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8:07:20

인도네시아/정치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인도네시아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ed1b24> 상징 <colcolor=#000,#fff>국가 · 메라 푸티 · 국장
역사 역사 전반 · 타루마 왕국 · 순다 왕국 · 스리위자야 · 마자파힛 제국 (나가라크르타가마) · 마타람 술탄국 · 아체 술탄국 · 남술라웨시사 · 반자르 술탄국 · 발리사 · 네덜란드령 동인도 · 일본령 동인도 · 인도네시아 독립전쟁 · 인도네시아 합중공화국
정치 정치 전반 · 대통령 · 판차실라 · 청년의 맹세
외교 외교 전반 · G20 · ASEAN · IPEF · 남중국해 분쟁 · 인도네시아 여권BRICS
경제 경제 전반 · 인도네시아 루피아 · 넥스트 일레븐 ·QRIS
사회 교육
국방 인도네시아군(육군 · 해군 · 공군)
문화 문화 전반 · 관광 정보 · 인도네시아 요리(나시고렝) · 인도네시아어(말레이권) · 자바어 · 순다어 · 인도네시아 음악 · 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 인도네시아 영화 · 인도네시아 문학
지리 말레이 제도(대순다 열도: 자바섬, 수마트라 섬, 술라웨시 섬, 보르네오 섬 / 소순다 열도: 발리 섬, 롬복 섬, 플로레스 섬, 티모르 섬 / 말루쿠 제도: 부루 섬, 암본, 스람 섬, 할마헤라 섬, 트르나테) · 뉴기니
민족 인도네시아인(자바인 · 발리인 · 바탁 · 미낭카바우 · 다약 · 순다인 · 사마 바자우 · 마두라인 · 마카사르인 · 부기스인 · 오랑 라우트 · 파푸아인) · 중국계 인도네시아인 · 인도계 인도네시아인 · 인도네시아계 네덜란드인 · 인도네시아계 미국인 · 인도네시아계 일본인
교통 자카르타의 대중교통 · KRL · 가루다 인도네시아 항공
}}}}}}}}} ||

동남아시아 정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파일:라오스 국기.svg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파일:미얀마 국기.svg
동티모르 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파일:베트남 국기.svg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베트남 브루나이 싱가포르 인도i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파일:코코스 제도 기.svg 파일:호주 원형.png 파일:크리스마스 섬 기.svg 파일:호주 원형.png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코코스 제도 크리스마스 섬
파일:태국 국기.svg 파일:필리핀 국기.svg
태국 필리핀
i: 동부 안다만 니코바르 제도만 동남아시아에 속함. }}}}}}}}}


1. 개요2. 정치사3. 헌법
3.1. 작성과 제정3.2. 헌법 개정3.3. 다른 헌법
4. 제도적 개괄
4.1. 대통령과 행정부4.2. 부통령과 궐위 조치4.3. 대선4.4. 국회4.5. 사법
5. 정당과 정치 이념 지형6. 지역별 정치 성향7. 분리주의8. 인도와의 비교9. 인도네시아와 연방10. 현황
10.1. 2021년
10.1.1. 코로나1910.1.2. 족벌주의10.1.3. 이슬람주의
10.2. 2022년
10.2.1. 인터넷 검열 논란10.2.2. 형법 개정
10.3. 2023년, 2024년

1. 개요

<nopad>
인도네시아의 정치 정보
<colbgcolor=#ffffff> 부패인식지수 34점 2023년, 세계 115위
언론자유지수 51.15점 2024년, 세계 111위
민주주의지수 6.53점 2023년, 세계 56위

인도네시아는 세계 4위의 인구를 보유한 국가이면서, 아시아권에서는 민주주의를 어느 정도 달성한 국가다. 인도, 미국에 이어 세계에서 3번째로 큰 민주주의 국가를 자처하고 있고, 또 외신 등에서 이렇게 불리고 있다.[1] ASEAN 국가 치고는 민주주의가 그럭저럭 잘 굴러가는 축에 속하지만[2], 민주화의 역사가 유럽 국가들에 비해 그리 길지 않아 인도네시아의 민주주의는 아직 발전 도상에 있다. 일부 제도적 비합리성, 부패, 군부 세력의 입김 등은 해결해야 할 과제다.

2. 정치사

2.1. 전통 시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인도네시아/역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식민지화와 독립

2.2.1. 네덜란드령 동인도

  • 네덜란드식 지역 협력적 식민지 체제(~ 1927년) :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와 네덜란드 왕국의 동인도 지배 영역은 17세기 초부터 20세기 초까지 300년에 걸쳐 느리게 확대되었고, 통치 방식도 지역의 실정에 맞게 점진적으로 변화했다. 네덜란드인들은 이전에 동인도 지역으로 진입했던 포르투갈 및 스페인 세력과 달리 자신들의 종교를 강요하지 않았으며[3], 무엇보다도 상업적 이윤 추구를 우선으로 했다. 지역 핵심 거점을 확보하고 나면 토착 세력에 대한 정치적 통제는 간접적인 영향력 행사 수준에서 만족하는 편이었다.
    • 자바 섬 가운데 서부(반튼 술탄국)는 17세기 말에 동인도 회사에 종속되었지만, 중부와 동부의 마타람 술탄국은 18세기 전반에야 동인도 회사 영향권으로 편입되었다. 극동부의 블람방안 왕국도 18세기 말에야 전쟁을 거쳐 회사령에 편입되었다. 마타람 술탄국의 후계국 중 욕야카르타 술탄국은 18세기가 끝날 때까지 사실상 독립 상태를 유지했지만, 1810년 전후 이루어진 욕야카르타 점령으로 실질적으로 식민 세력에 복속되었다. 이후 1825 ~ 1830년에 발생한 자바 중부의 디파나가라 전쟁이 토착 반란 세력의 패배로 끝나고 나서 자바의 식민지 체제는 완성되었다. 디파나가라 전쟁은 인도세포이 항쟁(인도 대반란)과 종종 비교되기도 한다.
    • 수마트라섬은 18세기까지 남부, 동부 일부 항구 또는 상품 생산 지역이 네덜란드 영향권에 들었다. 토착 국가의 직접 정복과 종속화는 대체로 19세기의 일이었다. 동부의 팔렘방 술탄국은 19세기 전반 네덜란드에 정복되었으며, 시악 술탄국은 19세기 중반 네덜란드 영향권에 편입되었다. 그러나 수마트라에서 가장 유력했던 아체 술탄국은 19세기 중반까지 독립국으로 남았으며, 30년을 끈 아체 전쟁이 종결된 1904년에야 네덜란드가 수마트라 서북부를 지배하게 되었다.
    • 보르네오섬에서는 19세기 후반 반자르 술탄국, 불룽안 술탄국 식민화를 거쳐 식민지 체제가 완성되었다고 할 수 있지만, 보르네오 내륙의 탐사와 통제에는 조금 더 시간이 걸렸다. 술라웨시 섬은 북부 마나도 인근 지역은 17세기 후반부터 오랜 네덜란드 영향권이었지만, 핵심 지역인 남부 반도에서는 18세기까지도 네덜란드 세력이 토착 세력을 군사적으로 제압하지 못했다. 그러나 19세기 중반 남부 반도까지도 네덜란드 영향권에 편입되었으며, 1905년 남술라웨시 원정으로 남부 반도를 완전히 굴복시키고 술라웨시 전체에서 식민지 체제가 완성되었다.
    • 소순다 열도말루쿠 제도도 섬마다 식민지 체제 확립 시기가 천차만별이었다. 가장 빠른 것은 암본(1609년)이었고, 가장 느린 것은 발리섬(1906년)이었다. 롬복 섬은 1894년에 정복되었고, 말루쿠 제도 주요 지역은 19세기 초까지 정복이 끝났지만 트르나테에서 20세기 초 반란이 발생하기도 했다. 서뉴기니는 네덜란드가 1824년부터 영유권을 주장했지만 실질적으로 행정력을 미치기 시작한 것은 1900년 전후 마노콰리(1898)와 므라우케(1902)를 지배하면서부터다.
    • 1848년 네덜란드에서 헌법이 개정되어[4] 의회민주주의에 기반한 근대적 입헌 군주제가 시작되었고, 1854년 네덜란드 의회는 정부 규정(Regeringsreglement)을 제정했다. 이 네덜란드 1848년 헌법과 정부 규정은 네덜란드령 동인도에서도 헌법적 질서와 통치의 구조, 권한과 책임의 소재를 규정했다. 1854년까지 네덜란드령 동인도에서는 총독 한 사람에게 모든 행정권과 입법권이 집중되었고 총독은 전제적 권한을 휘둘렀지만, 1854년 정부 규정은 총독이 국왕의 대리인으로서 동인도 정부를 구성함을 명확히 했다. 이제 총독은 원칙적으로 네덜란드 본토의 행정부(사실상 네덜란드 식민부 장관)의 지시를 따라야 했다. 본토의 정치 체계상 식민부 장관은 총독에게 지시한 식민 정책에 대해 본토 의회에 책임을 졌다. 또한 1854년 정부 규정은 공식적으로 '네덜란드령 동인도 참사회'(Raad van Nederlands-Indië)의 설치[5]와 권한을 규정했는데, 참사회는 총독의 자문 기관으로 당시 5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총독은 법령(총독령)을 작성할 때 본토 정부의 지시와 어긋나지 않아야 하고 참사회의 자문을 구해야 했다. 많은 부문에서 총독이 행정권을 행사할 때도 참사회의 자문이 필요했다. 이로써 동인도에서는 어느 정도 정치적 견제와 균형이 작동하게 되었다.
    • 1901년부터 네덜란드 식민 정부는 윤리정책을 내세우며 토착민의 복지와 처우 개선에 전보다 더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이 시기에는 정치를 비롯한 근대적 공공 영역으로 토착민의 진출이 가속화되었다.
  • 식민 치하 엘리트적 의회 정치 경험기(1927 ~ 1942년)
    • 20세기 초부터 지방 자치가 발전하여 바타비아 시의회(1903년)를 시작으로 도시에서 시의회 등이 생겨났고, 대의제 의회 정치가 발전하기 시작했다. 전국 단위에서는 네덜란드령 동인도 총독의 입법 자문 기구로 1918년 폴크스라트(Volksraad, 인민참사회)가 설치되어 일부 선거(간선제), 일부 임명으로 의원을 뽑았으며, 폴크스라트는 계속 확대되다가 1927년 개편되어 정식으로 입법안 발의권과 심사권, 예산안 심사권을 갖추게 되었다. 비록 폴크스라트의 입법안 발의가 드물게 이루어지기는 했지만, 폴크스라트는 기존 동인도 참사회의 권한을 상당 부분 이어받았을 뿐 아니라(동인도 참사회 자체는 폴크스라트 설치 이후에도 자문 기구로 존속했다) 그보다 더욱 큰 자율성과 권한을 누리게 되었다.
    • 폴크스라트 창설 직전인 1910년대 초부터 유럽계 외에도 토착민, 화인 등이 활동하는 근대적 정당이 생겨났으며, 폴크스라트는 자연스럽게 창설과 동시에 다당제 구도를 갖추게 되었다. 그러나 네덜란드 식민 체제는 원칙적으로 인종 간 분리에 따라 돌아가고 있었다. 이에 따라 폴크스라트에서는 인종별(유럽계, 중국계, 토착민)로 선거가 따로 시행되고 의원도 인종별로 뽑혔다. 1984~1994년의 남아프리카 공화국처럼 인종별로 별개의 의회가 있는 것은 아니었고, 토착민 의원 수는 전체 의석의 절반 정도를 차지했지만, 각 민족별 인구 비례를 고려하면 표의 가치와 대표성이 인종별로 달랐다.
      • 선거는 보통 선거가 아니었고, 식민지 시대 마지막 폴크스라트 선거였던 1939년 선거에서조차 총인구의 10%(약 7,000,000명)만이 투표권을 가졌다. 이들이 일단 총 937명의 민선 선거인단을 선출하고, 식민 정부는 515명의 관선 선거인단을 임명해서 1,452명의 선거인단이 38명의 선출직 의원을 뽑는 구조였다. 여기에 더해 식민 정부가 22명의 임명직 의원을 뽑아 총 60석이 채워졌다.
      • 여러 한계가 있었더라도, 전국적인 선거를 통해 정치인들에게 정당성이 부여되는 제도가 20년 이상 지속된 역사는 독립 이후 국민으로부터 나온 정당성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정치인들에게 심어주었고, 국민들도 이를 공유했다. 장기 독재 정치를 한 수하르토도 구색으로나마 다당제를 취하고 총선을 꾸준히 열었으며, 수하르토를 무너뜨린 민주화도 국민의 힘으로 이루어졌다. 일반적으로 비교정치학에서는 19 ~ 20세기 식민지였다 20세기에 독립한 아시아, 아프리카 등지의 국가가 민주화될 가능성을 식민지 시대 대의 기구의 존재와 선거의 유무가 크게 좌우한다고 보기도 한다.
    • 폴크스라트에 참여한 토착민 민족주의 정파도 있었고, 이들은 주로 폴크스라트 내 좌파 그룹을 형성했다. 그러나 네덜란드로부터의 완전 독립을 지향하는 독립 운동가들도 있었고, 이들은 폴크스라트에 참여하지 않고 장외 투쟁을 전개했다. 대표적으로 수카르노와 그의 인도네시아 국민당(PNI)이 그러했는데, 이들은 급진파로 분류되어 식민 정부의 탄압을 받았다. 그 외에 극좌파 인도네시아 공산당을 비롯한 다양한 사회주의, 공산주의 계열 정파도 있었다. 인도네시아 공산당은 1920년대 무장 봉기를 일으키다 식민 정부에 의해 불법화되었다.

