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0 16:44:05

경기도/정치

경기/정치에서 넘어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경기도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004097>
파일:경기도 휘장_청색바탕용.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c84d;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6px -1px -36px; word-break: keep-all"
[[고양시/정치|파일:고양시 CI.svg
고양시]]
파일:수원시 CI.svg
[[경기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c489d 21%, #80c84d 21%, #80c84d); font-size: 1em"
]] 수원시
[[용인시/정치|파일:용인시 CI.svg
용인시]]
}}}
{{{#!wiki style="margin: -6px -1px -13px; word-break: keep-all"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
[[과천시/정치|파일:과천시 CI.svg
과천시]]
[[광명시/정치|파일:광명시 CI.svg
광명시]]
[[광주시/정치|파일:광주시 CI.svg
광주시]]
[[구리시/정치|파일:구리시 CI.svg
구리시]]
[[군포시/정치|파일:군포시 CI.svg
군포시]]
[[김포시/정치|파일:김포시 CI.svg
김포시]]
[[남양주시/정치|파일:남양주시 CI.svg
남양주시]]
[[동두천시/정치|파일:동두천시 CI.svg
동두천시]]
[[부천시/정치|파일:부천시 CI.svg
부천시]]
[[성남시/정치|파일:성남시 CI.svg
성남시]]
[[시흥시/정치|파일:시흥시 CI.svg
시흥시]]
[[안산시/정치|파일:안산시 CI.svg
안산시]]
[[안성시/정치|파일:안성시 CI.svg
안성시]]
[[안양시/정치|파일:안양시 CI.svg
안양시]]
[[양주시/정치|파일:양주시 CI.svg
양주시]]
[[여주시/정치|파일:여주시 CI.svg
여주시]]
[[오산시/정치|파일:오산시 CI.svg
오산시]]
[[의왕시/정치|파일:의왕시 CI.svg
의왕시]]
파일:의정부시 CI.svg
[[경기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c489d 21%, #0aa4b5 21%, #0aa4b5); font-size: 1em"
]] 의정부시
[[이천시/정치|파일:이천시 CI.svg
이천시]]
[[파주시/정치|파일:파주시 CI.svg
파주시]]
[[평택시/정치|파일:평택시 CI.svg
평택시]]
[[포천시/정치|파일:포천시 CI.svg
포천시]]
[[하남시/정치|파일:하남시 CI.svg
하남시]]
[[화성시/정치|파일:화성시 CI.svg
화성시]]
}}}
{{{#!wiki style="margin: -33px -1px -11px"
[[가평군/정치|파일:가평군 CI.svg
가평군]]
[[양평군/정치|파일:양평군 CI.svg
양평군]]
[[연천군/정치|파일:연천군 CI.svg
연천군]]
}}}}}}}}}

1. 개요2. 국회의원 목록3. 역대 민선 경기도지사4. 특징5. 최근 선거 결과
5.1. 대선
5.1.1. 이전 대선과의 비교
5.2. 총선5.3. 지선
6. 역대 경기도 선거 결과

1. 개요

경기도의 정치에 대해 설명한 문서.

2. 국회의원 목록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경기도 제22대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수원 갑 수원 을 수원 병 수원 정
김승원 백혜련 김영진 김준혁
수원 무
염태영 김태년 이수진 안철수
김은혜 박지혜 이재강 강득구
부천 갑 부천 을
민병덕 이재정 서영석 김기표
부천 병 광명 갑 광명 을 평택 갑
이건태 임오경 김남희 홍기원
평택 을 평택 병
이병진 김현정 정성호 김성원
고양 갑
양문석 김현 박해철 김성회
고양 을 고양 병 고양 정
한준호 이기헌 김영환 이소영
구리
윤호중 최민희 김병주 김용민
오산 시흥 갑 시흥 을 군포
차지호 문정복 조정식 이학영
하남 갑 하남 을 용인 갑 용인 을
추미애 김용만 이상식 손명수
용인 병 용인 정 파주 갑 파주 을
부승찬 이언주 윤후덕 박정
이천 안성 김포 갑 김포 을
송석준 윤종군 김주영 박상혁
화성 갑 화성 을 화성 병 화성 정
송옥주 이준석 권칠승 전용기
광주 갑 광주 을
소병훈 안태준 김용태 김선교
}}}
비례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3. 역대 민선 경기도지사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역대 민선 경기도지사
1960 1995 1998 2002 2006
민주당
민주자유당
새정치국민회의
한나라당
한나라당
신광균 이인제 임창열 손학규 김문수
2010 2014 2018 2022
한나라당
새누리당
더불어민주당
김문수 남경필 이재명 김동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주요 후보 득표율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구분 주요 후보 득표율
1960년 1위:

파일:민주당 1955년 글자.png
신광균 26.80%

2위: 김정렬 25.70%
3위: 윤원선 18.00%
1995년 1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이인제 40.56%

2위: 장경우 29.60%
3위: 임사빈 19.67%
4위: 김문원 10.15%
1998년 1위: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임창열 54.30%

2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손학규 45.69%
2002년 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손학규 58.37%

2위: 진념 35.98%
2006년 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문수 59.68%

2위: 진대제 30.75%
2010년 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문수 52.20%

2위: 유시민 47.79%
2014년 1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남경필 50.43%

2위: 김진표 49.56%
2018년 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재명 56.40%

2위: 남경필 35.51%
2022년 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동연 49.06%

2위: 김은혜 48.91%
}}}}}}}}}

4. 특징

선거의 최대 표밭. 이 한 마디로 정리할 수 있다. 2003년 이후 서울특별시의 인구를 추월했다. 게다가 경기도는 인구가 감소세인 서울과 달리 지금도 계속해서 신도시들을 건설하고 있기 때문에, 서울 등에서 이사 오는 사람들 대부분을 경기도가 흡수하고 있다. 멀지 않은 미래에 화성시, 용인시, 남양주시 일대의 신도시 건설이 끝나면 포천시, 양평군, 이천시, 평택시, 안성시 등 경기 동부/남부 지역에도 신도시들을 지어올릴 가능성이 높은데[1], 그럼 향후 인구가 1500만 명에 육박할 수도 있다.[2]

전국 각지에서 쏟아져 들어오는 인구로 인해 정치권의 표심 경합이 치열한 지역이기도 한데, 선거 판세를 보면 1987년 민주화 이후엔 좌우가 서로 몇차례씩 번갈아가며 주고 받는 양상이었지만, 2000년대 이후 여러 신도시들이 개발되고 젊은 인구가 몰린 덕인지 2016년 20대 총선 이후부턴 민주당계 강세 지역이 되어가고 있다. 웬만큼 구도가 기운 선거에서도 지지 않을 정도라 향후 점점 텃밭화될 가능성도 있다. 다만 선거적으로 특히 총선에서 불리한 점은 수도권이다 보니 지역 배려 혜택을 받지 못해 인구 대비 총선 의석수가 제법 모자란 편이다.[3]

많고 다양한 인구와 도시들이 분포해있다 보니, 지역별로 정치 성향도 많이 나뉘는 편이다. 대체로 도시 지역은[4] 민주당 계열 지지 성향이 강한 반면 전방 지역이나 소규모 도시, 농촌 지역은 보수정당 계열 지지 성향이 상대적으로 강한 모습을 보여준다. 또한 분당구, 과천시 등 고소득 지역에서도 보수 정당의 지지율이 높다. 신도시 지역들은 아파트와 산업단지들이 밀집해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중장년층과 기업 노동자들이 많고 덕분에 진보세가 강하게 나오는 것으로 보인다.

반면 경기 북부 전방 지역은 휴전선에 가깝고 군부대가 밀집해 있어 보수 성향이 강한 편이고, 동부는 팔당댐 상수원으로 인한 그린벨트에 묶여 있어 젊은층들이 적고 발전이 정체되어 있어 규제 폐지를 원하는 사람들이 많아 보수 성향이 비교적 강한 편으로 보인다. 2020년대 기준 경기도에서 보수 성향이 가장 강한 지역은 동부 외곽의 가평군양평군, 그리고 최전방 지역인 연천군포천시이다.[5] 다만 보수 우세 지역들의 경우 인구가 대도시들에 비할 바가 못 될 정도로 적어서 경기도 전체로 보면 영향은 적은 편이다.

한편, 수원시 팔달구, 용인시 처인구 등의 구도심 지역이나 성남시 분당구 등의 부촌 지역도 이전에는 보수세가 상당했지만, 2016년 20대 총선 이후 경기도에서 민주당세가 강해지면서 민주당으로 거의 넘어간 상태다. 다만 부동산 문제가 부각된 20대 대선에선 과천시나 성남시 분당구같은 일부 부촌에서 보수정당 득표율이 다시 제법 오르기도 했다.

종합해보면 경기도 내곽 지역은 진보 성향이, 경기도 외곽 지역은 보수 성향이 비교적 우세하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러한 결과가 극대화된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의 경기도의 선거 결과를 보면 왠지 계란후라이(...) 같은 느낌도 든다. 물론 이것이 영호남 수준만큼 득표율 차이가 많이 나는 수준은 아니라[6], 정치 분위기나 판세에 따라 유동성이 있긴 하다.

