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문서: 강남구
관련 문서: 강남구 갑
, 강남구 을
, 강남구 병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ae1932>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종로구 | [[중구(서울특별시)/정치| 시청 중구]] | 용산구 | 성동구 | 광진구 |
동대문구 | 중랑구 | 성북구 | 강북구 | 도봉구 | |
노원구 | 은평구 | 서대문구 | 마포구 | 양천구 | |
강서구 | 구로구 | 금천구 | 영등포구 | 동작구 | |
관악구 | 서초구 | 강남구 | 송파구 | 강동구 | }}}}}}}}} |
1. 선거구 정보2. 지역 특징3. 역대 선거 결과
3.1. 지방선거
3.1.1.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3.1.2.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3.1.3. 2011년 하반기 재보궐선거3.1.4.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3.1.5.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3.1.6. 2021년 재보궐선거3.1.7.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3.2. 대선3.2.1. 제13대 대통령 선거3.2.2. 제14대 대통령 선거3.2.3. 제15대 대통령 선거3.2.4. 제16대 대통령 선거3.2.5. 제17대 대통령 선거3.2.6. 제18대 대통령 선거3.2.7. 제19대 대통령 선거3.2.8. 제20대 대통령 선거
3.3. 총선1. 선거구 정보
서울특별시 강남구 국회의원/시의원 선거구 | ||
<rowcolor=#ffffff> 국회의원 | 시의원 | 지역 |
<colbgcolor=#063b94><colcolor=#ffffff> 강남구 갑 | 강남구1 | 신사동, 논현1동, 압구정동, 청담동 |
강남구2 | 논현2동, 역삼1동, 역삼2동 | |
강남구 을 | 강남구3 | 개포1동, 개포2동, 개포4동 |
강남구4 | 일원본동, 일원1동, 일원2동, 수서동, 세곡동 | |
강남구 병 | 강남구5 | 대치1동, 대치4동, 도곡1동, 도곡2동 |
강남구6 | 삼성1동, 삼성2동, 대치2동 |
1.1. 구의회
자세한 내용은 강남구의회 문서 참고하십시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제9대 의회 2022.7.1. ~ 2026.6.30.{{{#!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14석, 구청장 소속 정당 | 9석 | ||||
재적 23석 | }}}}}}}}} |
2. 지역 특징
수도권 최대의 보수우파 텃밭이자, 대한민국 우파진영의 가장 강력한 심장 중 한 곳이며, 강남3구에서 평균 집값이 가장 높은 특성상, 강남3구에서도 가장 보수적인 동네이다. 특히 은퇴한 노년층이 많이 사는 수도권 3대 부촌인 압구정동의 경우, 거의 TK에 맞먹는 보수세를 보여주는 말 그대로 보수의 끝판대왕일 정도이며, 청담동, 대치동, 도곡동 등도 부유층이 많이 사는 특성상 보수세가 매우 강하다.[1] 하지만 여기 내에서도 계급투표 경향은 매우 크게 나타나며 특히 역삼1동, 논현2동[2], 세곡동[3] 등은 직장인이 많이 거주하거나 임대아파트도 있는 지역이고, 고로 이 쪽 지역은 강남구 치고 민주당세가 어느정도 존재한다. 그래서 전체적으로 보자면 서부경남 도시 지역과 맞먹는 득표율을 보여주는 경우가 많다.그러나 과거 전두환 정권 시절에는 국내 최고 보수우파 텃밭으로 알려진 대구광역시가 과거 좌파 성향이 매우 강했던 도시였던 것처럼, 이곳도 당시에는 서울에서 가장 반정부 성향이 강한 구였다. 1980년 신군부가 전두환 대통령의 5공 출범을 위해 추진했던 제5차 국민투표에서 당시 현재의 서초구까지 포함된 강남구는 투표율이 86.7%로 전국 시군구 중 가장 낮았고 찬성율도 82.0%로 전국에서 두 번째로 낮았다.[4] 중선거구제 시절이던 1978년 10대 총선, 1981년 11대 총선에서 민주공화당, 민주정의당의 이태섭 후보가 당선되었고 야당의 정운갑 후보도 당선되었다. 1985년 12대 총선에서는 전원 야권이 승리했다. 그러나 소선거구제가 실시된 이후 1996년 15대 총선까지만 해도 야당 후보가 승리하는가 하면[5] 당선된 여당 후보들의 득표율도 40%대 초반에 불과했다. 이 당시만 해도 강남이 서울의 대표적 인물대결장이었기 때문에 여야 성향이 상대적으로 중요하지 않았고, 무엇보다 개발된지 얼마 되지 않아 이 지역에 막 정착한 주민들 대부분이 상대적으로 비판의식이 높은 청장년층이었다는 점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6] 고로 1997년 외환 위기 이후, 양극화가 심화되기 시작한 2000년의 16대 총선을 기점[7]으로 본격적으로 보수정당이 우세를 점하기 시작했다고 말할 수 있다. 단, 구청장과 구의회는 이전부터 보수정당이 장악해왔다.
1명만 뽑는 선거에선 이 곳에서 보수정당 공천이 곧 당선이나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인근 송파, 서초구 등과 함께 보수정당이 열심히 공들여 관리하는 지역 중의 하나이다. 그래서 대한민국 국회의원이건 구청장이건 본인들의 임기에 대한 평판이 좋지 못하거나 역량 있는 새 인사가 나타나면 다음 선거에서 재공천 받기가 매우 힘들다.[8] 반면 민주당계 정당에서는 여당 시절이던 16대 총선 당시 참신한 정치 신인이던 오세훈 변호사를 빼앗기고 선거에도 진 이후부턴, 2012년 19대 총선에서 정동영 전 민주평화당 대표가 을구에 출마할 때까지는 아예 중량급 인사들은 당선 가능성이 낮은 이 곳에는 출마조차 하지 않았다.
18대 대선에서도 박근혜 당시 새누리당 후보가 22개동과 부재자, 재외투표에서 전승하며 2016년 20대 총선 이전에는 보수정당의 절대우세 지역으로 평가받았다. 그러나 20대 총선에서 전현희 후보가 강남구 을에서 승리하는 이변이 일어났고 이후 대한민국 보수정당 최대의 위기였던 최순실 게이트와 박근혜 대통령 탄핵 사태로 정권이 교체되고 정치 지형이 바뀐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대격변이 일어났다. 더불어민주당 정순균 후보가 자유한국당 장영철 후보를 1만 3천 표차로 따돌리고 강남구청장에 당선된 것이다. 또한 강남구의회 구의원으로 더불어민주당이 10명, 자유한국당이 9명, 바른미래당이 1명을 배출하며 더불어민주당이 구의회내 1당으로 부상했다. 하지만 서울시의회에 유일하게 자유한국당 시의원을 배출한 자치구이기도 하다.[9]
21대 총선에서는 강남구 갑, 을, 병 지역구 모두 미래통합당 후보가 낙승을 거두면서 서울에서 통합당이 승리를 거둔 4개 구[10] 중 한 곳이 되었다.
지방선거 이후로 문재인 정부의 각종 부동산 규제로 인한 반발심리[11]와 개포동 일대 주공아파트 재건축이 끝나 원주민들이 재정착하고 고소득층이 유입된 덕에 21대 총선에서는 미래통합당(現 국민의힘)이 강남구 을을 탈환하며 세 선거구를 모두 휩쓸었다. 문재인 정부의 중간평가 성적으로 치러진 이번 선거에서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에서 미래통합당이 참패했지만, 강남3구로 대표되는 이 지역에서 보수정당의 득표율이 20대 총선 때 보다 크게 올라가고 의석을 싹쓸이하면서 계급투표 현상이 심화되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정당 투표에서는 미래한국당이 더불어시민당을 더블스코어 이상으로 이겼다.
2021년 재보궐선거에서 국민의힘 오세훈 후보가 더불어민주당 박영선 후보를 트리플 스코어 차로 압살하면서 다시 예전처럼 보수 텃밭으로 돌아 왔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증명했다. 1년 후,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도 마찬가지로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를 무려 67.01%의 득표로 압살하는 등으로[12] 민주당의 험지로 돌아서게 되었다. 이는 경상도를 제외하면 강화군과 옹진군마저 이기는 전국에서 제일 높은 보수 득표율이다.[13] 결국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정순균 구청장은 조성명 후보에게 더블 스코어 이상 차이로 패배하며 낙선하고 말았다. 특히 중산층 이상이 많이 거주하는 아파트 표심이 국민의힘으로 대거 쏠리는 결과가 나왔다. 그나마 송영길 후보처럼 트리플 스코어로 당하지는 않았다는 것으로 만족해야 할 듯 하다.
