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21 12:36:00

앤드루 로이드 웨버

앤드류 로이드 웨버에서 넘어옴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The Right Honourable[1]
앤드루 로이드 웨버
The Lord[2] Lloyd-Webber
[3]
파일:external/static.guim.co.uk/Andrew-Lloyd-Webber-promo-001.jpg
본명 앤드루 로이드 웨버
Andrew Lloyd Webber[4]
국적
[[영국|]][[틀:국기|]][[틀:국기|]]
출생 1948년 3월 22일 ([age(1948-03-22)]세)

[[잉글랜드|]][[틀:국기|]][[틀:국기|]] 런던 켄싱턴
작위 시드몬턴 남작[5]
학력 웨스트민스터 스쿨[6]
왕립음악대학
직업 뮤지컬 작곡가
배우자 사라 휴길(1971~1983)
사라 브라이트만(1984~1990)
매들린 거든(1991~현재)
자녀 딸 이모겐 로이드 웨버(1977년생)
아들 닉 로이드 웨버(1979~2023)[7]
아들 알라스테어 아담 로이드 웨버(1992년생)
아들 윌리엄 리차드 로이드 웨버(1993년생)
딸 이사벨라 오로라 로이드 웨버(1996년생)
정당

1. 개요2. 작품 성향
2.1. 음악적 절충주의2.2. 메가 뮤지컬(mega musical)
3. 작품 활동
3.1. 전성기3.2. 전성기 이후
4. 주요 작품5. 수상
5.1. 서훈
6. 가족관계
6.1. 부모님/형제6.2. 배우자6.3. 자녀
7. 기타

[clearfix]

1. 개요

파일:5df9630171a5ca418b269457.jpg

영국을 대표하는 뮤지컬 작곡가 겸 제작자. 음악가 집안에서 태어나 성장했으며, 어려서부터 여러 가지 악기를 연주했고 작곡에도 관심을 보였다.[8] 웨스트민스터 스쿨(Westminster School)을 졸업한 후 영국 런던의 왕립음악대학(Royal College of Music)[9]에 편입해서 본격적으로 클래식 음악을 공부하기 시작했다. 이후 친구인 팀 라이스를 만나 소규모의 음악극을 만든다. 이들 가운데 성경에서 소재를 얻은 두 번째 작품이었던 <요셉과 놀라운 색동옷>은 좋은 평가를 받았고, 웨버는 이후 본격적으로 뮤지컬 작곡에 뛰어들기 시작한다.

전세계적으로 엄청난 인기를 끈 《지저스 크라이스트 수퍼스타》, 《오페라의 유령》, 《캣츠》, 《에비타》 등의 작품을 작곡했다. 이 사람의 뮤지컬이 너무나 유명한 나머지 뮤지컬의 수록곡들 중 몇 개는 아예 스탠다드 팝으로 분류될 정도. 대표적으로 캣츠의 <Memory>, 에비타의 <Don't Cry for Me Argentina>, 오페라의 유령의 <The Phantom of the Opera> 등이 있으며, 이 곡들은 발표 당시에 싱글컷되어 실제로 음악 차트 상위권에 오르기도 했다.

2. 작품 성향

2.1. 음악적 절충주의

앤드루 로이드 웨버의 작품들이 공유하는 가장 중요한 음악적 특성은 다양한 장르의 음악들이 섞여있는 음악적 절충주의(eclecticism)이다. 이전까지의 뮤지컬들이 다양한 장르를 시도하긴 했어도 기본적으로는 클래식 기반이었던데 반해, 그는 재즈, , 록 음악, 라틴 등 수많은 장르를 클래시컬한 음악과 함께 사용했다. 예를 들어, 그의 대표작 오페라의 유령은 작품 전체적으로 오페라에 가까운 음악을 택했지만 정작 동명 주제가인 '오페라의 유령'은 하드록(Hard Rock) 스타일로 되어 있다. 에비타아르헨티나를 배경으로 한 작품답게 탱고, 룸바 등 다양한 라틴 음악이 록, 팝, 클래식, 심지어 라틴 성가와 함께 섞여 있다. 지저스 크라이스트 수퍼스타캣츠 등 다른 작품 역시 마찬가지이다.

다양한 음악장르들을 무리없이 엮어낼 수 있었던 가장 큰 원동력은 역시 그의 천부적인 멜로디 감각. 듣자마자 청중들의 기억에 남는 단순하면서도 아름다운 멜로디를 만들어냈다. 또한 작품의 테마 멜로디를 잡아놓고 극의 다양한 부분에서 가사를 바꾸며 멜로디를 반복하는 'reprise'를 많이 활용하기도 했다. 즉 팝에 가까운 단순하고 인상적인 멜로디를, 다양한 장르의 형태로 여러 번 반복하는 것이 작품의 특징.[10][11] 앤드루 로이드 웨버 스스로 음악적으로 가장 마음에 드는 작품은 에비타라고 밝히기도 했다.