한편, 과거 대선에선 소위 '경기도 징크스'라고 불리는 징크스도 이어져왔는데, 인천광역시충청북도 등과 함께 직선제 개헌이 이루어진 1987년 13대 대선부터 2017년 19대 대선까지 30년 동안 7회 연속으로 경기도에서 1위를 차지한 후보가 반드시 대한민국 대통령당선된다는 기록을 갖고 있다.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오하이오 지역만 잡으면 미국 대통령 당선은 기정사실화라는 구도와 유사하다. 그 기록은 다음과 같다.
그러나 2022년 20대 대선에서 경기도에서는 이재명 후보가 50.94% : 45.62%로 승리했지만, 전체로 보면 최종적으로 윤석열 후보가 당선되며 직선제 부활 이후 35년 만에 징크스가 깨졌다. 아무래도 이재명 후보의 정치적 고향이 경기도라는 점에서[7] 이러한 현상이 일어난 듯 하다.

민주화 이전 총선 역사를 보면, 농촌이 많던 시절 경기도는 제헌 국회의원 선거부터 제4대 국회의원 선거까진 보수가 우세한 편이었고, 제5대 국회의원 선거는 민주당이 승리하였지만, 제6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제8대 국회의원 선거까진 다시 민주공화당이 경기도 1당이 되었다.[8] 제9대 국회의원 선거,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제11대 국회의원 선거,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중선거구제 2등 당선의 영향으로 민주공화당/민주정의당 후보가 당선되기도 했다.

민주화 이후 처음 치러진[9]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집권 여당인 민주정의당 후보가 패하는 중에도 경기도 후보는 16명이나 당선되었다. 이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선 민주자유당이 패하는 와중에도 경기도 의석은 과반수 이상을 차지했으며,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신한국당이 비록 과반수에는 실패했지만 통합민주당과 합당해 한나라당이 창당되며 경기도 의석은 과반수로 되돌아간다.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부터는 새천년민주당이 경기도 의석 과반수를 차지하며 경기도에도 변화의 조짐이 보이기 시작했다. 다만 이후 보궐선거로 한나라당이 다시 경기도에서 잠시 과반수를 되찾았지만,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탄핵 역풍으로 열린우리당이 대거 승리했다. 이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선 한나라당이 다시 승리했지만, 신도시 개발로 인한 젊은층 증가 등으로 인해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선 다시 민주당계 지지로 돌아섰다.

심지어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부턴 그 차이가 꽤나 심하게 벌어져서,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제22대 국회의원 선거까지도 민주당계의 압승이 이어지고 있다.

경기도지사 선거는 2010년대 중반까진 보수 계열이 꽤 강세를 보였는데[10], 2016년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사태 이후부턴 민주당계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 덕분에 2018년 7회 지방선거에서는 도의석 142석 중 132석을 민주당이 가져가는 압승을 거둬, 보수정당은 사실상 전멸 수준이 되었다.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도지사는 여당인 민주자유당이 승리, 기초자치단체장은 31개 중에 13개를 차지해 약간 선방했다. 1998년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는 경기도에서 한나라당이 대거 패배했는데, IMF와 김대중 정권 초반기의 영향이 컸다. 2002년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는 한나라당이 압승했는데, 도지사와 기초자치단체장 모두 한나라당이 대거 당선되었고, 광역의회 역시 한나라당 후보가 대거 당선되었다.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역시 한나라당이 압승을 거두었는데, 도지사, 기초자치단체장, 광역의회 모두 한나라당이 당선되었다. 그러나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는 기초자치단체장과 광역의회의 과반수가 민주당계에 넘어갔다. 한나라당 입장에선 불행 중 다행으로 도지사는 차지했다.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는 도지사는 새누리당이 차지, 기초자치단체장과 광역의회, 자치의회는 새정치민주연합이 과반을 차지했지만, 5회 지방선거보단 새누리당이 선방한 편이었다.

대선의 경우 5대 대선6대 대선에서는 모두 윤보선 후보가 승리하였다. 7대 대선에서도 김대중 후보가 승리하였다. 당시 민주공화당을 밀어주던 총선과는 사뭇 다른 결과. 확실히 이때부터 캐스팅보트 성향을 있었다. 다만 7대 대선 때는 상대편이던 박정희 표도 많이 상승해서 제법 접전을 이루었다. 물론 이시기 선거라는게 뒷말이 많긴 하다만. 이후엔 유신독재가 본격적으로 전개되면서 박정희 암살 이후에도 전두환의 신군부가 들어서 1987년까진 체육관 간선제가 치러졌다.

그러다 민주화가 이뤄진 1987년 치러진 13대 대선은 다소 흥미로운 결과가 나오는데, 경기도에서 노태우 후보가 4자 구도 속 41.44%를 득표하며[11] 노태우 후보의 당선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경기도가 90~2000년대 수도권 내 보수 뒷배라는 이미지가 생긴 것도 이 무렵부터였다. 14대 대선에서도 경기도에서는 김영삼 후보가 승리하면서 역시 보수 우세 지역임을 보여주었다. 허나 15대 대선, 16대 대선에서는 김대중, 노무현 후보가 승리하면서[12] 역시 캐스팅보트 지역이라는 것을 보여줬다. 허나 17대 대선에서는 다시 전국의 대세를 따라 이명박 후보가 승리하였다.

18대 대선에서도 박근혜 후보가 경기도는 따내면서 당선에 기여했지만, 문재인 후보와의 득표율 차이가 불과 50.43% : 49.19%로 1.24%p에 그치면서 신도시 지역으로 젊은 층의 유입으로 진보세 또한 강해졌음을 보여주었다. 19대 대선에서는 전국의 대세를 따라 문재인 후보가 승리하였으며, 서울에서 42.34%, 경기도에서 42.08%를 기록하면서 서울 못지 않은 진보 강세 지역이 되었다. 한편 홍준표 후보의 득표율은 서울과 경기도에서 모두 안철수 후보에게조차 3위로 밀리면서 20.8%를 기록하였다. 서울 내 젊은층 인구가 경기도로 빠져나오면서 오히려 서울보다도 경기도의 진보세가 더 강해질 조짐까지 보이고 있는 중이다.

그리고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선 더불어민주당이 거의 모든 지역을 쓸어담았다. 자유한국당은 도지사 선거에서는 가평군양평군에서만 앞섰고, 기초자치자체장 선거에서는 가평군연천군에서만 승리했으며, 광역비례에서는 전 지역 패배를 당하고 말았다.

이 선거의 충격은 21대 총선에서도 이어져 기존의 민주당 우위가 더욱 심화되어 더불어민주당이 59석 중 무려 51석을 쓸어담았다. 미래통합당은 단 7석에 그쳐 경기도 외곽 지역의 기존 텃밭을 제외하면 기반이 거의 붕괴되었다. 특히 서울 근교의 신도시 인구 밀집 지역에서 1% 미만의 차이로 신승한 성남시 분당구 갑을 빼고 전패했다.[13] 한편, 고양시 갑에서는 정의당심상정 의원이 거대양당과 무소속을 제외한 유일한 지역구 당선인이 되었다.[14]

2010년대 이후 첨단산업 일자리, 신도시 개발 등으로 서울에서 경기도로 이주하는 민주당계 지지층이 늘면서, 상대적으로 캐스팅보트화되는 서울과 달리 경기도가 갈수록 민주당 우세 지역화되고 있다. 세대별로 봐도 경기도 신도시 지역에는 민주당 지지율이 높은 세대의 비율이 높고, 지금도 계속 서울에서 경기도 신도시 쪽으로 인구가 유입되고 있다. 다만 1기 신도시 같은 경우는 연령대도 제법 높은데다가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 문제로 인해서 경합지역으로 갈 가능성도 있다. 그래도 경기도지사를 역임한 이재명이 민주당의 대선 후보로 선출되었기 때문에 이 점은 유리한 부분이다.

20대 대선 결과 서울에서 윤석열 후보가 승리한 것과 달리 경기도에서는 이재명 후보가 50.94% : 45.62%로 승리하면서 서울보다 민주당 지지세가 강한 지역임이 확인되었다. 다만 이때 이재명 후보와 경기도와의 연고를 생각하면 생각보다 득표율이 덜 나와서 아쉽다는 반응을 내비친 민주당 지지자도 있었다.[15] 북부에선 굉장히 선전했으나[16][17], 최대 표밭이자 민주당이 우세한 서남부에서 대체로 50%대 초중반에 그쳤기 때문.[18]

8회 지선에서는 허니문 선거의 영향으로 국민의힘이 전국적으로 승리하는 가운데서도 더불어민주당 김동연 경기도지사0.15%p(8,913표)차로 극적인 승리를 거두었고, 경기도의회는 더불어민주당이 78석, 국민의힘이 78석으로 동률이 되는 유례없는 일이 일어났다.[19] 또한 기초광역단체장에선 22:9로 국힘이 크게 승리했지만, 기초의회에선 반대로 더불어민주당이 넉넉히 앞서서 기초광역단체장 입장에선 여소야대로 시작하는 기초의회가 상당수 생겼다.

한편, 1기 신도시의 점진적 보수화도 지적되는 편이다. 1기 신도시의 경우 대부분 지어진지 30년이 넘는 아파트들이 태반이라 재건축 이슈가 고개를 들고 있고 2010년대 이후 지어지는 신도시들과는 다르게 임대비율이 낮고 대형평수가 많아서 의외로 서울의 양천구나 성동구, 광진구 같은 곳과 표심이 엇비슷하게 나오고 있다. 특히 8회 지선에서 기존에 민주당이 우세를 보이던 고양과 군포, 안산[20]에서 국민의힘이 시장을 배출하고 부천과 안양에서도 선전하면서 1기 신도시를 중심으로 경기도의 정치 지형이 점차 변화하고 있다.[21] 또한 광교신도시, 평촌신도시의 부동산 문제로 인해 수원시 영통구, 안양시 동안구 등 전통적인 민주당 강세 지역이 오히려 경합지로 변하기도 했다. 대신 평택, 용인시 처인구, 안성 등 보수 강세였던 지역이 개발로 외부인구가 유입되면서 민주당세가 강해지고 북한과 가까워 보수적이라고 여겨졌던 북부 지역도 파주, 의정부, 남양주 등의 인구급증으로 오히려 남부보다 민주당세가 강해지는 등 전통적인 서남부 vs 외곽이나 남부 vs 북부 구도 대신 새로운 정치 지형이 형성되고 있다.