이후 윤석열 정부와 국민의힘의 지지율이 하락하고 총선 직전 의정 갈등으로 인해 의사 표심이 악화되면서 국민의힘이 강남구에서 고전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기도 했지만[14], 현역 국회의원들을 모두 교체하고[15], 막상 개표함을 열어 보니 지방선거 때 보다는 격차가 줄었지만[16] 세 지역구 모두 국민의힘이 압승을 거두며 여유있게 수성에 성공했다. 특히 일원1동, 세곡동, 논현1동, 역삼1동, 대치4동[17], 개포4동 등 민주당세가 꽤 나오는 동에서도 승리하며 총선 지역구 한정으로 2008년 이후 16년 만에 강남구의 모든 동에서 승리한 건 덤.[18] 민주당에서는 그나마 세 지역구 모두 30%를 넘기고 특히 을 지역구 한정으로는 40%대 초반을 득표한 것으로 만족해야 했다. 한편 비례대표 정당 투표 또한 당연히 국민의미래의 압승으로 끝났다.[19]
3. 역대 선거 결과
역대 강남구 국회의원 선거 결과 | |||
강남구 | |||
10대[20] | [[신민당(1967년)|]] 정운갑 (5선) | 이태섭 (초선) | |
11대 | 이태섭 (재선) | 고정훈 (초선) | |
12대 | 김형래 (재선) | 이중재 (5선) | |
강남구 갑 | 강남구 을 | ||
13대 | [[통일민주당|]] 황병태 (초선) | 이태섭 (3선) | |
14대 | [[통일국민당|]] 김동길 (초선) | 홍사덕 (3선) | |
15대 | [[신한국당|]] 서상목 (3선)[21] | [[무소속(정치)| 무소속 ]] 홍사덕 (4선) | |
16대 | 최병렬 (4선) | 오세훈 (초선) | |
17대 | 이종구 (초선) | 공성진 (초선) | |
18대 | 이종구 (재선) | 공성진 (재선)[22] | |
19대 | [[새누리당|]] 심윤조 (초선) | [[새누리당|]] 김종훈 (초선) | |
강남구 갑 | 강남구 을 | 강남구 병 | |
20대 | [[새누리당|]] 이종구 (3선) | 전현희 (초선) | [[새누리당|]] 이은재 (재선) |
21대 | [[미래통합당|]] 태구민 (초선) | [[미래통합당|]] 박진 (4선) | [[미래통합당|]] 유경준 (초선) |
22대 | 서명옥 (초선) | 박수민 (초선) | 고동진 (초선) |
||<-5><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63b94><tablebg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color=#000000,#dddddd> 역대 강남구청장 선거 결과 ||
1995 | 1998 | 2002 | 2006 | 2010 | ||
민주자유당 | 한나라당 | 한나라당 | ||||
권문용 | 맹정주 | 신연희 | ||||
2014 | 2018 | 2022 | ||||
새누리당 |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 | ||||
신연희 | 정순균 | 조성명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주요 후보 득표율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구분 | 주요 후보 득표율 | ||||
1995년 | 1위: [[민주자유당|]] 권문용 44.46% 2위: 박응격 37.88% | |||||
1998년 | 1위: 권문용 58.61% 2위: 장준영 35.64% | |||||
2002년 | 1위: 권문용 66.28% 2위: 이양한 29.73% | |||||
2006년 | 1위: 맹정주 78.06% 2위: [[열린우리당|]] 이판국 17.84% | |||||
2010년 | 1위: 신연희 44.23% 2위: [[민주당(2008년)|]] 이판국 29.33%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맹정주 25.65% | |||||
2014년 | 1위: [[새누리당|]] 신연희 61.25% 2위: [[새정치민주연합|]] 김명신 35.38% | |||||
2018년 | 1위: 정순균 46.08% 2위: [[자유한국당|]] 장영철 40.78% 3위: [[바른미래당|]] 김상채 9.66% | |||||
2022년 | 1위: 조성명 70.39% 2위: 정순균 29.60% | }}}}}}}}} |
3.1. 지방선거
3.1.1.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3.1.1.1. 서울특별시장 선거
강남구 강남구 일원 | |||
정당 | [[열린우리당|]] | | |
후보 | 강금실 | 오세훈 | 박주선 |
득표수 | 39,314 | 160,646 | 10,696 |
득표율 | 18.22% | 74.45% | 4.95% |
순위 | 2위 | 1위 | 3위 |
계 | |||
선거인 수 | 433,889 | ||
투표 수 | 216,768 | ||
무효표 수 | 1,003 | ||
투표율 | 49.96% |
3.1.1.2. 강남구청장 선거
강남구청장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판국 | 38,265 | 2위 |
[[열린우리당|]] | 17.85% | 낙선 | |
2 | 맹정주 | 167,373 | 1위 |
| 78.06% | 당선 | |
6 | 신윤철 | 8,774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4.09%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433,889 | 투표율 49.97% |
투표 수 | 216,814 | ||
무효표 | 2,407 |
3.1.2.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3.1.2.1. 서울특별시장 선거
강남구 강남구 일원 | |||
정당 | | [[민주당(2008년)|]] | |
후보 | 오세훈 | 한명숙 | 노회찬 |
득표수 | 138,390 | 79,094 | 5,493 |
득표율 | 59.94% | 34.26% | 2.86% |
순위 | 1위 | 2위 | 3위 |
계 | 선거인 수 | 452,744 | |
투표 수 | 231,886 | ||
무효표 수 | 1,037 | ||
투표율 | 51.22% |
5회 지선 광역자치단체장선거 서울 강남구 개표 결과 | ||||
정당 | | [[민주당(2008년)|]] | 격차 | 투표율 |
후보 | 오세훈 | 한명숙 | (1위/2위) | (선거인/표수) |
득표수 (득표율) | 138,390 (59.94%) | 79,094 (34.26%) | +59,296 (△25.68) | 51.22% |
신사동 | 68.20% | 27.11% | △31.09 | 50.37 |
논현1동 | 50.74% | 43.13% | △7.61 | 35.76 |
논현2동 | 59.83% | 34.79% | △25.04 | 42.77 |
압구정동 | 77.35% | 18.37% | △58.98 | 52.93 |
청담동 | 66.85% | 28.21% | △40.64 | 48.35 |
삼성1동 | 65.22% | 29.70% | △35.52 | 51.87 |
삼성2동 | 58.82% | 35.20% | △23.62 | 48.24 |
대치1동 | 69.63% | 25.36% | △44.27 | 60.31 |
대치2동 | 66.11% | 28.45% | △37.66 | 57.31 |
대치4동 | 51.17% | 42.73% | △8.84 | 42.95 |
역삼1동 | 50.00% | 44.24% | △5.76 | 36.13 |
역삼2동 | 59.56% | 34.86% | △24.70 | 48.94 |
도곡1동 | 62.38% | 31.88% | △30.50 | 55.23 |
도곡2동 | 74.19% | 21.30% | △52.89 | 55.37 |
개포1동 | 60.02% | 33.98% | △26.04 | 56.24 |
개포2동 | 50.32% | 43.35% | △6.97 | 56.34 |
개포4동 | 50.94% | 42.72% | △8.22 | 49.31 |
일원본동 | 52.71% | 39.64% | △13.07 | 59.20 |
일원1동 | 47.46% | 46.08% | △1.38 | 51.86 |
일원2동 | 52.06% | 41.70% | △10.36 | 58.36 |
수서동 | 48.51% | 44.80% | △3.71 | 52.69 |
세곡동 | 59.86% | 34.74% | △25.12 | 52.34 |
후보 | 오세훈 | 한명숙 | 격차 | |
부재자투표 | 58.68% | 32.08% | △26.60 |
3.1.2.2. 강남구청장 선거
강남구청장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신연희 | 100,906 | 1위 |
| 44.23% | 당선 | |
2 | 이판국 | 72,830 | 2위 |
[[민주당(2008년)|]] | 29.33% | 낙선 | |
7 | 맹정주 | 58,508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5.65% | 낙선 | |
8 | 지태자 | 7,276 | 4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0.77%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452,744 | 투표율 51.22% |
투표 수 | 231,902 | ||
무효표 수 | 3,805 |
3.1.3. 2011년 하반기 재보궐선거
강남구 강남구 일원 | ||
정당 |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후보 | 나경원 | 박원순 |
득표수 | 140,109 | 87,657 |
득표율 | 61.33% | 38.37% |
순위 | 1위 | 2위 |
계 | ||
선거인 수 | 461,127 | |
투표 수 | 229,345 | |
무효표 수 | 907 | |
투표율 | 49.74% |
서울특별시장보궐선거 강남구 개표 결과 | ||||
정당 |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격차 | 투표율 |
후보 | 나경원 | 박원순 | (1위/2위) | (선거인/표수) |
득표수 (득표율) | 140,109 (61.33%) | 87,657 (38.37%) | +52,542 (△22.96) | 49.74% |
신사동 | 70.14% | 29.69% | △40.45 | 48.85 |
논현1동 | 51.33% | 48.43% | △2.90 | 35.39 |
논현2동 | 60.58% | 39.22% | △21.36 | 42.84 |
압구정동 | 79.39% | 20.46% | △58.93 | 54.17 |
청담동 | 67.63% | 32.04% | △35.59 | 47.84 |
삼성1동 | 67.13% | 32.66% | △34.47 | 49.19 |
삼성2동 | 60.58% | 39.23% | △21.35 | 46.92 |
대치1동 | 72.37% | 27.56% | △44.71 | 56.13 |
대치2동 | 66.72% | 33.04% | △33.68 | 55.10 |
대치4동 | 51.64% | 48.04% | △3.60 | 40.71 |
역삼1동 | 50.04% | 49.74% | △0.30 | 34.67 |
역삼2동 | 60.07% | 39.73% | △20.34 | 46.43 |
도곡1동 | 63.12% | 36.64% | △24.48 | 54.16 |
도곡2동 | 75.84% | 24.06% | △51.78 | 56.34 |
개포1동 | 59.39% | 39.93% | △19.46 | 53.51 |
개포2동 | 53.18% | 46.54% | △6.64 | 53.61 |
개포4동 | 50.01% | 49.60% | △0.35 | 47.50 |
일원본동 | 58.11% | 41.65% | △16.46 | 56.30 |
일원1동 | 48.81% | 50.86% | ▼2.05 | 50.89 |
일원2동 | 52.16% | 47.56% | △4.60 | 54.34 |
수서동 | 50.61% | 48.73% | △1.88 | 50.44 |
세곡동 | 56.79% | 43.06% | △13.73 | 52.63 |
후보 | 나경원 | 박원순 | 격차 | |
부재자투표 | 62.51% | 35.98% | △26.53 |
3.1.4.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3.1.4.1. 서울특별시장 선거
강남구 강남구 일원 | ||
정당 | [[새누리당|]] | [[새정치민주연합|]] |
후보 | 정몽준 | 박원순 |
득표수 | 145,512 | 120,645 |
득표율 | 54.32% | 45.04% |
순위 | 1위 | 2위 |
계 | ||
선거인 수 | 467,534 | |
투표 수 | 270,052 | |
무효표 수 | 2,209 | |
투표율 | 57.76% |
6회 지선 광역자치단체장선거 서울 강남구 개표 결과 | ||||
정당 | [[새누리당|]] | [[새정치민주연합|]] | 격차 | 투표율 |
후보 | 정몽준 | 박원순 | (1위/2위) | (선거인/표수) |
