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7 16:46:49

언더독 효과

1. 개요

약자가 성공하기를 바라는 심리 또는 그를 응원하는 현상. 언더독의 열정을 통해 역경을 극복하는 스토리는 2, 3차의 연쇄적 긍정 효과를 가지고 온다. 이것을 ‘언더독 스토리 효과’라고 한다.

2. 어원

사회과학에서는 상대적 약자를 언더독(Underdog)이라 하는데, 이는 투견장에서 위에서 내리누르는 개를 오버독(Overdog) 또는 탑독(Top dog), 아래에 깔린 개를 언더독(Underdog)이라고 부른 데에서 유래한 용어. 규범 표기는 '언더도그 효과'.

이후에는 스포츠 관련 용어로 승무패 게임 시 유리한 쪽을 탑독 혹은 페이버릿, 불리한 쪽을 언더독으로 부르게 되었다.

사람들이 롤플레잉 게임에 열광하는 이유는 근본적으로 해당 장르가 성장형 서사 구조를 띠고 있기 때문이라고 하며 이는 언더독 효과와도 부합된다. 약한 주인공이 시련을 겪으면서 성장해가는 과정이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중국에서는 이를 어남부대([ruby(鱼腩, ruby=yúnǎn)][ruby(部队, ruby=bùduì)])라고 부른다. 여기서의 어남은 물고기의 뱃살부위를 뜻하는 단어로, 살도 많고 가시가 적어 먹기 쉬운 부위이기에 동시에 만만한 상대라는 뜻을 얻게 되었다. 본래 해당 단어는 월어에서만 쓰이는 단어였으나 현재는 중국어 전반에서 사용되며, 홍콩에서는 아예 이를 직역하여 대놓고 먹기 쉬운 고기라는 뜻의 단어에서 기인한 담담육([ruby(啖啖肉, ruby=daam6daam6juk6)])이라는 표현도 쓴다. 다만 이는 일종의 은어로 쓰이고[1] 공식적으로는 그냥 약자([ruby(弱者, ruby=ruòzhě)])라고 칭하며 언더독 효과 역시 그냥 동정약자효응([ruby(同情, ruby=tóngqíng)][ruby(弱者, ruby=ruòzhě)][ruby(效应, ruby=xiàoyìng)])이라고 부른다.

일본에도 약자를 우선적으로 동정하고 응원한다는 의미인 판관비희([ruby(判官, ruby=ほうがん)][ruby(贔屓, ruby=びいき)])라는 용어가 있으며, 미나모토노 요시츠네의 일화에서 유래했다. 최초 등장은 에도시대의 하이쿠 시집인 게부키구사([ruby(毛吹草, ruby=けぶきぐさ)]/1638)이며, 용어가 성립되기 전부터 전통적으로 요시츠네에 대한 동정이 흔히 있었다고 한다. 동정이나 연민으로 상대적으로 약한 입장을 응원하는 모습을 표현하는 단어이고, 그 때문에 공평하게 대하지 못하는(또는 일부러 대하지 않는) 부정적인 뉘앙스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동일한 단어로 볼 수 있다.[2] 다만 현재는 거의 쓰이지 않으며 현재 언더독은 언더독(アンダードッグ), 언더독 효과는 언더독 효과(アンダードッグ[ruby(効果, ruby=こうか)])로 우리와 같다.

3. 주의점

일상생활에서 우리는 무의식적으로 약자에게 동정심을 갖게 되고 그들을 응원하게 되는 심리를 지니고 있다. 하지만 그러한 동정심과 선악적인 판단은 별개로, 강자와 약자가 존재하는 한 문제에서 아무런 조사 없이 약자가 옳다고 생각하는 것은 오류이다. 이는 잘못한 사람이 자신의 포지션을 악용해 자신을 피해자로 만들고 원 피해자를 가해자로 둔갑시키는 여론몰이를 하는 경우가 있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편애의 유형 중 하나도 이 언더독 효과와 연관된다. 몸이 약하거나 여러가지 단점이 많은 자녀를 특별히 더 아끼는 유형인데, 이 역시 명백히 편애이며 자녀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3] 하지만 마찬가지로 감정적인 면에서 이를 피하기가 어려운 편이다.

