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0 20:48:30

신연희

파일:강남구 CI_White.svg
서울특별시 강남구청장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국응호
제2대
이영식
제3대
이광하
제4대
김제량
제5대
김진욱
제6대
김진호
제7대
백상승
제8대
박종우
제9대
신성호
제10대
최상근
제11대
김문종
제12대
정영섭
제13대
이광우
제14대
원세훈
제15-17대
권문용
제18대
맹정주
제19·20대
신연희
제21대
정순균
제22대
조성명
파일:IMG_0319.png }}}}}}}}}
<colbgcolor=#063b94><colcolor=#fff> 제19·20대 서울특별시 강남구청장
신연희
申燕姬 | Shin Yeon-hee
파일:신연희구청장.jpg
출생 1948년 1월 8일[1] ([age(1948-01-08)]세)
충청남도 공주군
(現 충청남도 공주시)
재임기간 제19·20대 서울특별시 강남구청장
2010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63b94><colcolor=#fff> 가족 배우자 김성무, 슬하 1남 1녀
학력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행정학 / 학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도시행정학 / 석사 · 박사)
소속 정당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약력 서울특별시 4급 을류 공개경쟁채용시험 합격
강북구 부구청장
서울특별시청 행정국장
이명박 서울특별시장 여성복지정책보좌관
대한노인회 중앙회 사무총장
제19·20대 서울특별시 강남구청장 (민선 5·6기 / 한나라당·새누리당)
}}}}}}}}}

1. 개요2. 생애3. 정치 활동4. 사건사고/논란5. 경력6. 선거 이력7. 소속 정당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공무원 출신 정치인.

2. 생애

1948년 1월 8일[3] 충청남도 공주군에서 태어났다. 출신 초·중·고등학교는 알려지지 않았다. 이후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1973년 서울특별시청 소속 7급 공무원(7급 공채 출신)[4][5]으로 근무를 시작하였으며 이후 서울특별시청과 구청을 오가며 복지 관련 부서에서 근무하다가[6] 1980년대 중반 지방행정사무관으로 승진해 1988년 마포구청 부녀복지관장을 역임했고, 1993년 본청 지방서기관으로 승진해 복지/여성 부서 과장으로 근무했다.

이후 1999년 회계과장을 역임했으며, 재임 도중 지방부이사관으로 승진해 2002년 이명박 서울시장 부임 후 김현풍 강북구청장 아래에서 강북구 부구청장을, 2004년엔 본청 행정국장을 맡는다. 이후 2006년 서울특별시장 복지여성정책특별보좌관 겸 여성가족정책관을 맡다가 오세훈 시장 취임 후 퇴직하였다. 최종 직급은 관리관(1급).

오세훈 시장 재임 시에도 서울시 공직자윤리위원회 위원,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선임연구원 등을 맡았고, 인사혁신처 공무원연금급여재심사위원회 위원직도 맡았다. 홍조근정훈장을 수훈하였다.

공무원으로 재직하는 동안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에서 도시행정학 석사,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3. 정치 활동

서울특별시 공무원으로 근무할 때의 인연으로 친이계가 되어, 2007년 제17대 대통령 선거에서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 선거캠프에서 활동하였다. 이명박 대통령 당선 이후 취임준비위원회 자문위원으로 활동하였고, 2009년엔 대한노인회 중앙회 사무총장직을 맡았다.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강남구청장 선거에 출마하여 민주당 이판국 후보와 현직 구청장인 친여 무소속 맹정주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으며,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새누리당 후보로 다시 출마하여 새정치민주연합의 김명신 후보를 꺾고 재선 기초자치단체장이 되었다.

그러나 2018년 2월 28일 구속되어 구청장직은 부구청장 직무대리 체제로 전환되었고,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후보자가 선출하자 3선 출마할 수 없는것으로 확정되어 구청장직을 상실하였다.

공직선거법상 허위사실 유포와 명예훼손 등의 혐의로 벌금 800만원, 횡령과 증거인멸교사로 징역 3년을 선고받았다. 2심에서 횡령과 증거인멸교사는 징역이 2년 6개월로 줄었으나 명예훼손은 벌금이 1,000만원으로 늘었으며 이후 횡령 혐의로 2019년 7월, 대법원에서 징역 2년 6개월을 선고받으면서 용의자에서 최종적으로 범죄자가 되었다.

이후 사면 복권 됐고, 제22대 국회의원 선거강남구 병으로 출마를 선언했으나 당에서 부적격 판정을 받았다.

4. 사건사고/논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신연희/사건사고 및 논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경력

6. 선거 이력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e61e2b><rowbgcolor=#e61e2b><tablebgcolor=#fff,#1c1d1f><tablewidth=100%><rowcolor=#fff>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2010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울 강남구청장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100,609 (44.23%) 당선(1위) 초선
2014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163,037 (61.25%) 재선
역대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5회 지선 신연희 벽보.jpg 파일:6회 지선 신연희 벽보.jpg
5회 지선 (서울 강남구청장) 6회 지선 (서울 강남구청장) }}}}}}}}}

7. 소속 정당

<rowcolor=#fff> 소속 기간 비고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7 - 2012 정계 입문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12 - 2017 당명 변경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17 - 2020 당명 변경


[[미래통합당|
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20 합당[10]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020 - 현재 당명 변경
  • 구속되었지만, 당적을 유지하고 있다.