2.2. 메가 뮤지컬(mega musical)

그의 또 다른 특징이라고 한다면 대극장에서 수많은 배우와 스태프, 크고 아름다운 무대를 동원하는 메가 뮤지컬 작품이 많다는 것이다. 웨버의 (국내에는 잘 알려지지 않은) 히트작으로서 웨스트엔드의 장기 공연 랭킹 상위에 드는 기차 경주 이야기인 스타라이트 익스프레스를 예로 들면, 관객석 사이에 깔린 트랙에서 스케이트 탄 배우들의 경주가 벌어지는 사상 초유의 연출이 백미인데, 관객석 숫자를 팍팍 줄여가며 유지비용 많이 잡아먹는 트랙을 깔아도 수지타산이 맞는 웨스트엔드 극장은 2500석 규모의 아폴로 빅토리아 시어터[12] 뿐이었다.

이 작품은 브로드웨이에 진출했을 때 토니 분장상을 받는 등 평가가 괜찮았고 관객도 많이 들어왔지만 장기적으로 이윤을 남길 수 있는 극장이 브로드웨이에 없어서 고작 2년도 못 버티고 막을 내렸다.공연의 스케일이 너무 커서 브로드웨이 극장 사이즈로는 감당하지 못한다는 말.(...)[13] 작품 역시 대단위의 합창과 'sung-through'[14] 방식의 거대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70, 80년대 브로드웨이 뮤지컬계가 주춤하던 당시 이런 화려한 볼거리와 웅장한 음악을 앞세운 웨버의 메가 뮤지컬이 인기를 끌면서 요즘 일반인들이 생각하는 뮤지컬의 화려한 모습이 갖춰졌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이런 형태는 전통적인 뮤지컬 팬들에게 비판을 받기도 했는데, '싸구려 팝 음악의 멜로디에 그럴듯한 클래식 편곡만 덧붙여서 얄팍하게 팔아먹는 장사꾼'이라는 평을 받기도 했다. 사실 완전히 틀린 말은 아닌 것이, 웨버의 작품들이 공유하는 특징이 팝에 가까운 아름다운 멜로디 + 클래식적인 편곡과 대형 무대가 주는 고상한 느낌이기 때문. 진짜 오페라는 졸립게 느껴지지만 그러면서도 뭔가 고상한 공연을 보고 싶어하는 관객들의 심리를 간파한 것. 말하자면 팝페라에 가깝다고 할까.

3. 작품 활동

3.1. 전성기

파일:webberrice120416_560-560x600.jpg
완성된 지크슈의 음반을 들고 극장을 나오는 웨버와 라이스.
70년대부터 뮤덕들뿐만이 아니라 일반인들이 제목만 들어도 쉽게 알만한 대형 뮤지컬들을 만들어 내기 시작한다. 70년대에는 웨버와 팀 라이스[15]를 본격적으로 유명하게 만들어 준 지저스 크라이스트 수퍼스타를 시작으로 에비타 등의 파격적인 형식을 주요 특징으로 하는 작품들을, 팀 라이스와 결별한 80년대에는 캣츠, 스타라이트 익스프레스, 오페라의 유령 등 대규모의 작품들을 작곡하여 대스타가 되었다. 이때까지 그가 제작한 작품들은 모두 히트를 치며 영미권 뿐만 아니라 해외 여러 국가에서도 크게 성공했다. Any dream will do의 효과를 완성하며 뮤비를 찍기도 했다. 원본은 사라졌지만 Jason Donovan이 다시 리메이크하여 불렀다. 이러한 공로를 바탕으로 1992년 영국 왕실에서 기사작위를 받기도 했다.

둘의 인기는 상당하여 당시 로큰롤의 제왕이라 불리던 엘비스 프레슬리<It's Easy for you>를 각각 작사 작곡 하기도 한다.

3.2. 전성기 이후

하지만 오페라의 유령 이후 웨버가 발표한 작품들은 대체로 내리막이라는 평가를 듣는다. Aspect of Love, 동명의 명작 영화를 원작으로 한 선셋 대로, Whistle down the Wind, 뷰티풀 게임, 우먼 인 화이트 등을 발표 했지만 모두 이전과 같은 큰 흥행에는 실패했다. 선셋 대로 같은 경우도 흥행 실패에 다른 요인이 있기는 했으며[16] 모두 음악 자체의 퀄리티는 나쁘지 않다는 평이지만 7, 80년대 누렸던 영광을 그대로 재현할 수는 없는 듯.

원래 작곡가로서 이름을 떨치면서 캐머런 매킨토시 등 다른 프로듀서들과 함께 작업을 진행하기도 했지만 21세기부터는 작곡보다는 직접 프로듀싱에 매진하는 모습을 보였다. 동시에 간간히 맨해튼의 유령을 바탕으로 했다는 오페라의 유령의 후속작 소식이 들려오다 말다 하는 바람에 팬들을 혼란에 몰아넣기도 했는데, 2010년 결국 신작인 러브 네버 다이즈를 발표하게 된다. 뮤지컬에 대한 많은 논란과 평가는 해당 항목들을 참조.