4. 예시

4.1. 영화

4.2. 대중음악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 아이돌
      • 카라
      • 오마이걸 - 데뷔 1,009일 만에 비밀정원으로 첫 음악 방송 1위라는 쾌거를 이루었다. 또한 컴백전쟁: 퀸덤 이후 NONSTOP이 8관왕이라는 초대박을 치면서 명실상부 대한민국 대표 걸그룹으로 성장하였다.
      • 프로듀스 101 시리즈
        • 프로듀스 101: 김소혜 - 배우 지망생이라 아이돌을 소화할 실력은 떨어졌으나 비주얼과 매력만으로 아이오아이까지 들어갔고 해체 이후 다시 배우의 길로 돌아간 상태. 그러나 이 쪽은 실력이나 이미지 면에서 그랬다는 거지 순수한 순위만 놓고보면 오히려 탑독 포지션에 더 가까운 인물이다.
        • 프로듀스 48: 강혜원 - 김소혜와 똑같이 로얄 F등급으로 그룹 배틀 평가 때 같은 팀이 되었던 한초원과 함께 자포자기한 일본인 연습생들을 이끌고 그 헬바야 무대를 완성시켜 패배할 것 같았던 경연을 역전시키고 오타쿠 콘셉트와 AKB 팬층의 지지를 통해 IZ*ONE 데뷔에 성공했다. 한초원은 데뷔는 실패했지만 88등에서 2차 순발식 때 데뷔권인 9등까지 들어가봤고[4] 반전갑, 마데갑 등의 별명을 얻게 되는 유의미한 결과가 있었다.
    • 서바이벌 프로그램
      • 슈퍼스타K 시리즈
        • 슈퍼스타K2: 허각 - 하지만 허각이 최상급 보컬 실력자라는 것을 무시해서는 안 된다. 허각의 스토리가 대중들에게 드라마로 받아들여진 것은 사실이나 허각은 이미 시즌 2 TOP 4 중 고전적인 의미의 '가창력'(성량, 음역대, 발성, 음감 등)으로는 단연 앞서는 보컬이었다.