2.2.2. 일본령 동인도

  • 실제 : 일본군 군정(1942 ~ 1945년)
    • 독립 준비 조사회(BPUPK, 1945년 3 ~ 8월) : 1944년 9월 7일 일본 총리 고이소 구니아키가 동인도 독립을 약속했다. 일본 해군은 독립 방침에 반대했지만, 자바 주둔군 16군은 동의했다. 이에 따라 1945년 3월 16군의 하라다 구마키치 중장은 일본군에 협력하는 유력 인사들 위주로 인도네시아 독립을 준비하는 59인의 '독립 준비 조사회'를 발족했다. 이 가운데 저명한 독립 운동가 수카르노, 모하맛 하타 등도 속해 있었다.
    • 독립 준비 위원회(PPKI, 1945년 8월 7일 ~ 8월 29일): 수카르노가 의장, 모하맛 하타가 부의장인 인도네시아 정치인들의 위원회. 이 단계부터 실질적인 의미가 있는 독립 활동이 이루어졌다. 특히 PPKI 의장 수카르노가 8월 17일 인도네시아 독립을 선언했고, 이어 8월 18일 PPKI는 인도네시아 헌법을 채택했다. 이때 PPKI는 수카르노를 인도네시아 대통령, 모하맛 하타를 부통령으로 추대했고, 헌법에 따라 양원제 입법부[6] 등 국가 조직을 공표했다. 8월 19일에는 정부 부처 12곳의 장관을 임명하고 인도네시아가 8개 주(서부자바, 중부자바, 동부자바, 수마트라, 보르네오, 술라웨시, 말루쿠, 소순다 열도)로 분할된다고 선언했다.

2.2.3. 인도네시아 독립전쟁

전쟁의 전개 과정과 결과에 대해서는 인도네시아 독립전쟁 문서에 서술하고, 이 문서에서는 독립전쟁기 제도와 정당에 대해서만 서술한다. 독립전쟁기 인도네시아 공화국은 1945년 11월 3일부터[7] 수탄 샤리르, 아미르 샤리푸딘(사회당), 모하맛 하타(무소속) 세 명의 총리가 순서대로 내각을 구성한 의원내각제로 운영되었지만, 대통령 수카르노가 상당한 영향력을 발휘하여 사실상 이원집정부제에 가깝게 보는 견해도 있다.
  • 독립파 : 인도네시아 공화국 전시 행정부(1945 ~ 1949년 12월 27일). 다당제 체제로서 수카르노의 인도네시아 국민당 외에도 인도네시아 공산당, 사회당, 인도네시아 기독당 등이 각자 세력을 이루고 독립 투쟁을 벌이는 공화국과 협력했다. 독립전쟁 초기인 1945년 11월, 부통령 모하맛 하타와 공화국 총리 수탄 샤리르는 1946년 1월 총선을 치르겠다고 선언했지만, 계속된 전쟁으로 공화국이 주요 도시를 빼앗겨 정상적으로 선거를 할 여유가 없어 선거는 전쟁 기간에 이루어지지 못했다. 인도네시아 제1차 총선은 1955년에 시행되었다.
    • 중앙 인도네시아 국가 위원회(KNIP, 1945년 8월 29일 ~ 1949년 12월 15일) : PPKI를 확대 계승한 인도네시아 공화국의 단원제 입법 기구. 1947년 기준 514인으로 구성되었으며, 다당제로 좌익 블록(공산당, 사회당, 노동당, 기독당, 가톨릭당) 117인, 민족주의자 블록(국민당, 마슈미) 105인, 지역 대표 78인(수마트라 50, 술라웨시 10, 칼리만탄 8, 소순다 열도 5, 말루쿠 5), 직능 대표 80인(노동자 40, 농민 40)[8], 비토착 소수 민족 대표 13인(중국계 7, 아랍계 3, 유럽계 3), 기타 121인이었다. 1949년 12월 15일 마지막으로 소집된 KNIP는 인도네시아 공화국이 인도네시아 합중공화국에 가입하는 안건에 동의했다. 이후 KNIP는 인도네시아 입법부로 사실상 계승되었다.
  • 식민 정부 : 네덜란드령 동인도 전시 행정부(네덜란드군 및 네덜란드령 동인도군 군정, 1945 ~ 1949년 12월 27일)

2.3. 인도네시아 합중공화국

  • 새로 수립된 인도네시아 합중공화국(과도기적 다당제/양원제, 1949년 12월 27일 ~ 1950년 8월 17일)은 인도네시아 공화국 등 16개 구성체의 연방이었다. 이 시기에 전국적 총선은 아직 시행되지 못했지만(합중공화국의 첫 총선이 1951년으로 예정되어 있었는데, 그 전에 합중공화국이 해산되었다), 동인도네시아 자치국과 파순단 자치국에서는 선거를 통한 입법부가 구성되었다.[9]
    • APRA 쿠데타(1950년 1월) : 인도네시아의 쿠데타 진압 성공, 쿠데타 주동자는 네덜란드로 망명.
    • APRA 쿠데타 이후, 통합 논의가 급물살을 타 16개 구성체 중 13개 구성체는 1950년 4월까지 모두 인도네시아 공화국으로 합류했다. 5월 초 기준 마지막으로 남은 두 비공화국 구성체는 각각 비자바 지역의 두 최대 도시를 중심으로 한 동인도네시아 자치국(수도 마카사르)과 동수마트라 자치국(수도 메단)이었다. 남은 세 구성체 간 통합 논의도 5월 초부터 진행되었고, 5월 5일 인도네시아 공화국과 두 자치국은 통합에 원칙적으로 동의했다. 5월 19일 연방 정부는 세 구성체가 통합하여 새로이 인도네시아 공화국을 구성하는 합의에 도달했음을 공표하였는데, 사실상 두 자치국이 인도네시아 공화국에 흡수되는 형태로 통합이 결정된 것이었다. 최종적으로 연방 대통령 수카르노가 독립기념일인 8월 17일 공식적으로 연방을 해산하여 인도네시아는 단일 국가 체제가 되었다.
    • 마카사르 반란(1950년 4월 5일 ~ 21일) : 동인도네시아 자치국의 수도였던 마카사르 지역에서 구 네덜란드령 동인도군 대위 출신 안디 아지스(Andi Azis)가 동인도네시아의 인도네시아 공화국 통합을 반대하는 반란을 일으켰다. 공화국군 대령 알렉스 카윌라랑(Alex Kawilarang)과 중령 수하르토가 이끄는 마카사르 파견군의 4월 작전 결과 반란은 성공적으로 진압되었다.

2.4. 공화국 단일 정부

2.4.1. 수카르노 시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인도네시아/정치/수카르노 시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4.2. 수하르토 시대

