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 (茶)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종류 | <colbgcolor=#b5be83>녹차 | 우전차 · 세작 · 호지 · 아타이 |
청차 | 우롱차 | ||
홍차 | 다즐링 · 밀크티 · 버블티 · 아삼 · 일월담 · 짜이 · 차옌 · 차이 (리제) | ||
흑차 | 보이차 · 청태전 | ||
백차 | 백차 | ||
탄산발효 | 콤부차 | ||
제조 | 제법 | 말차 · 엽차 | |
다구 | 다관 (사모바르 · 자사호 · 탕관) · 찻잔 (개완 · 다완) · 스트레이너 · 티백 | ||
차 문화 | 다과 · 다과회 · 다례 · 다방 · 티타임 | ||
대용차 | |||
<colbgcolor=#e3e6d0><colcolor=#5f6732>ㄱ | <colcolor=#000,#fff>가지차 · 감잎차 · 감초차 · 강죽차 · 개암차 · 결명자차 · 계지차 · 계화차 · 고삼차 · 곽향차 · 구기자차 · 국화차 · 귤피차 · 귤화차 · 길경차 · 꿀물 | ||
ㄴ~ㄷ | 냉이차 · 냉차 · 노각차 · 녹두차 · 누룽지차 · 당귀차 · 당근차 · 대나무차 · 대추차 · 대파차 · 더덕차 · 도화차 · 돌배차 · 동백차 · 동아차 · 돼지감자차 · 두충차 · 두향차 · 둥굴레차 · 들깨차 · 딸기차 · 땅콩차 | ||
ㄹ~ㅂ | 레몬차 · 루이보스차 · 마늘차 · 마름차 · 매실차 · 매화차 · 머위차 · 메밀차 · 모과차 · 목련차 · 목향차 · 무잎차 · 민들레차 · 방풍차 · 버섯차 · 벚꽃차 · 보리차 · 복령차 · 복숭아차 · 비트차 · 비파차 | ||
ㅅ | 사과차 · 산약차 · 삽주차 · 상지차 · 새삼차 · 생강차 · 석류차 · 설차 · 소태차 · 속단차 · 솔잎차 · 송담차 · 송화차 · 수박차 · 수수차 · 수유차 · 시호차 · 쌍화차 · 쑥차 | ||
ㅇ | 아욱차 · 앵두차 · 양파차 · 여주차 · 연근차 · 연잎차 · 영지차 · 예르바 마떼 · 오디차 · 오미자차 · 오이차 · 옥수수수염차 · 옥수수차 · 와송차 · 우슬차 · 우엉차 · 울금차 · 원지차 · 유자차 · 율무차 · 으름차 · 은행차 · 인동차 · 인삼차 · 잇꽃차 | ||
ㅈ~ㅊ | 자두차 · 자몽차 · 자색옥수수차 · 자소차 · 작두콩차 · 작약차 · 잔대차 · 장미차 · 재스민차 · 지황차 · 참깨차 · 참외차 · 창포차 · 치자차 · 치커리차 | ||
ㅌ~ㅎ | 탱자차 · 토란차 · 파인애플차 · 팥차 · 포도차 · 한라봉차 · 해바라기차 · 허브차 · 헛개나무차 · 현미차 · 형개차 · 호두차 · 호박차 · 홍삼차 · 황기차 · 후박차 · 후추차 · 히비스커스차 | }}}}}}}}} |
1. 개요
동백나무의 꽃잎을 이용해서 끓여 마시는 음료수로 봄에 핀 꽃잎을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 후 음용한다.2. 상세
불교에서도 많이 마시는 차이기도 하다. 특히 고창의 선운사(禪雲寺) 해남의 미황사(美黃寺) 강진군의 백련사(白蓮寺)의 동백숲이 조성되기까지 했다. 꽃을 채취할 때 가지에서 떼어내지 않고 봉오리가 전부 떨어진 붉은 꽃으로 꿀에 절이거나 말리면 오랫동안 차로 이용할 수 있다. 차의 색은 연분홍 색이며 맛은 상당히 달콤한 맛으로[1] 오감이 전율할 것이다. 바싹하게 말린 후에 동백꽃 2송이와 물 60ml을 부은뒤 우려서 마시면 된다.3. 주의점
오설록에서도 동백차를 판매하고 있다. 단 향을 더 오래가기 하기 위해 카페인과 인공 첨가물이 조금 들어있다고 하니 임산부에게는 매스꺼울 수 있으므로 의사와 상의하고 음용하는 것이 좋다.4. 기타
동백잎을 쓰는 동백잎차도 있다. 동백나무가 차나무와 워낙 가깝기도 하다.[1] 동백은 조매화다. 새가 배를 채울려면 꿀이 많이 필요할 수밖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