4.3. 스포츠

4.3.1. 축구

4.3.2. 야구

4.3.3. 농구

4.3.4. 미식축구

4.3.5. 프로레슬링

4.3.6. e스포츠

4.3.6.1. 스타크래프트
4.3.6.2. LoL e스포츠
  •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2 월드 챔피언십: Taipei Assassins - 우승은커녕 결승도 못 갈 줄 알았던 대만의 약팀이 거짓말같은 실력으로 우승컵을 거머쥐었다. 여기에 결승 상대였던 아주부 프로스트가 눈맵 사건 등으로 이미지가 영 좋지 않던 상황에서 관중들의 압도적인 응원을 받았다.
    • 리그 오브 레전드 2015 월드 챔피언십: KOO Tigers - 2015 시즌 당시 스폰서가 망한 상태에서도 결승까지 올라왔고 압도적인 우승후보팀인 SKT T1의 전승우승을 저지하고 감동적인 준우승을 차지했다. 특히 경기가 진행됨에 따라 경기장에 있는 관객들이 단체로 "KOO Tigers!"를 연호하며 박수를 치는 모습은 가히 장관.
    • 리그 오브 레전드 2016 월드 챔피언십: M19 - 2016 시즌 당시 와일드카드 최초로 롤드컵 8강에 진출했다. 약팀이라 타 팀들이 스크림을 안 해줘서 팀원끼리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레이드를 하다가 왔다고 한다. 이 중 리크릿의 "언더독이라고 해서 패배자가 아니다."라는 연설[9]이 큰 화제를 불러모았다.
    • 리그 오브 레전드 2022 월드 챔피언십: DRX - 2022년 DRX는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에서 LCK 4시드로 출전해[10] 롤드컵 선발전부터 플레이 인 스테이지, 그룹 스테이지, 8강, 4강, 그리고 결승까지 언더독이 아니었던 적이 거의 없을 정도로 약팀으로 평가받았으나 팀의 원거리 딜러 데프트가 조별 스테이지 RGE와의 대결에서 패한 후 했던 "패배는 괜찮다. 중요한 것은 꺾이지 않는 마음."이란 말처럼 정말로 꺾이지 않는 마음으로 기적을 일으켰다. 그룹 스테이지에선 강력한 우승 후보로 꼽혔던 LPL 2시드 TES를 보기 좋게 제압하고 당당히 조 1위로 진출, 8강에선 전년도 월드 챔피언십을 우승한 디펜딩 챔피언인 EDG를 상대로 초반 2세트를 내리 패배(특히 2세트는 정말 말도 안되는 불운으로)했지만 패배감을 이겨내고 나머지 3세트를 내리 이겨 패패승승승으로 기적같이 4강에 진출하게 된다[11]. 4강에선 LCK 1시드이자 가장 유력한 우승 후보인 Gen.G를 만나 이제는 정말 미라클 런이 끝날 것이라는 예측이 많았지만, 언더독의 반란으로 Gen.G를 3:1로 제압하며 승리했다. 마지막 결승전에서는 LPL 1시드 JDG를 제압하고 올라온 LCK 2시드 T1을 만났다. 당시 T1은 바텀 듀오 구마유시&케리아의 폼이 절정이었고 나머지 선수들의 기량도 전체적으로 DRX 이상이라는 평을 받아 이번에야말로 언더독 DRX의 패배를 점쳤지만, 결과는 3:2로 DRX의 승리. T1의 오브젝트 스틸이 연달아 나오며 행운마저 T1의 손을 들어줬지만 그동안 고된 여정과 시련으로 굳게 뭉쳐진 DRX를 절망시킬 수 없었고 결국 4세트와 5세트 아무도 기대하지 않은 킹겐의 각성과 함께[12] T1을 부수고 플레이 인 스테이지부터 결승전까지 모두 역배를 터뜨리며 언더독 신화를 써내렸다.
  • KeSPA Cup
    • NAVER 2015 LoL KeSPA Cup: ESC Ever - 3부에서 시작해 당시 2부 리거였는데 1부의 아나키, 삼성 갤럭시를 꺾고 세계 1위인 SKT T1을 상대로 1만 골드나 뒤처졌으면서 바드라는 트롤 챔피언 이미지가 강했던 챔피언으로 역전승을 거둬내 4강을 뚫고 CJ 엔투스마저 꺾으며 해당 대회에서 우승해서 전세계에 경악을 불러일으켰다.
4.3.6.3. 오버워치
  • 오버워치 리그
    • 상하이 드래곤즈 출범 시즌 - 오버워치 리그에 참가하는 중국 오버워치 프로팀이다. 프로팀들이 저마다 실력 상향 평준화를 겪어 자기들끼리 치열하게 싸우는 와중에 유일하게 이 팀만이 전패를 기록하고 있다. 팀스코어는 이미 -70 이하로 내핵을 뚫고 내려간 지 오래고 단 한 번 이겨보는 것이 소원일 정도. 그래서 이 팀의 경기가 있는 날에는 가장 객관적이어야 할 해설진들마저 상하이 드래곤즈가 오늘 드디어 1승을 거둘 수 있을까 편파 해설을 하며 모든 시청자들이 단결해 상하이를 응원하는 진풍경이 펼쳐진다.

4.4. 종교

5. 관련 용어

네루 파하리아 하버드대 연구원 등은 학술지 '소비자 연구저널'에 언더독 효과에 관한 의미있는 논문을 발표했다. 그들은 '열정 지수'를 삽입해 언더독의 개념을 한 단계 더 세분화 했다.
- 약점이 많다 약점이 적다
열정이 높다 언더독 (Underdog) 특권적 성취자 (Privileged Achiever)
열정이 낮다 패배자 (Victim) 오버독 (Overdog)

6. 관련 연구

  • 1991년 미국 오하이오 주 볼링그린주립대 연구팀이 진행한 실험에 따르면 대학생 중 81%가 두 농구팀 중 누가 봐도 열세인 쪽을 응원했다.