  • 신질서(Orde Baru, 수하르토 독재. 1966년 3월 11일 ~ 1998년 5월 21일): 군부의 지지를 받았던 수하르토는 민간 부문에 대한 군의 개입을 정당화하는 군대의 '이중기능'(dwifungsi) 독트린[10]과 사실상 여당 역할을 한 골카르를 정치 기반으로 하였다. 이 둘 모두 수카르노 시대에 연원을 둔 것이기는 했지만, 수카르노 정권과 거리를 두려고 했던 수하르토 시대에 정치의 중심으로 부상했다. 수하르토는 억압을 통해 정치적 안정화를 달성하고 인도네시아 경제를 성장시켰으며, 이를 통해 장기 집권에 성공했지만, 경제가 무너지자 그의 집권도 끝났다.
    • 서뉴기니 병합(1969년) : 인도네시아가 관리 중이었던 서뉴기니에서 인도네시아 병합을 결정하는 주민 투표에 의해 서뉴기니가 공식적으로 인도네시아로 병합되었다. 그러나 해당 주민 투표는 공정하지 않았고, 인도네시아 측에 유리하도록 조작되었다.
    • 제2차 인도네시아 총선(1971년) : 수하르토 시대의 첫 총선. 62.8%를 득표한 골카르가 360석 중 236석을 획득해 압도적으로 승리하기는 했지만, 수카르노 시대의 다당제를 이어받아 해산된 공산당 등을 제외하고 9개 야당이 총선에 참여했다. 이후 제3차 총선(1977년)부터는 총선이 5년마다 안정적으로 열리게 되었다.
      • 제2차 총선은 수카르노 무력화 직후 1966년 6월의 국회 결의안에 따르면 1968년 7월 5일 이전으로 예정되어 있었다. 그러나 골카르가 선거를 준비할 시간을 충분히 벌기 위해 실제로 총선은 연기되다 1971년에 시행되었다. 수하르토 집권 초기는 아직 수하르토의 권력이 절대적이지 않아 다소 자유로운 분위기였고, 수하르토가 30년 독재를 할 인물인지도 당시로는 분명치 않았다. 많은 사람들도 수카르노 시대의 경제난에서 서서히 벗어나 경제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한 신국가를 긍정적으로 보고 있었다. 금지되지 않은 정당들(NU, 국민당, Parmusi, 기독당, 가톨릭당, 이슬람연합당 등)은 기존처럼 민주주의 및 각자 이념을 강조하며 선거 운동을 펼쳤다. 골카르의 주요 경쟁자는 NU, 국민당, 그리고 마슈미의 후계 정당인 Parmusi였다.
      • 골카르가 이길지는 분명하지 않았기 때문에 수하르토는 군 조직을 활용해 국민당과 Parmusi에 대한 여론 공작으로 이들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떨어뜨리고 새로운 골카르 조직과 신체제(신질서)를 믿음직하게 보이도록 했다. 공무원들도 사실상 의무적으로 골카르에 투표해야 했다. 또한 수하르토는 국민당과 Parmusi 후보자들을 다수 실격시키는 방식으로도 이들을 방해했다. 예를 들어 국민당 후보 중 선거에 참여한 후보가 506명, 실격된 후보가 171명이었고, Parmusi도 141명의 후보가 실격되었다. 결과적으로 62.80%를 득표한 골카르는 승리했고, NU는 18.67%, 국민당은 6.93%, Parmusi는 5.36%를 득표했다.
    • 나수티온 숙청(1972년) : 9월 30일 운동의 피해자 중 하나였던 나수티온 장군은 수하르토 집권 이후 국회에서 거의 만장일치에 가까운 지지를 받아 1968년부터 1972년까지 인도네시아 국회의장을 지냈다. 나수티온이 이끄는 국회는 수하르토와 반공 정책에 대해 협력하며 공식적으로 1967년 3월 12일 수카르노를 실각시켰고, 수하르토를 대통령직 대행으로 임명했으며, 1968년 3월 27일 수하르토를 정식으로 대통령으로 선출했다. 그러나 수하르토는 명망 높은 국회의장 나수티온을 자신의 권력에 대한 위협으로 여기고 견제하기 시작했고, 즉시 나수티온 숙청 절차가 시작되었다. 1971년 나수티온은 정년을 2년 앞두고 제대해야 했으며, 동년 총선에서 국회의원으로 선출되었지만 1972년 10월 28일 국회의장에서 사임해야 했다. 이후 나수티온은 수하르토 반대파 정치인으로 활동하게 된다.
    • 정당 통폐합(1973년 1월) : 수하르토 정부는 효율적인 야당 통제를 위해 이슬람 계열 4개 정당을 통합개발당(PPP)으로, 민족주의 계열 5개 정당을 인도네시아 민주당(PDI)으로 통폐합하였다. 이렇게 형성된 골카르-민주당-통합개발당 3당 구도는 수하르토 실각 시점(1998년)까지 이어진다. 골카르 외 2개 정당은 관제 야당이었지만 1990년대 무렵에는 실질적인 야당 기능을 하기 시작했다. 국회에서 간선으로 열린 대통령 선거(1973, 1978, 1983, 1988, 1993, 1998)에서 수하르토는 유의미한 반대 없이 계속 재선되었다.
    • 반수하르토 학생 운동(1970년대 초 ~ 1990년대) : 수하르토 집권 초의 유화적인 분위기에서 처음에 학생들은 수하르토 정권과 신질서 체제에 대한 입장을 뚜렷이 정하지 못했다. 교도민주주의 시대부터 수카르노 독재에 항거하는 반독재, 반공 학생 운동이 있어 왔고, 수카르노의 몰락은 반독재 학생 운동가들의 동정을 사지 않았다. 그러나 1971년 제2차 총선이 군이 개입한 부정 선거로 얼룩지자, 선거 부정을 지적하는 반수하르토, 반골카르 학생 운동이 생겨났다. 집권 초기 수하르토가 근절을 약속했던 정치권의 부패가 오히려 제도화되고 있던 것도 학생들의 실망을 불러일으켰다. 수하르토는 처음에 학생 운동을 일단 지켜보는 태도를 취했지만, 1970년대 후반이 되면 인도네시아 대학교, 반둥 공과대학교 등에서 반독재 학생 운동이 조직화되었다. 1978년 마침내 반둥 공대에서 수하르토 독재를 비판하는 백서가 나돌자(백서 사건), 수하르토는 군을 동원해 반둥 공대 캠퍼스를 점거하고 주모자들을 투옥했으며, 1978년 4월 "학업과 무관한 캠퍼스 정치 활동"을 금지하는 법을 만들어 운동권 학생들을 탄압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학생 정치 조직은 완전히 사라지지 않았고, 1990년대에는 상대적 자유화 분위기와 함께 다시 한 번 학생 운동이 전성기를 맞았다. 결국 수하르토 하야를 불러온 1998년의 반독재 시위도 학생들이 주도했다.
    • 동티모르 침공(1975 ~ 1976년) : 포르투갈 식민지 전쟁카네이션 혁명(1974년)으로 끝나고 동티모르 지역은 좌파 성향의 동티모르 독립혁명전선을 중심으로 독립 움직임을 보인다. 그러나 인도네시아는 반공주의 및 반식민주의를 구실로 동티모르를 침공해 강제 병합하였다. 동티모르는 수하르토 퇴진 이후 인도네시아 민주화 과정에서 독립하였다.
      • 동티모르 대학살(1975 ~ 1999년) : 점령당한 동티모르에서는 독립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인도네시아의 지배에 맞서는 독립 운동이 벌어졌다. 이에 맞서는 인도네시아군은 반복적으로 소탕 작전을 벌였다. 1974년부터 1999년까지 인도네시아 치하에서 인도네시아군의 폭력 등 점령 피해로 사망한 동티모르인은 최소 100,000명에서 최대 300,000명에 달했다. 동티모르 전체 인구가 1990년 기준 750,000명 수준이었으므로 이는 동티모르에 엄청난 손실이었다. 유엔 동티모르 잠정행정부(UNTAET)가 과거사 조사를 위해 설치한 수용, 진실 및 화해 위원회(CAVR)가 2005년 공식 발표한 바에 따르면, 동티모르 분쟁 관련 사망자는 최소 약 102,800명(±12,000명), 최대 183,000명으로 추정되었으며, 100,000 추정치 중 직접 살해 혹은 실종된 경우가 약 20,000명, 분쟁 중 분쟁으로 인한 질병이나 기아로 사망한 경우가 80,000명이었다.[11]
    • 아체 내전(1976 ~ 2005년) : 이슬람세가 강한 아체 지역에서 다룰 이슬람 반란에 참가했던 하산 디 티로 등이 이끄는 자유 아체 운동을 중심으로 발생한 내전. 2000년대까지 이어지다 인도네시아 민주화 이후 아체주 자치권 부여 및 자유 아체 운동의 지역정당화를 통해 종결되었다.
    • 수하르토의 대통령 임기 제한 해제(1978년) : 수하르토가 대통령이 된 지 10년째가 되자 수하르토의 대통령 임기가 슬슬 법적 문제가 되었다. 그러나 반대파를 모두 제압하고 권력의 정점에 오른 1970년대 후반의 수하르토를 견제할 사람은 없었다. 1978년 국회가 수하르토 대통령의 연임 제한을 해제함으로써 수하르토는 국회 내 간선제 대선에서 계속 당선되기만 하면 종신 집권이 가능하게 되었다.
    • 50인 청원(Petisi 50, 1980년 5월 5일) : 나수티온, 모하맛 낫시르, 부르하누딘 하라합, 알리 사디킨(전 자카르타 지사) 등 수하르토 정권에 반대하는 50명의 저명인사가 1980년 5월 5일 개혁과 독재 완화를 요구하는 청원에 서명하고 5월 13일 국회에 이를 전달하였다. 청원은 수하르토가 판차실라를 자의적으로 해석하는 것을 중단하고, 인도네시아군이 골카르 선호로 편향되지 않고 정치 중립을 지킬 것을 요구했다. 수하르토는 청원자들에 대해 여행 금지령을 내리는 것으로 응답했다.
    • 수하르토의 군부 장악력 약화(1980년대 후반) : 1980년대를 거치며 수하르토의 독재 권력은 공고해지는 것 같았다. 그러나 군부가 수하르토 정권과 이권 충돌을 빚으면서 군에 대한 수하르토의 장악력은 약화되고 있었다. 1988년 3월, 수하르토는 충성스러운 군부 계열 정치인 수다르모노(Sudharmono)를 새 부통령으로 지명하려 했다. 그런데 국회의 군부 측 의원들이 이때 수다르모노의 부통령 지명을 막으려고 시도했으나 결과적으로 실패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비슷한 시점 군 총사령관 무르다니(Moerdani) 대장은 수하르토 가문의 부패를 비판했고, 수하르토는 그를 사령관직에서 해임했다. 이후 수하르토는 군 요직에 충성파를 더욱 자주 임명해야 했으며, 동시에 군 외부로 권력 기반을 넓히려고 시도한다. 따라서 1990년대 수하르토 정권은 민간 영역에서 상대적 자유화로 정책을 선회해야 했다.
    • 메가와티 실각(1996년) : 1990년대 들어 점차 수하르토에 비판적인 정치적 목소리가 터져나오기 시작했다. 이때 야당 민주당 및 그 지도부의 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수카르노의 딸)가 수하르토 정권에 대한 개혁 요구의 구심점이 되었다. 그러나 이를 견제한 수하르토는 민주당 내 반메가와티 수랴디(Suryadi) 파벌을 지원했다. 민주당이 친메가와티파와 반메가와티파로 양분된 가운데, 1996년 7월 27일 자카르타의 민주당 청사를 점거한 메가와티 지지자들을 수하르토가 지원한 반메가와티파가 공격해 싸움과 폭동이 벌어졌다. 정부는 이를 가라앉히고 난 후 좌파 집단 민주인민당(PRD)의 개입이 있었다고 발표하고, 수랴디파만을 공식적으로 인정하였다. 뒤이어 군의 대표적인 충성파 장군 프라보워 수비안토가 주도한 민주화 운동가들에 대한 대대적인 탄압과 체포가 벌어졌다.
    • 아시아 금융 위기와 집권 연장(1997 ~ 1998년 초) : 1997년 5월 총선에서 골카르는 경제가 다소 불안한 가운데 부정선거를 통해 승리했다. 직후 아시아 금융 위기가 터졌고, 인도네시아는 여러 국가들 가운데 태국과 함께 위기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아 1998년 경제 성장률이 보통 전쟁 등 극단적인 특수 상황에서나 발생하는 수준인 -13.1%을 기록했다. 1998년 초 루피아-달러 환율도 1997년 8월의 4~5배 수준으로 폭등했다. 이렇게 수하르토 정권의 집권 기반이었던 경제가 크게 휘청이자, 1997년부터 인도네시아 각계각층에서는 도저히 억누를 수 없는 규모로 동시다발적인 민생 안정, 반독재 민주화 요구가 터져나왔다. 그러나 새 국회는 1998년 3월, 들끓는 민심과는 정반대로, 간선으로 또 한 번, 일곱 번째로 수하르토를 대통령으로 선출했다.
    • 수하르토 실각(1998년 5월) : 임계점을 넘은 민주화 요구는 이제 독재 정권에 대한 직접적 행동의 양상을 취하기 시작했다. 1998년 1월부터 운동권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대대적인 반독재 학생 시위가 조직되었다. 1998년 5월 수하르토가 국빈 방문을 위해 이집트로 출국하고 난 후 극한의 긴장 상태에서 5월 12일 자카르타의 트리삭티 대학교에서 군이 학생 시위를 진압하다 시위 학생 4명을 살해했다. 자카르타는 폭동이 일어나 무정부 상태가 되었고, 이때 통제되지 않는 군중에 의해 화인들이 약탈, 강간, 살해를 당하기도 했다. 한편 민주화 세력의 학생들은 수만 명이 결집해 5월 16일 자카르타 국회의사당을 점거하고 수하르토 하야를 요구했다. 이집트에서 돌아온 수하르토는 새 임기를 마치면 2003년에 물러날 것과 내각 개편을 약속했다. 그러나 수하르토는 동시에 5월 18일 치안 유지를 위해 대통령에게 전권을 부여하는 대통령령을 내렸는데(위란토 측 주장), 군 총사령관 위란토(Wiranto) 대장은 명령 이행을 거부했으며, 충성파 인사들 역시 내각에 참여하기를 거부했다. 결국 수하르토는 5월 21일 퇴로가 없음을 자각하고 사임했다.

2.4.3. 개혁 시대

  • 개혁(Reformasi) 시대
    • 하비비(골카르)의 과도기(1998년 5월 21일 ~ 1999년 10월 20일) : 하비비는 공학자 출신 기술관료로 수하르토의 신임을 받아 부통령이 되었고, 수하르토 퇴진 후 그를 승계하여 대통령이 되었다. 그러나 하비비는 민주화 요구에 응답하여 언론, 출판, 집회, 결사의 자유를 보장하는 방식으로 정치 개혁을 시작했고, 지방 자치를 확대했으며, 조기 총선 및 대선(당시 대선은 간선제)을 약속하고 실행했다. 하비비는 동티모르 독립에 반대했지만 동티모르에 일단 특별 자치권을 제안하고, 동티모르에서 자치권과 독립을 놓고 국민 투표를 유엔 위임으로 실시했다. 이러한 조치들은 이후 민주화 세력이 집권하고 이루어진 개혁의 전조가 되었다.
    • 개헌 및 민주화(1999년 ~ 현재): 주요 개헌과 민주적 제도 개혁은 압두라만 와힛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의 집권 시기에 이루어졌다. 인도네시아 헌법은 2002년 8월 11일 마지막으로 개정되었다. 이하는 하비비 이후의 대통령과 임기 목록이다.

3. 헌법

오늘날 인도네시아는 '1945년 인도네시아 공화국 기본법'(Undang-Undang Dasar Negara Republik Indonesia Tahun 1945, UUD 1945)을 헌법으로 사용한다. 2002년까지 보다 민주적인 국가 조직을 위해 총 4차례 개헌이 이루어졌으며, 현행 헌법은 총 73개 조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헌법 전문은 인도네시아의 독립과 식민주의의 철폐, 판차실라를 다루고 있다. 본문은 국가 형태와 영토, 정부 조직, 선거, 지방 자치, 인권 보장, 사법 기구, 시민권, 종교의 자유, 국민이 교육받을 권리, 국방의 의무, 빈자를 보살필 국가의 의무, 국기(메라 푸티), 국어(인도네시아어), 국가(위대한 인도네시아), 국장(가루다 판차실라), 헌법 개정 등을 다룬다.

헌법 전문(수정 자카르타 헌장)을 이하에 번역해 첨부한다. 출처는 인도네시아 정부 사이트.
Bahwa sesungguhnya Kemerdekaan itu ialah hak segala bangsa dan oleh sebab itu, maka penjajahan di atas dunia harus dihapuskan, karena tidak sesuai dengan perikemanusiaan dan perikeadilan.

Dan perjuangan pergerakan kemerdekaan Indonesia telah sampailah kepada saat yang berbahagia dengan selamat sentausa mengantarkan rakyat Indonesia ke depan pintu gerbang kemerdekaan Negara Indonesia, yang merdeka, bersatu, berdaulat, adil dan makmur.

Atas berkat rakhmat Allah Yang Maha Kuasa dan dengan didorongkan oleh keinginan luhur, supaya berkehidupan kebangsaan yang bebas, maka rakyat Indonesia menyatakan dengan ini kemerdekaannya.

Kemudian daripada itu untuk membentuk suatu Pemerintah Negara Indonesia yang melindungi segenap bangsa Indonesia dan seluruh tumpah darah Indonesia dan untuk memajukan kesejahteraan umum, mencerdaskan kehidupan bangsa, dan ikut melaksanakan ketertiban dunia yang berdasarkan kemerdekaan, perdamaian abadi dan keadilan sosial, maka disusunlah Kemerdekaan Kebangsaan Indonesia itu dalam suatu Undang-Undang Dasar Negara Indonesia, yang terbentuk dalam suatu susunan Negara Republik Indonesia yang berkedaulatan rakyat dengan berdasar kepada Ketuhanan Yang Maha Esa, Kemanusiaan yang adil dan beradab, Persatuan Indonesia dan Kerakyatan yang dipimpin oleh hikmat kebijaksanaan dalam Permusyawaratan/Perwakilan, serta dengan mewujudkan suatu Keadilan sosial bagi seluruh rakyat Indonesia.
독립은 모든 민족이 가진 권리이다. 식민주의는 보편적인 인간성과 정의에 부합하지 않으므로, 세계 어디서든 반드시 소멸되어야 한다.

인도네시아 독립 운동을 위한 투쟁의 도상에 기쁜 순간이 도래하였다. 운동은 자립하고 단일하며 주권을 가진 정의롭고 번영할 인도네시아 국가의 독립의 문으로 인도네시아 인민을 안전히, 또 영원히 인도할 것이다.

전능하신 신의 은총과 자유로운 국민의 생활을 영위하고자 하는 고귀한 열망으로, 인도네시아 인민은 이에 독립을 선언한다.