'오페라의 유령'이 뮤지컬 작곡가로서의 웨버의 최고 절정기라고는 하지만 아직도 프로듀싱 분야에서는 활발한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더불어 생일파티 콘서트를 카네기 홀에서 열기도 하는 등(...) 아직도 앤드루 로이드 웨버라는 이름값은 건재해 보인다. 참고로 환갑잔치는 하이드 파크에서 했다.

뮤지컬 업계는 히트작을 둘 이상 내는 것도 드물 정도로 치열한 경쟁 세계이다. 최근의 경우에는 특히 그런데, 스티븐 손드하임, 앨런 제이 러너 등이 등장하였지만 대성공은 아니더라도[17] 꾸준히 메인 씬에서 버티는 것 자체만으로도 대단한 것이다. 한 예를 들자면, 초기작을 오히려 웨버보다 주도했던 동료인 팀 라이스는 ALW가 캣츠를 쓰던 시기 갈라서고 매우 공들여 만든 체스(뮤지컬)이 시원하게 망한 후[18]로 다시는 스스로 제작한 뮤지컬이 브로드웨이에 오르는 모습을 볼 수 없었다. 그에 비하면 자기 마음대로 뮤지컬을 올리고, 손익분기점은 대충 맞추는 나름 행복한 노후생활이다.

4. 주요 작품

5. 수상

파일:Grammy.svg
'''[[그래미 어워드#s-4.3.3|그래미 어워드 레전드상 수상자]]'''
{{{#!wiki style="margin:0 -10px;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5px"
<rowcolor=#b69858>1990199119921993
앤드루 로이드 웨버, 라이자 미넬리, 스모키 로빈슨, 윌리 넬슨아레사 프랭클린, 빌리 조엘, 조니 캐시, 퀸시 존스바브라 스트라이샌드마이클 잭슨
<rowcolor=#b69858>1994199819992003
프랭크 시나트라, 커티스 메이필드루치아노 파바로티엘튼 존비 지스
같이 보기: 공로상 수상자 · 평생 공로상 수상자}}}}}}}}}

파일:Kennedy Center honors.jpg
케네디 센터 공로상 수상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20세기 수상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0000> 1978년 <colbgcolor=#fff,#1f2023>매리언 앤더슨, 프레드 아스테어, 조지 발란신,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리처드 로저스
1979년 에런 코플런드, 엘라 피츠제럴드, 헨리 폰다, 마사 그레이엄, 테네시 윌리엄스
1980년 레너드 번스타인, 제임스 캐그니, 애그니스 데밀, 린 폰탠, 리언타인 프라이스
1981년 카운트 베이시, 케리 그랜트, 제롬 로빈스, 헬렌 헤이스, 루돌프 세르킨
1982년 조지 애벗, 릴리안 기시, 베니 굿맨, 진 켈리, 유진 오르만디
1983년 캐서린 던햄, 엘리아 카잔, 프랭크 시나트라, 제임스 스튜어트, 버질 톰슨
1984년 레나 혼, 대니 케이, 잔카를로 메노티, 아서 밀러, 아이작 스턴
1985년 머스 커닝햄, 밥 호프, 아이린 던, 앨런 제이 러너, 프레더릭 로, 베벌리 실즈
1986년 루실 볼, 레이 찰스, 제시카 텐디, 험 크로닌, 예후디 메뉴힌, 앤서니 튜더
1987년 페리 코모, 새미 데이비스 주니어, 베티 데이비스, 네이선 밀스타인, 알윈 니콜라이
1988년 앨빈 에일리, 조지 번즈, 마이어나 로이, 알렉산더 슈나이더, 로저 L. 스티븐스
1989년 해리 벨라폰테, 클로데트 콜베르, 알렉산드라 다닐로바, 메리 마틴, 윌리엄 슈만
1990년 디지 길레스피, 캐서린 헵번, 라이즈 스티븐스, 줄리 스턴, 빌리 와일더
1991년 베티 콤덴, 로이 에이커프, 아돌프 그린, 헤럴드 니콜라스, 로버트 쇼, 그레고리 펙
1992년 라이어널 햄프턴, 폴 뉴먼, 조앤 우드워드, 진저 로저스, 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 폴 타일러
1993년 자니 카슨, 아서 미첼, 게오르그 솔티, 스티븐 손드하임, 매리언 윌리엄스
1994년 커크 더글러스, 아레사 프랭클린, 모튼 굴드, 해럴드 프린스, 피트 시거
1995년 자크 당부아즈, 메릴린 혼, 비비 킹, 시드니 푸아티에, 닐 사이먼
1996년 에드워드 올비, 베니 카터, 조니 캐쉬, 잭 레먼, 마리아 톨치프
1997년 로렌 바콜, 밥 딜런, 찰턴 헤스턴, 제시 노먼, 에드워드 빌렐라
1998년 빌 코스비, 프레드 엡, 존 칸더, 윌리 넬슨, 앙드레 프레빈, 셜리 템플
1999년 빅터 보르게, 숀 코너리, 주디스 재스민, 제이슨 로바즈, 스티비 원더
2000년 미하일 바리시니코프, 척 베리, 플라시도 도밍고, 클린트 이스트우드, 안젤라 랜스버리
}}}}}}}}} ||
21세기 수상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0000>2001년<colbgcolor=#fff,#1f2023>줄리 앤드류스, 밴 클라이번, 퀸시 존스, 잭 니콜슨, 루치아노 파바로티
2002년 제임스 얼 존스, 제임스 리바인, 치타 리베라, 폴 사이먼, 엘리자베스 테일러
2003년 제임스 브라운, 캐럴 버넷, 마이크 니콜스, 로레타 린, 이작 펄만
2004년 워렌 비티, 오시 데이비스 & 루비 리, 엘튼 존, 조앤 서덜랜드, 존 윌리엄스
2005년 토니 베넷, 수잔 파렐, 줄리 해리스, 로버트 레드포드, 티나 터너
2006년 주빈 메타, 돌리 파튼, 스모키 로빈슨, 스티븐 스필버그, 앤드루 로이드 웨버
2007년 레온 플라이셔, 스티브 마틴, 다이애나 로스, 마틴 스코세이지, 브라이언 윌슨
2008년 모건 프리먼, 조지 존스,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트와일라 사프, 더 후
2009년 멜 브룩스, 데이브 브루벡, 그레이스 범브리, 로버트 드 니로, 브루스 스프링스틴
2010년 멀 해거드, 제리 허먼, 빌 존스, 폴 매카트니, 오프라 윈프리
2011년 바바라 쿡, 닐 다이아몬드, 요요마, 소니 롤린스, 메릴 스트립
2012년 버디 가이, 더스틴 호프먼, 레드 제플린, 나탈리아 마라코바
2013년 마티나 아로요, 허비 행콕, 빌리 조엘, 셜리 맥클레인, 카를로스 산타나
2014년 알 그린, 톰 행크스, 퍼트리샤 맥브라이드, 스팅, 릴리 톰린
2015년 캐롤 킹, 조지 루카스, 리타 모레노, 오자와 세이지, 시실리 타이슨
2016년 마르타 아르헤리치, 이글스, 알 파치노, 마비스 스태플스, 제임스 테일러
2017년 카르멘 드 라발라데, 노만 레어, 글로리아 에스테판, LL 쿨 J, 라이오넬 리치
2018년 셰어, 필립 글래스, 레바 매킨타이어, 웨인 쇼터, 해밀턴 팀 (린 마누엘 미란다, 토마스 카일, 알렉스 라카뫄르, 앤디 블렝큰불러)
2019년 어스, 윈드 앤 파이어, 세서미 스트리트, 샐리 필드, 린다 론스태드, 마이클 틸슨 토머스
2020년 데비 엘렌, 조안 바에즈, 가스 브룩스, 미도리, 딕 반 다이크
2021년 저스티노 디아즈, 베리 골디, 론 마이클스, 베트 미들러, 조니 미첼
2022년 조지 클루니, 에이미 그랜트, 글래디스 나이트, 타니아 레온, U2 (보노, 디 에지, 애덤 클레이튼, 래리 뮬렌 주니어)
2023년 퀸 라티파, 르네 플레밍, 빌리 크리스탈, 디안 워윅, 배리 깁
}}}}}}}}} ||
}}}}}}}}} ||