득표수 (득표율) | 145,512 (54.32%) | 120,645 (45.04%) | +24,867 (△9.28) | 57.76% |
신사동 | 63.42% | 36.15% | △26.27 | 54.39 |
논현1동 | 48.13% | 51.31% | ▼3.18 | 41.06 |
논현2동 | 55.51% | 43.90% | △11.61 | 47.13 |
압구정동 | 74.27% | 25.35% | △48.92 | 58.02 |
청담동 | 62.21% | 37.26% | △24.95 | 53.71 |
삼성1동 | 60.61% | 38.92% | △21.69 | 56.44 |
삼성2동 | 52.74% | 46.78% | △5.96 | 53.14 |
대치1동 | 64.44% | 35.01% | △29.43 | 62.24 |
대치2동 | 59.84% | 39.62% | △20.22 | 61.73 |
대치4동 | 46.48% | 52.82% | ▼6.34 | 46.99 |
역삼1동 | 45.88% | 53.64% | ▼7.76 | 40.59 |
역삼2동 | 52.40% | 46.97% | △5.43 | 53.04 |
도곡1동 | 54.27% | 45.22% | △9.05 | 61.02 |
도곡2동 | 66.83% | 32.71% | △34.12 | 60.00 |
개포1동 | 55.10% | 44.24% | △10.86 | 61.54 |
개포2동 | 49.33% | 49.98% | ▼0.65 | 61.06 |
개포4동 | 45.63% | 53.71% | ▼8.08 | 54.12 |
일원본동 | 49.32% | 50.14% | ▼0.82 | 64.99 |
일원1동 | 45.82% | 53.20% | ▼7.40 | 57.19 |
일원2동 | 47.81% | 51.11% | ▼3.30 | 63.56 |
수서동 | 49.67% | 49.10% | △0.57 | 57.97 |
세곡동 | 43.71% | 55.56% | ▼11.85 | 58.90 |
후보 | 정몽준 | 박원순 | 격차 | |
거소투표 | 61.16% | 37.48% | △23.68 | |
관외사전투표 | 48.82% | 50.37% | ▼1.55 |
3.1.4.2. 강남구청장 선거
강남구청장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신연희 | 163,037 | 1위 |
[[새누리당|]] | 61.25% | 당선 | |
2 | 김명신 | 94,164 | 2위 |
[[새정치민주연합|]] | 35.38% | 낙선 | |
4 | 이양한 | 8,940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3.35%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467,534 | 투표율 57.76% |
투표 수 | 270,033 | ||
무효표 수 | 3,892 |
3.1.5.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3.1.5.1. 서울특별시장 선거
강남구 강남구 일원 | |||
정당 | | [[자유한국당|]] | [[바른미래당|]] |
후보 | 박원순 | 김문수 | 안철수 |
득표수 | 107,743 | 87,305 | 58,987 |
득표율 | 40.82% | 33.07% | 22.34% |
순위 | 1위 | 2위 | 3위 |
계 | |||
선거인 수 | 454,862 | ||
투표 수 | 266,153 | ||
무효표 수 | 2,215 | ||
투표율 | 58.51% |
7회 지선 광역자치단체장선거 서울 강남구 개표 결과 | |||||
정당 | | [[자유한국당|]] | [[바른미래당|]] | 격차 | 투표율 |
후보 | 박원순 | 김문수 | 안철수 | (1위/2위) | (선거인/표수) |
득표수 (득표율) | 107,743 (40.82%) | 87,305 (33.07%) | 58,987 (22.34%) | + 20,438 (△7.75) | 58.51% |
신사동 | 31.25% | 44.58% | 20.85% | ▼13.33 | 54.80 |
논현1동 | 48.91% | 29.38% | 17.42% | △19.53 | 41.56 |
논현2동 | 40.78% | 34.69% | 20.53% | △6.09 | 47.10 |
압구정동 | 20.86% | 52.11% | 24.22% | ▼27.89 | 56.55 |
청담동 | 32.96% | 39.56% | 24.32% | ▼6.60 | 51.48 |
삼성1동 | 35.87% | 37.21% | 23.70% | ▼1.34 | 55.19 |
삼성2동 | 40.76% | 32.59% | 22.53% | △8.18 | 53.60 |
대치1동 | 28.41% | 39.52% | 29.19% | ▼10.33 | 64.13 |
대치2동 | 32.42% | 38.12% | 25.78% | ▼5.70 | 61.26 |
대치4동 | 49.63% | 25.84% | 19.93% | △23.78 | 48.03 |
역삼1동 | 50.27% | 26.10% | 18.78% | △24.17 | 40.45 |
역삼2동 | 42.15% | 30.38% | 23.49% | △11.77 | 55.09 |
도곡1동 | 39.60% | 33.29% | 23.08% | △6.30 | 62.20 |
도곡2동 | 27.26% | 43.49% | 26.21% | ▼16.26 | 58.95 |
개포1동 | 37.86% | 36.77% | 21.87% | △1.09 | 57.40 |
개포2동 | 36.53% | 36.57% | 22.56% | ▼0.04 | 63.30 |
개포4동 | 49.45% | 26.76% | 20.05% | △22.68 | 57.23 |
일원본동 | 43.85% | 28.37% | 24.13% | △15.48 | 65.40 |
일원1동 | 48.42% | 28.35% | 19.12% | △20.06 | 58.11 |
일원2동 | 45.64% | 29.70% | 21.23% | △15.94 | 63.59 |
수서동 | 44.31% | 31.93% | 20.03% | △12.37 | 61.27 |
세곡동 | 51.10% | 24.71% | 20.69% | △26.39 | 60.53 |
후보 | 박원순 | 김문수 | 안철수 |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40.17% | 29.19% | 25.72% | △10.98 | |
관외사전투표 | 50.87% | 24.62% | 20.21% | △26.25 |
3.1.5.2. 강남구청장 선거
강남구청장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정순균 | 120,928 | 1위 |
| 46.08% | 당선 | |
2 | 장영철 | 107,014 | 2위 |
[[자유한국당|]] | 40.78% | 낙선 | |
3 | 김상채 | 25,366 | 3위 |
[[바른미래당|]] | 9.66% | 낙선 | |
6 | 이주영 | 4,431 | 5위 |
[[녹색당(대한민국)|]] | 1.68% | 낙선 | |
7 | 김광종 | 4,636 | 4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76%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454,862 | 투표율 58.51% |
투표 수 | 266,142 | ||
무효표 수 | 3,767 |
3.1.6. 2021년 재보궐선거
강남구 강남구 일원 | ||
정당 | | |
후보 | 박영선 | 오세훈 |
득표수 | 66,907 | 202,320 |
득표율 | 24.32% | 73.54% |
순위 | 2위 | 1위 |
계 | 선거인 수 | 452,344 |
투표 수 | 276,485 | |
무효표 수 | 1,401 | |
투표율 | 61.12% |
서울특별시장 보궐선거 강남구 개표 결과 | |||
<colbgcolor=#EEEEEE,#353535>정당 | 격차 | ||
후보 | 박영선 | 오세훈 | |
전체 | 66,907 (24.32%) | 202,320 (73.54%) | -135,413 (▼49.22) |
신사동 | 18.29% | 79.94% | ▼61.65 |
논현1동 | 32.33% | 64.81% | ▼32.48 |
논현2동 | 25.01% | 72.86% | ▼47.85 |
압구정동 | 10.49% | 88.31% | ▼77.82 |
청담동 | 18.06% | 80.28% | ▼62.22 |
삼성1동 | 20.40% | 77.51% | ▼57.11 |
삼성2동 | 24.03% | 73.72% | ▼47.85 |
대치1동 | 13.62% | 85.12% | ▼71.50 |
대치2동 | 16.99% | 81.30% | ▼64.31 |
대치4동 | 31.05% | 66.12% | ▼35.07 |
역삼1동 | 31.58% | 64.84% | ▼33.26 |
역삼2동 | 24.02% | 73.90% | ▼49.88 |
도곡1동 | 23.58% | 74.39% | ▼50.81 |
도곡2동 | 13.68% | 84.76% | ▼71.08 |
개포1동 | 19.67% | 78.89% | ▼59.22 |
개포2동 | 20.00% | 78.36% | ▼58.36 |
개포4동 | 29.75% | 68.05% | ▼38.30 |
일원본동 | 27.26% | 70.58% | ▼43.32 |
일원1동 | 34.59% | 62.47% | ▼27.88 |
일원2동 | 28.90% | 68.94% | ▼40.04 |
수서동 | 33.11% | 64.78% | ▼31.67 |
세곡동 | 37.02% | 60.56% | ▼23.54 |
거소투표 | 21.51% | 72.15% | ▼50.64 |
관외사전투표 | 34.09% | 63.41% | ▼29.32 |
국회의원 선거구별 | 박영선 | 오세훈 | 격차 |
강남구 갑[23][A][25] | 22.36% | 75.48% | ▼53.12 |
강남구 을[26][A][28][29] | 29.92% | 67.90% | ▼37.98 |
강남구 병[30][A][32] | 19.50% | 78.62% | ▼59.12 |
강남구 | 압구정동 제2투표소 현대 | ||
92.17% | ◀ 85.24%p ▶ | 6.92% | |
압구정동 제5투표소 한양 | |||
89.43% | ◀ 80.16%p ▶ | 9.27% | |
도곡2동 제3·4투표소 타워팰리스 1차 | |||
92.57% | ◀ 85.85%p ▶ | 6.72% | |
대치2동 제5투표소 한보미도맨션 1, 2차 | |||
89.13% | ◀ 79.60%p ▶ | 9.52% | |
대치1동 제5투표소 래미안 대치팰리스 | |||
86.66% | ◀ 74.25%p ▶ | 12.41% | |
도곡2동 제6·7투표소 도곡 렉슬 | |||
83.63% | ◀ 68.80%p ▶ | 14.82% | |
대치2동 제2투표소 은마 | |||
79.46% | ◀ 61.24%p ▶ | 18.23% | |
개포2동 제3투표소 디에이치 아너힐즈 | |||
83.08% | ◀ 67.74%p ▶ | 15.34% | |
개포2동 제4투표소 래미안 블레스티지 | |||
82.61% | ◀ 66.40%p ▶ | 16.21% | |
개포2동 제2투표소 개포 주공 5단지 | |||
79.97% | ◀ 61.92%p ▶ | 18.05% | |
수서동 제5투표소 신동아 | |||
72.82% | ◀ 48.27%p ▶ | 24.55% | |
세곡동 제3투표소 세곡 리엔파크 4단지 | |||
61.59% | ◀ 25.49%p ▶ | 36.10% | |
일원1동 제5투표소 수서 1-2단지 | |||
61.32% | ◀ 25.93%p ▶ | 35.38% | |
세곡동 제5투표소 강남 한양수자인 | |||
60.62% | ◀ 24.45%p ▶ | 36.17% | |
수서동 제2투표소 수서 주공 1단지 | |||
57.64% | ◀ 18.17%p ▶ | 39.47% |
오세훈 후보의 16대 국회의원 시절 지역구였고 안 그래도 종부세, 재건축 문제로 강남구에서 불리했던 박영선 후보에게 선거는 이미 예상대로 불리했고, 종부세와 재건축 문제 때문에 강남, 서초, 송파, 용산, 양천 등에서 역대급 몰표가 나올거란 전망이 있었고 실제로 그렇게 됐다.[33] 오세훈 후보가 모든 동네에서 무난히 몰표를 받으며 이겼다. 박영선 후보는 압구정 현대아파트에서 100표밖에 받지 못하며 모든 아파트에서 10% 미만의 득표율을 올리며 참패했다. 종부세, 재건축 민심으로 신사동, 압구정동, 청담동에서 더불어민주당은 10%대의 득표율을 건졌고, 나머지 동네에서도 오세훈이 60~80%대의 득표율을 올리며 압승한다. 오세훈 후보는 타워팰리스 1, 2, 3차 아파트에서 무려 6.15%: 93.41%의 득표율로 압승하고, 다른 아파트들에서도 70%~90%의 득표율을 올리며 무난히 승리한다.
심지어 개포동의 보수세를 메꿔줄 일원동과 세곡동에서도 오세훈 후보가 60% 이상의 몰표를 받았기에 다음 선거에서 민주당의 선거 전망이 더욱 어두워졌다.
게다가 박영선 후보는 압구정동과 대치1동, 도곡2동에서는 선거비용 보전 마지노선인 15%에도 미치지 못하는 처참한 득표율을 얻었다.