다음으로 인도네시아 민족 전체와 인도네시아 국토 전체를 보호하는 인도네시아 국가 정부를 형성하고, 공공 복리를 증진하고 국민의 삶을 교육하며 자주(自主), 영구한 평화 및 사회 정의에 기반한 세계 질서를 수립하는 데 참여하기 위하여 인도네시아 국민의 독립을 인도네시아 국가 기본법으로 공식화한다. 인도네시아 공화국은 주권국으로서 유일신에 대한 믿음, 정의롭고 교양 있는 국민 인성의 함양, 인도네시아의 통합, 숙의와 대의제 정치의 지혜가 인도하는 민주주의, 전 인도네시아 인민을 위한 사회 정의라는 원칙에 기초한다.

3.1. 작성과 제정

인도네시아에서 최초로 발표된 헌법에 준하는 문서는 독립 준비 조사회(BPUPK)의 9인 위원회(수카르노모하맛 하타를 비롯한 세속적 민족주의자 4인, 무슬림 민족주의자 4인, 기독교도 민족주의자 1인)가 1945년 6월에 작성하여 1945년 6월 22일에 발표한 '자카르타 헌장'이었다. 자카르타 헌장을 기초로 하여 BPUPK에서는 수카르노 등 19인의 인도네시아인 위원(여성 위원 마리아 울파 산토소 1명 포함)이 1945년 7월 10일 임시 인도네시아 기본법을 작성했다. 이는 37개 조항, 4개 임시 조항, 2개 보완 조항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일본의 패망이 현실화되자 독립 준비 위원회(PPKI)는 8월 17일 인도네시아 독립을 선언하고, 8월 18일 수카르노를 중심으로 소집된 PPKI 회의에서 작성된 임시 기본법을 새로운 공화국의 헌법으로 공식 채택하는 문제를 논의했다. 여기서 수카르노를 주축으로 하는 세속주의자들은 기존 초안을 조금 더 세속주의적으로 개정했고, 8월 18일 PPKI는 수정된 인도네시아 기본법을 공식 채택했다. 이것이 최초의 1945년 인도네시아 공화국 기본법이었으며, 자카르타 헌장은 약간 수정되어 전문이 되었다. PPKI의 수정안 중 특히 중요한 것은 세속주의자들과 기독교도들의 의견을 반영해 "공화국 대통령은 무슬림이어야 한다"라는 조항이 삭제되고, 자카르타 헌장의 초안에서 일곱 단어가 삭제된 것이었다. 삭제된 일곱 단어는 "dengan kewajiban menjalankan syariat Islam bagi pemeluk-pemeluknya"로, 무슬림이 샤리아를 따를 의무를 명시한 것이었다. 이 일곱 단어를 부활시키는 문제는 독립 후 의회에서 세속 민족주의 정당과 이슬람 정당 간, 또 정부와 정치적 이슬람을 지지하는 세력 간 지속적인 논쟁 대상이었다.

사소해 보이지만, 제헌 과정에서 논쟁을 거쳐 이슬람 우위 원칙을 삭제하고 이슬람, 샤리아, 무슬림 등에 대한 명시적 언급을 하지 않기로 한 이 결정은 결과적으로 인도네시아가 나아갈 방향을 상당히 크게 전환한 것이었다. 이는 다른 무슬림 다수 국가의 헌법과 비교할 때 더 뚜렷해지는데, 예컨대 아랍 국가 가운데 법률상 가장 세속적인 축에 속하는 알제리도 헌법에서는 대통령이 무슬림일 것을 규정하고 있다. 옆 나라 말레이시아는 헌법에서 이슬람을 국교로 명시하고 있다.

한편 인도네시아 헌법은 전문의 판차실라를 토대로 하며, 여기에서 '유일신 신앙 보유'를 국가의 바탕으로 내걸고 있다는 점은 인도네시아 헌법이 튀르키예중앙아시아 국가 일부가 헌법에서 채택하거나 채택했던 강경 세속주의와도 거리가 있음을 의미한다. 인도네시아 헌법에 판차실라를 제외하고도 종교적인 색채가 아예 완전히 없는 것은 아니며[12], 인도네시아 헌법이 과거 소련 헌법 등이 그러했던 것처럼 반종교적 주장을 할 권리를 명시적으로 존중하지도 않는다. 현재 인도네시아 법률은 무신론 설파를 포함해 반종교적 주장을 할 자유를 충분히 인정하지 않고 있으며, 오늘날 인도네시아에서 종교의 자유는 반쪽짜리라는 비판이 있다.

3.2. 헌법 개정

1945년 기본법은 수하르토 퇴진 이후 민주화 과정에서 다음과 같이 네 차례 개정되었다.
  • 1차 개정 : 1999년 10월 14 ~ 21일. 대통령과 부통령의 임기를 각 5년으로 규정하고 1회 연임할 수 있도록 했다. 대통령이 가진 각종 인사권을 행사할 때 국회 또는 대법원의 동의가 필요하도록 규정해 대통령의 권한을 제약했다. 또한 대통령의 법률 제정권을 박탈하고, 입법권은 국회에만 귀속되도록 하였으며, 대통령은 오직 국회로 법안을 발의하는 권한만 갖게 되었다.
  • 2차 개정 : 2000년 8월 7 ~ 18일. 인도네시아군과 경찰의 권한을 분리하여 군의 권력을 제한하고, 지방 자치를 보장했으며 직접 선거로 지방 행정권자가 선출되도록 규정했다. 누산타라를 인도네시아의 영토적 특성으로 언급했고, 인도네시아 국가와 국장에 헌법적 지위를 부여했으며, 인권 보장에 대한 조문이 추가되었다. 국회에서 군부의 임명직 의석이 사라지고, 모든 의석은 직선으로 선출되게 되었다.
  • 3차 개정: 2001년 11월 9 ~ 10일. 인도네시아 헌법재판소와 상원 설치를 규정했고, 대통령이 직선으로 선출되도록 규정했다. 수하르토 시대에 도입된 국가 정책 지침(Garis Besar Haluan Negara, GBHN)이 삼권 분립을 보장하기 위해 이 3차 개정에 의해 폐기되었다.
  • 4차 개정: 2002년 8월 1 ~ 11일. 대통령 자문 기관이었던 최고 자문 위원회에 대한 조항이 삭제되었다.

이후 GBHN 재도입, 상원 권한 강화 등에 대한 추가 개정안이 발표되었지만 채택되지 않았으며, 인도네시아 헌법은 2002년 8월 이후 오늘날까지 추가 개정되지 않았다.

3.3. 다른 헌법

인도네시아에서 채택된 적이 있는 다른 헌법으로 다음 둘이 있다.
  • 인도네시아 합중공화국 헌법(Konstitusi Republik Indonesia Serikat, 1949년 12월 27일~1950년 8월 17일) : 인도네시아 합중공화국에서 사용된 헌법. 1950년 8월 17일 인도네시아 공화국 단일 국가 체제가 됨에 따라 이하의 1950년 잠정 헌법으로 대체되었다.
  • 1950년 인도네시아 공화국 잠정 기본법(Undang-Undang Dasar Sementara Republik Indonesia 1950, UUDS 1950, 1950년 8월 17일~1959년 7월 5일) : 말 그대로 잠정 헌법으로, 새로 선출된 제헌평의회가 제정한 신헌법으로 대체될 것이었다. 그러나 이는 이루어지지 못했고, 1945년 기본법이 다시 도입되어 현재에 이른다. 1945년 기본법과의 주된 차이점은, 1945년 기본법이 암묵적으로 대통령제적 내지 이원집정부제적인 반면[13], 1950년 기본법은 의원내각제 시행을 명시했다는 것이다. 따라서 1950년 기본법이 시행된 자유민주주의 시기 인도네시아는 의원내각제 국가였다.
    • 제헌평의회 해산(1959년 7월 5일) : 1955년 선출된 제헌평의회에서 헌법 제정에 관한 논쟁이 끝없이 이어졌고, 특히 헌법에 이슬람의 역할을 명시하는 문제에 관해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결국 1958년 7월 육군 참모총장이자 독립 운동가였던 나수티온(Nasution)은 역사적 정당성이 있는 1945년 기본법으로 회귀할 것을 제안했다. 이는 결론 없는 의회 정치에 염증을 느끼고 있던 대통령 수카르노와 여러 정당들의 지지를 얻었지만, 세력이 컸던 이슬람 조직이자 정당 나다툴울라마(NU)는 이슬람에 관한 특별한 원칙이 없고 세속적인 1945년 기본법('이슬람'이나 '샤리아'가 아예 언급되지 않는다)의 재도입을 반대했다. 1959년 4~6월 제헌평의회에서 격렬한 논쟁이 벌어졌고, 최종적으로 제헌평의회에서 1945년 기본법 채택을 위한 표결이 두 차례 이루어졌지만, 찬성률은 각각 57%, 56%로 채택에 필요한 2/3의 동의에 미치지 못했다. 제헌평의회는 6월 3일 휴회에 들어갔고, 대통령 수카르노는 교착 상태를 타개하기 위해 7월 5일 대통령령으로 제헌평의회를 해산하고 1945년 기본법을 재시행하였다.

4. 제도적 개괄

4.1. 대통령과 행정부

인도네시아는 대통령의 권한이 강한 대통령제 공화국이다. 수하르토 시대에 인도네시아 대통령은 국회보다도 우위에 있는 제왕적 대통령이었으나, 그래도 민주화 이후 대통령의 권한은 비교적 약화되었다. 대통령은 행정부 수반으로서 육해공 3군 통수권을 가지며, 각 부처 장관 임명권이 있고, 국회에 법안을 발의할 수 있다. 국회도 물론 법안 발의권이 있으며, 대통령과 국회가 법안을 발의하는 비율은 경우마다 다르다. 대통령은 외교에 관해 조약 체결이나 전쟁 선포 등을 국회와 논의 후 결정할 권한이 있으며, 대사와 영사 임명권이 있다. 형법의 적용에 관해, 대통령은 감형, 사면, 형 집행 정지, 복권을 경우에 따라 국회나 대법원과 논의하여 결정할 권한이 있다. 또한 대통령 자신, 국회, 대법원이 추천한 헌법재판관 후보를 임명하는 권한도 가진다.

국회에서 다루어지는 입법안의 처리에 관해서 인도네시아 대통령은 다소 미묘한 권한이 있다. 독립 이후 수하르토 시대까지는 대통령의 법률안 거부권이 헌법상 권한이었지만, 이는 민주화 이후 폐지되었다. 오늘날 대통령은 국회와 법안에 관해 '합의에 이를 때까지 논의할' 권한 즉 숙의권이 있고, 국회가 논의한 법안을 승인할 권한이 있다. 대통령이 국회가 통과시킨 법안 자체를 '거부'할 권한은 없지만, 국회와의 숙의 과정에서는 반대 의견을 개진할 제한적인 권한이 있다. 새 법안이 효력을 얻으려면 국회와 대통령의 승인을 모두 얻어야 한다. 대통령의 승인이 있어야 법안이 국회에서 최종 투표로 넘어가 통과될 수 있다. 즉, 엄밀히 말해서는 국회와 논의 단계에서 대통령이 숙의권을 이용하여 국회의 정당들이 합의한 법안을 계류시킬 여지가 있지만, 이는 대통령에게, 그리고 대통령의 소속 정당에 엄청난 정치적 부담이 된다.

대통령은 국회 전체나 일부를 해산하거나 정지할 수 없다. 대통령은 국가 예산안을 국회에 제출하고 이에 대해 국회와 논의할 권한은 있지만, 국회(하원) 내의 예산안 심사·검토·개정에 간섭할 권한은 없다. 예산안이 국회에서 통과되지 못하면 작년 예산안이 집행된다. 또한 대통령은 직접 국민투표(레퍼렌덤)를 제안할 권한이 없다. 수하르토 시대의 국민투표법은 민주화 이후 폐지되었다. 대통령은 비상상황에 한해 법률에 준하는 정부령을 내릴 수 있지만, 이는 반드시 다음 회기에 국회에서 인준을 받아야 한다. 이때 '비상상황'이 무엇인지는 헌법상 상세 규정이 없어 대통령이 다소 자의적으로 명령권을 남용할 여지는 있지만, 국회가 차단할 수 있다. 실제로 2009년 유도요노 정부가 국회의 동의 없이 내리고 관련 작업을 시작했던 공공기금(public fund) 관련 정부령은 국회의 인준을 얻지 못해 폐기되었다.[14]

한편 인도네시아에는 별도의 총리 내지 수상직이 없다. 수카르노 시대인 1945년부터 1966년까지는 총리직이 있었으나 폐지되었다. 내각을 구성하는 것은 대통령 휘하 각 부처의 장관 34명과 차관 15명이다. 인도네시아는 제1당도 국회 의석이 20%에 불과한 다당제이기 때문에 민주화 이후 모든 정부가 실질적으로 여러 정당이 연합한 연립정부였고, 이에 따라 일반적으로 장·차관은 소속 정당이 다양하며 무소속도 있다. 많은 직위가 정치적 합의에 따라 집권 연정 정당에 분배된다.