역대 아카데미 시상식
파일:oscar_logo.svg
주제가상 수상작
제67회
(1995년)
제68회
(1996년)
제69회
(1997년)
Colors of the Wind
앨런 멩컨, 스티븐 슈왈츠
(포카혼타스)
You Must Love Me
앤드루 로이드 웨버, 팀 라이스
(에비타)
My Heart Will Go On
제임스 호너, 윌 제닝스
(타이타닉)
역대 골든 글로브 시상식
파일:goldenglobe.png
주제가상 수상작
제52회
(1995년)
제53회
(1996년)
제54회
(1997년)
Colors of the Wind
앨런 멩컨, 스티븐 슈왈츠
(포카혼타스)
You Must Love Me
앤드루 로이드 웨버, 팀 라이스
(에비타)
My Heart Will Go On
제임스 호너, 윌 제닝스
(타이타닉)

{{{#!wiki style="margin:-10px -10px"<tablewidth=90%><tablebordercolor=#fff,#1f2023> 파일: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로고.svg파일: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로고 화이트.svg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입성자
Hollywood Walk of Fame Stars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d4a1a1><colcolor=#FFD700> 이름 앤드루 로이드 웨버
SIR ANDREW LLOYD WEBBER
분야 연극
입성날짜 1993년 2월 26일
위치 6235 Hollywood Blvd.
}}}}}}}}}}}} ||

[20]
  • 1986년 - 고전음악 최고작품상(Best Classical Contemporary Composition)
  • 1995년 - 작곡가 명예의 전당 헌액
  • 2006년 - 미국 존 F. 케네디 센터 주관 공연예술 평생공로상(Kennedy Center Honors)