3.1.7.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3.1.7.1. 서울특별시장 선거
강남구 강남구 일원 | ||
정당 | | |
후보 | 송영길 | 오세훈 |
득표수 | 58,734 | 178,621 |
득표율 | 24.45% | 74.38% |
순위 | 2위 | 1위 |
계 | 선거인 수 | 450,895 |
투표 수 | 241,549 | |
무효표 수 | 1,410 | |
투표율 | 53.57% |
8회 지선 광역자치단체장 선거 서울 강남구 개표 결과 | ||||
정당 | | | 격차 | 투표율 |
후보 | 송영길 | 오세훈 | (1위/2위) | (선거인/표수) |
득표수 (득표율) | 58,734 (24.45%) | 178,621 (74.38%) | -119,887 (▼49.92) | 53.57% |
신사동 | 16.78% | 82.45% | ▼65.67 | 52.06 |
논현1동 | 30.22% | 68.20% | ▼37.99 | 32.62 |
논현2동 | 23.90% | 74.86% | ▼50.96 | 40.06 |
압구정동 | 10.30% | 89.15% | ▼78.84 | 57.39 |
청담동 | 16.90% | 82.23% | ▼65.33 | 47.24 |
삼성1동 | 20.43% | 78.63% | ▼58.21 | 51.55 |
삼성2동 | 23.33% | 75.63% | ▼52.31 | 47.92 |
대치1동 | 12.95% | 86.21% | ▼73.25 | 59.89 |
대치2동 | 16.60% | 82.64% | ▼66.04 | 55.78 |
대치4동 | 31.21% | 67.42% | ▼36.21 | 41.18 |
역삼1동 | 32.07% | 66.04% | ▼33.97 | 33.08 |
역삼2동 | 25.14% | 73.81% | ▼48.67 | 47.49 |
도곡1동 | 24.26% | 74.56% | ▼50.30 | 55.81 |
도곡2동 | 13.24% | 86.02% | ▼72.78 | 57.35 |
개포1동 | 21.79% | 77.33% | ▼55.54 | 64.42 |
개포2동 | 21.62% | 77.40% | ▼55.78 | 60.14 |
개포4동 | 29.49% | 69.43% | ▼39.95 | 50.96 |
일원본동 | 26.74% | 71.90% | ▼45.16 | 58.04 |
일원1동 | 34.70% | 63.56% | ▼28.86 | 51.18 |
일원2동 | 27.59% | 71.17% | ▼43.58 | 57.48 |
수서동 | 31.62% | 66.81% | ▼35.19 | 56.81 |
세곡동 | 36.34% | 61.18% | ▼25.53 | 51.12 |
후보 | 송영길 | 오세훈 | 격차 | |
거소투표 | 29.62% | 68.51% | ▼38.89 | |
관외사전투표 | 30.95% | 67.68% | ▼36.73 | |
국회의원 선거구 | 송영길 | 오세훈 | 격차 | 투표율 |
강남구 갑[L][35] | 21.79% | 77.10% | ▼55.32 | 43.42 |
강남구 을[M][37] | 29.39% | 69.24% | ▼39.85 | 55.16 |
강남구 병[N][39] | 19.14% | 79.93% | ▼60.80 | 53.12 |
3.1.7.2. 강남구청장 선거
강남구청장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정순균(鄭順均) | 70,831 | 2위 |
| 29.60% | 낙선 | |
2 | 조성명(趙成明) | 168,456 | 1위 |
| 70.39%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450,895 | 투표율 53.57% |
투표 수 | 241,547 | ||
무효표 수 | 2,260 |
강남구청장 선거 |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정순균 | 조성명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득표율) | 70,831 (29.60%) | 168,456 (70.39%) | - 97,625 (▼40.80) | 241,547 (53.57%) | |||
신사동[A] | 20.30% | 79.69% | ▼59.38 | 52.08 | |||
논현1동 | 36.76% | 63.23% | ▼26.47 | 32.62 | |||
논현2동 | 29.08% | 70.91% | ▼41.83 | 40.05 | |||
압구정동[B] | 13.42% | 86.57% | ▼73.15 | 57.38 | |||
청담동[C] | 21.55% | 78.44% | ▼56.89 | 47.23 | |||
삼성1동[D] | 25.42% | 74.57% | ▼49.16 | 51.57 | |||
삼성2동[E] | 28.55% | 71.44% | ▼42.88 | 47.92 | |||
대치1동[F] | 15.89% | 84.10% | ▼68.20 | 59.87 | |||
대치2동[G] | 21.08% | 78.91% | ▼57.83 | 55.77 | |||
대치4동 | 37.63% | 62.36% | ▼24.72 | 41.18 | |||
역삼1동 | 39.17% | 60.82% | ▼21.64 | 33.08 | |||
역삼2동[H] | 29.65% | 70.34% | ▼40.69 | 47.49 | |||
도곡1동 | 29.08% | 70.91% | ▼41.83 | 55.79 | |||
도곡2동[I] | 16.34% | 83.65% | ▼67.30 | 57.36 | |||
개포1동 | 24.60% | 75.39% | ▼50.78 | 64.41 | |||
개포2동[J] | 26.82% | 73.17% | ▼46.34 | 60.13 | |||
개포4동[K] | 35.17% | 64.82% | ▼29.64 | 50.96 | |||
일원본동 | 33.30% | 66.69% | ▼33.39 | 58.02 | |||
일원1동 | 41.30% | 58.69% | ▼17.38 | 51.19 | |||
일원2동 | 33.88% | 66.11% | ▼32.24 | 57.50 | |||
수서동 | 38.10% | 61.89% | ▼23.78 | 56.82 | |||
세곡동 | 43.45% | 56.54% | ▼13.09 | 51.11 | |||
후보 | 정순균 | 조성명 | 격차 | ||||
거소투표 | 38.17% | 61.82% | ▼23.66 | ||||
관외사전투표 | 36.20% | 63.79% | ▼27.58 |
3.2. 대선
3.2.1. 제13대 대통령 선거
강남구 강남구 일원[51] | ||||
정당 | | |||
후보 | 노태우 | 김영삼 | 김대중 | 김종필 |
득표수 | 150,220 | 163,656 | 116,759 | 32,511 |
득표율 | 32.41% | 35.31% | 25.19% | 7.01% |
순위 | 2위 | 1위 | 3위 | 4위 |
계 | ||||
선거인 수 | 537,067 | |||
투표 수 | 468,287 | |||
무효표 수 | 4,854 | |||
투표율 | 87.19% |
13대 대선 서울 강남구 개표 결과 | |||||||
정당 |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노태우 | 김영삼 | 김대중 | 김종필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득표율) | 150,220 (32.41%) | 163,656 (35.31%) | 116,759 (25.19%) | 32,511 (7.01%) | + 13,436 (△2.9) | 87.19% | |
신사동 | 32.38% | 37.46% | 22.43% | 6.75% | △5.08 | 84.25% | |
논현동 | 30.65% | 32.32% | 27.46% | 8.07% | △1.67 | 84.16% | |
학동 | 31.39% | 34.86% | 24.98% | 7.58% | △3.47 | 85.89% | |
압구정동 | 35.07% | 39.49% | 19.09% | 5.56% | △4.42 | 83.97% | |
청담동 | 31.88% | 35.9% | 24.44% | 6.88% | △4.02 | 84% | |
삼성1동 | 33.22% | 34.29% | 24.2% | 7.07% | △1.07 | 85.14% | |
삼성2동 | 32.65% | 37.01% | 22.58% | 6.9% | △4.36 | 84.84% | |
대치1동 | 31.4% | 38.59% | 22.35% | 6.69% | △7.19 | 86.09% | |
대치2동 | 35.22% | 38.94% | 19.46% | 5.76% | △3.72 | 86.25% | |
대치3동 | 32.29% | 36.37% | 22.83% | 7.29% | △4.08 | 86.2% | |
역삼1동 | 30.05% | 32.63% | 28.24% | 7.99% | △2.58 | 84.6% | |
역삼2동 | 31.36% | 35.31% | 24.98% | 7.39% | △3.95 | 85.78% | |
서초1동 | 28.9% | 32.4% | 29.34% | 7.68% | △3.06 | 84.13% | |
서초2동 | 32.64% | 37.86% | 22.04% | 6.59% | △5.22 | 84.86% | |
잠원동 | 30.92% | 37.57% | 23.79% | 6.63% | △6.65 | 83.38% | |
반포본동 | 32.63% | 40.02% | 20.44% | 6.18% | △7.39 | 86.78% | |
반포1동 | 29.42% | 37.63% | 25.41% | 6.66% | △8.21 | 86.05% | |
반포2동 | 46.58% | 28.02% | 18.96% | 4.89% | ▼18.56 | 88.45% | |
반포3동 | 32.8% | 39.49% | 20.99% | 5.99% | △6.69 | 84.81% | |
방배본동 | 28.79% | 34.43% | 20.73% | 10.62% | △5.64 | 84.85% | |
방배1동 | 28.79% | 34.43% | 20.73% | 10.62% | △5.64 | 85.78% | |
방배2동 | 28.79% | 34.43% | 20.73% | 10.62% | △5.64 | 86.16% | |
방배3동 | 28.79% | 34.43% | 20.73% | 10.62% | △5.64 | 85.06% | |
도곡동 | 28.79% | 34.43% | 20.73% | 10.62% | △5.64 | 85.57% | |
개포1동 | 28.79% | 34.43% | 20.73% | 10.62% | △5.64 | 86.4% | |
개포2동 | 28.79% | 34.43% | 20.73% | 10.62% | △5.64 | 86.64% | |
개포3동 | 28.79% | 34.43% | 20.73% | 10.62% | △5.64 | 85.45% | |
양재동 | 28.79% | 34.43% | 20.73% | 10.62% | △5.64 | 85.23% | |
내곡동 | 28.79% | 34.43% | 20.73% | 10.62% | △5.64 | 84.89% | |
세곡동 | 28.79% | 34.43% | 20.73% | 10.62% | △5.64 | 87.29% | |
일원동 | 28.79% | 34.43% | 20.73% | 10.62% | △5.64 | 85.82% |
3.2.2. 제14대 대통령 선거
강남구 갑 신사동, 논현동, 학동, 압구정1동, 압구정2동, 청담1동, 청담2동, 역삼1동, 역삼2동, 도곡1동, 도곡2동 | ||||
정당 | [[민주자유당|]] | [[통일국민당|]] | ||
후보 | 김영삼 | 김대중 | 정주영 | 박찬종 |
득표수 | 57,666 | 34,655 | 29,133 | 8,353 |
득표율 | 43.94% | 26.41% | 22.20% | 6.36% |
순위 | 1위 | 2위 | 3위 | 4위 |
계 | ||||
선거인 수 | 165,479 | |||
투표 수 | 132,285 | |||
무효표 수 | 1,074 | |||
투표율 | 79.94% |
강남구 을 삼성1동, 삼성2동, 대치1동, 대치2동, 대치3동, 대치4동, 개포1동, 개포2동, 개포3동, 개포4동, 세곡동, 일원동 | ||||
정당 | [[민주자유당|]] | [[통일국민당|]] | ||
후보 | 김영삼 | 김대중 | 정주영 | 박찬종 |
득표수 | 68,091 | 44,365 | 30,382 | 9,989 |
득표율 | 44.06% | 28.70% | 19.66% | 6.46% |
순위 | 1위 | 2위 | 3위 | 4위 |
계 | ||||
선거인 수 | 189,291 | |||
투표 수 | 155,675 | |||
무효표 수 | 1,143 | |||
투표율 | 82.24% |
3.2.3. 제15대 대통령 선거
강남구 갑 신사동, 논현1동, 논현2동, 압구정1동, 압구정2동, 청담1동, 청담2동, 삼성1동, 삼성2동, 역삼1동, 역삼2동, 도곡1동, 도곡2동 | |||
정당 | | ||
후보 | 이회창 | 김대중 | 이인제 |
득표수 | 87,111 | 56,267 | 13,018 |
득표율 | 54.95% | 35.49% | 8.21% |
순위 | 1위 | 2위 | 3위 |
계 | 선거인 수 | 205,465 | |
투표 수 | 160,040 | ||
무효표 수 | 1,518 | ||
투표율 | 77.89% |
강남구 을 대치1동, 대치2동, 대치3동, 대치4동, 개포1동, 개포2동, 개포3동, 개포4동, 일원본동, 일원1동, 일원2동, 수서동, 세곡동 | |||
정당 | | ||
후보 | 이회창 | 김대중 | 이인제 |
득표수 | 78,207 | 55,042 | 14,657 |
득표율 | 52.18% | 36.72% | 9.78% |
순위 | 1위 | 2위 | 3위 |
계 | 선거인 수 | 185,253 | |
투표 수 | 151,401 | ||
무효표 수 | 1,534 | ||
투표율 | 81.73% |
3.2.4. 제16대 대통령 선거
강남구 강남구 일원 | |||
정당 | | ||
후보 | 이회창 | 노무현 | 권영길 |
득표수 | 164,486 | 113,399 | 8,254 |
득표율 | 57.48% | 39.63% | 3.29% |
순위 | 1위 | 2위 | 3위 |
계 | 선거인 수 | 404,458 | |