4.2. 부통령과 궐위 조치

헌법에 명시된 인도네시아 부통령의 권한은 대통령 궐위 시 대통령직을 승계한다는 것뿐이다. 이는 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 전 부통령의 대통령직 승계로 현실화된 바 있다. 부통령은 평시에 대통령이 위임한 사무를 수행하고 있지만, 기본적으로 모든 실권은 대통령이 쥐고 있다. 실질적으로 부통령 후보는 대통령 후보가 지지 기반이 취약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뽑히며, 이에 따라 항상 그런 것은 아니지만 러닝메이트인 두 후보가 당적이 다른 경우도 흔하다.

대통령이 정상적으로 직위를 유지한 상태에서 사망, 탄핵, 대통령직 승계 등으로 부통령만 궐위일 경우 대통령은 두 명의 후보를 추천하고, 그 가운데 한 명을 국회(상하원 합동)에서 간선으로 선출한다. 이 역시 메가와티 전 부통령의 대통령직 승계 이후 함자 하즈가 간선으로 부통령으로 뽑힘으로써 현실화된 바 있다. 만약 대통령과 부통령이 동시에 궐위인 경우가 발생하면 내무부, 외무부, 국방부 3개 부처의 장관이 임시로 대통령의 권한을 합동하여 대행하면서 국회에서 정당들이 과거 대선에서 2위 이상(당선 또는 2위)을 한 후보 둘을 추천하고, 둘 가운데 국회 내 간선으로 새 대통령을 선출한다.

수하르토가 독재 정치를 했던 신질서 시대에도 1973년부터 부통령이 있었다. 이때 부통령은 대통령(수하르토)의 추천으로 국회에서 간선으로 선출되었다. 경쟁 선거가 아니라 사실상 수하르토가 추천한 단일 후보를 인준하는 선거였다. 수하르토 시대의 부통령은 임기 5년마다 계속 교체되어 연임한 경우가 없었으며, 수하르토 시대 명목상 정부 2인자로서 초기에는 수하르토 정권의 부족한 정당성을 보완해줄 수 있는 인사가 뽑히기도 했다. 일부 부통령들은 수하르토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면서도 수하르토 또는 신질서 체제의 억압성과 부패를 비판하기도 했다.

수하르토 시대의 첫 부통령이었던 욕야카르타 술탄 하믕쿠부워노 9세인도네시아 독립전쟁의 공훈으로 국민적 인기가 높아 수하르토도 함부로 대하지 못하는 국가 원로였다. 그러나 1970년대 수하르토는 독재를 강화했고 상층부의 부패가 심화하였다. 또한 1978년 반둥 공과대학교에서 학생들이 수하르토 독재를 비판하는 백서를 발간하자 수하르토가 군을 동원해 대학 캠퍼스를 점거하는 '백서 사건'이 일어났고, 이에 하믕쿠부워노 9세는 수하르토가 간곡히 권했던 연임을 거절하기에 이른다. 다음으로 뽑힌 부통령 아담 말릭은 수카르노 시대 존재한 민족 공산주의 정당 무르바당의 주요 인물로 수하르토 정권에서 독특한 입지를 차지하였으며, 역시 정권의 부패를 비판하는 데 목소리를 내었다. 수하르토 시대의 마지막 부통령인 기술관료 바하루딘 유숩 하비비는 수하르토 하야 후 대통령직을 승계하여 독재를 하지 않고 민주화 시대의 초석을 놓았다.

4.3. 대선

대선에서는 미국처럼 러닝메이트 방식의 대통령·부통령 제도를 채택하고 있다. 대통령·부통령 선거는 직선제이고 임기 5년, 1회에 한해 연임이 가능하다. 대선 후보 난립을 막기 위해 하원 총선에서 25%의 득표율을 얻거나 20% 이상의 의석을 확보한 정당만이 대선에 참여할 수 있다. 하지만 2000년 이후 2004년 총선의 골카르(128석), 2009년 총선의 민주당(148석), 2019년 총선의 투쟁민주당(128석) 등 득표율 1위 정당 하나를 제외하고는 단일 정당이 이 조건을 만족한 경우가 없다. 그래서 정당 간 연합을 결성하여 대선 후보를 결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민주화 이후 처음으로 정식으로 정권 교체를 이룩한 압두라만 와힛(국민계몽당) 대통령은 다소 기묘한 방식의 과도기적 간선으로 뽑혔다. 특히, 이때는 러닝메이트제가 아니었다. 1999년 총선으로 당시 단원제이던 국회의 500석 중 462석이 직선으로 선출되었다. 38석은 당시 민주화 초입의 과도기 상태였으므로 군부의 추천으로 임명되었다.[15] 이렇게 구성된 500명의 국회의원과 함께, 군부와 민간의 추천으로 200명의 선거인단이 추가 선발되어 700명이 대통령과 부통령 선거에서 1표씩을 행사했다. 대통령은 압두라만 와힛과 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투쟁민주당) 2인이 경쟁하여 와힛이 373:313으로 승리하였고, 부통령은 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와 함자 하즈(통합개발당) 2인이 경쟁하여 메가와티가 396:284로 승리하였다.

와힛 재임기에 2000년 8월 개헌으로 38석의 군부 추천 의석이 폐지되었다. 또 메가와티(2001년 와힛 탄핵으로 대통령직 승계) 재임기에 2001년 11월 개헌으로 대통령 직선제가 채택되었다.[16] 따라서 2004년 대선부터는 국민 직선으로 대통령이 뽑히게 되었고, 총선에서도 직접적인 군부의 영향력은 사라졌다. 직선으로 뽑힌 첫 대통령은 2004년 대선에서 당선된 수실로 밤방 유도요노(민주당)였다. 유도요노는 비교적 깨끗한 인물이었고 중도를 표방하기는 했지만 군 장성 출신이었다.

2014년 대선에서 조코 위도도(투쟁민주당)가 승리하여 정권 교체를 이룩하였고, 인도네시아는 최초로 선거를 통해 국민들이 지지한 문민 정부를 수립했다. 2019년 대선에서도 조코 위도도 대통령이 연임에 성공하였다.

2024년 대선에서는 2014년, 2019년 선거에 패배하였던 프라보워 수비안토조코 위도도 대통령의 장남인 기브란 라카부밍 라카를 부통령 후보로 하여 대통령에 당선 되었다.[17]

4.4. 국회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50px><tablebordercolor=#fff> 파일:indonesian mpr-ri.png인도네시아 의회
원내 구성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ext-align: center;"
상원
152석
무소속
(152석)
하원
580석
연립 여당
골카르
(102석)
위대한 인도네시아 운동당
(86석)
국민계몽당
(68석)
국민수권당
(48석)
민주당
(44석)
신임과 보완
투쟁민주당
(110석)
국민민주당
(69석)
번영정의당
(53석)
}}}}}}}}}


국회는 국민협의회(Majelis Permusyawaratan Rakyat[MPR])라 불리며 양원제이다. 상원(Dewan Perwakilan Daerah[DPD], 지역대표회의)과 하원(Dewan Perwakilan Rakyak[DPR], 국민대표회의)으로 나뉜다. 임기는 양원 모두 5년이며, 선거 역시 동시에 치러진다. 미국 등과 유사하게 명목상으로는 하원은 국민을 대표하는 기관, 상원은 지역(주/특별 지역)을 대표하는 기관이다.

하원(DPR)은 총원 575명으로 조직되며 34개 주, 80개 선거구가 있다. 각 선거구는 최소 3인 최대 10인을 뽑는 중대선거구인데 개방형 정당명부식 비례대표 제도를 채택했다. 하원은 거의 대부분의 입법권과 예산 심사, 행정부 감사권을 가지고 있으며, 재적의원 2/3 이상의 동의로 대통령 등 행정부 관직에 대한 탄핵 소추권을 갖는다.

기본적으로 하원은 다당제 구도이며, 투쟁민주당 등 거대 정당이 있기는 있지만 과반을 차지할 정도로 세가 압도적이지 못하다. 그러나 봉쇄조항이 있어 정당 난립을 방지하고 있는데, 2017년 개정 선거법 기준 총합 4%의 득표가 정당의 하원 진출 자격이다.

수카르노 시대의 1955년 총선, 수하르토 시대의 총선들[18], 민주화 시대인 1999년, 2004년에 치러진 두 차례의 총선에서는 봉쇄조항이 없어 단 1~2석만을 확보한 정당이 숱하게 나왔다. 2008년 선거법 개정으로 2.5%의 봉쇄조항이 처음 도입되어 2009년 총선부터 하원 선거에 적용되었으며, 이때부터 상위 8~10개 주류 정당만 살아남는 익숙한 형태의 선거 결과를 볼 수 있게 되었다. 봉쇄 기준은 2012년 선거법 개정으로 3.5%로 높아졌고, 2017년에는 4%가 되었다.[19]

상원(DPD)은 총원 136명이고 34개 주로부터 각 4명씩 선출한다. 헌법에 따라 하원의석의 1/3 이상이 되지 않도록 규정되어 있다. 선거방식은 단기 비이양식으로 유권자는 1명에서 4명까지 원하는 후보자를 택할 수 있으며 4등까지 당선된다. 후보자는 무소속이어야 하며 원내에서도 교섭단체 없이 무소속으로 활동한다.

인도네시아 상원의 권한은 양원제 국가들 중에서도 미약한 편으로, 상원은 지역 관련 법안에만 한정된 법안 발의권, 지역 관련 법안 심사권만 있고 입법 거부권이 아예 없다. 국가 예산안에 관해서도 상원은 관여하지 않고 권한도 없다. 수하르토 퇴진 이후 개헌으로 상원 설치가 예정되었으며, 2004년부터 총선에서 하원과 함께 상원 의원들이 선출되기 시작했다. 이렇게 상원이 어정쩡한 상태가 된 것은 레포르마시 시대 초기 정파 간 입장 차 때문이다. 관련 개헌을 주도한 개혁파는 하원의 독주를 견제할 수 있는 비교적 강한 상원을 원했지만, 보수파는 이를 거부해 유명무실한 상원을 설치하는 선에서 합의가 이루어졌던 것이다.

상원과 하원은 합동회의를 열기도 한다. 이 합동회의는 의회 이름과 같은 국민협의회(Majelis Permusyawaratan Rakyat[MPR])라 한다. 국민협의회는 헌법 개정과 탄핵 의결 권한이 있다. 헌법 개정은 국민협의회 재적의원 1/3 이상의 발의와 과반수의 찬성으로 이뤄지며, 탄핵은 하원의 탄핵 소추가 헌법재판소에서 심리되어 탄핵을 인용할 경우 하원이 탄핵안을 국민협의회에 제출하고 국민협의회 2/3이 찬성하면 최종 탄핵된다.

4.5. 사법

인도네시아는 3심 제도를 택하고 있다. 최상위 사법기관으로 대법원(Mahkamah Agung)이 있으며 휘하에 고등법원(Pengadilan Tinggi)과 지방법원(Pengadilan Negeri)이 있으며, 고등법원과 지방법원은 다시 일반법원과 행정법원, 군사법원, 그리고 무슬림의 종교 관습 관련 사건[20]을 다루는 종교법원으로 나뉜다. 아체의 경우 샤리아가 적용되기 때문에 종교법원 대신 샤리아 법원이 있다.

대법원은 대법원장 1인과 부원장 2인을 포함한 9명의 대법관으로 구성된다. 대법관은 사법위원회(Komisi Yudicial)가 하원에 인사를 추천하고 하원이 인준하며 대통령이 임명한다. 대법원장은 대법관의 호선으로 선출하며 임기는 5년이다.

한편 대법원과는 별도로 헌법재판을 담당하는 헌법재판소(Mahkamah Komstitusi)가 있다. 헌법재판소는 2003년에 창설되었으며, 헌법재판관은 대통령과 하원, 대법원이 각각 3명씩 지명하고 대통령이 9명을 모두 임명한다. 재판관의 임기는 5년이며 1회 연임이 가능하고 정년은 67세이다. 헌법재판소장과 부소장은 헌법재판관의 호선으로 선출하며 임기는 3년이다.