2024년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총 의석 60석 중 민주당이 지난 총선과 비슷한 53석을 쓸어담으면서 민주당의 우세지역임을 공고히 했다. 특히 국민의힘이 참패하긴 했지만 그래도 어느정도 득표율을 올린 서울과 달리 경기도에서는 일부 도농복합이나 부촌을 제외하고는 득표율도 민주당과 차이가 많이 났기 때문에 국민의힘 입장에서는 점점 더 험지가 되어가고 있다. 거기에 국민의힘이 가져간 6곳 가운데 두자릿수 이상 격차가 난 곳은 없었고, 5% 이상 차이난 곳도 전부 3곳에 불과한 만큼 향후에는 이 지역들도 쉽게 장담할 수 없는 상황.

이렇게 최대 인구를 가진 경기도 지역에서의 민주당 우세가 지속되면서, 민주당이 총선에서 이전보다 훨씬 수월하게 과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즉, 이미 2003년 이후 최대 인구수를 가진 광역자치단체였고, 향후에도 인구가 점점 늘어날 것으로 보여 상대적으로 강한 진보세와 함께 민주당계에 든든한 백그라운드 지역이 될 것으로 기대되나, 경기도를 포함한 수도권 자체가 경제, 실리, 인물에 따라서 투표하는 경향도 상당하기 때문에 민주당 입장에서도 마냥 안심할 순 없고 앞으로도 가장 큰 정치적 영향력을 가진 스윙보터의 역할도 할 것으로 예측된다.

5. 최근 선거 결과

5.1. 대선

경기도 개표 결과
정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정의당 격차 투표율
후보 이재명 윤석열 심상정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4,428,151
(50.94%)
3,965,341
(45.62%)
205,709
(2.36%)
+ 462,810
(△5.32)
8,763,727
(76.65%)
수원시 385,312
(50.02%)
356,927
(46.33%)
19,897
(2.58%)
+ 28,385
(△3.69)
77.47%
성남시 308,047
(48.60%)
307,972
(48.58%)
12,932
(2.04%)
+ 75
(△0.02)
79.97%
의정부시 154,851
(52.92%)
127,348
(43.51%)
6,788
(2.31%)
+ 27,503
(△9.40)
73.94%
안양시 187,871
(49.92%)
175,699
(46.69%)
9,475
(2.51%)
+ 12,172
(△3.23)
80.39%
부천시 266,208
(53.87%)
209,903
(42.44%)
13,249
(2.50%)
+ 60,896
(△11.52)
76.17%
광명시 103,470
(52.50%)
87,112
(44.20%)
4,746
(2.40%)
+ 16,358
(△8.30)
80.31%
평택시 166,032
(49.44%)
156,630
(46.64%)
7,988
(2.37%)
+ 9,402
(△2.80)
71.66%
양주시 75,236
(52.12%)
63,800
(44.20%)
3,162
(2.19%)
+ 11,436
(△7.92)
73.76%
동두천시 28,495
(49.96%)
26,434
(46.34%)
1,125
(1.97%)
+ 2,061
(△3.61)
70.96%
안산시 225,083
(54.71%)
171,259
(41.63%)
9,666
(2.34%)
+ 53,824
(△13.08)
73.60%
고양시 363,624
(51.07%)
321,440
(45.14%)
20,650
(2.90%)
+ 42,184
(△5.92)
77.79%
과천시 21,072
(39.23%)
30,934
(57.59%)
1,314
(2.44%)
- 9,862
(▼18.36)
84.88%
의왕시 54,997
(49.00%)
53,556
(47.71%)
2,717
(2.42%)
+ 1,441
(△1.28)
80.95%
구리시 63,465
(50.10%)
58,865
(46.47%)
3,023
(2.38%)
+ 4,600
(△3.63)
77.72%
남양주시 239,179
(52.32%)
203,075
(44.42%)
10,089
(2.20%)
+ 36,104
(△7.90)
75.72%
오산시 72,877
(54.43%)
55,793
(41.67%)
3,352
(2.50%)
+ 17,084
(△12.76)
71.75%
화성시 283,324
(52.69%)
236,055
(43.90%)
12,955
(2.40%)
+ 47,269
(△8.79)
77.00%
시흥시 178,462
(56.69%)
125,544
(39.88%)
7,082
(2.24%)
+ 52,918
(△16.81)
74.68%
군포시 94,891
(52.29%)
80,277
(44.23%)
4,593
(2.53%)
+ 14,614
(△8.05)
79.64%
하남시 101,106
(48.75%)
100,088
(48.26%)
4,624
(2.22%)
+ 1,018
(△0.49)
78.78%
파주시[22] 157,155
(53.30%)
126,763
(42.99%)
7,176
(2.43%)
+ 30,392
(△10.31)
74.08%
여주시 30,695
(42.66%)
38,731
(53.83%)
1,458
(2.02%)
- 8,036
(▼11.17)
73.98%
이천시 63,562
(46.68%)
67,726
(49.74%)
2,995
(2.19%)
- 4,164
(▼3.06)
73.18%
용인시 336,628
(48.28%)
339,706
(48.72%)
15,219
(2.18%)
- 3,078
(▼0.44)
79.21%
안성시 56,723
(48.84%)
54,799
(47.19%)
2,892
(2.18%)
+ 1,924
(△1.66)
72.25%
김포시 153,206
(51.07%)
136,814
(45.61%)
6,905
(2.30%)
+ 16,392
(△5.46)
77.10%
광주시 130,220
(53.54%)
105,675
(43.45%)
4,596
(1.88%)
+ 24,545
(△10.09)
74.82%
포천시 44,320
(46.62%)
47,306
(49.76%)
1,903
(2.00%)
- 2,986
(▼3.14)
72.75%
연천군 12,013
(42.07%)
15,325
(53.67%)
604
(2.01%)
- 3,322
(▼13.54)
78.06%
양평군 34,324
(41.64%)
45,487
(55.18%)
1,662
(2.07%)
- 11,163
(▼17.09)
76.43%
가평군 16,684
(39.67%)
23,870
(56.76%)
872
(2.11%)
- 7,186
(▼11.60)
76.43%
경기도 이재명 득표율
상위 20개 읍·면·동 하위 20개 읍·면·동
순위 시·군·구 읍·면·동 득표율 순위 시·군·구 읍·면·동 득표율
1위 시흥시 배곧1동 60.73% 1위 여주시 금사면 29.37%
2위 성남시 수정구 신흥1동 60.68% 2위 성남시 분당구 정자1동 31.08%
3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3동 60.17% 3위 과천시 중앙동 34.00%
4위 성남시 수정구 산성동 59.94% 4위 여주시 대신면 34.18%
5위 시흥시 정왕3동 59.72% 5위 이천시 설성면 34.53%
6위 안산시 상록구 일동 59.72% 6위 양평군 양동면 34.81%
7위 성남시 중원구 은행1동 59.72% 7위 여주시 흥천면 34.98%
8위 시흥시 정왕2동 59.51% 8위 가평군 설악면 35.04%
9위 안산시 상록구 본오1동 59.38% 9위 가평군 북면 35.19%
10위 성남시 수정구 수진1동 59.37% 10위 이천시 모가면 35.31%
11위 안산시 단원구 와동 59.35% 11위 광주시 남종면 35.52%
12위 성남시 수정구 양지동 59.32% 12위 용인시 수지구 성복동 35.65%
13위 시흥시 정왕4동 59.21% 13위 양평군 청운면 35.90%
14위 시흥시 정왕1동 59.05% 14위 양평군 강하면 36.33%
15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1동 58.96% 15위 여주시 세종대왕면 36.68%
16위 성남시 수정구 태평2동 58.84% 16위 성남시 분당구 이매2동 36.69%
17위 성남시 수정구 태평4동 58.84% 17위 과천시 별양동 36.74%
18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2동 58.73% 18위 포천시 화현면 36.77%
19위 성남시 수정구 태평3동 58.48% 19위 연천군 장남면 36.83%
20위 성남시 중원구 은행2동 58.40% 20위 연천군 청산면 36.83%
경기도 윤석열 득표율
상위 20개 읍·면·동 하위 20개 읍·면·동
순위 시·군·구 읍·면·동 득표율 순위 시·군·구 읍·면·동 득표율
1위 여주시 금사면 68.67% 1위 시흥시 배곧1동 36.18%
2위 성남시 분당구 정자1동 66.92% 2위 성남시 수정구 신흥1동 36.35%
3위 과천시 중앙동 63.21% 3위 안산시 단원구 와동 36.44%
4위 여주시 대신면 62.51% 4위 성남시 중원구 은행1동 36.52%
5위 이천시 설성면 62.47% 5위 성남시 수정구 산성동 36.81%
6위 용인시 수지구 성복동 62.21% 6위 안산시 상록구 일동 36.82%
7위 가평군 설악면 62.17% 7위 시흥시 정왕2동 36.88%
8위 이천시 모가면 62.16% 8위 시흥시 정왕3동 37.00%
9위 양평군 양동면 62.08% 9위 안산시 상록구 본오1동 37.02%
10위 여주시 흥천면 61.90% 10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3동 37.03%
11위 광주시 남종면 61.59% 11위 시흥시 정왕1동 37.42%
12위 가평군 북면 61.58% 12위 시흥시 정왕4동 37.48%
13위 성남시 분당구 이매2동 61.33% 13위 성남시 수정구 양지동 37.54%
14위 양평군 강하면 61.24% 14위 성남시 수정구 수진1동 37.65%
15위 양평군 청운면 60.98% 15위 성남시 수정구 태평4동 37.76%
16위 성남시 분당구 수내2동 60.75% 16위 시흥시 정왕본동 37.98%
17위 하남시 춘궁동 60.37% 17위 성남시 수정구 태평2동 38.05%
18위 안산시 단원구 대부동 60.30% 18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1동 38.07%
19위 여주시 세종대왕면 60.29% 19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2동 38.29%
20위 과천시 별양동 60.17% 20위 시흥시 은행동 38.34%