7. 클리셰

강자와 약자의 대립이 극화되는 장르, 주로 배틀물에서 자주 볼 수 있다.

극중에서 가장 약하고, 겁이 많고, 자주 무시당하던 캐릭터가 모종의 계기로 용기를 내거나 근성을 보이며 활약하는 내용이 많다. 이론상 주인공 본인부터 그 일행 혹은 반동인물부터 제3자에 이르기까지 누구에게나 적용될 수 있지만, 활약하기 이전에 '언더독'으로서의 조건을 갖춰야 하므로 실제 사례는 많지 않은 편이다.

이 클리셰가 적용되는 캐릭터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 겁쟁이, 찌질이, 약골, 울보, 약캐릭터 등 한 눈에 봐도 '약자'임을 알 수 있는 속성이 최소 1~2개 정도 존재한다.
  • 타락, 흑화 속성이 없다. 언더독 효과는 약자라도 내세울 게 있다는 일종의 인간 찬가이지만, 타락이나 흑화는 사악한 힘을 빌려서라도 목적을 이루겠다는 식의 인간 비판적 내용이라 양립할 수 없기 때문이다. 다만 사악한 힘으로 "분류되는" 힘을 사용하여 천대받는 속성을 극대화하는 경우는 종종 있는데, 이 경우에도 "사실은 사악한 힘이 아니었다" "부작용 없이 순수하게 힘만을 쓴다"는 식으로 흑화 요소를 배제한다.
  • 템빨 등 능력치 위주의 각성 요소가 없다.
  • 개그 캐릭터 속성도 있지만 필수는 아니다. 후술할 악바리 근성이 여기에 해당.

보통 주연 이하 조연 이상인 캐릭터가 많은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주인공이 이 클리셰를 받을 경우 노력하면 성공한다는 류의 인간 찬가를 펼칠 수 있지만, 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숨겨진 능력치나 정신적 각성 등의 주인공 보정이 노골적으로 드러나기 쉽다. 그러다보니 독자는 해당 캐릭터가 실제로는 '언더독'이 아님을 깨닫고 그 괴리감에 당황하거나 '어차피 이기겠지' 하고 응원을 그만둔다. 그래서 이런 역할은 '이길 게 뻔한' 주인공보다는 주변 인물들에게 돌아가는 경우가 많다. 묘사하기에 따라 히든 카드로서의 가치를 강조하기 쉽기 때문.

이러한 캐릭터는 웃음거리가 되든 없는 사람 취급을 당하든 아웃사이더라는 공통점이 있다. 가령 전투에서는 도망치거나, 숨기에 바쁘거나, 설령 나서도 아군이 방해만 된다며 무시하거나 따돌린다. 상대측 역시 싸울 가치도 없다며 무시하고 주인공 일행하고만 싸운다. '언더독'은 이렇게 무시와 핍박을 계속 당하다가, 결국엔 바보짓을 그만두고 진지해지거나 악바리 근성이 폭발하여 날뛰게 된다.

다만 원래 능력치는 부족하다보니 자신의 목숨까지 내놓고 맹공을 펼칠 수밖에 없고, 그 결과 주인공 일행을 위기에서 구해내지만 자신은 죽음을 맞이하는 경우가 많다. 캐릭터를 죽일 필요가 없는 장르에서는 죽기 직전까지 만신창이가 되거나 당분간 활동을 못하게 되는가 하면, 본격적으로 주-조연으로서 인정받고 활약을 시작하기도 한다.

이런 표현은 독자로부터 감동과 눈물을 이끌어내는 데엔 좋지만, 한편으론 약자는 착하고 강자는 나쁘다거나 착한 사람은 약자고 나쁜 사람은 강자라는 고정관념을 양산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그런가 하면 정반대로 "죽기 직전에서야 사람 구실을 하네"라며 폄하하는 경우도 없지 않다. 캐릭터가 죽지 않는 장르에서는 이런 느낌이 많이 희석되는 편. 특히 개그 캐릭터의 경우 하도 바보짓을 많이 하고 망가져서 그런지 까닭 모를 애잔함(…)이 느껴지는 것이 사실이다.