5. 정당과 정치 이념 지형

이하는 인도네시아의 원내 정당을 이념에 따라 정리한 목록이다. 이하에서 "민족주의"는 '인도네시아 민족주의'로 단일 민족 중심주의와 거리가 있는 국가 통합적 사상이다. 이는 자바계가 주축인 투쟁민주당 등이 비이슬람 지역에서 전국적 지지를 받는 기반이다. 괄호는 약칭, 하원의원 수, 주급 지방의원 수(2024년 국회의원 및 지방의원 선거 기준).
  • 투쟁민주당(PDI-P, 110, 388) : 민족주의-수카르노주의 중도좌파. 수하르토 시대 민주당(아래의 민주당과 무관) 내 구 국민당 내지 메가와티 파벌이 1999년 창당하였다. 계보상 수카르노의 정당 인도네시아 국민당을 가장 직접적으로 계승한 정당이다. 2024년 선거에서는 간신히 제1당 자리를 지켰지만, 내홍으로 인해 지지자가 다소 이탈했다. 의석 수는 꽤 줄어들어 대선 후보를 독자적으로 낼 수 있는 의석 20% 선 아래로 떨어졌다.
  • 국민민주당(Nasdem, 69, 265) : 민족주의 중도파(중도좌파~중도우파). 원래 골카르에 속했던 자유파 기업가 수랴 팔로[21]가 창당한 것이다. 2024년 선거의 승리자 중 하나로, 투쟁민주당에 실망한 유권자의 표를 많이 흡수해 국회, 지방의회 의석을 크게 늘렸다. 특히 주급 지방의회 의석은 79석이 증가한 265석을 얻어 거대 3당에 준하는 수준으로까지 늘어났는데, 이 79석이라는 증가량은 모든 정당 중 가장 많은 것이다.
  • 국민계몽당(PKB, 68, 220) : 민족주의, 이슬람 민주주의, 전통주의 중도파. 유럽의 기독교민주당 포지션 1. 전통주의 이슬람 단체(나다툴울라마)에서 기원. 이슬람계 정당 중 가장 포용적이며, 심지어 동누사틍가라 등 기독교도 다수 지역에서도 일정한 지지세가 있다. 국민계몽당 소속 와힛 전 대통령(구스 두르)은 비록 다른 이유로 탄핵당했지만 소수 종교와 공산주의에 대한 탄압을 없애거나 완화하는 데 크게 노력해 자바에서 존경과 사랑을 받았다.
  • 민주당(Demokrat, 44, 206): 중도파~중도우파. 공식적으로 중도라고 주장하며, 이념색이 약하다. 수하르토 이후 레포르마시 시대의 신생 정당으로, 중심 인물 수실로 밤방 유도요노 전 대통령은 군인 출신이지만 수하르토 시대를 비교적 깨끗이 보냈고 간선제 정권 교체로 이루어진 와힛-메가와티 정부에서 각료를 지냈다. 이후 유도요노가 대권을 노리는 독립 파벌을 형성하여 2003년 창당하였다. 2024년 총선에서는 아예 원외정당이 된 통합개발당 다음으로 최악의 성적을 얻었는데, 국회 의석 10석이 줄어 원내정당 중 가장 의석 수가 적은 정당이 되었다. 한때 원내 제1당까지 차지했던 정당이었지만, 확고한 지지 기반을 마련하지 못한 점이 계속 발목을 잡고 있다.
  • 국민수권당(PAN, 48, 160) : 이슬람 민주주의 중도우파. 유럽의 기독교민주당 포지션 2. 근대주의 이슬람 단체(무하마디야)에서 기원. 정견은 국민계몽당보다 다소 보수적이지만, 관용적이고 협의를 매우 중시한다.
  • 골카르(Golkar, 102, 365) : 중도우파 ~ 우익. 전통적 보수파. 수하르토 시대보다 좀 더 중도로 이동해 우파 빅텐트 정당화가 이루어졌다. 대략 한국의 국민의힘 포지션이다. 2019년 총선에 비해 최근인 2024년 총선에서 국회 의석이 가장 크게 늘어난 정당이다.
  • 위대한 인도네시아 운동당(Gerindra, 86, 324) : 국민보수주의, 우익대중주의 우익~극우파. 구 골카르 당내 우파. 2024년 대선에서 당선된 프라보워 수비안토 대통령 당선인의 정당이다. 자원 민족주의 등 인도네시아 중심주의를 주장하며, 과거에 비해 상대적으로 유연한 이미지를 내세워 2024년 선거에서 전보다 조금 더 많은 의석을 얻음으로써 투쟁민주당-골카르에 이은 원내 거대 3당 중 하나로 입지를 굳혔다.

이하는 원외정당이지만 주급 지방의원을 10석 이상 배출한 정당들의 목록이다. 괄호는 약칭, 주급 지방의원 수(2024년 국회의원 및 지방의원 선거 기준).
  • 인도네시아 연대당(PSI, 33) : 사회민주주의 좌파. 2024년 총선에서는 2.81%를 득표해 원내 진입에는 실패했지만, 젊은 층 중심으로 순조로운 지지율 증가세를 보여 차기 총선에서는 원내 진입이 가능할지도 모른다는 관측이 있다. 주급 지방의회 의석은 2024년 총선에서 20석이 늘었다.
  • 인도네시아 통합당(Perindo, 31) : 대중주의 중도파. 국민민주당처럼 미디어 기업가 하리 타누수디뵤(Hary Tanoesoedibjo)가 창당했다. 하리는 원래 국민민주당에서 정치를 시작했다. 그러나 국민민주당 지도부와의 불화로 탈당하고 인민양심당으로 옮겼다가 다시 대선 후보 지지 문제로 탈당한 후, 결국 자기 파벌을 데리고 통합당을 창당했다. 중도파에 속하지만 경제적 자유주의에 다소 비판적이며 국익을 위한 보호무역에 찬성하는 입장.
  • 인민양심당(Hanura, 42): 민족주의, 자유주의적 협동조합주의 중도파. 골카르에서 분당. 골카르계 정당 중 가장 우익 색이 옅은 편으로, 투쟁민주당과 종종 연대하기도 했다. 초대 대표는 수하르토 시대 말 인도네시아 육군프라보워파의 좌장 격이었던 전 육군 대장 위란토(Wiranto). 위란토가 2004년 대선에서 골카르 대표로 나섰다 참패한 후 본인 계파를 데리고 나가 2006년 창당했다. 원래 인도네시아 원내정당의 말석 정도였지만, 통합개발당이나 민주당처럼 이념색도 의제도 뚜렷하지 않은 편이라 2019년 결국 원외정당이 된 후 계속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2024년 총선에서는 처음으로 득표율 1% 미달(0.72%), 주급 지방의회 의석 24석 감소라는 최악의 성적을 냈다.
  • 월성당(PBB, 12) : 민족주의, 이슬람주의 중도우파~우익. 수카르노 시대의 이슬람계 정당 마슈미에서 기원.
  • 통합개발당(PPP, 83) : 중도우파 ~ 우익, 이슬람 빅텐트 정당. 다른 정당들에 비해 다소 강점이 불분명해 2019년 총선에서는 2014년 총선에 비해 득표가 크게 줄었다. 2019년 총선 득표율이 4.52%로, 4%로 높아진 봉쇄조항 기준에 간신히 턱걸이했다. 이후 2024년 총선에서는 3.87%를 득표해 봉쇄조항 미달로 결국 원외정당이 되었다. 통합개발당의 원내 퇴출은 1973년 정당 통폐합으로 창당된 이래 51년 만에 처음 있는 일이다. 분위기 쇄신이 없다면 원내 퇴출 후 계속 하락세인 인민양심당의 전철을 밟을 수도 있다.
  • 아체당(Aceh, 20) : 우익, 아체 지역주의 정당. 아체 분리주의 단체 자유 아체 운동에서 기원하였다. 아체당 일부 계파는 이슬람주의적 색채도 있으며, 아체당은 전반적으로 정치적 이슬람에 큰 거부감은 없는 편이다. 아체는 특별 지역으로서 예외적으로 전국 조직이 없는 지역 정당들의 지방의회 진출이 허용되어 있다. 2024년 총선 기준 아체 지역 정당들은 아체당을 제외하고는 모두 지리멸렬한 상황이다.

서뉴기니 지역 6개 주의 의회는 파푸아 특별 자치법에 따라 의석의 4/5가 일반 정당에서 낸 후보 간 선거로 뽑는 선출직, 1/5가 별도의 선별 및 검증 과정을 거친 파푸아인 특별 의석(임명직)으로 구성된다. 임명직 주의원은 명목상 인도네시아 내무장관이 임명하는 것이며, 파푸아 내 자치 의제에 집중한다. 파푸아 분할 이전인 2019년 기준 서파푸아주 11/56석, 파푸아주 14/69석이 특별 의석이었다.[22][23]

6. 지역별 정치 성향

대체로 정통 이슬람세가 강할수록 보수적인 투표 성향을 보인다. 여기에 해당하는 전형적인 주는 아체, 서수마트라, 서누사틍가라가 있다. 이 셋은 총선에서도 이슬람 정당 투표 성향이 강하다. 2019년 기준 이슬람계 4당의 의석을 합산하면 아체는 7/13석(이슬람 4당 합산이 의석 과반인 유일한 주), 서수마트라는 6/14석, 서누사틍가라는 5/11석이다. 타 지역과 비교하면, 가령 중부자바의 경우 이슬람계 4당은 22/77석을 얻었으며 그나마 그중 13석이 중도파 국민계몽당이었다.

이상 3개 주보다는 온건하지만 남칼리만탄, 남술라웨시, 서부자바, 반튼도 정통 이슬람세가 인접 지역보다 비교적 강하고 보수적인 편이다. 이들 지역에서도 총선 의석의 1/3 정도를 이슬람계 4당이 차지한다.

반면 자바인이 많고 전통/자바 이슬람이 우세한 자바 문화권 지역은 세속적인 자바 문화의 영향으로 무슬림 비율이 높으면서 동시에 중도, 진보 후보 및 정당의 세가 강하다. 전형적인 주는 중부자바, 욕야카르타, 동부자바, 람풍이 있다. 이들 주에서는 중도 성향 표가 국민민주당 외에 이슬람계 중도파 국민계몽당으로도 많이 분산된다. 2019년 총선 기준 이들 4개 주에서는 모두 투쟁민주당이 최다 의석을 획득하였고, 투쟁민주당+국민민주당+국민계몽당 의석을 합산하면 중부자바, 욕야카르타, 동부자바에서 50% 이상이 된다. 람풍에서는 3개 정당 합산이 9/20석이다.

이슬람이 아닌 타 종교가 우세한 지역은 대체로 보수파 후보의 상대 후보를 찍는 경향이 있다. 이를 단순히 진보파 지지로 보기는 어려운 경우가 많지만, 그래도 상대적으로 중도, 진보 경향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발리는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진보적이며 투쟁민주당 지지세가 강한 지역으로 꼽힌다. 어느 정도 이 경향이 나타나는 다른 사례로는 북술라웨시, 동누사틍가라 등이 있다. 교역이 중요한 개방적인 지역이나 화인이 많은 주도 상대적으로 중도, 진보 성향을 띠는 경우가 있다. 이는 방카블리퉁 제도, 리아우 제도, 서칼리만탄에 해당한다. 기독교도가 많고 독자 정체성이 강한 서뉴기니 지역의 경우 대선에서는 상대적 진보파 지지도가 매우 높게 나타나지만, 총선에서는 투쟁민주당 등보다 국민민주당 등 중도파의 지지가 강하다.

발리와 북술라웨시는 2019년 총선에서 투쟁민주당이 단독으로 절반 이상의 의석을 획득한 둘뿐인 주다. 투쟁민주당과 국민민주당 의석을 합해 절반 이상을 획득한 것을 기준으로 이슬람계 정당의 세가 약하고 진보-중도세가 강한 주를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 수마트라 : 방카블리퉁 제도(항쟁당 1/3석, 국민당 1/3석), 리아우 제도(항쟁당 1/4석, 국민당 1/4석)
  • 칼리만탄 : 서칼리만탄(항쟁당 4/12석, 국민당 2/12석), 북칼리만탄(항쟁당 1/3석, 국민당 1/3석), 중부칼리만탄(항쟁당 2/6석, 국민당 1/6석)
  • 소순다 열도 : 발리(항쟁당 6/9석, 국민당 0/9석)
  • 술라웨시 : 북술라웨시(항쟁당 3/6석, 국민당 2/6석), 서술라웨시(항쟁당 1/4석, 국민당 1/4석)
  • 말루쿠 제도 : 말루쿠(항쟁당 1/4석, 국민당 1/4석), 북말루쿠(항쟁당 1/3석, 국민당 1/3석)
  • 서뉴기니 : 서파푸아(항쟁당 1/3석, 국민당 1/3석)

이 외에 여러 요인이 같이 작용하여 뚜렷이 투표 성향이 한쪽으로 쏠리지 않는 부동 지역도 아주 많다. 각지에서 인구가 몰리는 자카르타가 대표적이며, 수마트라 동부 해안 지역(북수마트라, 리아우, 잠비, 남수마트라)이나 븡쿨루동칼리만탄도 부동 지역이다.

7. 분리주의

인도네시아는 커다란 국토, 여러 섬으로 인한 지리조건, 수많은 민족들로 구성된 다민족 국가, 네덜란드에 의하여 최초로 통합되었다는 역사적 요인으로 민족갈등과 분리주의 운동이 매우 심한 편에 속했다. 심지어 지역별로 자치권이 강해 정치 제도가 본토와 다른 곳도 존재한다. 예를 들면 아체 주는 인도네시아의 다른 지역과 달리 이슬람 율법인 샤리아 사법부에 의해 법을 집행하고 있으며, 욕야카르타 특별 지역은 세습제 술탄이 지사 역할을 한다. 동티모르 같은 곳은 아예 이미 별개의 나라로 독립해버렸다.

동티모르의 분리 독립 문제는 잘 알려진 이슈이기도 하다. 동티모르는 원래 포르투갈 식민지였다가 카네이션 혁명으로 독재정부가 붕괴한 뒤 해외 식민지를 모두 포기했으나 독립 승인 도장을 찍기도 전에 인도네시아가 동티모르에 군대를 보내서는 합병하고 인도네시아의 일개 주(州)로 지정해 버렸다. 이후 20여 년간 독립운동이 산발적으로 계속되었고, 수하르토가 퇴임하여 인도네시아의 권위주의 통치가 소멸함에 따라 독립운동이 커졌다. 결국 2001년 UN의 관할을 받아 동티모르는 독립을 얻었다.

