | 콰인 · 촘스키 · 크립키 · 루이스 · 데이비드슨 · 더밋 · 스톨네이커 / 피츠버그학파: 셀라스 · 맥도웰 · 브랜덤 | ||||||||
심리철학 | 설 · 퍼트넘 · 포더 · 차머스 · 김재권 · 데닛 · 처칠랜드 | ||||||||
과학철학 | 푸앵카레 · 라이헨바흐 · 포퍼 · 헴펠 · 핸슨 · 쿤 · 파이어아벤트 · 라카토슈 · 해킹 · 라우든 · 카트라이트 {{{#!folding ▼ 비분석적 과학철학(대륙전통) | ||||||||
기술철학 | 매클루언 · 엘륄 · 비릴리오 · 스티글레르 · 플로리디 · 보스트롬 | ||||||||
정치철학 | 자유주의: 벌린 · 롤스 · 카스토리아디스 · 슈클라 · 센 · 노직 · 라즈 · 누스바움 · 레비 · 호페 / 공동체주의: 매킨타이어 · 테일러 · 왈저 · 샌델 / 공화주의: 아렌트 · 스키너 · 페팃 / 보수주의: 슈미트 · 에볼라 · 스트라우스 · 푀겔린 · 오크숏 · 랜드 · 아롱 · 커크 · 크리스톨 · 버클리 · 맨스필드 · 후쿠야마 · 두긴 | ||||||||
윤리학 | 규범윤리학: 톰슨 · 네이글 · 레건 · 파핏 · 싱어 · 케이건 / 메타윤리학: 맥키 · 헤어 · 프랭크퍼트 · 윌리엄스 · 블랙번 · 코스가드 | ||||||||
인식론 | 치좀 · 게티어 · 암스트롱 · 골드만 | ||||||||
법철학 | 라드브루흐 · 풀러 · 하트 · 드워킨 | ||||||||
종교철학 | 드샤르댕 · 마리탱 · 니부어 · 하츠혼 · 베유 · 힉 · 지라르 · 닐슨 · 큉 · 월터스토프 · 플란팅가 · 크레이그 | ||||||||
탈식민주의 | 파농 · 사이드 · 스피박 | ||||||||
페미니즘 | 이리가레 · 데일리 · 나딩스 · 길리건 · 크리스테바 · 데이비스 · 파이어스톤 · 오킨 · 맥키넌 · 영 · 크렌쇼 | ||||||||
환경철학 | 슈바이처 · 레오폴드 · 요나스 · 네스 · 패스모어 · 북친 · 롤스톤 · 캘리콧 · 포스터 · 사이토 | ||||||||
관련문서 | 대륙철학 · 분석철학 | }}}}}}}}} |
<colbgcolor=#888><colcolor=#fff> 루돌프 카르납 Rudolf Carnap | |
본명 | 루돌프 카르납 Rudolf Carnap |
출생 | 1891년 5월 26일 |
독일 제국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부퍼탈 론스토르프 | |
사망 | 1970년 9월 14일 (향년 79세) |
미국 캘리포니아주 산타 모니카 | |
국적 | [[독일 제국| ]][[틀:국기| ]][[틀:국기| ]] → 바이마르 공화국 → [[나치 독일| ]][[틀:국기| ]][[틀:국기| ]]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직업 | 분석철학자 |
학파 | 논리 실증주의 |
학력 | 예나 대학교 (학사) 프라이부르크 대학교 (청강생) |
경력 | 프라하 대학교 교수 시카고 대학교 교수 캘리포니아 대학교 교수 |
배우자 | 엘리자베스 쇤두베 (~ 1929년, 이혼) 엘리자베스 이나 슈퇴거 (1933년 ~ 1964년, 사별) |
종교 | 무종교 (무신론) |
[clearfix]
1. 개요
철학의 과제는 우리 언어의 논리적 특징을 설명하는 것이다.