5.1.1. 이전 대선과의 비교

2017년 19대 대선 / 2022년 20대 대선 득표율 비교
선거 범진보 (더불어민주당, 정의당) 범보수 (자유한국당, 바른정당, 국민의힘) 격차
19대 대선[23] 20대 대선[24] 증감률 19대 대선[25] 20대 대선[26] 증감률
득표율 3,866,185
(49.01%)
4,633,860
(53.31%)
+ 767,675
(△4.30)
2,177,368
(27.60%)
3,965,341
(45.62%)
+ 1,787,973
(△18.02)
+ 668,519
(+ 7.69%)
수원시 팔달구 47.26% 51.47% △4.21 29.27% 47.28% △18.01 + 4.20
수원시 장안구 49.97% 53.05% △3.08 26.76% 45.84% △19.08 + 7.21
수원시 권선구 50.08% 54.47% △4.39 26.33% 44.31% △17.98 + 10.15
수원시 영통구 54.75% 50.99% ▼3.76 23.59% 48.22% △24.63 + 2.77
의정부시 47.82% 55.23% △7.41 27.56% 43.51% △15.95 + 11.72
고양시 덕양구 52.47% 55.42% △2.95 25.57% 43.64% △18.07 + 11.78
고양시 일산동구 51.62% 52.17% △0.55 26.08% 46.97% △20.89 + 5.20
고양시 일산서구 52.42% 53.39% △0.97 25.58% 45.78% △20.20 + 7.61
성남시 수정구 49.39% 55.94% △6.55 25.33% 43.08% △17.75 + 12.86
성남시 중원구 49.46% 59.22% △9.76 24.89% 39.69% △14.80 + 19.53
성남시 분당구 47.53% 44.45% ▼3.08 30.15% 55.00% △24.85 - 10.55
부천시 51.02% 56.47% △5.45 24.84% 42.44% △17.60 + 14.03
안양시 만안구 48.82% 53.63% △4.81 27.58% 45.32% △17.74 + 8.31
안양시 동안구 50.68% 51.55% △0.87 26.37% 47.71% △21.34 + 3.84
안산시 상록구 51.08% 57.49% △6.41 23.97% 41.16% △17.19 + 16.32
안산시 단원구 50.41% 56.57% △6.16 24.55% 42.16% △17.61 + 14.41
용인시 처인구 44.44% 52.05% △7.61 31.18% 46.64% △15.46 + 5.40
용인시 기흥구 50.63% 52.04% △1.41 27.76% 47.19% △19.43 + 4.85
용인시 수지구 48.16% 47.61% ▼0.55 30.57% 51.83% △21.26 - 4.22
광명시 51.49% 54.91% △3.42 24.26% 44.20% △19.94 + 10.71
평택시 45.75% 51.82% △6.07 30.14% 46.64% △16.50 + 5.18
동두천시 41.86% 51.93% △10.07 34.30% 46.34% △12.04 + 5.59
구리시 48.41% 52.49% △4.08 27.86% 46.47% △18.61 + 6.02
과천시 47.56% 41.68% ▼5.88 30.51% 57.59% △27.08 - 15.92
남양주시 48.25% 54.53% △6.28 28.11% 44.42% △16.31 + 10.11
시흥시 50.71% 58.94% △8.23 24.37% 39.88% △15.51 + 19.06
군포시 51.29% 54.82% △3.53 25.69% 44.23% △18.54 + 10.58
의왕시 49.02% 51.42% △2.40 27.80% 47.71% △19.91 + 3.70
오산시 51.41% 56.93% △5.52 25.14% 41.67% △16.53 + 15.26
하남시 47.26% 50.98% △3.72 29.95% 48.26% △18.31 + 2.72
파주시 49.77% 55.74% △5.97 28.20% 42.99% △14.79 + 12.74
이천시 43.39% 48.88% △5.49 34.00% 49.74% △15.74 - 0.86
김포시 48.22% 53.37% △5.15 28.57% 45.61% △17.04 + 7.77
안성시 44.36% 51.33% △6.97 31.23% 47.19% △15.96 + 4.15
화성시 52.72% 55.10% △2.38 24.74% 43.90% △19.16 + 11.20
광주시 46.86% 55.43% △8.57 29.04% 43.45% △14.41 + 11.98
양주시 44.89% 54.31% △9.42 30.92% 44.20% △13.28 + 10.11
포천시 36.81% 48.62% △11.81 37.53% 49.76% △12.23 - 1.14
여주시 38.03% 44.68% △6.65 39.03% 53.83% △14.80 - 9.14
양평군 36.11% 43.65% △7.54 41.05% 55.18% △14.13 - 11.53
가평군 33.62% 41.75% △8.13 41.71% 56.76% △15.05 - 15.02
연천군 35.02% 44.19% △9.17 40.27% 53.67% △13.40 - 9.49