5.1. 서훈

6. 가족관계

6.1. 부모님/형제

  • 파일:pg-44-lloyd-webber-1-getty (1).jpg
    아버지: 윌리엄 사우스콤 로이드 웨버 - 1914년~1982년
    작곡가 겸 오르가니스트.
    앤드루의 아버지인 윌리엄 로이드 웨버는 배관공 일을 하다가 소년기에 접하게 된 오르간 연주를 듣고 오르간 연주자의 길을 가기 시작했다. 그의 오르간 연주를 빠른 시간 내에 습득하여 14세때 동네 어르신들을 초청하여 연주회를 했을 정도로 오르간 연주 실력이 대단했다. 이후 작곡을 공부하기 위해 진학한 왕립음악대학교에서 장학금을 받았지만 2차 세계대전의 발발로 인해 대학교를 중퇴했다고 한다. 아내인 '장 허마이니 존스톤'과는 왕립음악대학교에서 만난 사이로 결혼까지 가게 되었다고 하며 두 아들인 앤드루와 줄리안을 얻게 된다. 특히 앤드루에게는 오르간과 피아노를 가르쳐주며 앤드루가 악보를 보는 법을 알게되는데에 큰 협조를 한 인물이다. 앤드루와 그의 동생인 줄리안은 윌리엄에게서 많은 음악적 영향과 정신을 배웠다며 그를 존경스러워한다.
  • 파일:5-jean-hermione-johnstone-lloyd-webber.jpg
    어머니: 장 허마이니 존스톤(장 허마이니 로이드 웨버) - 1921년~1993년
    바이올리니스트 겸 피아니스트.
    바이올린 연주자로 당시 윌리엄이 재학 중이던 왕립음악대학교에 다니다가 오르가니스트 윌리엄의 청혼에 응답하며 그와 결혼하게 된다. 두 아들인 앤드루와 줄리안을 출산한 뒤, 줄리안에게 첼로를 다루는 법과 첼로 선생을 소개시켜 주며 줄리안이 첼리스트가 되는데에 큰 영향을 준 인물이다.
  • 파일:Julian-Lloyd-Webber-819x1024.jpg
    남동생: 줄리안 로이드 웨버 - 1951년 4월 14일
    앤드루 로이드 웨버의 하나뿐인 형제이다. 어머니의 영향으로 첼로를 배우며 자란 줄리안은 현재 한국에서도 이름을 알린 첼리스트이다. 결혼 전적이 형인 앤드루보다 더하다, 무려 4번의 재혼을 했다. 그 중 현 부인인 중국계 미국인 지아신 로이드 웨버 또한 유명한 첼리스트이다. 첼로 연주가 가능한덕에 앤드루가 작곡을 하면 바로 첼로로 연주해주는 등의 많은 도움을 주었는데 그 중 가장 유명한 곡이 바로 'Theme And Variation 1-4' 이다. 제목을 듣자마자 생소하더라도 연주 1초 만에 '아, 이 곡이였구나' 하고 알아차릴 정도로 굉장히 유명세가 높은 곡이다.
98년 앤드루의 콘서트에서의 Variation 연주
파일:20200823_213105.jpg
여담으로 위의 콘서트의 피날레를 장식하는 마지막 곡인 마이클 볼의 'Love changes everything'을 부를 때에 형 앤드루와 이혼한 전부인이자 콘서트의 출연진 중 한명인 사라 브라이트만과 함께 무대에 등장했다.

6.2. 배우자

사라 휴길(1971년~1983년 이혼)
파일:unmasked-3-alw-with-sarah-hugill.jpg파일:20200823_181603.jpg
사라 휴길과 결혼을 하고 두 번째 사진으로 보여지듯이 슬하에 딸 '이모겐 로이드 웨버'와 아들 '니콜라스 로이드 웨버'를 낳았지만 사라 브라이트만을 만난 이후 1983년에 사라 휴길과 이혼 절차를 밟으며 갈라섰다. 그러나 사진에서 처럼 둘 사이의 아이들 덕분에 서로 왕래는 하고 있다.

사라 브라이트만(1984년~1990년 이혼)
파일:9737ebc06bf722541b89665bb3138bc3.jpg파일:20200823_190705.jpg
앤드루는 1981년에 사라 브라이트만을 캣츠의 오디션 현장에서 처음 만났었다. 당시 앤드루는 사라의 목소리에 별다른 영감을 느끼지 못했지만 점차 그녀의 외모와 독보적인 발성에 빠져들게 되었고 1983년 사라 브라이트만과 뮤지컬 작곡을 핑계로 떠난 휴양지에서 그녀에게 청혼한다. 이 둘은 당시 각각 배우자가 있는 상태였지만 재빨리 이혼을 선언하고 1984년 비밀리에 둘은 재혼에 성공한다. 둘 사이에서는 아이가 없었는데 그 이유는 당시 앤드루의 뮤지컬 오페라의 유령 초연의 준비로 너무 바빴기 때문. 그러나 위의 사진에서 보다시피 사라 휴길과의 갑작스러운 이혼 때문에 앤드루의 남겨진 두 아이들 이모겐과 니콜라스는 한동안 사라 브라이트만과 함께 동거했었고 사라 브라이트만은 아이들에게 노래나 악보 보는 법을 가르쳐주는 등 많이 아껴주었으나 결혼 6년 만인 1990년에 돌연 이혼을 선언한다. 하지만 많은 매체에서 보여지듯 이 둘의 사이는 작곡가와 가수로서 서로를 존중하며 아직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매들린 거든(1991년~현재)
파일:5df961c071a5ca40f402f694.jpg파일:gettyimages-52999017_master.jpg
서로의 성격 차이로 인한 사라 브라이트만과의 이혼 이후 앤드루는 당시에는 은퇴한 유명한 승마 선수 매들린 거든과 또 재혼하여 아들 '알라스테어 아담 로이드 웨버'와 '윌리엄 리차드 로이드 웨버' 그리고 딸 '이사벨라 오로라 로이드 웨버' 3남매를 슬하에 두고 현재까지 사실혼 관계를 유지하며 살아가고 있다.