투표 수 | 287,372 | ||
무효표 수 | 1,374 | ||
투표율 | 71.05% |
3.2.5. 제17대 대통령 선거
강남구 강남구 일원 | |||||
정당 | [[대통합민주신당|]] |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
후보 | 정동영 | 이명박 | 권영길 | 문국현 | 이회창 |
득표수 | 41,493 | 187,778 | 3,806 | 16,465 | 31,023 |
득표율 | 14.68% | 66.44% | 1.34% | 5.82% | 10.97% |
순위 | 2위 | 1위 | 5위 | 4위 | 3위 |
계 | |||||
선거인 수 | 442,286 | ||||
투표 수 | 283,231 | ||||
무효표 수 | 613 | ||||
투표율 | 64.0% |
3.2.6. 제18대 대통령 선거
강남구 강남구 일원[강남] | ||
정당 | [[새누리당|]] | |
후보 | 박근혜 | 문재인 |
득표수 | 205,563 | 134,880 |
득표율 | 60.14% | 39.46% |
순위 | 1위 | 2위 |
계 | 선거인 수 | 461,592 |
투표 수 | 343,220 | |
무효표 수 | 1,461 | |
투표율 | 74.36% |
18대 대선 서울 강남구 개표 결과 | ||||
정당 | [[새누리당|]]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박근혜 | 문재인 | (1위/2위) | (선거인/표수) |
득표수 (득표율) | 205,563 (60.14%) | 134,880 (39.46%) | +70,683 (△20.68) | 74.36 |
신사동 | 66.52% | 33.24% | △33.28 | 73.83 |
논현1동 | 51.17% | 48.46% | △2.71 | 61.69 |
논현2동 | 58.15% | 40.57% | △17.58 | 67.98 |
압구정동 | 76.55% | 23.12% | △53.43 | 74.87 |
청담동 | 66.33% | 33.40% | △32.93 | 72.76 |
삼성1동 | 65.54% | 34.12% | △31.42 | 75.02 |
삼성2동[53] | 60.04% | 39.63% | △20.41 | 72.31 |
대치1동 | 72.86% | 26.67% | △46.19 | 81.35 |
대치2동 | 65.56% | 33.97% | △21.59 | 79.80 |
대치4동 | 51.88% | 47.65% | △4.23 | 67.13 |
역삼1동 | 49.92% | 49.75% | △0.17[54] | 60.84 |
역삼2동 | 59.36% | 40.30% | △19.06 | 72.30 |
도곡1동 | 61.54% | 38.11% | △23.43 | 79.54 |
도곡2동 | 74.10% | 25.48% | △48.62 | 79.60 |
개포1동 | 60.30% | 39.32% | △20.98 | 77.82 |
개포2동 | 53.78% | 45.84% | △17.94 | 78.87 |
개포4동 | 51.75% | 47.89% | △13.86 | 73.01 |
일원본동 | 57.41% | 42.05% | △15.36 | 81.78 |
일원1동 | 50.84% | 48.74% | △1.80 | 75.72 |
일원2동 | 53.22% | 46.31% | △5.91 | 79.35 |
수서동 | 52.28% | 47.21% | △5.07 | 74.84 |
세곡동 | 53.26% | 46.34% | △5.92 | 77.20 |
후보 | 박근혜 | 문재인 | 격차 | |
국외부재자투표 | 53.52% | 46.11% | △7.41 | |
국내부재자투표 | 59.81% | 38.67% | △21.14 |
여당인 새누리당에선 지난 제17대 대통령 선거 당시 경선에서 이명박에게 패배했던 박근혜가 최종 후보로 선정되어 출마했고 민주통합당에선 노무현 전 대통령의 옛 친구이자 비서실장이었던 문재인 후보가 공천을 받아 출마했다. 민주화 시대 이후 치러진 1987년 제13대 대통령 선거 이후 보수 정당이 서울에서 승리한 것은 제17대 대통령 선거가 유일했다. 하지만 민주 정당이 이곳 강남구에서 승리했던 건 그 13대 대선 때 통일민주당 김영삼 후보가 초박빙 접전 끝에 35.31% : 32.41%로 득표율 2.9%, 득표 수 13,436표 차로 승리했던 것이 유일했다. 과연 문재인 후보가 김영삼 후보의 기록을 갱신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두 후보는 치열하게 접전을 벌였지만 정치 경력 1년이 채 되지 않은 신참 정치인 문재인이 14년 차 기성 정치인인 박근혜의 관록을 넘어서지 못하며 51.55% : 48.02%로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가 승리해 당선되었다. 서울특별시에선 전국 평균과 달리 48.18% : 51.42%로 문재인 후보가 득표율 3.24%, 득표 수 20만 3,067표 차로 꺾고 1위를 차지했지만 이곳 강남구는 강남 3구에 속한 곳이자 서울에서 가장 보수적인 곳답게 60.14% : 39.46%로 박근혜 후보가 득표율 20.68%, 득표 수 7만 683표 차로 꺾고 1위를 차지했다. 이번 대선에서 나온 서울 강남구의 결과는 대략 부산광역시 연제구의 결과와 비슷했다.[55]
이것은 강남 3구 중에선 가장 보수 성향이 강하게 나온 결과였고 서울에서 박근혜의 득표율이 가장 높게 나온 결과였다. 서초구에선 58.6% : 41.01%의 결과가 나와 문재인 후보가 40% 이상의 득표를 했고[56] 송파구에서도 52.09% : 47.53%로 문재인 후보가 한 자리 수% 차 접전을 벌여 선전하기도 했다.[57] 하지만 강남구에서만큼은 문재인 후보가 40% 미만의 득표에 그쳤다. 이를 통해 강남구가 서울에서 보수 성향이 강한 강남 3구 중에서도 가장 보수 성향이 강한 곳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동별로 자세히 살펴보면 1위 박근혜 후보는 강남구 내 모든 동에서 승리했을 뿐 아니라 부재자투표까지도 모두 완승을 거두었다. 우선 결과만 살펴보면 신사동에서 3,967표 차, 논현 1동에서 386표 차, 논현 2동에서 2,134표 차로 승리했고 강남구에서도 독보적으로 보수 성향이 강한 곳이라 서울의 TK로 불리는 압구정동의 경우 무려 9,202표 차 초압승을 거두었다. 압구정동에서 기록한 득표율은 무려 76.55%로 TK 뺨치는 수준의 득표율이었다. 그리고 청담동에서도 무려 6,003표 차로 승리했고 삼성 1동에서 2,905표 차로 승리했으며 본인의 자택이 있는 삼성 2동에서도 3,712표 차로 대승을 거두었다. 그 외에 역삼 1동에서 단 32표 차로 승리했으며 역삼 2동에서 3,638표 차, 도곡 1동에서 3,311표 차, 도곡 2동에서도 무려 9,927표 차, 대치 1동에서 무려 5,254표 차, 대치 2동에서도 무려 8,045표 차로 대승을 거두었으며 대치 4동에서도 502표 차, 개포 1동에서 3,003표 차, 개포 2동에서 1,633표 차, 젊은 인구가 많이 거주하고 비교적 소득 수준이 낮은 개포 4동에서 553표 차로 승리했으며 일원본동에서 2,132표 차, 일원 1동에서 239표 차, 일원 2동에서 819표 차, 수서동에서 550표 차, 세곡동에서 554표 차 승리했다. 또 부재자투표에서도 국외부재자투표에서 396표 차, 국내부재자투표에서도 1,813표 차로 승리해 전승을 기록했다. 이곳이 서울에서 유일하게 전승을 기록한 지역이었다.
보면 알 수 있듯이 대체로 모든 동에서 수천 표 차 이상의 압승을 거두었지만 그나마 강남구에서 보수 성향이 약한 논현 1동과 역삼 1동에서는 400표 차 미만의 접전 끝에 간신히 이겼음을 알 수 있다.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때에도 갑구 새누리당 심윤조 후보가 민주통합당 김성욱 후보를 상대로 모든 동에서 두 자리 수% 차로 승리했지만 논현 1동과 역삼 1동만큼은 한 자리 수% 차 승리에 그쳤고 을구 새누리당 김종훈 후보가 민주통합당 정동영 후보를 상대로 일원 1동을 뺀 나머지 동에서 대부분 두 자리 수% 차로 승리했지만 대치 4동, 개포 4동, 일원 2동, 수서동, 세곡동은 한 자리 수% 차 승리에 그쳤는데 이번 대선에서도 그대로 적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2위 문재인 후보는 강남구 내 모든 동은 물론이고 부재자투표까지도 패배하여 높은 보수세를 실감할 수밖에 없었다. 그나마 보수 성향이 약한 논현 1동과 역삼 1동, 대치 4동, 일원 1동, 일원 2동, 수서동, 세곡동에선 접전을 펼쳤지만 나머지 동에선 모두 네 자리 수 표 차로 패배하고 말았다. 이곳 강남구가 문 후보가 유일하게 서울에서 전패를 기록한 곳이 되었다. 서울 내 25개 구 중 20개 구에서 승리했지만 유독 강남3구 지역에선 힘을 쓰지 못했다.
3.2.7. 제19대 대통령 선거
강남구 강남구 일원[강남] | |||||
정당 | | [[자유한국당|]] | |||
후보 | 문재인 | 홍준표 | 안철수 | 유승민 | 심상정 |
득표수 | 128,927 | 97,639 | 80,201 | 36,176 | 20,287 |
득표율 | 35.36% | 26.78% | 21.99% | 9.92% | 5.56% |
순위 |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계 | |||||
선거인 수 | 467,032 | ||||
투표 수 | 365,642 | ||||
무효표 수 | 1,048 | ||||
투표율 | 78.29% |
19대 대선 서울 강남구 개표 결과 | |||||||
정당 | | [[자유한국당|]]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문재인 | 홍준표 | 안철수 | 유승민 | 심상정 | (1위/2위) | (선거인/표수) |
득표수 (득표율) | 128,927 (35.36%) | 97,639 (26.78%) | 80,201 (21.99%) | 36,176 (9.92%) | 20,287 (5.56%) | + 31,288 (△8.58) | 78.29% |
신사동 | 28.79% | 34.43% | 20.73% | 10.62% | 5.12% | ▼5.64 | 75.55% |
논현1동 | 39.88% | 24.43% | 20.02% | 8.36% | 7.03% | △15.45 | 63.59% |
논현2동 | 34.62% | 28.89% | 20.43% | 9.64% | 5.95% | △5.73 | 69.89% |
압구정동 | 21.03% | 41.93% | 21.50% | 11.59% | 3.55% | ▼20.90 | 74.70% |
청담동 | 29.47% | 32.94% | 21.76% | 10.72% | 4.73% | ▼3.47 | 73.85% |
삼성1동 | 30.55% | 31.67% | 22.59% | 10.01% | 4.73% | ▼1.12 | 76.59% |
삼성2동 | 36.53% | 26.11% | 21.42% | 10.18% | 5.46% | △10.42 | 63.84% |
대치1동 | 27.62% | 31.13% | 24.52% | 12.39% | 4.09% | ▼3.51 | 83.64% |
대치2동 | 30.91% | 29.41% | 23.35% | 11.25% | 4.70% | △1.50 | 81.29% |
대치4동 | 40.42% | 21.23% | 21.51% | 9.30% | 7.27% | △9.74 | 71.65% |
역삼1동 | 41.53% | 21.97% | 20.64% | 8.64% | 6.88% | △19.56 | 62.61% |
역삼2동 | 36.47% | 24.62% | 22.28% | 10.93% | 5.46% | △11.85 | 75.90% |
도곡1동 | 33.76% | 26.71% | 22.28% | 10.30% | 5.56% | △7.05 | 81.28% |
도곡2동 | 24.91% | 36.16% | 22.87% | 11.97% | 3.77% | ▼11.25 | 81.11% |
개포1동 | 32.90% | 30.01% | 22.30% | 9.53% | 4.78% | △2.89 | 79.21% |
개포2동 | 35.28% | 26.87% | 22.50% | 10.04% | 5.34% | △8.81 | 79.38% |
개포4동 | 40.31% | 23.20% | 21.90% | 8.05% | 6.04% | △17.11 | 76.17% |
일원본동 | 37.73% | 23.13% | 22.50% | 10.75% | 5.53% | △14.60 | 82.59% |
일원1동 | 38.27% | 25.26% | 22.81% | 7.65% | 5.63% | △13.01 | 76.60% |
일원2동 | 38.84% | 25.84% | 22.38% | 8.99% | 4.88% | △13.00 | 80.76% |
수서동 | 35.68% | 28.10% | 22.96% | 7.83% | 4.88% | △7.58 | 78.15% |
세곡동 | 41.96% | 22.10% | 22.12% | 7.84% | 5.63% | △19.86 | 79.81% |
후보 | 문재인 | 홍준표 | 안철수 | 유승민 | 심상정 |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36.38% | 21.21% | 32.54% | 6.03% | 1.83% | △3.84 | |
관외사전투표 | 41.09% | 20.40% | 21.35% | 9.86% | 6.88% | △18.91 | |
재외투표 | 48.61% | 12.68% | 20.60% | 6.55% | 11.05% | △28.01 |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인해 박근혜가 파면되면서 치러진 대선이다. 더불어민주당에선 경선 끝에 지난 대선 때 박근혜에게 3.53%차 석패를 했던 문재인 후보가 재출마했고 정권을 수성해야 할 자유한국당에선 홍준표 전 경상남도지사가 경선 끝에 출마했다. 국민의당에서도 지난 대선 때 문 후보에게 후보 단일화를 하며 양보했던 안철수 의원이 출마했고 새누리당에서 갈라져 나간 바른정당에서도 유승민 후보가 출마했다. 마지막으로 정의당에서도 지난 대선 때 문 후보 지지 선언을 하며 불출마 했던 심상정 후보가 출마했다.
