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의 국가별 수도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서유럽 | ||
| | | |
| | | |
| | | |
| | | |
| |||
| |||
중부유럽 | |||
| | | |
| | | |
| | | |
| | | |
| | | |
| | | |
동유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남유럽 | |||
| | | |
| | | |
| | | |
| 바티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북유럽 | |||
| | | |
| | | |
| | | |
| | | |
| | ||
| | ||
아메리카의 수도 | 아시아의 수도 | 아프리카의 수도 | 오세아니아의 수도 |
티라스폴 | ||
Tiraspol
러시아어: Тирасполь
몰도바어: Тираспол
우크라이나어: Тираспіль
| |
1. 개요
|
블라디미르 레닌의 동상을 왼쪽에 둔 트란스니스트리아 정부 청사 겸 국회의사당.[1] |
명목상 몰도바의 도시이자 미승인국가인 트란스니스트리아의 수도. 면적 55.56㎢에 인구는 약 13만 명이다.[2][3] 어원은 그리스어로 '티라스'는 드네스트르강을, '폴'은 도시를 의미한다. 1792년 알렉산드르 수보로프 원수에 의해 도시가 세워졌다. 러시아 제국에 이어 소련도 이 도시를 계속 통치하였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한때 루마니아 왕국에 함락되기도 했다.
헌법상으로 따지자면 수도 키시너우와의 관계는 한국의 서울-부산과의 관계와 비슷하지만, 사실상 서울-평양과의 관계라고 봐야 한다. 왜냐하면 말이 몰도바 제2의 도시이지, 실제로는 행정력은 전혀 닿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곳을 사실상 지배하고 있는 트란스니스트리아의 수도이다. 트란스니스트리아는 미승인국가이다. 티라스폴의 주민구성은 74%가 러시아-우크라이나계로, 72%가 루마니아-몰도바계인 키시너우와 대조를 이룬다.
국가 자체가 개발도상국이기에 수도인 이 곳도 세계적 기준에서는 낙후된 편이다. 당장 문서에 올라온 도시의 사진을 봐도 바로 느낄 수 있다. 하지만 관광지로서는 매우 인상적인 부분들이 많은데, 독립 후 자본주의로 전환되면서 급속도로 개발되고 있는 키시너우와는 달리 티라스폴은 살아 있는 박물관처럼 아직도 소련 시절의 도시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기 때문이다.[4] 물론 규모의 한계상 소련 시절 모스크바나 레닌그라드 같은 대도시 모습이 아닌, 소련의 소도시 모습.
지명은 티라스크강 근처의 도시란 뜻이다.
2. 교통
철도교통은 드네스트르강 서쪽에 있는 트란스니스트리아 제2의 도시 벤데르 및 우크라이나 키이우, 몰도바 키시너우와 이어지며, 시내 교통은 인구 규모의 한계 덕에 지하철은 없고 노면전차는 없으나 무궤도전차가 설치되어 있어 벤데르까지 이어진다.아쉽게도 민간공항은 없어서, 정 들어가기 위해서는 몰도바나 우크라이나와 같은 옆나라들에서 육로로 들어가야 한다. 공항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서울공항처럼 군사비행장이다. 하지만 민간에 개방한다는 소문이 나돌고 있으며, 만약에 개방한다면 비행기로도 방문할 수 있게 된다.
3. 관광
관광 명소 및 주요 시설로는 알렉산드르 수보로프 원수의 기마상과 그 주변의 수보로프 광장[5], 돔 소베토프(시청 격), 드네스트르 강변의 모래사장, "Kvint"라는 국영 브랜디 공장, 예수 탄생 기념 정교회 성당[6], 승리 공원, 국립극장, 티라스폴 대학 등이 있다.티라스폴 셰리프에는 셰리프 스타디움이 있는데, 몰도바의 축구 리그인 디비지아 나치오날러 소속의 FC 셰리프 티라스폴이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1] 건물은 1980년대 중반에 지어졌으며, 당시 티라스폴은 몰도바 SSR의 일개 지방도시일 뿐이었지만 티라스폴과 벤데르를 통합해 '수보로프그라드'를 만들고 여기로 천도하려는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지어졌다고 한다. 레닌 동상은 1987년작으로, N.V.톰스키(이 당시에는 사망한 지 수년이 지났음)가 제작했다. 그가 1970년에 제작한 지금은 철거된 구 동베를린의 레닌 동상의 후속작뻘.[2] 인구 최고점이던 소련 말기 1989년에는 약 18만.[3] 주변의 몰도바나 우크라이나와 같이 심각한 인구 감소 문제를 겪고 있다.[4] 물론 트란스니스트리아 역시 자본주의를 받아들였기 때문에, 이는 공산주의 때문이 아니라 친러 성향 + 관광자원으로의 선택에 가깝다.[5] 5월 9일 승리의 날과 9월 2일 독립기념일에는 군사 퍼레이드가 펼쳐진다.[6] Собор Рождества Христова, 티라스폴과 두버사리 교구의 주교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