5.2. 총선

<rowcolor=#FFFFFF>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
파일:제19대 국회의원 선거 경기도 지역구 결과.svg 파일:제20대 총선 경기도 지역구 결과.svg
새누리당 민주통합당 통합진보당 새누리당 더불어민주당 정의당
21석 29석 2석 19석 40석 1석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
파일:제21대 총선 경기도 지역구 결과.svg 파일:제22대 총선 경기도 지역구 결과.svg
더불어민주당 미래통합당 정의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개혁신당
51석 7석 1석 53석 6석 1석
경기도 개표 결과 (시·군·구별)
국회의원 비례대표
정당 더불어민주당 미래통합당 정의당 더불어시민당 미래한국당 정의당 국민의당 열린민주당
의석수/비례1위 51석 7석 1석 19개[27] 12개[28] - - -
득표수
(득표율)
3,836,642
(53.93%)
2,925,564
(41.12%)
135,020
(1.89%)
2,398,041
(34.72%)
2,168,605
(31.39%)
720,174
(10.42%)
502,491
(7.27%)
408,476
(5.91%)
수원시 57.33% 39.08%[29] 1.69% 35.07% 30.20% 10.84% 8.12% 5.98%
의정부시 54.66%[30] 38.18% - 35.94% 29.17% 9.75% 6.85% 5.62%
고양시 47.21% 39.65% 11.25% 32.42% 30.05% 14.63% 7.43% 6.67%
성남시 52.69%[31] 43.60% 0.55% 32.64% 33.64% 9.12% 8.33% 6.17%
부천시 57.67% 36.34% 4.93% 38.26% 28.10% 11.08% 6.87% 5.55%
안양시 54.28% 41.38% 3.60% 34.43% 31.57% 11.67% 7.47% 5.78%
안산시 55.96% 41.55% - 37.77% 29.19% 9.55% 6.64% 5.26%
용인시 52.93% 45.70% 0.48% 33.24% 33.36% 9.37% 7.97% 6.77%
광명시 55.90%[32] 33.74%[33] - 36.92% 28.36% 10.29% 7.43% 6.18%
평택시 48.16% 47.54% - 32.88% 34.56% 9.19% 6.71% 5.16%
동두천시 47.26% 51.45% - 33.03% 36.86% 7.87% 5.45% 4.45%
구리시 58.64% 39.41% - 35.31% 31.57% 9.97% 7.31% 5.77%
과천시 40.75% 46.61% 4.40% 26.73% 35.48% 11.12% 9.51% 6.43%
남양주시 55.20% 39.52%[34] 0.87% 35.71% 31.18% 9.96% 6.63% 6.18%
시흥시 58.41% 39.09% 1.53% 39.09% 26.87% 11.06% 6.79% 5.72%
군포시 57.41% 40.37% - 35.88% 29.34% 10.58% 8.08% 6.20%
의왕시 44.37% 34.69% 2.98% 32.60% 30.81% 10.45% 7.32% 5.79%
오산시 56.71% 41.06% - 37.29% 28.93% 10.34% 6.92% 5.43%
하남시 50.77% 33.24%[35] - 33.75% 33.14% 9.58% 7.91% 6.16%
파주시 58.35% 40.05% - 35.21% 30.91% 10.54% 6.51% 6.00%
이천시 45.68% 51.99% - 31.09% 38.39% 8.62% 5.98% 4.56%
김포시 53.37%[36] 41.56% - 35.38% 31.38% 9.87% 7.40% 6.25%
안성시 51.44% 47.13% - 32.53% 34.47% 9.79% 5.90% 4.87%
화성시 60.20%[37] 37.29% - 37.34% 27.89% 10.53% 8.17% 6.39%
광주시 56.51% 42.44% - 35.94% 32.69% 9.04% 6.11% 5.68%
양주시 62.64% 36.21% - 36.32% 31.65% 9.08% 5.87% 5.24%
포천시 48.70% 48.10% - 30.12% 39.95% 7.71% 5.37% 3.91%
여주시 41.78% 52.95% 3.71% 27.33% 42.78% 9.76% 4.75% 3.87%
양평군 38.79% 56.71% 3.43% 25.78% 43.92% 9.94% 5.07% 4.71%
가평군 42.32% 54.89% - 25.60% 45.73% 7.29% 5.42% 3.74%
연천군 40.78% 57.66% - 27.84% 42.82% 7.49% 5.47% 3.25%
경기도 개표 결과 (지역구별)
국회의원 비례대표
정당 더불어민주당 미래통합당 정의당 더불어시민당 미래한국당 정의당 국민의당 열린민주당
의석수/비례1위 51석 7석 1석 41개[38] 18개[39] - - -
득표수
(득표율)
3,836,642
(53.93%)
2,925,564
(41.12%)
135,020
(1.89%)
2,398,041
(34.72%)
2,168,605
(31.39%)
720,174
(10.42%)
502,491
(7.27%)
408,476
(5.91%)
수원시 갑 76,875
(59.17%)
51,428
(39.58%)
- 35.35% 31.38% 10.03% 7.47% 5.65%
수원시 을 84,500
(60.68%)
53,334
(38.30%)
- 36.73% 29.15% 10.66% 7.50% 5.61%
수원시 병 50,369
(53.07%)
40,374
(42.54%)
2,408
(2.53%)
33.39% 33.42% 9.68% 7.13% 5.39%
수원시 정 79,557
(57.42%)
52,585
(37.95%)[40]
- 34.34% 29.26% 11.00% 9.56% 6.92%
수원시 무 82,002
(55.21%)
56,793
(38.24%)
8,653
(5.82%)
34.63% 30.19% 12.12% 8.46% 5.82%
의정부시 갑 54,806
(53.03%)[41]
38,644
(37.39%)
- 35.26% 30.61% 9.29% 6.37% 5.30%
의정부시 을 71,573
(55.98%)
49,640
(38.83%)
- 36.14% 29.10% 9.85% 7.20% 5.50%
고양시 갑 39,268
(27.36%)
47,003
(32.75%)
56,516
(39.38%)
30.23% 28.68% 20.99% 6.12% 5.77%
고양시 을 80,739
(52.47%)
55,032
(35.76%)
11,649
(7.57%)
33.24% 28.90% 14.53% 7.52% 6.39%
고양시 병 80,068
(54.26%)
65,981
(44.72%)
- 31.71% 32.75% 11.98% 7.91% 6.74%
고양시 정 85,943
(53.42%)
72,188
(44.87%)
- 33.55% 31.13% 11.40% 8.17% 7.17%
성남시 수정구 76,830
(60.31%)
45,617
(35.81%)
- 36.82% 29.19% 8.83% 7.19% 5.65%
성남시 중원구 65,947
(54.62%)
50,315
(41.67%)
- 38.53% 29.18% 8.26% 6.22% 5.23%
성남시 분당구 갑 77,006
(49.34%)
78,134
(50.06%)
- 28.54% 37.32% 9.29% 9.99% 6.78%
성남시 분당구 을 68,387
(47.94%)[42]
64,342
(45.10%)
3,021
(2.11%)
27.67% 38.53% 9.71% 9.52% 6.42%
부천시 갑 48,002
(59.17%)
29,266
(36.07%)
2,994
(3.69%)
39.17% 28.94% 9.75% 6.02% 4.78%
부천시 을 80,889
(54.90%)
58,341
(39.60%)
6,162
(4.18%)
36.78% 29.81% 10.66% 8.08% 5.80%
부천시 병 77,577
(60.55%)
41,642
(32.50%)
7,763
(6.05%)
37.81% 27.91% 12.14% 6.74% 5.22%
부천시 정 49,552
(56.74%)
32,094
(36.75%)
4,984
(5.70%)
39.35% 28.31% 10.50% 5.85% 5.01%
안양시 만안구 75,266
(53.60%)
59,438
(42.33%)
4,706
(3.35%)
35.37% 32.02% 10.82% 6.66% 5.26%
안양시 동안구 갑 56,345
(55.33%)
40,490
(39.76%)
4,344
(4.26%)
33.96% 31.67% 11.73% 7.89% 5.83%
안양시 동안구 을 49,736
(54.15%)
38,327
(41.73%)
2,980
(3.24%)
32.89% 32.04% 12.75% 8.35% 6.10%
안산시 상록구 갑 59,021
(58.55%)
38,367
(38.06%)
- 38.08% 28.86% 9.37% 6.65% 5.28%
안산시 상록구 을 43,599
(57.77%)
30,747
(40.74%)
- 38.21% 29.29% 9.52% 6.11% 5.21%
안산시 단원구 갑 42,009
(55.74%)
31,086
(41.25%)
- 38.43% 30.01% 8.67% 6.01% 4.61%
안산시 단원구 을 42,150
(51.32%)
38,497
(46.87%)
- 36.06% 30.78% 10.30% 7.60% 5.23%
용인시 갑 60,357
(45.93%)
69,826
(53.14%)
- 33.54% 34.99% 8.62% 6.28% 5.38%
용인시 을 89,697
(60.08%)
57,671
(38.63%)
- 35.65% 30.26% 9.76% 8.11% 6.78%
용인시 병 84,492
(51.55%)
78,562
(47.94%)
- 30.74% 35.20% 9.42% 9.23% 7.33%
용인시 정 79,794
(53.46%)
65,358
(43.79%)
2,890
(1.93%)
32.89% 34.16% 9.34% 8.00% 6.98%
광명시 갑 43,019
(47.66%)[43]
33,380
(36.98%)[44]
- 35.78% 30.02% 9.39% 7.08% 5.66%