이미 선거 전부터 판세는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독보적으로 앞서 있었고 잠시 국민의당 경선 컨벤션 효과에 힘입어 안철수 후보가 바짝 추격하긴 했으나 대선 토론회 이후 도로 안철수 후보의 지지율이 하락세를 타고 반대로 홍준표 후보가 급부상하면서 문 후보의 독주가 계속 이어졌다. 결국 이 추세가 그대로 대선까지 이어지면서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41.1% 득표율로 24% 득표율에 그친 홍준표 후보, 21.4% 득표에 그친 안철수 후보를 찍어 누르고 역대 최다 표 차로 당선되었다. 을구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때 문 후보와 같은 더불어민주당 소속 전현희 후보가 당선된 것도 문 후보에게 호재가 되었다.
서울에서도 당선자 문재인 후보가 42.34% 득표율로 1위를 차지했으며 전국 2위 홍준표 후보는 서울에선 20.78% 득표에 그쳐 전국 3위 안철수 후보의 득표율(22.72%)보다도 낮아 3위로 밀려났다. 하지만 이곳 강남구는 서울에서 가장 보수적인 곳답게 홍준표 후보가 2위를 했고 안철수 후보가 3위로 밀려났다. 그러나 이곳 역시 문재인 후보가 2위 홍준표 후보를 35.36% : 26.78%로 득표율 8.58%, 득표 수 31,288표 차로 꺾고 1위를 차지했다. 민주당계 정당 소속 대선 후보가 강남구에서 1위를 차지한 것은 1987년 제13대 대통령 선거 때 통일민주당 김영삼 후보 이후 무려 30년 만의 일이었다. 서울 내 보수 정당 최후의 보루였던 강남구까지도 무너질 정도로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일으킨 파장은 엄청났던 것이다. 하지만 한편으론 강남구에서 기록한 문 후보의 득표율은 서울 평균보다 7% 정도 더 낮았고 유일하게 2위 후보를 상대로 10% 이상의 격차를 벌리지 못했다는 점을 볼 때 아직 한편으로는 보수세가 어느 정도 남아 있다는 것도 확인하게 되었다.
1위 문재인 후보는 젊은 직장인들이 많아 강남구에서 비교적 보수세가 약한 논현동과 역삼동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논현 1동에서 1,949표 차, 논현 2동에서 694표 차로 승리했고 역삼 1동에서는 무려 3,395표 차로 승리했다. 그리고 역삼 2동에서도 2,354표 차로 승리했다. 논현동과 역삼동은 지난 18대 대선 때 수십~수백 표 차 접전을 벌였을 정도로 선전했던 곳이며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때에도 갑구 더불어민주당 김성곤 후보가 승리했던 곳인데 거의 그대로 적용된 셈이다. 정확하게 말하면 승리한 곳은 논현 1동과 역삼 1동이었고 이번에 그 2곳에 논현 2동과 역삼 2동을 추가로 빼앗아온 것이다. 개포 1동에서 367표 차, 개포 2동에서 1,037표 차, 개포 4동에서 1,734표 차로 승리했고 일원본동에서 2,056표 차, 일원 1동에서 1,305표 차, 일원 2동에서 1,412표 차로 승리했으며 수서동에서 829표 차로 승리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젊은 직장인들이 많아 강남구에서도 상대적으로 민주당 지지세가 강한 세곡동에서는 무려 4,653표 차 대승을 거두었다. 이 세곡동은 강남구 전역을 통틀어 가장 높은 득표율을 기록한 곳이었다. 을구에 당선된 전현희 의원도 모든 동에서 승리했지만 개포 1동과 수서동만큼은 못 이겼는데 그 개포 1동과 수서동마저도 승리한 것이다. 삼성 1동과 대치 1동, 도곡 2동 이 3곳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동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삼성 2동에서 1,818표 차, 대치 2동에서 347표 차, 대치 4동에서 2,202표 차로 승리했고 도곡 1동에서 947표 차로 승리했다. 대치 4동은 지난 18대 대선 때 수백 표 차 접전을 벌였을 정도로 선전했던 곳이며 병구 더불어민주당 전원근 후보가 승리했던 곳인데 그대로 적용된 셈이다. 그리고 거기서 삼성 2동과 대치 2동, 도곡 1동 이 3곳을 추가로 빼앗아와서 승기를 잡았다.
반면에 2위 홍준표 후보는 전통적인 부촌이며 신사동에서 592표 차로 승리했고 강남구에서도 가장 보수적인 압구정동에선 무려 3,215표 차로 승리했다. 보수 정당이 궤멸되다시피 한 상황이었고 박근혜가 불명예스럽게 쫓겨났음에도 불구하고 압구정동의 콘크리트 보수층은 여전히 건재하다는 걸 재확인하는 순간이다.[59] 청담동에서도 575표 차로 승리했다. 하지만 압구정동을 제외하면 모두 수백 표 차 경합 우세에 그쳤기에 강남 부촌에서의 보수세가 예전만 못하다는 것도 확인하게 되었다. 더불어민주당 전현희 의원이 당선되었을 정도로 이미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이전부터 보수 표심이 상당히 이탈한 상태였다. 그런 와중에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터져 버렸으니 배겨날 리 없었던 것이다. 그리하여 김종훈 후보가[60] 승리했던 개포 1동과 수서동마저도 문재인 후보에게 수백 표 차로 패배하며 내줘야 했고 삼성 1동에선 불과 98표 차 승리에 불과했고 대치 1동에서도 불과 485표 차 승리였으며 도곡 2동에서 그나마 2,167표 차로 승리했을 뿐이다. 심지어 대치 4동에선 안철수 후보에게도 33표 차로 패배하며 3위로 밀리기까지 했다. 사실상 땅만 서울에 있지 표심은 TK나 다름 없다고 봐야할 듯하다.
홍준표 후보로서는 지난 대선 때 박근혜처럼 압도적인 표 차를 벌였어야 했는데 압구정동만 3,000표 차 이상으로 깼고 신사동과 청담동에서는 모두 수백 표 차밖에 못 냈고 역삼동에서 도합 5,849표 차로 문재인 후보에게 패배하며 모두 상쇄되고 말았다. 개포 1동, 일원본동, 수서동, 삼성동, 대치동, 도곡동에서 압도적인 표 차를 벌리며 승리했어야 했는데 오히려 모두 패배했기에 이기고 싶어도 이길 수가 없었다. 도곡 2동만 2,000표 차 이상으로 깼고 삼성 1동과 대치 1동에서는 모두 수백 표 차밖에 못 냈고 삼성 2동, 대치 2동, 대치 4동, 도곡 1동에서 도합 5,314표 차로 패배하며 모두 상쇄되고 말았다. 그 외에 거소 및 선상투표에선 문재인 후보가 199표를 득표해 116표를 득표한 홍준표 후보를 83표 차로 승리했고 홍준표 후보는 178표를 득표한 안철수 후보에게도 밀리며 3위에 그쳤다. 관외사전투표 역시 문재인 후보가 17,443표를 득표해 8,661표에 그친 홍준표 후보를 무려 8,782표 차로 대파했고 홍 후보는 9,066표를 득표한 안철수 후보에게도 밀리며 3위에 그쳤다. 국외부재자투표 역시 3,325표를 득표한 문재인 후보가 867표에 그친 홍준표 후보를 2,458표 차로 꺾고 1위를 차지했으며 홍 후보는 1,409표를 득표한 안철수 후보에게도 밀리며 3위에 그쳤다.
한편 서울 전역 2위인 안철수 후보는 이곳 강남구에선 홍준표 후보에게도 밀리며 3위에 그쳤다. 동별 투표에선 오로지 압구정동 1곳에서만 문재인 후보를 72표 차라는 근소한 차이로 누르고 2위를 했을 뿐이었다. 홍준표 후보에게는 3,143표 차로 대패했고 대치 4동 1곳에서만 홍준표 후보를 33표 차라는 근소한 차이로 누르고 2위를 했을 뿐이었다. 문재인 후보에게는 2,169표 차로 대패했다. 사전투표에서도 거소 및 선상투표, 관외사전투표, 국외부재자투표 역시 2위에 그쳤고 1위 문재인 후보를 상대로 모두 수천 표 차 이상의 격차를 내며 대패했다.
4위 유승민 후보는 이곳에서 9.92%를 득표해 10% 득표율을 기록한 서초구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득표율을 기록하였다. 문재인 후보가 높은 득표율을 올렸던 논현동, 역삼동보다는 홍준표 후보가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던 신사동, 압구정동, 청담동에서 높은 득표율을 올렸다. 실제로 모두 유승민 후보가 10%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했고 특히 압구정동에선 11.59% 득표율을 기록하여 대치 1동과 도곡 2동에 이어 강남구 전체 득표율 3위를 기록했다. 홍준표 후보와 마찬가지로 이곳에선 갑구와는 달리 별로 성적이 좋지 못했다. 개포 2동과 일원본동 단 2곳에서만 10%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했고 나머지 동에선 모두 한 자리 수% 득표에 그쳤다. 특히 대치 1동에선 12.39% 득표율을 기록하여 강남구 전체 득표율 1위를 기록했다. 고소득 고학력의 전문직 엘리트 계층 인사들이 많이 거주하는 곳인데 그들에게 유승민 후보가 주장한 '합리적 보수', '따뜻한 보수' 슬로건이 어느 정도 어필이 된 것으로 보인다.