7.1. 예시

8. 관련 문서


[1] 주로 스포츠 은어로 쓰이며, 중화권 스포츠 방송을 보면 해설사가 해당 단어들을 쓰는 경우를 간혹가다가 볼 수 있다.[2] 判官은 보통은 한간(はんがん)이라고 읽고 요시츠네전설이나 가부키 등에서는 호간(ほうがん)라고 읽는 단어인데 요시츠네의 관직명으로 요시츠네 본인을 의미한다. 비이키라고 읽는 贔屓는 중국 전설상의 동물 비시([ruby(赑屃, ruby=bìxì)])를 말한다.(비석의 받침돌로 애용되는 용머리의 거북이 이 비희의 모습이며 비석에서 쓸 때는 귀부(龜趺)라고 한다.) 이 비희는 용이 낳은 아홉 신수(용생구자)의 하나로 무거운 것을 짊어지기 좋아한다는 동물인데, 에도시대 이후에 부유한 상인 등이 마음에 드는 스모 선수나 가부키 배우를 후원하는 행위 또는 그러한 후원자를 나타내는 단어가 되었다. 지금도 그러한 후원 행위와 후원자, 또는 그러한 팬심으로 역성드는 행위까지 표현한다.[3] 심지어 만에 하나 뛰어난 자녀에게 (강자는 언제나 악인이기에)"넌 괴물이 될 거란다."라며 도태시키는 행동을 하기도 하는데 이런 식으로 도태해서 악인이 된다면 부모의 잘못이지, 그 자녀가 그리 크게 책임질 일은 아니다. 애초에 저렇게 도태하면 약자라도 그렇게 될 거란 전제가 붙지만...[4] 실제로는 파이널 무대에서 6위를 기록했으나 13위로 조작되는 바람에 데뷔하지 못했다.[5] 나는 『선택받지 못한 사람들의 공감』 이라는 것을 무기로 싸우자고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카리스마나 센터는 한 명. 그 외는 전원 “선택 받지 못한 사람”이니까. 선택 받지 못한 사람들을 전원 같은 편으로 해서 싸우는 거라고. 181029 주간 플레이보이 인터뷰[6] 대한민국 19위, 독일 22위.[7] 조별리그 1차전에서 아르헨티나를 잡아내기는 했지만 이후 아르헨티나가 승승장구하여 우승까지 했지만 정작 사우디아라비아는 아르헨티나전 역전승의 기세를 이어가지 못하고 16강 진출에 실패했기 때문에 애매하다.[8] '2.69 불가능이 아니다' '불가능은 아니다 명백한 가능성' '공포와 절망은 확률이 아닌 현실이다'[9] 파일:유튜브 아이콘.svg[10] 사실 4시드 진출 마저도 쉬운편은 아니였다. 당시 DRX는 스프링 시즌 5위, 서머 시즌 6위로 MSI 참가 자격도 부족한 중하위권 팀이 였으며 롤드컵 진출을 위한 선발전 참가마저도 꼴찌로 진출한거라 DRX보다 더 강팀이라 평가 받는 KT, LSB 상대로 2경기 연속으로 5세트 풀경기 접전 끝에 간신히 올라 온 것이다. 즉 롤드컵 선발전에서 조차 DRX는 언더독이였다.[11] 4시드 4강 진출은 이번이 처음이다.[12] 심지어 킹겐은 2015 마린이후 7년만에 두번째로 탑라이너로 월즈 결승 MVP를 수상하였다.[13] 이하늬 왈: 모두 비웃지만 맛있다고[14] 파트너 도라에몽의 도구 때문도 있지만, 다른 아이들보다도 실전 응용에 강하다.[15] 사실 실베스터 스탤론은 록키뿐만 아니라 람보1 등의 초기 작품에서 약자의 투쟁을 주로 다루곤 했다. 인기 때문에 후속작을 여러편 찍으면서 언더독 정신이 퇴색되고 그냥 액션 영화가 되어버렸지만.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