광명시 을 58,130
(64.09%)
27,671
(30.51%)[45]
- 37.97% 27.55% 10.98% 7.73% 6.35%
평택시 갑 62,564
(50.22%)
59,063
(47.41%)[46]
- 33.42% 34.66% 9.27% 6.77% 4.97%
평택시 을 57,540
(46.11%)[47]
59,491
(47.67%)[48]
- 32.06% 35.52% 9.03% 6.55% 5.04%
동두천시·연천군 32,562
(45.01%)
38,777
(53.61%)
- 31.24% 38.92% 7.74% 5.45% 4.03%
구리시 64,668
(58.64%)
43,456
(39.41%)
- 35.31% 31.57% 9.97% 7.31% 5.77%
과천시·의왕시 58,938
(43.38%)
51,556
(37.95%)
- 31.00% 32.09% 10.63% 7.92% 5.97%
남양주시 갑 59,779
(57.95%)
39,318
(38.11%)
- 36.42% 30.43% 9.47% 6.10% 6.11%
남양주시 을 68,660
(59.08%)
36,526
(31.43%)[49]
- 37.02% 30.00% 9.77% 6.86% 6.18%
남양주시 병 71,776
(50.07%)
67,490
(47.08%)
3,173
(2.21%)
33.65% 34.20% 10.20% 6.85% 5.70%
시흥시 갑 68,653
(51.71%)
59,595
(44.89%)
3,622
(2.72%)
37.88% 28.80% 11.08% 6.54% 5.40%
시흥시 을 69,270
(67.02%)
32,700
(31.63%)
- 40.71% 25.10% 10.96% 7.20% 5.78%
군포시 91,256
(57.41%)
64,167
(40.37%)
- 35.88% 29.34% 10.58% 8.08% 6.20%
오산시 61,926
(56.71%)
44,834
(41.06%)
- 37.29% 28.93% 10.34% 6.92% 5.43%
하남시 76,572
(50.77%)
50,141
(33.24%)[50]
- 33.75% 33.14% 9.58% 7.91% 6.16%
파주시 갑 85,058
(60.93%)
52,122
(37.33%)
- 36.35% 28.70% 11.09% 7.20% 6.56%
파주시 을 48,569
(54.33%)
39,588
(44.29%)
- 32.95% 35.72% 9.34% 5.47% 4.59%
이천시 49,682
(45.68%)
56,544
(51.99%)
- 31.09% 38.39% 8.62% 5.98% 4.56%
김포시 갑 58,613
(52.88%)[51]
42,660
(38.49%)
- 34.88% 31.53% 10.17% 7.80% 6.10%
김포시 을 63,193
(53.83%)
52,200
(44.46%)
- 35.53% 32.17% 9.44% 7.08% 6.06%
안성시 49,721
(51.44%)
45,554
(47.13%)
- 32.53% 34.47% 9.79% 5.90% 4.87%
화성시 갑 58,689
(49.65%)[52]
52,291
(44.24%)
- 33.51% 34.97% 8.73% 5.82% 4.90%
화성시 을 98,612
(64.53%)
52,802
(34.55%)
- 38.37% 23.99% 11.81% 10.75% 7.57%
화성시 병 88,793
(64.45%)
47,377
(34.38%)
- 39.61% 26.55% 10.62% 7.49% 5.93%
광주시 갑 53,221
(56.14%)
40,469
(42.69%)
- 36.21% 32.92% 9.08% 6.16% 5.12%
광주시 을 52,468
(56.88%)
38,910
(42.18%)
- 34.71% 34.39% 8.73% 6.11% 5.50%
양주시 69,905
(62.64%)
40,414
(36.21%)
- 36.32% 31.65% 9.08% 5.87% 5.24%
포천시·가평군 50,875
(46.68%)
54,771
(50.25%)
- 28.68% 41.79% 7.57% 5.39% 3.86%
여주시·양평군 51,574
(40.17%)
70,575
(54.97%)
4,574
(3.56%)
26.50% 43.39% 9.86% 4.92% 4.32%
====# 제20대, 제21대 총선간의 비교 #====
  • 수원시, 고양시, 용인시 지역구는 일반구와 불일치하는 선거구 획정이 있으므로 실제 행정구역으로 계산함.
2016년 20대 총선 / 2020년 21대 총선(비례) 득표율 비교
범진보 (더불어민주당, 정의당, 열린민주당) 중도 (국민의당) 범보수 (새누리당 → 미래통합당, 국민의당)
선거 20대 총선[53] 21대 총선[54] 증감률 20대 총선[55] 20대 총선[56] 21대 총선[57] 증감률 격차
득표율 1,952,920
(34.62%)
3,526,691
(51.06%)
+ 1,573,771
{△16.44}
1,521,240
(26.96%)
1,821,246
(32.28%)
2,671,096
(38.67%)
+ 849,850
{△6.39}
855,595
(+ 12.39%)
수원시 팔달구 34.78% 48.48% △13.70 24.71% 34.87% 40.56% △5.69 + 7.92
수원시 장안구 36.41% 51.39% △14.98 27.15% 30.86% 38.62% △7.76 + 12.77
수원시 권선구 36.50% 52.45% △15.95 25.98% 31.28% 37.16% △5.88 + 15.29
수원시 영통구 41.99% 53.35% △11.36 28.31% 25.05% 38.23% △13.18 + 15.12
의정부시 31.49% 51.31% △19.82 28.43% 33.84% 36.03% △2.19 + 15.29
고양시 덕양구 38.53% 56.57% △18.04 24.08% 31.32% 34.62% △3.30 + 21.95
고양시 일산동구 36.69% 50.86% △14.17 28.07% 29.75% 40.28% △10.53 + 10.58
고양시 일산서구 37.44% 51.99% △14.55 27.94% 29.53% 39.38% △9.85 + 12.61
성남시 수정구 35.65% 51.31% △15.66 28.18% 29.66% 36.38% △6.72 + 14.93
성남시 중원구 33.55% 52.03% △18.48 27.55% 32.91% 35.41% △2.49 + 16.62
성남시 분당구 35.31% 44.88% △9.57 28.14% 31.84% 46.94% △15.11 - 2.06
부천시 35.30% 54.90% △19.60 29.45% 29.10% 34.98% △5.88 + 19.92
안양시 만안구 34.58% 51.47% △16.89 27.03% 32.69% 38.69% △5.99 + 12.78
안양시 동안구 37.77% 52.21% △14.44 28.03% 28.71% 39.30% △10.59 + 12.91
안산시 상록구 33.53% 53.19% △19.66 31.21% 28.02% 34.95% △6.93 + 18.24
안산시 단원구 33.18% 51.91% △18.73 29.78% 31.00% 36.82% △5.81 + 15.09
용인시 처인구 30.09% 47.55% △17.46 25.24% 38.15% 41.28% △3.12 + 6.27
용인시 기흥구 37.98% 51.67% △13.69 27.20% 28.71% 39.08% △10.37 + 12.59
용인시 수지구 34.70% 47.80% △13.10 28.78% 31.37% 44.07% △12.71 + 3.73
광명시 37.32% 53.40% △16.08 28.73% 27.84% 35.79% △7.95 + 17.61
평택시 28.70% 47.25% △18.55 26.86% 37.42% 41.27% △3.85 + 5.98
동두천시 26.67% 45.36% △18.69 24.12% 42.20% 42.32% △0.11 + 3.04
과천시 33.49% 44.29% △10.80 26.80% 30.36% 45.00% △14.64 - 0.70
구리시 32.92% 51.06% △18.14 27.48% 34.09% 38.88% △4.79 + 12.18
남양주시 32.99% 51.87% △18.88 28.28% 32.34% 37.81% △5.47 + 14.06
시흥시 35.07% 55.88% △20.81 27.14% 31.09% 33.67% △2.58 + 22.21
군포시 35.58% 52.67% △17.09 30.21% 28.49% 37.42% △8.93 + 15.25
의왕시 34.87% 48.86% △13.99 27.46% 30.72% 38.14% △7.42 + 10.72
오산시 36.23% 53.08% △16.85 26.45% 30.18% 35.85% △5.68 + 17.23
하남시 30.89% 49.50% △18.61 27.05% 36.51% 41.05% △4.54 + 8.45
파주시 35.07% 51.76% △16.69 23.47% 34.02% 37.43% △3.40 + 14.33
이천시 30.50% 44.28% △13.78 20.21% 41.89% 44.37% △2.49 - 0.10
김포시 34.49% 51.51% △17.02 24.88% 34.86% 38.79% △3.93 + 12.72
안성시 30.29% 47.20% △16.91 24.04% 38.79% 40.37% △1.58 + 6.83
화성시 37.49% 54.26% △16.77 26.99% 29.35% 36.06% △6.72 + 18.20
광주시 34.25% 50.67% △16.42 24.88% 34.55% 38.81% △4.26 + 11.86
양주시 34.10% 50.65% △16.55 21.42% 38.03% 37.53% ▼0.50 + 13.12
포천시 25.35% 41.74% △16.39 21.09% 46.40% 45.33% ▼1.07 - 3.59
여주시 25.75% 40.97% △15.22 19.46% 47.97% 47.53% ▼0.44 - 6.56
양평군 25.13% 40.45% △15.32 20.94% 46.85% 49.00% △2.14 - 8.55
가평군 21.63% 36.64% △15.01 19.75% 51.85% 51.15% ▼0.70 - 14.51
연천군 22.85% 38.58% △15.73 21.18% 48.98% 48.29% ▼0.69 - 9.71