독일 출신 미국의 분석철학자. 논리실증주의 혹은 논리경험주의의 대표자로 꼽힌다.2. 생애
루돌프 카르납의 아버지는 가난한 리본 직공에서 시작해 리본 제조 공장의 주인이 되었다. 그의 어머니는 학구적인 가정 출신이었다. 그녀의 아버지는 교육 개혁가였고 그녀의 큰 오빠는 고고학자 빌헬름 되르펠트(Wilhelm Dörpfeld)였다. 열 살 때 카르납은 빌헬름 되르펠트와 함께 그리스 탐험에 나섰다. 카르납은 신앙심이 깊은 개신교 가정에서 자랐지만 나중에는 무신론자가 되었다.그는 예나의 바르멘(Barmen) 김나지움과 카를로-알렉산드리눔(Carolo-Alexandrinum) 김나지움에서 정식 교육을 시작했다. 1910 년부터 1914년까지 그는 물리학 논문을 쓰기 위해 예나 대학교에 다녔다. 그는 또한 브루노 바우히(Bruno Bauch)가 가르치는 과정에서 임마누엘 칸트의 순수이성비판을 열심히 공부했으며 고틀로프 프레게의 수리논리과정에 참석한 극소수 학생 중 한 명이었다.
대학 시절 그는 독일 청년운동에 매료되었다.
카르납은 제1차 세계대전에 대해 도덕적, 정치적 반대 입장을 견지하면서도 독일군에 복무해야 한다는 의무감을 느꼈다. 3년 동안 복무한 후 그는 1917~18년에 베를린 대학교 에서 물리학을 공부할 수 있는 허가를 받았고, 그곳에서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새로 교수로 임명되었다. 카르납은 그 후 예나 대학교에 다녔으며 그곳에서 공간과 시간의 공리 이론을 정의하는 논문을 썼다. 물리학과는 너무 철학적이라고 했고, 철학과의 브루노 바우흐는 순수 물리학이라고 말했다. 카르납은 1921년에 바우흐의 감독하에 좀 더 정통적인 칸트식의 공간 이론에 관한 또 다른 논문을 썼고, 칸트연구지(Kant-Studien) (1922) 의 보충호에 「공간」(Der Raum)으로 출판되었다.
프레게의 강좌를 통해 그는 논리학과 철학에 관한 버트런드 러셀(Bertrand Russell)의 연구를 접하게 되었고, 이를 통해 그의 연구 목표를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그는 과학에 정보를 제공하는 논리적 혁신으로 전통 철학을 능가하려는 노력을 받아들였다. 그는 러셀에게 편지를 썼는데, 러셀은 카르납을 위해 수학 원리의 긴 구절을 손으로 복사하여 응답하였다. 카르납도 그의 대학도 이 획기적인 작품의 사본을 감당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1924년과 1925년에 그는 현상학 의 창시자 인 에드문트 후설(Edmund Husserl)이 이끄는 세미나에 참석했고, 계속해서 논리적 실증주의적 관점에서 물리학에 관해 글을 썼다.
카르납은 1923년 회의에서 한스 라이헨바흐(Hans Reichenbach)를 만났을 때 동지애를 발견했습니다 . 라이헨바흐는 비엔나 대학 의 교수인 모리츠 슐릭(Moritz Schlick) 에게 카르납을 소개했고 , 그는 카르납에게 자신의 학과에 자리를 제안했고, 카르납은 1926년 이를 받아들였습니다 . 그 후 카르납은 비엔나 서클(Vienna Circle) 로 알려지게 된 비공식 비엔나 지식인 그룹에 합류했습니다. Schlick의 Hans Hahn , Friedrich Waismann , Otto Neurath 및 Herbert Feigl을 포함하며 Hahn의 학생 Kurt Gödel 이 가끔 방문합니다 . 비트겐슈타인이 비엔나를 방문했을 때 카르납은 그를 만나곤 했습니다. 그는 (Hahn 및 Neurath와 함께) 1929년 서클 선언문을 썼고 ( Hans Reichenbach 와 함께 ) 철학 저널 Erkenntnis를 창간했습니다 .