6.3. 자녀

사라 휴길 소생.
  • 파일:imogen-lloyd-webber-e3412024-030a-40c8-8450-7efeace7e60-resize-750.jpg
    장녀: 이모겐 로이드 웨버 - 1978년 3월 31일 퀸스 대학과 케임브리지 대학교라는 어마무시한 학력의 소유자이며 현재는 방송인이자 작가로 런던에서 거주중이다. 여담으로 아버지가 작곡한 음악 중 뮤지컬 러브 네버 다이즈의 대표곡 'Love never dies'를 가장 좋아하며 이를 처음 부른 시에라 보게스의 팬이라고 한다.
  • 파일:MV5BNDMwMTEyNjcyNl5BMl5BanBnXkFtZTgwNDMwNzE4MDI@._V1_SY1000_CR0,0,716,1000_AL_.jpg
    장남: 니콜라스 로이드 웨버 - 1979년 7월 2일 아버지인 앤드루 로이드 웨버를 외모로도 개성으로도 가장 많이 물려받았다.그 전에 이 사람을 닮은 것 같기도... 현재 영국의 작곡가로 활동 중이며, 여럿 영화의 OST를 작곡했다. 누나인 이모겐과 달리 2018년에 폴리 윌트셔라는 여성과 결혼을 한 유부남이다. 2023년 3월에 위암 투병 중 사망했다.

매들린 거든 소생
  • 파일:20200803_014352.jpg
    사진 좌측부터
    삼남: 윌리엄 리차드 로이드 웨버 - 1993년 8월 24일
    차남: 알라스테어 아담 로이드 웨버 - 1992년 5월 3일
    앤드루 로이드 웨버와 매들린 거든 부부
    차녀: 이사벨라 오로라 로이드 웨버 - 1996년 4월 30일
  • 파일:5df9636171a5ca41a04db68b.jpg
    앤드루와 두 딸 이모겐 로이드 웨버와 이사벨라 오로라 로이드 웨버. 서로 18살이나 차이나지만 형제들 중 가장 사이가 원만하다고 하며 연락도 자주하는 편이라 한다. 남자형제들은 아버지관련의 행사 외에는 별로 만날 일도 없고 애초에 니콜라스와의 나이차이가 너무 많이 나서 어색하다고 한다.

7. 기타

파일:5dfa40437f36d07e55345118.jpg
영국의 위의 대저택에서 부인과 거주중이다. 승마선수였던 부인을 위해 뒷마당에 자그마한 승마장이 있으며 유튜브에 올라오는 앤드루의 피아노 연주 영상이 대부분 이 저택에서 촬영된 것이다.

'캣츠'에 출연하던 사라 브라이트만과 사랑에 빠져 결혼했다. 브라이트먼과 웨버 모두 이미 결혼해 있던 상태였는데도... 이후 브라이트만은 웨버의 신작이던 '오페라의 유령'의 크리스틴 다에 역을 통해 유명세를 얻는데 성공하지만, 둘은 결국 다시 이혼하게 된다. 당시 이 부부는 뉴욕의 트럼프 월드 타워에 거주하고 있었는데 이 건물에 스티븐 스필버그 부부와 도널드 트럼프 부부도 살았었고 공교롭게도 세 커플이 모두 비슷한 시기에 이혼에 대한 법적 절차를 밟고 있었기 때문에, 그 모든 일들이 떠들썩하게 진행되는 동안 종종 서로가 어색하게 마주쳐 지나가는 상황이 빈번했다고 한다. 둘이 이혼할 즈음 오페라의 유령을 뮤지컬 영화로 제작하는 것에 대한 논의가 오가는 중이었는데, 본격적인 착수 직전에 이혼 때문에 영화화는 당시에는 엎어지고 말았다.[21] 그래도 브라이트만은 웨버의 생일 콘서트에 출연하기도 하는 등 사이가 나쁘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오페라의 유령 25주년 공연에서도 등장했는데, 웨버가 직접 '나의 음악의 천사'라고 소개했다. 현재는 새 부인과 다시 결혼하여 슬하에 여러 명의 자녀가 있다.