5.3. 지선

<rowcolor=#ffffff> 8회 지방선거 결과 현재 지방자치단체장 정당 현황
(글자 뒤 배경은 지방선거 때 당선인의 정당)
파일:경기지선 2022.png 파일:경기지선 2022.png
경기도 개표 결과 (자치단체장)
경기도지사 시장 · 군수
정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정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후보 김동연 김은혜 의석수 9석 22석
득표수
(득표율)
2,827,593
(49.06%)
2,818,680
(48.91%)
득표수
(득표율)
2,732,028
(47.78%)
2,951,384
(51.61%)
수원시 260,941
(50.64%)
244,236
(47.40%)
수원시 258,456
(50.28%)
255,528
(49.71%)
성남시 207,206
(46.21%)
232,151
(51.78%)
성남시 191,613
(42.88%)
250,022
(55.96%)
의정부시 92,465
(49.70%)
89,731
(48.23%)
의정부시 85,326
(45.93%)
97,594
(52.53%)
안양시 131,860
(49.84%)
127,940
(48.36%)
안양시 133,712
(50.64%)
130,303
(49.35%)
부천시 182,163
(52.95%)
154,942
(45.04%)
부천시 180,005
(52.49%)
162,895
(47.50%)
광명시 72,415
(52.39%)
63,270
(45.77%)
광명시 73,759
(53.44%)
64,255
(46.55%)
평택시 96,908
(47.08%)
104,256
(50.65%)
평택시 107,159
(52.08%)
98,566
(47.91%)
양주시 45,206
(48.07%)
46,797
(49.77%)
양주시 43,728
(46.59%)
48,002
(51.14%)
동두천시 17,338
(44.34%)
20,853
(53.33%)
동두천시 16,792
(43.01%)
21,063
(53.95%)
안산시 133,984
(51.97%)
118,175
(45.84%)
안산시 119,595
(46.45%)
119,776
(46.52%)
고양시 237,396
(49.52%)
231,022
(48.19%)
고양시 214,590
(44.85%)
249,486
(52.14%)
과천시 18,126
(42.81%)
23,042
(54.43%)
과천시 18,384
(43.63%)
23,746
(56.36%)
의왕시 39,383
(49.34%)
38,873
(48.70%)
의왕시 35,302
(44.30%)
44,375
(55.69%)
구리시 42,564
(48.78%)
43,098
(49.39%)
구리시 37,986
(43.56%)
47,168
(54.09%)
남양주시 147,630
(49.83%)
143,096
(48.30%)
남양주시 137,915
(46.55%)
158,315
(53.44%)
오산시 42,038
(51.07%)
38,577
(46.87%)
오산시 38,968
(47.45%)
40,723
(49.59%)
화성시 173,747
(52.03%)
153,636
(46.01%)
화성시 176,631
(53.03%)
156,386
(46.96%)
시흥시 104,762
(54.19%)
84,897
(43.91%)
시흥시 106,468
(55.54%)
85,217
(44.45%)
군포시 65,647
(51.65%)
58,979
(46.40%)
군포시 62,821
(49.55%)
63,955
(50.44%)
하남시 66,362
(47.88%)
69,943
(50.46%)
하남시 60,823
(43.97%)
77,493
(56.02%)
파주시 93,171
(50.37%)
87,769
(47.45%)
파주시 92,512
(50.14%)
91,981
(49.85%)
여주시 18,598
(37.38%)
30,015
(60.33%)
여주시 16,603
(33.32%)
33,224
(66.67%)
이천시 37,422
(42.84%)
47,937
(54.87%)
이천시 39,711
(45.41%)
47,729
(54.58%)
용인시 226,668
(47.35%)
243,307
(50.83%)
용인시 213,162
(44.62%)
264,487
(55.37%)
안성시 36,515
(45.32%)
42,168
(52.33%)
안성시 40,497
(50.35%)
39,930
(49.64%)
김포시 92,596
(47.67%)
98,054
(50.48%)
김포시 86,798
(44.79%)
101,566
(52.42%)
광주시 72,344
(47.97%)
75,812
(50.27%)
광주시 69,369
(46.11%)
81,061
(53.88%)
포천시 27,683
(41.73%)
36,951
(55.70%)
포천시 31,743
(47.66%)
34,858
(52.33%)
연천군 8,541
(38.49%)
12,886
(58.07%)
연천군 6,000
(26.92%)
10,580
(47.46%)
양평군 24,692
(39.56%)
36,357
(58.26%)
양평군 28,298
(45.33%)
34,125
(54.66%)
가평군 11,222
(34.80%)
19,910
(61.74%)
가평군 7,302
(22.51%)
16,975
(52.34%)
경기도 개표 결과 (광역의원)
도의회의원 비례대표
정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정의당 기본소득당
의석수 78석 78석 2,605,942
(45.42%)
2,875,636
(50.12%)
206,703
(3.60%)
13,487
(0.23%)
수원시 5 7 45.73% 48.84% 4.44% 0.24%
성남시 4 4 42.54% 52.99% 3.48% 0.24%
의정부시 2 2 46.40% 49.37% 3.28% 0.19%
안양시 3 3 45.87% 49.59% 3.85% 0.21%
부천시 8 0 49.15% 45.82% 4.28% 0.25%
광명시 3 1 48.63% 47.12% 3.48% 0.25%
평택시 2 4 43.92% 51.91% 3.17% 0.26%
양주시 0 2 45.33% 51.23% 2.60% 0.22%
동두천시 1 1 42.85% 54.02% 2.12% 0.34%
안산시 7 1 48.82% 46.99% 3.11% 0.31%
고양시 5 7 44.75% 49.13% 5.24% 0.24%
과천시 0 1 37.31% 56.86% 4.51% 0.19%
의왕시 0 2 44.87% 50.62% 3.54% 0.23%
구리시 0 2 45.30% 50.86% 3.14% 0.19%
남양주시 5 2 46.65% 49.48% 3.21% 0.18%
오산시 2 0 47.84% 48.05% 3.35% 0.22%
화성시 7 1 48.25% 47.17% 3.64% 0.22%
시흥시 5 0 50.75% 45.26% 3.25% 0.23%
군포시 4 0 47.55% 48.12% 3.58% 0.21%
하남시 1 2 44.35% 51.87% 3.18% 0.16%
파주시 2 3 46.85% 48.37% 3.84% 0.25%
여주시 0 2 34.55% 62.05% 2.55% 0.24%
이천시 0 2 40.20% 56.36% 2.60% 0.26%
용인시 2 8 43.61% 52.54% 3.14% 0.20%
안성시 1 1 43.52% 52.33% 3.22% 0.21%
김포시 1 3 45.06% 51.24% 2.99% 0.20%
광주시 1 3 45.35% 51.09% 2.79% 0.19%
포천시 0 2 40.13% 56.59% 2.29% 0.33%
연천군 0 1 36.65% 59.45% 2.35% 0.75%
양평군 0 2 36.95% 58.98% 3.25% 0.23%
가평군 0 1 33.34% 62.80% 2.52% 0.59%
지역구 합 71석 70석 7석 8석 0석 0석
경기도 개표 결과 (기초의원 · 교육감)
구의회의원 교육감
정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진보당 무소속 성기선 임태희
의석수/득표수
(득표율)
232석 229석 1석 1석 2,541,864
(45.20%)
3,081,100
(54.79%)
수원시 16 20 1 0 45.81% 54.18%
성남시 16 18 0 0 42.60% 57.39%
의정부시 8 5 0 0 46.50% 53.49%
안양시 11 9 0 0 45.74% 54.26%
부천시 15 12 0 0 48.75% 51.24%
광명시 6 5 0 0 48.68% 51.31%
평택시 10 8 0 0 44.56% 55.43%
양주시 4 4 0 0 43.02% 56.97%
동두천시 3 4 0 0 40.88% 59.11%
안산시 11 9 0 0 46.74% 53.25%
고양시 17 17 0 0 46.36% 53.63%
과천시 2 5 0 0 40.85% 59.14%
의왕시 3 2 0 0 45.01% 54.98%
구리시 5 3 0 0 45.52% 54.77%
남양주시 10 11 0 0 45.72% 54.27%
오산시 5 2 0 0 46.53% 53.46%
화성시 13 12 0 0 47.44% 52.55%
시흥시 9 7 0 0 46.30% 53.69%
군포시 6 3 0 0 46.33% 53.66%
하남시 5 5 0 0 43.79% 56.20%
파주시 8 7 0 0 47.53% 52.46%
여주시 3 4 0 0 38.51% 61.48%
이천시 3 6 0 0 40.31% 59.68%
용인시 17 15 0 0 43.89% 56.10%
안성시 3 5 0 0 41.44% 58.55%
김포시 7 7 0 0 44.51% 55.48%
광주시 6 5 0 0 43.88% 56.11%
포천시 3 3 0 1 40.06% 59.93%
연천군 2 5 0 0 38.54% 61.45%
양평군 2 5 0 0 40.21% 59.78%
가평군 3 4 0 0 36.84% 63.15%
지역구 합 208석 196석 1석 1석
비례표 24석 33석 0 0

6. 역대 경기도 선거 결과

<rowcolor=#FFF> 역대 1위 횟수 민주당계 정당 보수정당 무소속
19 24 3
[58][59]
<rowcolor=#FFF> 역대 선거 1위 2위, 3위
1948년 총선 무소속 16석 대한독립국민촉성회 7석 대동청년단 3석
1950년 총선 무소속 21석 민주국민당 4석 대한국민당 2석
1952년 대선 이승만 87.65% 조봉암 5.99%
1952년 부통령 함태영 45.58% 이범석 33.12%
1954년 총선 자유당 15석 무소속 7석 민주국민당 1석
1956년 대선 이승만 77.13% 조봉암 22.86%
1956년 부통령 장면 44.94% 이기붕 42.37%
1958년 총선 자유당 15석 민주당 8석 무소속 2석
1960년 총선 민주당 14석 무소속 11석
1960년 지선 신광균 26.80% 김정렬 25.70% 윤원선 18.00%
1963년 대선 윤보선 56.87% 박정희 33.05%
1963년 총선 민주공화당 7석 민정당 5석 민주당 1석
1967년 대선 윤보선 52.62% 박정희 40.98%
1967년 총선 민주공화당 10석 신민당 3석
1971년 대선 김대중 49.47% 박정희 48.86%
1971년 총선 민주공화당 11석 신민당 4석 민중당 1석
1973년 총선 민주공화당 9석 신민당 6석 무소속 1석
1978년 총선 민주공화당 8석 신민당 7석 무소속 1석
1981년 총선 민주정의당 12석 민주한국당 10석 신정당 1석
1985년 총선 민주정의당 10석 신한민주당 4석 민주한국당 3석
1987년 대선 노태우 41.44% 김영삼 27.54% 김대중 22.30%
1988년 총선 민주정의당 16석 신민주공화당 6석 통일민주당 4석
1992년 총선 민주자유당 18석 민주당 8석 통일국민당 5석
1992년 대선 김영삼 36.33% 김대중 31.97% 정주영 23.13%
1995년 지선 이인제 40.56% 장경우 29.60%
1996년 총선 신한국당 18석 새정치국민회의 10석 자유민주연합 5석
1997년 대선 김대중 39.28% 이회창 35.54% 이인제 23.62%
1998년 지선 임창열 54.30% 손학규 45.69%
2000년 총선 새천년민주당 22석 한나라당 18석 자유민주연합 1석
2002년 지선 손학규 58.37% 진념 35.98%
2002년 대선 노무현 50.65% 이회창 44.18%
2004년 총선 열린우리당 35석 한나라당 14석
2006년 지선 김문수 59.68% 진대제 30.75%
2007년 대선 이명박 51.88% 정동영 23.55%
2008년 총선 한나라당 32석 통합민주당 17석 무소속 1석
2010년 지선 김문수 52.20% 유시민 47.79%
2012년 총선 민주통합당 29석 새누리당 21석 통합진보당 2석
2012년 대선 박근혜 50.43% 문재인 49.19%
2014년 지선 남경필 50.43% 김진표 49.56%
2016년 총선 더불어민주당 40석 새누리당 19석 정의당 1석
2017년 대선 문재인 42.08% 안철수 22.91% 홍준표 20.75%
2018년 지선 이재명 56.40% 남경필 35.51%
2020년 총선 더불어민주당 51석 미래통합당 7석 정의당 1석
2022년 대선 이재명 50.94% 윤석열 45.62%
2022년 지선 김동연 49.06% 김은혜 48.91%
2024년 총선 더불어민주당 53석 국민의힘 6석 개혁신당 1석