5위 심상정 후보는 역시 높은 보수의 벽을 절감해야 했다. 하지만 험지임에도 불구하고 그녀 역시 5.56% 득표율을 기록하며 나름대로 선전했다. 그녀가 강남구에서 기록한 이 5.56%란 득표율은 전체 3위를 차지한 호남에서 기록한 득표율보다도 더 높았다. 심 후보는 광주, 전남, 전북 이 3곳에서 문재인 - 안철수의 뒤를 이어 전체 3위를 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3곳 모두 5% 미만의 득표율에 그쳤다. 그 점을 감안하면 5.56%란 득표율도 험지에서 맞붙은 결과치고는 매우 선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3.2.8. 제20대 대통령 선거
강남구 강남구 일원[강남] | ||
정당 | | |
후보 | 이재명 | 윤석열 |
득표수 | 106,865 | 235,897 |
득표율 | 30.35% | 67.01% |
순위 | 2위 | 1위 |
계 | ||
선거인 수 | 451,970 | |
투표 수 | 354,778 | |
무효표 수 | 2,755 | |
투표율 | 78.50% |
제20대 대통령선거 서울 강남구 개표 결과 |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 | 격차 |
후보 | 이재명 | 윤석열 | |
득표수 (득표율) | 106,865 (30.35%) | 235,897 (67.01%) | -129,032 (▼36.66) |
신사동 | 23.48% | 74.27% | ▼50.79 |
논현1동 | 37.75% | 58.90% | ▼21.15 |
논현2동 | 30.02% | 67.31% | ▼37.29 |
압구정동 [62] | 13.84% | 84.47% | ▼70.63 |
청담동 | 22.69% | 75.30% | ▼52.61 |
삼성1동 | 25.39% | 72.25% | ▼46.86 |
삼성2동 | 29.75% | 67.58% | ▼37.83 |
대치1동 | 17.13% | 80.98% | ▼63.85 |
대치2동 | 21.96% | 75.96% | ▼54.00 |
대치4동 | 37.46% | 59.69% | ▼22.23 |
역삼1동 | 37.70% | 58.78% | ▼21.08 |
역삼2동 | 30.30% | 67.24% | ▼36.94 |
도곡1동 | 28.55% | 68.70% | ▼40.15 |
도곡2동 | 17.32% | 80.89% | ▼63.57 |
개포1동 | 23.78% | 74.00% | ▼50.22 |
개포2동 | 24.88% | 72.78% | ▼47.90 |
개포4동 | 35.30% | 61.63% | ▼26.33 |
일원본동 | 31.31% | 65.70% | ▼34.39 |
일원1동 | 41.38% | 54.88% | ▼13.50 |
일원2동 | 34.56% | 62.59% | ▼28.04 |
수서동 | 37.95% | 59.00% | ▼21.05 |
세곡동 | 42.44% | 54.48% | ▼12.04 |
후보 | 이재명 | 윤석열 | |
거소·선상투표 | 41.29% | 55.97% | ▼14.68 |
관외사전투표 | 37.42% | 59.76% | ▼22.34 |
국외부재자투표 | 38.96% | 58.13% | ▼19.17 |
국회의원 선거구별 | 이재명 | 윤석열 | 격차 |
강남구 갑[63][A][65] | 28.14% | 69.28% | ▼41.14 |
강남구 을[66][A][68] | 34.96% | 62.09% | ▼27.13 |
강남구 병[69][A][71] | 24.61% | 73.09% | ▼48.48 |
윤석열 후보가 모든 동에서 압승을 보였다. 특히 임대주택이 많고, 20대 총선에서 민주당 전현희 의원에 몰표를 몰아주며 승리의 결정적 역할을 한 세곡동[72]에서도 이재명 후보가 12% 격차로 완패했다. 보수세가 유달리 강한 대치1동과 도곡2동은 모두 80%를 넘기면서 강남구 전체에서도 압구정동에 이어 득표율 순위에서 2, 3위를 기록했다.[73] 그리고 서울 전체 49개 선거구를 기준으로 윤석열 후보 득표율이 1위였으며, 그것도 유일하게 70%를 넘겼다.[74]
여담으로 이재명 후보는 보수정당에게 TK 훨씬 이상으로 지지를 보낸 압구정동은 강남구 뿐아니라 서울 25개구의 동별 중 유일하게 선거보존 마지노선인 15% 미만으로 기록하였다.
3.3. 총선
21대 총선 강남구 개표 결과 | ||||||||||||
국회의원 선거 (강남구 갑) |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미래통합당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김성곤 | 태구민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득표율) | 40,935 (39.63%) | 60,324 (58.40%) | - 19,389 (▼18.77) | 104,485 (62.36%)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신사동[A] | 31.81% | 66.45% | ▼34.64 | 67.48 | |||||||
논현1동 | 49.60% | 47.94% | △1.66 | 49.98 | ||||||||
논현2동 | 41.01% | 56.98% | ▼15.97 | 58.44 | ||||||||
압구정동[B] | 20.62% | 78.29% | ▼57.67 | 69.46 | ||||||||
청담동[C] | 31.94% | 66.39% | ▼34.45 | 63.77 | ||||||||
역삼1동 | 50.71% | 46.54% | △4.17 | 49.53 | ||||||||
역삼2동[H] | 42.11% | 55.93% | ▼13.82 | 64.32 | ||||||||
후보 | 김성곤 | 태구민 |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34.93% | 60.24% | ▼25.31 | |||||||||
관외사전투표 | 51.74% | 46.16% | △5.58 | |||||||||
재외투표 | 46.56% | 50.44% | ▼3.88 |
국회의원 선거 (강남구 을) |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미래통합당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전현희 | 박진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득표율) | 47,157 (46.41%) | 51,762 (50.94%) | - 4,605 (▼4.53) | 102,469 (73.02%)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개포1동 | 29.64% | 68.55% | ▼38.91 | 75.86 | |||||||
개포2동[J] | 32.75% | 65.68% | ▼32.92 | 75.97 | ||||||||
개포4동[K] | 49.47% | 47.82% | △1.65 | 67.25 | ||||||||
일원본동 | 43.73% | 54.34% | ▼10.60 | 74.05 | ||||||||
일원1동 | 49.68% | 46.23% | △3.45 | 67.53 | ||||||||
일원2동 | 44.20% | 53.61% | ▼9.41 | 73.26 | ||||||||
수서동 | 45.70% | 50.71% | ▼5.01 | 70.28 | ||||||||
세곡동 | 53.03% | 44.04% | △8.99 | 69.23 | ||||||||
후보 | 전현희 | 박진 |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49.73% | 44.50% | △5.24 | |||||||||
관외사전투표 | 56.69% | 40.38% | △16.31 | |||||||||
재외투표 | 57.78% | 40.98% | △16.80 |
국회의원 선거 (강남구 병) |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미래통합당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김한규 | 유경준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득표율) | 36,423 (33.57%) | 70,917 (65.38%) | - 34,494 (▼31.80) | 109,436 (72.13%)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삼성1동[D] | 33.13% | 65.52% | ▼32.39 | 68.25 | |||||||
삼성2동[E] | 37.30% | 61.62% | ▼24.32 | 63.83 | ||||||||
대치1동[F] | 24.62% | 74.71% | ▼50.09 | 78.43 | ||||||||
대치2동[G] | 30.88% | 68.16% | ▼37.28 | 73.30 | ||||||||
대치4동 | 47.86% | 50.52% | ▼2.66 | 60.53 | ||||||||
도곡1동 | 37.69% | 61.47% | ▼23.78 | 72.84 | ||||||||
도곡2동[I] | 23.38% | 75.87% | ▼52.49 | 73.50 | ||||||||
후보 | 김한규 | 유경준 |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37.90% | 58.16% | ▼20.26 | |||||||||
관외사전투표 | 43.59% | 54.82% | ▼11.24 | |||||||||
재외투표 | 48.40% | 50.85% | ▼2.46 |
비례대표 선거 | |||||||||||||||
정당 | 미래한국당 | 더불어시민당 | 정의당 | 국민의당 | 열린민주당 | 격차 | 투표율 | ||||||||
득표수 (득표율) | 146,035 (47.46%) | 68,620 (22.30%) | 21,128 (6.86%) | 28,680 (9.32%) | 16,383 (5.32%) | + 77,415 (△25.16) | 316,462 (68.69%)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신사동[A] | 57.19% | 17.34% | 4.96% | 8.02% | 4.32% | △39.85 | 67.48 | |||||||
논현1동 | 39.69% | 29.21% | 7.19% | 7.78% | 5.56% | △10.48 | 49.99 | ||||||||
논현2동 | 47.12% | 22.48% | 7.21% | 8.04% | 5.20% | △24.63 | 58.44 | ||||||||
압구정동[B] | 67.94% | 10.44% | 3.30% | 7.94% | 2.87% | △57.50 | 69.45 | ||||||||
청담동[C] | 55.83% | 17.06% | 5.13% | 8.82% | 4.24% | △38.77 | 63.77 | ||||||||
삼성1동[D] | 52.86% | 18.82% | 5.73% | 9.35% | 5.06% | △34.03 | 68.27 | ||||||||
삼성2동[E] | 48.82% | 22.00% | 6.22% | 9.42% | 5.24% | △26.82 | 63.84 | ||||||||
대치1동[F] | 59.91% | 13.71% | 4.88% | 11.06% | 4.14% | △46.20 | 78.43 | ||||||||
대치2동[G] | 53.81% | 16.51% | 6.37% | 11.17% | 4.44% | △37.31 | 73.30 | ||||||||
대치4동 | 38.58% | 27.30% | 8.22% | 9.65% | 6.36% | △11.28 | 60.53 | ||||||||
역삼1동 | 37.36% | 28.83% | 8.33% | 9.13% | 5.49% | △8.53 | 49.52 | ||||||||
역삼2동[H] | 45.58% | 22.44% | 7.51% | 10.54% | 6.00% | △23.14 | 64.32 | ||||||||
도곡1동 | 47.87% | 21.21% | 7.51% | 10.30% | 5.14% | △26.66 | 72.81 | ||||||||
도곡2동[I] | 62.50% | 12.63% | 4.97% | 9.39% | 3.58% | △49.87 | 73.50 | ||||||||
개포1동 | 56.64% | 16.84% | 4.60% | 8.49% | 4.44% | △39.80 | 75.87 | ||||||||
개포2동[J] | 52.81% | 18.26% | 6.52% | 10.81% | 4.33% | △34.55 | 75.98 | ||||||||
개포4동[K] | 38.13% | 28.63% | 8.70% | 8.06% | 6.14% | △9.49 | 67.25 | ||||||||
일원본동 | 43.16% | 23.81% | 8.72% | 10.38% | 6.19% | △19.35 | 74.04 | ||||||||
일원1동 | 37.51% | 30.65% | 7.75% | 7.37% | 5.08% | △6.85 | 67.53 | ||||||||
일원2동 | 42.60% | 25.84% | 7.62% | 9.36% | 5.46% | △16.77 | 73.26 | ||||||||
수서동 | 41.43% | 28.92% | 6.26% | 7.61% | 4.23% | △12.52 | 70.27 | ||||||||