새로 기획한 작품의 주요 배역을 TV에서 진행하는 오디션 프로그램으로 뽑기도 한다. 2006년 BBC와 함께 처음 기획한 사운드 오브 뮤직 마리아역 오디션 프로그램인 <How Do You Solve a Problem like Maria?>에서 재미가 들렸는지 2007년 요셉과 놀라운 색동옷의 요셉 역을 <Any Dream Will Do>로 뽑고 2008년에는 자기 회사 뮤지컬이 아닌 올리버!의 낸시/올리버 역 오디션인 <I'd Do Anything>도 진행했다.[22] 2009년에는 좀 쉬어가나 했더니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영국 대표로 참가한 Jade Ewen의 노래를 작곡하고 무대에까지 같이 올라 손수 피아노 반주를 해주기도 했다. 2010년에는 오즈의 마법사[23]의 도로시 역을 뽑는 <Over the Rainbow>를 진행했다. 2012년에는 BBC가 아니라 ITV에서[24] 지저스 크라이스트 수퍼스타의 예수 배역을 걸고 <Superstar>라는 제목으로 오디션을 진행했다. 기존에 진행하던 1주일 1회 생방송 방식이 아니라 하루에 1회 생방송이라는 엄청나게 타이트한 스케쥴로 진행되었고 우승자인 벤 포스터가 이후 지저스 크라이스트 슈퍼스타 아레나 투어[25]의 예수로 발탁되었다. 다만 이런 오디션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너무 공연 홍보 목적이 뻔히 보이는게 아니냐며 까는 의견도 있으며, 일리가 없지도 않다. 그래도 이 연작 시리즈를 계기로 여러 스타들이 발굴되어 오디션을 실시한 작품 뿐만 아니라 레 미제라블(뮤지컬), 위키드 등의 여러 기타 흥행작들에도 출연하게 된 점은 신인 혹은 무명배우의 발굴이라는 점에서 의미있는 성과.

뮤지컬만 작곡한건 아니다. 클래식 분야도 단 한곡 작곡했는데 레퀴엠 하나다. 초연부터 음반을 출반했는데 로린 마젤 지휘, 플라시도 도밍고, 사라 브라이트만 독창에 잉글리시 챔버 오케스트라라는 초호화 캐스팅인데, 사실 음악적 가치가 그렇게 높지는 않고 웨버의 이름값으로 한거라고 해도 무방하다는 평이다. 실제로 요즘은 거의 연주되지도 않고 ‘Pie Jesu(자비로우신 예수)’ 부분만 가끔 연주된다.

초기작인 '요셉과 놀라운 색동옷'이 2013년 한국에서 초연한다. '요셉 어메이징'이라는 제목으로 홍보하는 듯.

웨버의 첫 번째 부인도 이름이 '사라'여서 지저스 크라이스트 수퍼스타 커튼콜에서 언급하는 사라는 첫 번째 부인이고, 오페라의 유령 커튼콜에서 언급하는 사라는 사라 브라이트만이다.

문화, 예술계의 명사들 가운데는 드물게 정치적으로는 우익에 가까우며, 보수당 당원으로, 1997년에 일대귀족(남작) 작위를 받아 오랫동안 상원의원으로 활동하다가 2017년에 사임했다. 상원의원으로서는 별로 성실하지 않았지만(20년간 표결 참석 33회) 2015년에 세액공제 축소 법안이 보수당 주도로 상정되자 해외에서 자가용 비행기를 몰고 귀국해 찬성표를 던져 약간의 비난을 받은 바 있다.

스코틀랜드 분리독립 투표를 맞아 스코틀랜드 분리독립 반대 성명을 발표하기도 했다.

디스맨을 매우 닮았다. 그러므로 디스맨의 외모는 그에게서 따왔을지도 모른다.

헐리우드에서 톰 후퍼 감독이 제작한 캣츠 실사판 영화를 보고 트라우마에 걸려 개를 키우기 시작했다고 한다. 트라우마가 매우 극심해 항상 개와 함께 있지 않으면 일상생활이 힘들 정도라고 하며, 뉴욕에 갈 당시 항공사로부터 개를 데려가야 하는 이유를 듣자마자 헐리우드에서 만든 캣츠를 봐라는 말 한마디만 해줬더니 바로 승인해줬다고 한다. 의사 소견서는 필요없다는 말과 더불어서....