[1] 안 그래도 이미 평택은 고덕국제신도시가 개발 중이다. 다만 연천군 일대는 남북통일 이후에나 개발이 가능할 것이다.[2] 신도시들이 계속 지어지면 서울과 경기도의 인구 격차는 2배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3] 예를 들어 22대 총선 기준으론 67석이 인구 대비 적정의석임에도 현실 의석은 60석으로 7석이 모자랐다.[4] 특히 부천시, 안산시, 시흥시, 광명시, 화성시 동탄신도시, 오산시, 수원시, 안양시 등지의 서남부 지역 및 고양시, 파주시, 의정부시, 남양주시 등 경기 북부의 도시 지역.[5] 다만 그 포천시도 포천시장을 지낸 박윤국의 영향 등으로 민주당계가 우위를 보이기도 한다.[6] 영호남(정확하겐 TK-호남)이 기본 20~30% 차 이상까지도 벌어지는 경우가 있다면, 경기도는 10% 내외 정도 심해도 주로 20%차 정도 수준.[7] 성남시장경기도지사를 지냈다.[8] 물론 이시기 대통령 선거에서는 민주당 계열이 앞서는 등 캐스팅보트 역할도 했다.[9] 물론 이때도 군 부재자 투표의 조작 혹은 비밀선거 무보장 문제 등 여당에 유리한 관권선거는 있긴 했다.[10] 1995년부터 2014년까지 6번 치러진 경기도지사 선거에서 이인제 전 지사부터 손학규, 김문수, 남경필 전 지사까지 네 사람이 보수 계열 출신이고, 민주당 계열 출신인 지사는 민선 2기 임창열 전 지사 한 사람만이 유일했다. 다만 알고 보면 또 재미있는 게 저 4명 다 보수정당 소속으로 당선되긴 했지만 실제 성향은 보수와 진보 사이를 왔다갔다한 중도 성향이 강했던 인물들이라는 것이다. 이인제, 손학규 전 지사는 이후 실제 민주당으로 이적하기도 했고. 그러나 이인제는 또 다시 새누리당으로 넘어갔지. 남경필은 보수정당내 개혁파로 유명했고, 김문수는 2010년대 이후 극우화된 감이 없잖아 있지만 경기도지사 재직 시절까지만 해도 과거 노동 운동권 거물 중 한명이였던 인물로 더 유명했다. 또 이때도 시장과 도의회 선거에서는 민주당 계열이 과반을 차지하기도 하는 등 확 기운건 아니었다. 그래서 남경필 시절엔 아예 부도지사도 민주당 측에 주며 협치도 했다.[11] 물론 부정한 군인 부재자 투표 등을 고려하면 실제 득표율은 좀 떨어진다.[12] 15대 대선에서도 국민신당 이인제 후보가 꽤 득표를 했다.[13] 여담으로 홍준표는 지방선거에서 패배하면 총선에서도 패배한다는 말을 한 적이 있었는데, 지방선거에서 압도적인 패배를 당했기 때문에 지역 기반 자체가 붕괴되었고, 그 붕괴된 지역에서 다소 황당한 장소에서 유세 운동을 펼친 것도 영향을 끼쳤다. 특히 고양시 병, 고양시 정 지역에서 나온 미래통합당 후보 김영환김현아는 다른 곳도 아니고, 풍산역에서 공동 유세를 하기도 했다. 그것도 유동 인구가 많은 백마역이나 일산역을 제끼고 말이다.[14] 이는 민주당 지지층들이 인지도가 낮은 민주당계 출마 인사 대신 인지도가 높은 진보계 거물인사 중 한명인 심상정에게 표를 몰아준 덕분도 있었다. 허나 이후 심상정 대표의 정의당이 민주당과 거리두기를 하면서 민주당계 지지층들이 지지를 거둔 결과 21대 총선에선 낙선하고 만다.[15] 성남, 고양, 수원, 용인 등 100만권 대도시들에서 윤석열 후보가 생각보다 선전했다. 특히 용인, 성남에서는 소숫점 차이로 승패가 결정될 정도로 초접전 수준의 득표율을 기록했다.[16] 민주당에게 사지와 마찬가지인 연천군, 가평군에선 역시나 패배했지만, 40% 정도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선전하였고 비슷한 험지 지역이었던 포천시에선 단 3%p차로 패배하며 선전했고, 기타 지역에선 모두 이겼다. 특히 운정신도시가 있는 파주시에선 53.30%를 찍으며 전통의 민주당 텃밭이던 서남부의 광명시보다도 더 높은 득표율이 나왔다.[17] 경기북부에도 신도시들이 지어지면서 젊은층 인구가 늘어난 것이 가장 큰 요인으로 보이며, 이재명이 도지사를 지내며 펼친 정책 중 하나가 도내 공공기관 이전 정책이었는데 이를 통해 연천, 가평, 포천을 제외한 북부지역 모든 시군이 공공기관을 하나씩은 얻는 등 혜택을 입은 것의 영향도 있었다. 덕분에 대선에 출마한 역대 민주당 후보 중 경기도내 도농 표심 격차를 가장 많이 줄이는 성과를 거뒀다.[18] 이재명이 서남부에서 55%를 넘긴 지역은 시흥시(56.69%)와 안산시 상록구(55.17%) 뿐이었다. 인구가 가장 많은 수원시에선 과반도 못얻었고 부천시, 광명시, 군포시, 오산시에서는 이기긴 했으나 55%를 넘지 못했다.[19] 다만 초기엔 여소야대에서 시작한다고 보는 기류가 강했는데, 가부가 동수면 부결처리되기 때문이다. 게다가 의장은 최연장자가 맡는 관례가 있는데, 제일 연장자가 국민의힘 소속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실제론 이후 국민의힘쪽에서 무더기 이탈표가 나오면서 민주당 염종현 도의원이 의장에 당선되어 김동연 지사의 동력에 힘이 생겼다.[20] 다만 여기는 민주당 소속 현역 시장이 공천 탈락 후 무소속으로 출마하면서 민주당 성향 표를 제대로 갈라먹은게 컸다. 그래도 지난 선거에서 27%였던 득표율이 46%까지 올랐다는 걸 감안하면 엄청난 발전이다.[21] 부천은 5%p 차이로 민주당이 가져갔지만 국힘 후보의 득표율은 오히려 당선인을 배출한 안산보다 더 높았다. 사실 부천도 민주당 소속 현역 시장이 공천에서 탈락한 상황이였는데 여기는 현역 시장이 경선 패배로 인해 후보 등록을 못한거라 안산과는 상황이 조금 달랐다. 만약 부천 역시 안산과 비슷한 상황이였다면 민주당이 승리를 장담하기 어려웠울 것이다. 안양의 경우 현직 시장이 후보로 나섰기 때문에 현역 프리미엄으로 겨우겨우 지켰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로 표차이가 적었다.[22] 심상정 후보의 고향.[23] 문재인+심상정.[24] 이재명+심상정.[25] 홍준표+유승민.[26] 윤석열.[27] 열린민주당과 득표율 합산시 24개 지역 우세(성남시, 용인시, 평택시, 동두천시, 안성시 추가)[28] 열린민주당과 득표율 합산시 7개 우세(성남시, 용인시, 평택시, 동두천시, 안성시 제외)[29] 통합당계 무소속 후보의 표를 합하면 39.76%.[30] 민주당계 무소속 후보의 표를 합하면 58.49%.[31] 민주당계 무소속 후보의 표를 합하면 53.73%.[32] 민주당계 무소속 후보의 표를 합하면 59.44%.[33] 통합당계 무소속 후보의 표를 합하면 37.44%.[34] 통합당계 무소속 후보의 표를 합하면 42.32%.[35] 통합당계 무소속 후보의 표를 합하면 48.71%.[36] 민주당계 무소속 후보의 표를 합하면 57.30%.[37] 민주당계 무소속 후보의 표를 합하면 61.30%.[38] 열린민주당과 득표율 합산시 53개 지역 우세(수원시 병, 고양시 병, 용인시 갑, 용인시 병, 용인시 정, 평택시 갑, 평택시 을, 과천시·의왕시, 남양주시 병, 파주시 을, 안성시, 화성시 갑 추가)[39] 열린민주당과 득표율 합산시 6개 우세(수원시 병, 고양시 병, 용인시 갑, 용인시 병, 용인시 정, 평택시 갑, 평택시 을, 과천시·의왕시, 남양주시 병, 파주시 을, 안성시, 화성시 갑 제외)[40] 통합당계 무소속 후보의 표를 합하면 56,956표 (41.11%).[41] 민주당계 무소속 후보의 표를 합하면 63,650표 (61.58%).[42] 민주당계 무소속 후보의 표를 합하면 74,049표 (51.91%).[43] 민주당계 무소속 후보의 표를 합하면 49,439표 (54.78%).[44] 통합당계 무소속 후보의 표를 합하면 35,667표 (39.52%).[45] 통합당계 무소속 후보의 표를 합하면 32,095표 (35.38%).[46] 통합당계 무소속 후보의 표를 합하면 61,104표 (49.05%).[47] 민주당계 무소속 후보의 표를 합하면 61,076표 (48.94%).[48] 통합당계 무소속 후보의 표를 합하면 60,934표 (48.83%).[49] 통합당계 무소속 후보의 표를 합하면 46,710표 (40.19%).[50] 통합당계 무소속 후보의 표를 합하면 73,467표 (48.71%).[51] 민주당계 무소속 후보의 표를 합하면 67,585표 (60.98%).[52] 민주당계 무소속 후보의 표를 합하면 63,192표 (53.46%).[53] 더불어민주당 + 정의당[54] 더불어시민당 + 정의당 + 열린민주당[55] 국민의당[56] 새누리당[57] 미래한국당 + 국민의당[58] 경기도에서 제1당이 받은 의석수와 득표율[59] 지방선거는 도지사 선거만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