한편 이전에도 말루쿠 제도, 수마트라의 북쪽 끝의 지역인 아체, 뉴기니 섬의 서쪽 반인 이리안 자야(서파푸아) 등지에서도 분리주의 운동이 일어나고 있어 인도네시아 정부를 긴장하게 하고 있다. 이 가운데 말루쿠 제도 주민은 상당수가 기독교도였던 터라 동티모르와 비슷하다. 1950년대에 독립하고자 하다가 인도네시아 정부의 가혹한 탄압을 받아 4만 명이 넘는 말루쿠 기독교인들이 네덜란드로 이민을 가야 했다. 1970년대에는 인도네시아 측의 군사적 지원을 요구하며 말루쿠인들이 네덜란드인을 인질로 잡고 인질극을 벌이다가 소탕된 적도 있을 정도이다.[24]

그러나 인도네시아 정부는 더이상 독립은 허용할 수 없다며 말루쿠, 아체와 이리안자야의 독립에 강경 반대하며 국제적 논란이 빚어질 정도로 가혹하게 탄압하였다. 여기에 2004년 남아시아 대지진까지 덮쳐, 무려 15만명이 사망하는 큰 타격을 입는다. 결국 아체는 2005년 외교, 국방을 제외한 자치 정부 수립을 조건으로 인도네시아에 항복해버렸고 말루쿠는 가혹한 탄압으로 인해 기독교도 인구가 줄고 상대적으로 무슬림들의 수가 많아졌다.

2021년 현재 아체, 말루쿠 지역의 분리주의는 완전히 비주류화된 상태로 명맥만 이어가는 소수 활동가가 가끔 뉴스에 나오는 정도다. 그러나 서뉴기니 지역에서는 자바, 수마트라, 발리 등 인도네시아 주류 지역과 다른 독자 정체성이 매우 강하며, 자바 등지에서 파푸아인에 대한 인종차별적 인식이 어느 정도 있기도 하고, 이에 따라 여전히 현지 파푸아인 권리 운동이 왕성하다. 이들 가운데 일부 계파는 활발하게 파푸아 독립 운동을 벌이고 있고, 심심찮게 공권력과 물리적 충돌을 빚기도 한다.

8. 인도와의 비교

규모가 큰 아시아 민주 국가라는 점, 각 지방이 독자적인 역사를 이어 오다 유럽 국가의 식민지가 되면서 하나의 행정 단위로 합쳐졌다는 점, 다당제 국가라는 점 등에서 인도네시아는 인도와 종종 비교된다. 하지만 자세히 보면 두 국가의 정치는 상당히 다르다.

우선 인도는 의원내각제이고, 인도네시아는 대통령 중심제이다. 의회는 같은 다당제 체제이지만 결이 다르다. 인도는 주마다 지역 기반 정당이 많고, 주에 따라 전국 정당이 주 의회에서 힘을 못 쓰는 경우도 많다. 하지만 인도네시아는 국회와 주 의회 모두 전국 정당 중심으로 굴러가며, 아체에 한해 지역 정당이 세를 유지하는 정도다.

두 국가 모두 지방 분권적인 편이지만, 정치 영역만 놓고 보면 인도가 인도네시아보다 비교적 분권적이고, 각 지방의 독립성과 이질성이 강하다.

인도네시아는 수카르노 시대에 지방에 기반을 둔 굵직한 내란(남말루쿠 공화국 반란, PRRI/Permesta 반란, 다룰 이슬람 반란)이 중앙에 의해 진압되었고, 이후 수하르토 독재 시대에는 철권으로 강력한 중앙집권화 정책을 밀어붙였다. 이때 정당들도 수하르토가 관리하기 편하도록 집권 골카르 제외 2개로 죄다 통폐합시켜 버렸다. 결과적으로 인도네시아에서는 수하르토 시대까지 지방에 기반을 둔 정치 세력이 성장하기 어렵게 되었다. 반면 인도에서는 이런 정도로 강한 중앙 집권 체제를 구축하려고 하지 않아 지방이나 특정 민족 기반 정치 세력이 많다.

인도네시아는 수하르토 시대에 아체, 동티모르, 서파푸아(서뉴기니)에 분리주의 문제가 있었지만, 민주화 이후 이 중 아체에 예외적 자치를 허용하고, 동티모르는 아예 독립시켜 해결했다. 인도는 종교 문제로 독립과 함께 파키스탄과 분리되었고, 각지에서 분리주의 문제가 있었고 일부는 해결되었다. 오늘날 인도네시아의 서파푸아와 인도의 잠무 카슈미르 및 동부 지역(낙살라이트 준동, 아삼 분리주의 등)은 대표적인 양 국가의 분리주의 운동 발생 지역이다.

두 국가 모두 식민 모국의 언어가 아닌 지역에 기반한 국민을 하나로 묶을 수 있는 언어를 국가 공식어로 정해 전국적으로 교육해 왔다. 그러나 국가 공통 언어 정책은 인도네시아가 훨씬 성공적이었다. 수카르노와 수하르토 시대에 국어로 인도네시아어는 완전히 정착되었다. 인도네시아인이면 초등교육을 받지 못한 노인 세대를 제외하고 전 국민이 회화가 가능하고, 학교 교육 자체가 인도네시아어로 이루어지는 관계로 중학교만 마쳐도 업무에 필요한 수준으로 읽고 쓸 수 있다. 그러나 인도에서 공용어로 푸시를 받고 있는 힌디어는 남인도에서는 일상 회화 가능 인구조차 충분치 않고, 교육받은 사람도 지역 간 교통어로 힌디어보다 영어를 선호한다.

9. 인도네시아와 연방

인도네시아는 공식적으로 연방제를 채택하지 않은 단일국가다. 이 점에서 인도나 말레이시아, 파키스탄, 호주, 나이지리아 등과는 다르다. 연방이 아닌 민주국가 가운데 인도네시아는 가장 인구가 많다.

수카르노 시대 인도네시아에서 연방제는 네덜란드 식민주의자들이 인도네시아 공화국을 포함한 연방을 수립해 인도네시아 통치권을 부분적으로나마 연장하려고 시도했던 인도네시아 독립전쟁기의 경험, 그리고 공식적으로 연방을 표방했던 인도네시아 합중공화국을 연상시켰다. 인도네시아 공화국은 연방 구성원을 단일 국가로 통합시킴으로써 연방제를 포기하게 되었다. 이 시기 연방제는 인도네시아 민족주의와 국가 통합에 반하는 개념으로 인식되었다. 수하르토 신질서 시대에는 중앙집권화 정책이 펼쳐지면서 연방제는 거론할 수 없는 금기에 가깝게 되었다.

그러나 민주화가 이루어진 오늘날 연방제의 장점을 논하는 사람들이 많아졌고, 지방자치 논의에 여러 연방 국가의 사례를 참조하는 것은 당연한 수순이 되었다. 오늘날 인도네시아는 공식적으로는 연방 국가가 아니지만 일부 연방제적 요소를 정치 제도에 도입했다. 민주화 과정에서 개헌으로 지역을 대표하는 상원을 설치했고, 몇몇 지역(아체, 파푸아, 서파푸아, 욕야카르타)에 예외적 자치를 허용한 것이 그 예다.

10. 현황

인도네시아를 완전히 성숙한 민주 국가라고 하기는 아직 어렵다. 공무원 봉급이 높지 않고 제도적 안전 장치가 미비하여 부정부패가 만연해 있다. 민간 영역에 군부의 영향력도 어느 정도 남아 있다. 민주화 이전인 수하르토 정권 시절이야 말할 것도 없고 민주화 이후로도 뒤가 구린 기득권층들이 경찰을 이용해서 부패조사를 방해한다든가 청부업자를 이용해서 부패조사관들을 테러하거나 저주를 내리는 사건이 왕왕 벌어지기도 하며,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놓고 돈을 뿌리는 일이 왕왕 있을 지경이다. 심지어 1965년 대학살 진상규명 단체 'YPKP65'도 군부의 방해로 활동에 난항을 겪고 있다.

이상의 두 문제 모두 조코 위도도 정부에서는 인식하고 개선하려고 노력하고 있으나 완전히 뿌리뽑기까지는 갈 길이 멀다.

2019년 선거는 대통령 선거, 총선거, 지방선거가 일제히 치러졌다. 대선과 총선, 지선이 하루에 치러지는 것은 인도네시아 역사상 처음이다. 유권자만 해도 1억 9000만 명에 달했다. 때문에 순직자가 600명에 육박하는 참사가 벌어졌다.#

10.1. 2021년

2021년 중순 ~ 후반 기준, 인도네시아의 민주주의가 조금 후퇴하고 있다는 지적이 서방 및 인도네시아 내 언론에서 나오고 있다. 여기에는 크게 다음 세 가지 요인이 있다.

10.1.1. 코로나19

조코 위도도 대통령이 이끄는 인도네시아 정부가 코로나19 사태에 대응하면서 실망스러운 모습을 보였다는 평가가 많다. 정치적 측면에서, 정부가 방역 구멍을 메우고 경제를 복구하는 데 급급한 나머지 경찰이 아닌 군의 힘을 빌리고 있다는 점이 우려스러운 부분이다. 분명 군이 효율적인 군사 작전으로 물리적 치안의 유지는 확실히 성공했을지 몰라도, 이는 민주화 이후 인도네시아 정치가 지향해 온 방향이 아니었다. 또한, 국가의 치안 유지 과정에서 인도네시아 국가정보청이 정부를 비판하는 네티즌들을 사찰해 왔고, 심지어 일부에게는 불법적인 방식으로 위협을 가했다는 보도가 나오기도 했다. 익명 번호로 비판자들에게 전화해서 위협하는 등의 방식이 사용되었다는 것이다.

10.1.2. 족벌주의

인도네시아 정치에서도 족벌주의가 강화되는 조짐이 일부 보이고 있다. 조코 위도도 대통령의 장남 기브란 라카부밍 라카(Gibran Rakabuming Raka, 1987년생)가 아버지의 핵심 지지 지역 수라카르타 시장으로 출마해 당선되었던 것이다.[25] 그가 싱가포르에서 공부하고 돌아온 엘리트이고 젊은 나이에 사업에서 좋은 실적을 내기는 했지만, 이렇다 할 정치 경력이 없는 30대 중반의 사업가가 압도적 지지를 얻어 시장으로 당선된 것에는 아버지의 후광 효과가 크게 작용했음은 부정하기 어렵다. 물론 차기 투쟁민주당 핵심 대권 주자로 거론되는 인물은 조코위의 친족이 아니며 전반적으로 인도네시아의 족벌 정치가 필리핀 등만큼 심각한 수준은 아직 아니지만, 향후 잠재적 문제가 될 수 있다.

10.1.3. 이슬람주의

인도네시아에서 이슬람 강경 우파가 점차 세를 결집하고 있다. 현재 조코위가 이끄는 투쟁민주당 중심 집권 연정의 구심점은 인도네시아 민족주의이며, 이에 따라 중도좌파, 중도파 외에 세속적 우파, 이슬람 민주주의 중도우파 정치인들까지도 집권 연정에서 포용하고 있다. 하지만 본격적으로 이슬람주의를 내세우는 강경 우파나 극우는 배제하는데, 최근 사우디아라비아에서 공부하고 돌아와 이슬람주의를 전파하는 무하맛 리직 시합(Muhammad Rizieq Shihab)을 구심점으로 이슬람 강경 우파가 의회 외부에서 정치적으로 결집하고 있다. 이는 조코위 정부와 민족주의자들에게 잠재적인 위협이며, 나아가 세속주의, 민족주의, 민주주의 원칙에 대한 도전이 될 수 있다. 정부는 무하맛 리직 시합이 이끄는 이슬람수호자전선(Front Pembela Islam, FPI)을 2019년 해산 후 2020년 12월에 불법화했지만, 이는 잠정 조치에 불과하며 이슬람주의자들에게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단을 찾는 데 고심하고 있다.

10.2. 2022년

10.2.1. 인터넷 검열 논란

인도네시아는 인터넷 자유 지표 수준이 '부분적 자유' 정도로[26], 중국, 이란 등 강한 검열 체제를 유지하는 정도는 아니지만, 정부가 보기에 인도네시아에서 사회적 물의를 빚을 소지가 있다고 판단하는 정보(특히 온라인 포르노, 노골적인 반종교적 콘텐츠, 이슬람 극단주의 테러 선동)는 이따금 규제 내지 차단해 왔다.

제도적으로는 유도요노 정부가 2008년 3월 통과시킨 인터넷 및 전자상거래법(ITE법)이 검열에 관한 독소조항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법에 따라 통신정보기술부는 합법적으로 온라인 콘텐츠를 감독하여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일부 차단할 권한을 얻었다.