[1] 남작 본인에 대한 경칭.[2] 영국 기준으로 His/Her Royal Highness, His/Her Grace 등 별도의 칭호가 있는 왕족과 공작을 제외하면 Lord는 남작 이상의 작위가 있는 사람이나 백작의 정식 후계자, 후작의 아들에게만 허용된다. 기사의 Sir와는 구별된다.[3] 해석하면 로이드-웨버 경이 된다. 한글로 Lord와 Sir이 '경(卿)'으로 똑같이 해석되기 때문에, 이를 구별해야 한다는 지적이 일부 있다.[4] 원래 성은 하이픈 기호를 쓰지 않고 그냥 로이드 웨버이다. 하지만 남작 칭호를 표기할 땐 하이픈 기호를 사용한다.[5] Baron Sydmonton in the County of Hampshire.[6] 런던에 위치한 퍼블릭 스쿨.[7] 2023년 3월 25일 위암으로 사망.[8] 웨버의 동생 줄리언 웨버 역시 첼로 연주자로 크게 성공했다.[9] 앤드루의 부모가 처음 만난 곳이다.[10] 에를 들어 에비타의 히트곡 "Don't Cry for Me, Argentina"는 체가 에바를 고인드립하는 넘버인 "Oh, What a Circus"와 같은 멜로디다.[11] 오페라의 유령 역시 마찬가지인데, 메인테마 뿐 아니라 다른 멜로디도 작중 여러 곡, 여러 장면에서 재활용하는 정도가 너무 심해서 작곡가가 '날로 먹는다'는 느낌이 들 정도다.[12] 수용인원 기준으로 웨스트엔드 최대규모 극장이다. 대관료도 매우 비싸게 책정되어서 흥행이 보장되는 작가의 신작이나 다른 극장에서 흥행이 검증된 걸작들만이 이곳에서의 장기공연을 추진할 수 있다.[13] 스타라이트 익스프레스가 올랐던 브로드웨이 극장은 거시윈 시어터로, 거시윈 시어터의 1900석 전후의 좌석수는 브로드웨이 최대규모다. 이런 극장에서 공연했는데 이득을 보지 못했다는 거다. 그리고 현재 거시윈/아폴로 빅토리아 두 극장에서는 모두 수년간 위키드 공연이 오르고 있다. 위키드 역시 연출 규모가 만만치 않은 작품이고 초절정 인기를 기반으로 두 극장을 굴리고 있다는걸 생각하면...[14] 대사 없이 노래로만 이뤄진 뮤지컬[15] 엘튼 존과 함께 작업한 아이다(뮤지컬)도 유명하다.[16] 할리우드 블록버스터의 확대+막대한 제작비용 문제와 주연을 맡은 글렌 클로즈와 제작진들간의 불화가 있었다.[17] 한때는 그의 모든 영화가 뮤지컬 영화이던 시절도 있었다.[18] 웨스트엔드에서는 하필 ALW의 초월적인 흥행작 오페라의 유령과 같은 시기에 올라온지라 묻혔으며 흥행성적도 그리 대단한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몇년간 적은 수익으로나마 버텼는데, 브로드웨이에서는 꼴랑 두 달만에 참혹하게 끝났다. 하기사 미국 남자가 좋아하는 여자를 소련 남자한테 뺏기는 내용인데 냉전시대 브로드웨이에서 평이 좋았을리가 없다(...) ALW의 뮤지컬 중 이런 참사를 빚었던 작품인 스타라이트 익스프레스는 흥행부진보다는 "수익이 날 정도로 큰 극장이 브로드웨이에 없었다"는 뭔가 아스트랄하긴 해도 납득할만한 이유가 있었고, 그나마도 2년 가까이 버텼다는 점에서 체스와는 비교가 안된다.[19] 브로드웨이 프로덕션 제목은 배드 신데렐라 (Bad Cinderella)[20]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에서는 입성자의 이름을 표기할때 기사작위를 받은 영국인들(폴 매카트니, 엘튼 존, 앨프리드 히치콕, 엘리자베스 테일러 등)도 모두 이름만 표기한다. 하지만 왜인지 웨버와 팀 라이스만이 Sir을 표기해준다. 참고로 작위가 Lord인데 Sir로 표기된 이유는 웨버가 남작에 서임되기 전 기사인 상태로 입성했기 때문이다.[21] 결국 2004년 조엘 슈마허제라드 버틀러와 에미 로섬 등 전혀 다른 출연진을 기용하여 제작하게 된다.[22] 올리버!는 캐머런 매킨토시 측이 저작권을 갖고 있다. 당연히 이 프로그램에는 매킨토시도 심사위원으로 참가했다. 다만 올리버!가 올라온 로열 드루리 레인 극장은 ALW 쪽 회사의 소유.[23] 잘 알려진 기존의 뮤지컬이 아닌 신작이다.[24] 2010년 <Over the Rainbow> 4월 24일 4주차 라이브 쇼를 앞두고 방송사고가 있었다. 닥터후 시즌5의 <The Time of Angels> 막판에 나오는, 다음 에피소드 <Flesh and Stone>과 연결되는 장면인 11대 닥터가 천정으로 총을 겨누는 매우 중요한 장면에 만화 캐릭터화된 그레이엄 노튼(쇼 진행자)의 모습을 포함한 광고 배너가 떴다.(보통은 예고편이 끝나고 엔딩 크레딧이 올라갈 때나 나오는게 정상이다) 때문에 해당 장면에서 완전히 빠져들고 있던 수많은 후비안들이 분기탱천했고 BBC는 가루가 되도록 까이다가 공개 사과를 해야 했다. 아무래도 이 영향으로 방송사를 BBC 대신 ITV로 옮긴 모양. 2010년까지 진행된 4개 시리즈에서 모두 진행자를 맡았던 그레이엄 노튼이 BBC 쪽 인물이기 때문에 진행자 역시 ITV 쪽인 아만다 홀든(브리튼즈 갓 탤런트의 그 여성 심사위원이다)으로 교체되었다.[25] 영국 전역의 초대형 아레나 공연장을 순회하는 공연으로, 버밍엄에서의 공연은 DVD도 발매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