세곡동 | 34.79% | 29.67% | 8.86% | 9.91% | 6.49% | △5.12 | 71.38 | ||||||||
정당 | 미래한국당 | 더불어시민당 | 정의당 | 국민의당 | 열린민주당 |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46.07% | 21.48% | 8.88% | 7.43% | 3.92% | △24.59 | |||||||||
관외사전투표 | 38.57% | 28.19% | 8.14% | 8.61% | 7.78% | △10.38 | |||||||||
재외투표 | 42.59% | 25.02% | 6.57% | 5.20% | 13.05% | △17.57 | |||||||||
후보 | 미래한국당 | 더불어시민당 | 정의당 | 국민의당 | 열린민주당 | 격차 | 투표율 | ||||||||
강남구 갑[L][98] | 50.27% | 20.87% | 6.25% | 8.78% | 4.82% | △29.40 | |||||||||
강남구 을[M][100] | 41.83% | 26.05% | 7.77% | 9.29% | 5.52% | △15.78 | |||||||||
강남구 병[N][102] | 53.19% | 18.09% | 6.16% | 10.15% | 4.70% | △35.10 |
비례대표 선거 | ||||||
정당 | 더불어민주연합 | 국민의미래 | 개혁신당 | 조국혁신당 | 격차 | 투표율 |
득표수 (득표율) | 46,072 (14.91%) | 155,402 (50.32%) | 20,562 (6.65%) | 59,469 (19.25%) | +95,933 (△31.07) | 321,780 (68.57%) |
신사동 | 11.30% | 61.57% | 6.01% | 13.17% | △48.40 | 65.34 |
논현1동 | 21.29% | 44.76% | 4.20% | 19.84% | ▼23.47 | 48.66 |
논현2동 | 15.67% | 51.60% | 5.01% | 17.61% | △33.99 | 55.00 |
압구정동 | 6.00% | 68.92% | 6.40% | 9.94% | △58.98 | 67.40 |
청담동 | 9.95% | 60.31% | 5.62% | 15.15% | △45.16 | 60.67 |
삼성1동 | 11.33% | 60.15% | 4.88% | 15.72% | △44.43 | 64.37 |
삼성2동 | 13.80% | 52.39% | 6.59% | 18.26% | △34.13 | 62.90 |
대치1동 | 7.99% | 57.22% | 13.14% | 14.18% | △43.04 | 74.02 |
대치2동 | 9.96% | 57.31% | 8.43% | 16.52% | △40.79 | 70.43 |
대치4동 | 18.50% | 43.43% | 5.53% | 22.89% | △20.54 | 58.57 |
역삼1동 | 21.83% | 42.10% | 4.89% | 20.49% | ▼20.27 | 47.17 |
역삼2동 | 14.21% | 48.99% | 7.56% | 20.86% | △28.13 | 63.31 |
도곡1동 | 13.32% | 52.47% | 6.00% | 19.17% | △33.30 | 71.48 |
도곡2동 | 8.22% | 62.73% | 8.52% | 12.28% | △50.45 | 69.84 |
개포1동 | 10.61% | 55.68% | 7.85% | 17.36% | △38.32 | 74.61 |
개포2동 | 12.04% | 52.69% | 8.00% | 18.60% | △34.09 | 72.24 |
개포4동 | 18.14% | 45.78% | 4.97% | 21.85% | △23.93 | 66.44 |
일원본동 | 14.42% | 47.90% | 7.10% | 21.89% | △21.89 | 74.31 |
일원1동 | 22.75% | 42.92% | 3.66% | 19.59% | ▼20.17 | 69.84 |
수서동 | 21.82% | 46.71% | 4.04% | 16.77% | ▼24.89 | 71.70 |
세곡동 | 21.19% | 39.50% | 4.58% | 24.78% | △14.72 | 69.02 |
개포3동 | 17.38% | 45.11% | 5.98% | 22.58% | △22.53 | 75.61 |
정당 | 더불어민주연합 | 국민의미래 | 개혁신당 | 조국혁신당 |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25.49% | 41.24% | 4.43% | 20.39% | ▼15.75 | |
관외사전투표 | 18.84% | 41.44% | 7.21% | 24.58% | △16.86 | |
재외투표 | 17.02% | 36.42% | 5.61% | 31.80% | △4.62 |
[1] 여담으로 압구정동은 TK보다 더 많은 득표율을 자랑한다. 최근 선거에서는 보수정당 득표율이 거의 90%에 육박하여 TK 농촌지역 못지 않은 엄청난 보수세를 보여주었다.[2] 두 곳 모두 강남구 갑 관할[3] 강남구 을 관할[4] 찬성율이 가장 낮은 곳은 5.18 민주화운동이 일어났던 전라남도 광주시이다.[5] 특히 1996년 15대 총선에서 '을'구는 야권이 분열된 상황에서 당적을 포기했던 현역 홍사덕 의원이 무소속으로 당선되었다. 이 시기까지는 능력있고 참신한 인물들이 여야를 넘어 강남의 표심을 얻었고, 이 때문에 신정치 1번지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 대표적으로 1992년 14대 총선에선 '갑'구에서 통일국민당의 김동길, '을'구에서는 민주당의 홍사덕이 당선되며 야당판이 되었던 바 있다.[6] 1990년대 초만 해도 강남은 아파트값만 엄청나게 비쌌을 뿐, 압구정동을 제외하면 그렇게까지 잘 사는 동네도 아니었다. 서울의 원조 부촌은 용산구와 성북구였다. 개발을 통해서 지금의 입지가 마련됐을 뿐이지, 주공아파트가 처음 완공됐을 때의 서초·강남은 그야말로 허허벌판이었고, 지금에 비하면 상전벽해 수준으로 바뀐 것이다. 입지전적인 인물들이나 IT계 종사자들이 많이 강남에 살았었는데, 현재는 상당수가 지금의 판교신도시로 많이 이주했다.[7] 역대 민선 서울시장 중 가장 코어 지지층이 탄탄한 오세훈이 이 선거 당시 강남구 을에 출마하여 당선되었었다.[8] 옛날 새누리당 시절 20대 총선에서 수성구 갑이 보수의 강력한 텃밭인 것만 믿고 경기도지사 시절 도지삽니다로 물의를 일으킨 김문수를 냅다 공천했다가 더불어민주당 소속 김부겸에게 한 번 내준 적이 있기 때문에 텃밭 공천에 더더욱 신경쓸 것이다.[9] 강남구 서울시의원 더불어민주당 3명, 자유한국당 3명.[10] 용산구,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에서 민주당을 상대로 우위를 점했다. 문제는 이 4개 구를 제외한 다른 구에서는 단 한 명도 당선자가 없다는 것.[11] 불과 2019년 초까지만 해도, 서초구를 제외한 강남구의 기초자치단체까지 그야말로 민주당이 싹쓸이했을 때까지만 해도 고가아파트 표심에서 적잖게 민주당에게 호의적이였다. 집값을 잡아주고 종부세나 양도세 둘 중 하나는 내려줄 것이라는 기대감이였다. 하지만,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대한 문제가 계속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김현미 장관이나 김수현 정책실장 등을 경질하지 않아, 실망한 고가아파트 표심이 다시 보수정당으로 고개를 돌린 것. 강남구 거주민들 대부분 대출을 통해서 집을 샀고, 지금도 매달 얼마씩 갚아나가는 사람들이 많음에도 이를 망각하고 단지 고가아파트를 소유하고 있다는 이유 만으로 종부세와 양도세를 더 올려대니까 보수정당 득표율이 그리 나올 수 밖에...[12] 전국에서도 TK를 제외한 보수 최대 득표율이다.[13] 그나마 민주당 입장에서 다행인 점은 재보궐선거처럼 금관구와 노도강까지 보수정당이 이기는 결과로 나오진 않았다는 것이다.[14] 실제로 강남구 을 여론조사에서는 경합으로 나타나면서 민주당에서는 지역구 탈환에 나름 기대를 걸었다.[15] 그렇게 교체된 현역 의원들은 다른 지역구에 나가서(태영호: 구로구 을, 박진: 서대문구 을, 유경준: 화성시 정) 모두 낙선의 고배를 마셨다.[16] 지방선거때는 약 40%p 차이가 났다면 이번에는 세 지역구를 합쳐서 약 25%p 차이가 났다.[17] 대치동이라는 선입견과 달리 생활권은 오히려 역삼동에 붙어있다.[18] 그 중에서도 서울의 TK로 불리는 압구정동에서는 82%를 득표했으며 도곡2동, 신사동, 청담동 등에서도 70%대 득표율로 압승했다.[19] 서울에서 유일하게 국민의미래 득표율이 단독으로 50%를 넘겼다.[20] 9대 국회까지는 성동구 소속이었다.[21] 99.9.6. 의원직 사퇴. 잔여 임기 1년 미만으로 재보궐선거 미실시[22] 11.6.9. 의원직 상실 (정치자금법 위반). 잔여 임기 1년 미만으로 재보궐선거 미실시[23] 논현1동, 논현2동, 압구정동, 신사동, 역삼1동, 역삼2동, 청담동[A] 관외투표 제외[25] 지역구 국회의원 : 태영호 (국민의힘, 초선)[26] 일원1동, 일원2동, 일원본동, 수서동, 개포1동, 개포2동, 개포4동, 세곡동[A] 관외투표 제외[28] 지역구 국회의원 : 박진 (국민의힘, 4선)[29] 오세훈 국민의힘 후보가 이 지역에서 16대 국회의원을 지낸 경력이 있다.[30] 삼성1동, 삼성2동, 도곡1동, 도곡2동, 대치1동, 대치2동, 대치4동[A] 관외투표 제외[32] 지역구 국회의원 : 유경준 (국민의힘, 초선)[33] 다만 양천구에선 40:57 정도의 결과가 나오면서 강남3구와 용산구급 몰표보단 성동구, 강동구, 영등포구등과 비슷한 표심을 이어갔다.[L] 신사동, 논현1동, 논현2동, 압구정동, 청담동, 역삼1동, 역삼2동[35] 지역구 국회의원: 태영호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초선)[M] 개포1동, 개포2동, 개포4동, 일원본동, 일원1동, 일원2동, 수서동, 세곡동[37] 지역구 국회의원: 박진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4선)[N] 삼성1동, 삼성2동, 대치1동, 대치2동, 대치4동, 도곡1동, 도곡2동[39] 지역구 국회의원: 유경준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초선)[A] [B] [C] [D] [E] [F] [G] [H] [I] [J] [K] [51] 지금의 서초구, 강남구 일원[강남] 신사동, 논현1동, 논현2동, 압구정동, 청담동, 삼성1동, 삼성2동, 대치1동, 대치2동, 대치4동, 역삼1동, 역삼2동, 도곡1동, 도곡2동, 개포1동, 개포2동, 개포4동, 일원본동, 일원1동, 일원2동, 수서동, 세곡동[53] 박근혜 후보 자택 소재지.[54] 불과 32표 차였다.[55] 박근혜 60.22% : 39.44% 문재인[56] 하지만 서울 서초구의 결과는 부산광역시 사하구보다도(박근혜 58.32% : 41.39% 문재인) 좀 더 보수성이 강하게 드러났다.[57] 서울 송파구의 결과는 경상도에서 가장 민주당계 정당 지지세가 강한 경상남도 김해시의 결과(박근혜 52.17% : 47.49% 문재인)와 유사했다.[강남] [59] 물론 지난 대선 때 박근혜가 문재인을 무려 9,200표 차 이상의 격차로 이겼던 것에 비하면 이것도 많이 보수세가 약해진 것이긴 하다.[60] 다만 김종훈 후보는 바른정당 소속이었다.[강남] [62] 수도권의 3대 부촌으로 대기업에서 재직하다 은퇴한 노년층이 많이 거주하며, 서울 뿐만 아니라 수도권 모든 지역에서 보수우파가 가장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지역이다.[63] 논현1동, 논현2동, 압구정동, 신사동, 역삼1동, 역삼2동, 청담동[A] 관외투표 제외[65] 지역구 국회의원 : 태영호 (국민의힘, 초선)[66] 일원1동, 일원2동, 일원본동, 수서동, 개포1동, 개포2동, 개포4동, 세곡동[A] 관외투표 제외[68] 지역구 국회의원 : 박진 (국민의힘, 4선)[69] 삼성1동, 삼성2동, 도곡1동, 도곡2동, 대치1동, 대치2동, 대치4동[A] 관외투표 제외[71] 지역구 국회의원 : 유경준 (국민의힘, 초선)[72] 사실, 세곡동은 서울 전체에서 저렴한 건 아니고, 강남구에서 저렴한 축에 속하는지라, 강력한 진보지역은 아니긴 했다. 옆동네 자곡동만 봐도.. 거기에 젊은층의 민주당 반감도 한 몫 했다.[73] 행정동 단위 기준으로 윤석열 후보 득표율이 80%를 넘은 곳은 이 3개동이 끝이다.[74] 이 득표율은 보수정당의 최고 텃밭인 TK와 비교해봐도 거의 비슷한 수준인데, 실제로 경상북도 전체 득표율보다 더 높은 수치를 기록한 것이다.[A] [B] [C] [H] [J] [K] [D] [E] [F] [G] [I] [A] [B] [C] [D] [E] [F] [G] [H] [I] [J] [K] [L] [98] 지역구 국회의원: 이종구 (새누리당 → 바른정당 → 자유한국당 → 미래통합당, 3선)[M] [100] 지역구 국회의원: 전현희 (더불어민주당, 재선)[N] [102] 지역구 국회의원: 이은재 (새누리당 → 바른정당 → 자유한국당 → 미래통합당 → 기독자유통일당 → 한국경제당, 재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