또 규제 대상에 대해 2010년대 초 교육부에서는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는데, 여기서 검토 대상으로 나열된 콘텐츠 유형은 "음란물, 도박, 증오 선동, 폭력 위협, 개인정보 노출, 지적재산권 침해, 허위 정보, 장애 등 특성에 기반한 개인 혹은 집단 비하"라는 매우 광범위한 것이었다. 이는 법제화되지는 않았지만, 인도네시아 정부 관계자의 시각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2010년대 후반부터 현재까지 인도네시아 정부는 간혹 온라인 서비스나 사이트를 차단해 왔다. 특히 2022년 7월 30일, 통신정보기술부(Kominfo)는 야후!, Steam, PayPal 등 여러 사이트에 대해 차단을 명령했다. 인도네시아에서도 이 정도 규모의 직접 차단은 2019년 5월 22일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상기한 3개 사이트 차단은 약 3일 만인 8월 2일 해제되었지만, EA 오리진, 에픽게임즈 등 일부 게임 플랫폼은 며칠 더 차단되어 있었다가 8월 10일까지 풀렸다.

일각에서는 2020~2022년의 인터넷 통제 강화를 집권 연정 내 보수파의 영향력 때문으로 보기도 하지만, 꼭 그런 것만은 아니다. 결정적으로 문제가 되는 통신정보기술부 장관령을 내린 장관 Johnny G. Plate는 2019년부터 조코 위도도 정부에서 계속해서 장관직을 맡고 있으며, 여당 중심 투쟁민주당과 그다지 심각하게 충돌하지 않는 국민민주당 소속이다. 조코 위도도 본인도 집권 2기에는 경제 등 실용적 의제에 집중하며 인권을 등한시한다는 비판을 받아 왔고, 대통령 본인은 이미지 관리를 하는 편이지만 정부 정책에 대한 최종 결정권은 결국 대통령에게 있으므로 이번 일에도 비판을 피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 인도네시아 인터넷 검열 타임라인
    • 2017년 7월 : 텔레그램 차단. 텔레그램이 이슬람 극단주의 테러리스트의 선전 용도로 악용되고 있다는 이유. 텔레그램과 인도네시아 정부 간 합의 후 차단 해제.
  • 2018년 9월 : Tumblr, Vimeo에서 일부 누드 콘텐츠에 대해 검열 시행. 2018년 12월 17일 Tumblr는 검열 해제.
  • 2019년 5월 22일 : 페이스북, 왓츠앱, 인스타그램 3일간 차단. 대선 패배로 인한 프라보워 수비안토 지지자들의 대규모 폭동(600명 이상 사상) 직후 SNS를 통한 허위 정보 전파를 막아야 한다는 이유. 3일 만에 차단은 해제되었으나 차단 우회를 위해 VPN 사용이 증가하게 되었다.
  • 2020년 11월 : 2020년 통신정보기술부 장관령 제5번(Peraturan Menteri Komunikasi dan Informatika Nomor 5 Tahun 2020) 시행. 모든 민간 전자 서비스 사업자(Penyelenggara Sistem Elektronik Swasta, PSE)는 통신정보기술부에 등록해야 하며, 또한 모든 사업자는 요청 시 통신정보기술부 및 관련 행정 기관에 기관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전자 시스템 및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허용해야 하고, 이를 위한 담당자를 인도네시아 내에 최소 한 명 두어야 하게 되었다. 이에 따르면 사업자는 인도네시아 법률을 위반하거나, "사회 불안" 또는 "공공 질서 교란"을 초래할 수 있는 콘텐츠를 제공해서는 안 되며, 이와 같은 콘텐츠의 배포를 방지하기 위해 사전에 서비스를 자체 모니터링해야 한다. "아동 성착취", "테러리즘", "사회 또는 공공 질서 교란"을 사유로 통신정보기술부가 사업자에게 콘텐츠 게시 중단을 요구할 경우 사업자는 이를 4시간 내로 준수해야 한다. "사회 불안"이나 "공공 질서 교란"과 같이 모호한 사유로 정부 임의로 온라인 콘텐츠를 검열할 수 있게 되었으므로, 인도네시아 정부는 많은 인권 단체들 및 언론 자유 지지자들의 비판을 받고 있다.
  • 2022년 6 ~ 7월 : 통신정보기술부는 PSE 등록제를 시행하며, 2022년 6월 말 2022년 7월 20일을 PSE 등록 마감일로 지정하고, 이때까지 등록하지 않은 서비스는 차단될 것이라고 공시했다. 이에 따라 규정에 맞게 등록하지 않은 야후!, Steam, PayPal 등이 7월 30일 실제로 차단되었다. 이 차단이 일시적일 것인지, 장기화될 것인지는 7월 30일 현재 아직 불투명하다. 관련기사1 관련기사2
  • 2022년 8월 2일 : 야후, Steam, PayPal 등 여러 사이트의 차단이 풀렸다. 그러나 EA 오리진, 에픽게임즈 등 일부 게임 플랫폼은 여전히 차단 상태다. #
  • 2022년 8월 3 ~ 4일 : EA 오리진 차단이 풀렸다. #
  • 2022년 8월 10일: 주요 게임 플랫폼 중 가장 오래 차단되어 있었던 에픽게임즈도 8월 9일 인도네시아 정부의 방침에 따를 뜻을 밝혔고, 8월 10일 PSE 등록이 끝나 차단이 풀렸다. #

10.2.2. 형법 개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조코 위도도 문서
번 문단을
형법 개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25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25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0.3. 2023년, 2024년

2024년 2월 14일 대선이 본격화 되면서 정치권의 갈등이 보이기 시작하였다.
먼저 현 집권당이자, 대통령인 조코 위도도가 소속되어있고, 전 대통령인 메가와티가 당수로 있는 투쟁민주당(PDI-P)의 당의 대통령 후보 지명과 관련하여 갈등이 발생한 것으로 보였졌다.

대통령 후보를 지명 발표할 것으로 예상되었던 당 창립50주년 기념식에서 메가와티가 "대통령 후보 지명은 오로지 나의 권한"이라는 말만 남기고 지명하지 않았다. (2023년 1월)
그러는 와중 대통령인 조코 위도도의 둘째 아들은 새로운 당을 창당하여 신당의 당대표가 되어, 조코 위도도 대통령과 여당과의 관계가 심상치 않았다. (2023년 9월)

현 국방부장관이자, 2014년, 2019년 대선시 현 조코 위도도 대통령과 경쟁해서 패했던 프라보워의 대통령 출마에 부통령 런닝메이트로 조코 위도도 대통령의 장남인 기브란 라카부밍 라카 가 될 것이라는 말이 나오면서 혼란이 일었다.
인도네시아 헌법 상 대통령, 부통령 피선거권은 40세이상인 사람이어야되는데 기브란은 나이에 미달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헌법 재판소에서 40세 이상만 피선거권이 있다는 것은 합헌이라는 판결을 내고 동시에 이미 지방자치단체장으로 선출된 경험이 있는 사람은 나이제한을 받지 않아야 한다는 헌법소원 청구를 인용하여 기브란의 부통령 출마 길을 열어주었다.
이과정에서 조코 위도도 대통령의 매제, 기브란의 고모부인 헌법재판소장이 판결에 참여하여 이해충돌 논란이 발생하였으나, 판결은 그대로 유지되었고, 다만 헌법재판소장은 물러났다. (2023년 10월)

이로서 합법적(?)으로 프라보워 - 기브란 대통령, 부통령 후보가 출마하게 되었다.

[1] #[2] 필리핀은 겉으로는 민주국가이되 실제로는 봉건영주들이 난립하는 중세국가이고, 태국은 툭하면 쿠데타로 민선정부가 엎어졌으며, 싱가포르일당독재 국가이고, 말레이시아2018년에야 첫 정권교체가 이루어졌다.[3] 민간 선교사들의 활동은 있었지만 강압적으로 개종을 요구하지는 않았다. 이슬람이 퍼진 지역에서 식민 정부는 종교 관련으로는 지역 전통과 관습을 존중하고, 지역 실정을 파악하여 적절히 관리하는 정도로만 활동했다.[4] 최초 제정은 1815년[5] 동인도 참사회 자체는 1610년부터 존재하던 기구이지만, 그 권한은 고정적이지 않았고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지도 않았다.[6] 그러나 독립전쟁 기간 양원제가 실현되지는 못했고 단원제로 운영되었다.[7] 그 이전(8월 17일 ~ 11월 3일)에는 대통령 수카르노에게 권력이 집중된 대통령제.[8] 일반적으로 좌익 블록과 함께 행동했다.[9] 전자는 1950년 2월의 동인도네시아 총선으로 구성되었으며, 후자는 아직 독립전쟁 기간인 1948년 기존 식민지의 폴크스라트처럼 일부 선거(선거인단 간선제), 일부 임명으로 뽑혔다.[10] 교도민주주의 시대 육군 참모총장 나수티온이 1957년 PRRI/Permesta 반란으로 내려졌던 계엄령이 해제된 이후 정교화하기 시작한 것으로, 군이 정치 권력을 직접 장악하지는 않지만, 정치, 행정, 경제, 사회 등 민간 영역에서 군이 군사적 역할 외에도 비군사적인 능동적 '이중'기능을 수행해야 한다는 사상이다. 수카르노 무력화 이후인 1966년 8월 육군 간부들과 육군 참모대학 학생들이 참여한 세미나에서 공식화되었다.[11] "Conflict-Related Deaths in 1974-1999: The Findings of the CAVR Report Chega!," Post-CAVR Technical Secretariat.[12] 헌법에 "신"(Allah)이 두 번 언급되는데, 한 번은 전문에서 독립을 북돋우는 보편적인 신적 존재를 가리킬 때 사용하며, 다른 한 번은 제9조 제1항에 실린 대통령과 부통령이 취임할 때 하는 선서의 두 가지 예시 중 하나의 "신의 이름으로, 나는 맹세한다"(Demi Allah, saya bersumpah)라는 구절에서 직무 수행 및 준법 맹세의 절대성을 강조할 때 사용한다. 단 후자의 경우 "신의 이름으로, 나는 맹세한다"를 "나는 엄숙히 약속한다"(Saya berjanji dengan sungguhsungguh)로 대체하고, 다른 모든 구절이 동일한 제9조 제1항의 다른 예시를 선택해 선서할 수 있다.[13] 인도네시아 독립전쟁기 내각은 수카르노가 주도하는 대통령 내각과 총리가 주도하는 의원내각이 섞여 있었다.[14] 이상 2문단의 참고문헌은 이하와 같다. Kawamura, Koichi. Is the Indonesian President Strong or Weak?. Institute of Developing Economies, 2010.[15] 수하르토 시대 후반 1987년과 1992년 총선에서는 500석 중 400석만이, 1997년 총선에서는 500석 중 425석만이 직선 선출되었다.[16] "[전문가오피니언] 민주주의와 헌법: 인도네시아와 미얀마 사례의 비교," EMERiCs, 2021년 10월 6일 수정.[17] 직전 대통령 선거에서 경쟁했던 둘간에 손을 잡은 것이다. 이 과정에서 많은 논란을 낳았으며, 기존 정치가문에 이어 새로운 정치왕조 탄생을 우려하고 있다.[18] 그러나 정당 통폐합 이전에 치러진 1971년 총선을 제외하면, 어차피 정권이 허용하는 3개 정당만 선거에 참여 가능한 시점에서 봉쇄조항은 의미가 없었다.[19] 참고로, 지방선거에서는 봉쇄조항이 적용되지 않는다. 원래 2012년 선거법 개정 시부터 지방선거에도 3.5% 봉쇄조항이 걸렸지만, 이에 반발하는 14개 정당이 연합해 헌법소원을 걸었고, 인도네시아 헌법재판소가 이들의 손을 들어 주어 지방선거 봉쇄조항은 폐지되었다.[20] 종교적 의무, 혼인, 상속, 헌금 등[21] 아체 출생이지만 메단의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교육받았고, 수카르노 독재에 반대하는 학생운동 경력이 있다. 미디어 기업가로서 언론의 자유를 옹호해 왔다.[22] "11 Anggota DPR Jalur Otsus Papua Barat Resmi Dilantik," Jagatpapua.com, last modified Nov 4, 2020, accessed Dec 25, 2021.[23] "Resmi Dilantik, Ini Daftar Nama 14 Anggota DPRP Jalur Otsus," korericom, last modified Apr 16, 2021, accessed Dec 25, 2021.[24] 한국에서도 말루쿠 제도의 독립이 이현세의 만화 남벌에서 소재로 다루어진 적이 있다. 여기서는 일본이 말루쿠 제도 독립을 지원하며 인도네시아와 갈등을 빚는 와중에 한국이 얽히면서 생뚱맞은 전개로 이어진다.[25] 참고로, 원래 가구 사업가였던 조코위의 초기 정치 경력도 수라카르타 시장(재직 2005~2012)으로 시작되었다. 그러나 수라카르타 시장 취임 당시 조코위는 44세였다.[26] 프리덤하우스 지표 페이지: 0~100 스케일이며, 높을수록 인터넷 이용이 자유로운 것이다. 서유럽 국가들과 미국, 캐나다, 일본은 75점 이상, 한국은 67점, 중국은 10점, 러시아는 30점, 이란은 16점, 베트남은 22점 등이다. 인도네시아는 48점인데, 이는 태국(36점), 터키(34점) 등보다는 대체로 자유롭지만, 말레이시아(58점), 필리핀(65점) 등보다는 덜 자유로운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