8. 둘러보기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1818,#e5e5e5
종로 성동 광진
김영종 최창식 성장현 고재득 김기동
동대문 강북 도봉
유덕열 문병권 김영배 박겸수 이동진
노원 은평 서대문 마포 양천
김성환 김우영 문석진 박홍섭 이용화
강서 구로 금천 영등포 동작
노현송 이성 차성수 조길형 문충실
관악 서초 강남 송파 강동
유종필 진익철 신연희 박춘희 이해식
* 중구청장 박형상 당선무효 (2011.2.24.)
* 양천구청장 이제학 당선무효 (2011.6.30.)
* 양천구청장 추재엽 당선무효 (2013.3.26.)
민선 1기 / 민선 2기 / 민선 3기 / 민선 4기 / 민선 6기 / 민선 7기 / 민선 8기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종로 용산 성동 광진
김영종 최창식 성장현 정원오 김기동
동대문 중랑 성북 강북 도봉
유덕열 나진구 김영배 박겸수 이동진
노원 은평 서대문 마포 양천
박문규 김우영 문석진 박홍섭 김수영
강서 구로 금천 영등포 동작
노현송 이성 차성수 조길형 이창우
관악 서초 강남 송파 강동
유종필 조은희 신연희 박춘희 이해식
* 노원구청장 김성환 사퇴 (2018.2.13.)
민선 1기 / 민선 2기 / 민선 3기 / 민선 4기 / 민선 5기 / 민선 7기 / 민선 8기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C9252B><tablebgcolor=#C9252B>
파일:새누리당 흰색 아이콘.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C9252B><tablebgcolor=#C9252B>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신연희 박춘희 최창식 문병권 김홍섭
조윤길 여인국 조억동 이석우 황은성
현삼식 김춘석 서장원 김성기 김선교
김규선 최명희 김대수 채용생 김연식
전창범 박선규 이순선 정호조 정갑철
박환용 최명현 김동성 김영만 이필용
이기원 이준원 이철환 이완섭 성무용
박동철 이용우 최승우 진태구 김석환
임병헌 곽대훈 이종화 이진훈 윤순영
김문오 최영조 최양식 남유진 박보생
고윤환 권영세 김주영 김영석 곽용환
장욱 박노욱 김항곤 이현준 김병목
권영택 최수일 임광원 김복규 이중근
백선기 강인길 원정희 이종철 하계열
황재관 송숙희 이경훈 박극제 박현욱
이위준 어윤태 김은숙 박성민 신장열
권민호 엄용수 정만규 나동연 이창희
김동진 이홍기 이학렬 이재근 김채용
김충식 조유행 임창호 하창환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C9252B><tablebgcolor=#C9252B>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아이콘.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C9151E><tablebgcolor=#C9151E>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신연희 조은희 박춘희 최창식 나진구
장석현 이흥수 강범석 이재호 김홍섭
조윤길 신계용 조억동 백경현 황은성
이필운 정찬민 공재광 김종천 김성기
김선교 김규선 이병선 최동용 윤승근
전창범 김진하 박선규 이순선 전정환
이현종 심재국 노승락 최문순 박수범
조길형 류한우 정상혁 박세복 이필용
오시덕 김동일 이완섭 박동철 이용우
노박래 황선봉 이석화 한상기 김석환
임병헌 이태훈 배광식 류한국 최영조
박보생 고윤환 장욱현 김영석 이강덕
곽용환 김영만 박노욱 김항곤 이희진
권영택 김주수 이승율 한동수 백선기
원정희 이종철 박삼석 전광우 황재관
송숙희 이경훈 박극제 박현욱 이위준
어윤태 김은숙 백선기 서동욱 권명호
박천동 박성민 신장열 박일호 송도근
나동연 이창희 김동진 박영일 김충식
윤상기 하창환 }}}
}}}}}}


[1] 음력 1947년 11월 28일[2] 2018년 2월 28일 구속되어 직무대리 체제로 전환되었고, 강남구청장의 직무권한을 회복하지 못한 채 임기가 종료되었다.[3] 음력 1947년 11월 28일[4] 당시 4급 공채. 여담으로 그 세대 명문대 졸업자라면 차라리 하위권 대기업에 갔으면 갔지 7급 공채(공안직 제외)는 거뜰떠보지 않던 시절이었다. 당시의 9급 공채는 말할 것도 없었고. 행정고시(현 5급 공채)에 도전했다가 포기하였지만 공직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해서 7급 공채에 응시했던 것으로 추정된다.[5] 혹은 7급으로 공직 입문 후 대학 입학을 했을 가능성도 있다. 대학 학번이나 졸업 연도가 알려지지 않았다.[6] 신연희 세대가 실무자-말단관리자로 봉직하던 시절은 지금보다도 성역할 고정관념이 훨씬 강했기에 행정직 출신 여성이 사회복지직 공무원이 갈 법한 부서들에서 주로 커리어를 쌓는 게 이상할 건 없었다.[7] 초, 중, 고등학교 졸업 정보는 공개되어 있지 않고, 대학교 졸업 시기도 알려져 있지 않다.[8] 당시 사무관은 3급 을류, 주사보는 4급 을류였다.[9] 여담으로 이 부서는 신연희가 시보를 뗀 지 50년 가까이 지난 지금도 '사회복지과'라는 이름을 쓰고 있다. (기초복지과, 사회보장과, 생활복지과 등으로 부서 명칭을 바꾼 구청들도 많다.)[10] 새로운보수당, 미래를향한전진4.0과 신설 합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