1930년 2월 알프레드 타르스키(Alfred Tarski)는 비엔나에서 강의했고, 1930년 11월 카르납(Carnap)은 바르샤바를 방문했습니다. 이 경우 그는 Tarski의 의미론 모델 이론 방법 에 대해 많은 것을 배웠습니다 . 비엔나 학파의 또 다른 철학자인 로즈 랜드(Rose Rand) 는 “카르납의 의미론적 개념은 타르스키의 저작에 주어진 기초에서 출발하지만 논리적 상수와 비논리적 상수, 논리적 진리와 사실적 진리를 구별한다… 그는 내포와 확장 의 개념을 가지고 작업했으며 이 두 개념을 새로운 의미론 방법의 기초로 삼았습니다." [27]
1931년 카르납은 독일 프라하 대학 의 교수로 임명되었습니다 . 1933년 WV Quine은 프라하에서 Carnap을 만났고 후자의 작업에 대해 어느 정도 논의했습니다. 그리하여 이 두 사람이 공유한 평생의 상호 존중이 시작되었으며, 이는 Carnap의 여러 철학적 결론에 대한 Quine의 최종적인 강력한 불일치에도 불구하고 살아 남았습니다.
사회주의 와 평화주의 신념으로 인해 나치 독일 에서 위험에 처하게 된 카르납은 1935년 미국으로 이주하여 1941년에 귀화 시민이 되었습니다. 한편 비엔나로 돌아온 슐릭은 1936년에 살해되었습니다. 1936년부터 1952년까지 카르납은 시카고 대학교 철학 교수 . 1930년대 후반에 카르납은 칼 구스타프 헴펠(Carl Gustav Hempel) 에게 철학 조교 자리를 제안했고 , 그는 그의 가장 중요한 지적 협력자 중 한 사람이 되었습니다. 부분적으로 Quine의 도움 덕분에 Carnap은 1939~41년을 Harvard University 에서 보냈고 그곳에서 Tarski와 재회했습니다. Carnap ( 1963 )은 나중에 시카고에서 자신과 Charles W. Morris가 과학과 논리의 우선권에 헌신하는 부서의 유일한 구성원이었던 것에 대해 약간의 짜증을 표명했습니다. (시카고 동료로는 Richard McKeon , Charles Hartshorne 및 Manley Thompson이 포함되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Carnap이 시카고에서 보낸 시간은 매우 생산적인 시간이었습니다. 그는 의미론 (Carnap 1942, 1943, 1956), 양상 논리 , 확률 과 귀납 논리 의 철학적 기초 (Carnap 1950, 1952)에 관한 책을 썼습니다.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1952~1954) 에서 근무한 후 1954년에 UCLA 철학과에 합류했고 , 한스 라이헨바흐는 전년에 사망했습니다. 그는 이전에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에서 유사한 직업 제의를 거절한 적이 있는데 , 그 직위를 수락하려면 충성 맹세에 서명해야 했기 때문인데 , 이는 그가 원칙적으로 반대하는 관행이었습니다. UCLA에 있는 동안 그는 과학적 지식, 분석-종합 구별 및 검증 원리 에 관해 글을 썼습니다 . 열역학 과 확률 및 귀납 논리 의 기초에 관한 그의 저서는 사후에 Carnap(1971, 1977, 1980)으로 출판되었습니다.
카르납은 14세 때 스스로 에스페란토를 배웠고, 그것에 동조했습니다(Carnap 1963). 그는 나중에 1908년과 1922년에 에스페란토 세계 대회에 참석했고 , 여행하는 동안 에스페란토 언어를 사용했습니다.
카르납은 엘리자베스 쇤두베(Elizabeth Schöndube)와의 첫 번째 결혼으로 4명의 자녀를 두었지만 1929년에 이혼했습니다. 그는 1933년에 두 번째 아내인 엘리자베스 이나 슈퇴거(Elizabeth Ina Stöger)와 결혼했습니다. [22] Ina는 1964년에 자살 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