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웹툰 삼풍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박찬종(삼풍)]]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박찬종(삼풍)#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박찬종(삼풍)#|]]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웹툰 삼풍의 등장인물: }}}[[박찬종(삼풍)]]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박찬종(삼풍)#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박찬종(삼풍)#|]]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 ||||
제11대 왕상은 안건일 | → | 제12대 김정길 박찬종 | → | 선거구 조정 김광일[1] 노무현[2] 김정길[3] |
| ||||
선거구 분리 김형래[C] 이중재[C] | → | 제13·14대 박찬종[6] | → | 제15대 최병렬[7] |
대한민국 제9·10·12-14대 국회의원 박찬종 朴燦鍾 | Park Chan-jong | |||
| |||
<colbgcolor=#0958A7><colcolor=#fff> 출생 | 1939년 4월 19일 ([age(1939-04-19)]세) | ||
경상남도 김해군 주촌면 선지리 (現 경상남도 김해시 주촌면 선지리) | |||
본관 | 밀양 박씨 | ||
호 | 우당(尤堂) | ||
현직 | 한국자산관리방송 회장 아시아경제연구원 이사장 상생과통일 포럼 상임고문 | ||
링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958A7><colcolor=#ffffff> 배우자 | 정기호 | |
자녀 | 1남 2녀 | ||
학력 | 부산대신국민학교 (졸업) 경남중학교 (졸업) 경기고등학교 (54회 / 졸업)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경제학 / 학사)[D] 국방대학교 (행정학 / 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 석사) | ||
병역 | 대한민국 해병대 대위 만기전역 (군법무관) | ||
종교 | 개신교 (사랑제일교회)[9] | ||
신체 | 172cm, 74kg, B형 | ||
소속 정당 | [[자유통일당| 자유통일당 ]] | ||
의원 선수 | 5 | ||
의원 대수 | 9, 10, 12, 13, 14 | ||
약력 | 제12회 고등고시 사법과 합격 제13회 고등고시 행정과 합격 제8회 계리사시험 합격 한국공인회계사회 회장 민주화추진협의회 인권옹호위원회 위원장 신한민주당 상임위원 신한민주당 전임위원 신한민주당 인권옹호위원회 위원장 통일민주당 전임위원 통일민주당 정책위원회 위원장 신정치개혁당 총재 겸 최고위원 신민당 최고위원 겸 원내총무 신한국당 상임고문 신한국당 전임고문 겸 선거대책위원회 공동위원장 한나라당 법률행정특임촉탁위원 국민신당 전임고문 겸 최고위원 국민신당 선거대책위원회 위원장 민주국민당 최고위원 홍익대학교 초빙교수 | ||
구독자 | 31.1만 명[10] | }}}}}}}}} |
1. 개요
대한민국의 법조인이자 정치인.2. 생애
2.1. 정계에 입문하기까지
1939년 4월 19일, 경상남도 김해에서 출생하였다. 경남중학교와 경기고등학교(54회)를 거쳐 1958년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경제학과[D]에 진학하였다.대학에 재학중이던 1960년 제12회 고등고시 사법과에 합격하였고, 이듬해인 1961년 제13회 고등고시 행정과에 합격한 후 1962년 제8회 계리사시험[12]까지 합격하였다.[13]
대한민국 해군 군법무관으로 임관하여 대한민국 해병대에서 복무하였고, 대위로 만기전역하였다. 이후 1971년까지 검사로 근무하다가,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시 여당이었던 민주공화당의 공천을 받아 부산직할시 서구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신민당 김영삼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2. 전성기
1973년에 유신헌법으로 치러진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여당인 민주공화당 후보로 부산직할시 서구·동구 선거구에 출마하여 신민당 김영삼 후보와 동반 당선, 본격적으로 정치 활동을 시작했다. 이후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같은 선거구에 출마해서 당선되었다.이 당시 박찬종은 차지철과 친하게 지내면서 차지철 사람이라고 여겨졌는데, 이 당시의 행보는 국민들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았지만, 여야 정치인들은 대부분 그의 행적을 알고 있었으며, 이 때문에 유신 이후 그가 아무리 개혁파의 이미지를 내세워도 정치권에서는 그다지 호응을 얻지 못한 이유도 다 이 당시의 행보 탓이다.
1979년 10.26 사건 이후 공화당이 야당할 각오로 국민 앞에 사죄하고 혁신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정풍운동을 일으켰으나, 결국 이듬해 4월 공화당에서 제명당했다.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부산직할시 서구 선거구에 출마하였다가 군사정권의 강압에 의해 강제 사퇴당했다. 이후 그는 유신 정권에 가담했던 과거를 참회하는 저서 <부끄러운 이야기>를 내며 정치적으로 전향하였다.
민주화추진협의회 인권옹호위원장으로 활동하면서 김민석, 허인회, 송영길 등 많은 학생운동가들을 변론하였다. 1985년 1월 신한민주당 창당 작업에 창당준비위원으로 참여하였다. 1985년 2월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한민주당 후보로 부산직할시 중구-동구-영도구 선거구에 출마하여, 합동연설회장에서 "전두환은 광주에서 양민 2,000명 이상을 학살하고 정권을 잡았다." 고 사자후를 토하는 결기를 보이면서 민주한국당 김정길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당시 이 선거에서 전두환의 민주정의당은 중선거구제였음에도 불구하고 부산 12개 의석 중 겨우 3석을 얻는 대참패를 하였다.
1987년 김영삼과 김대중이 통일민주당을 창당하자 이에 동참하여 정책위원회 의장을 맡기도 했다. 그러나 제13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양김이 분열하자, 이철, 조순형, 홍사덕, 장기욱, 허경구 등과 함께 끝까지 후보단일화를 주장하면서 양김씨의 통합을 촉구하는 삭발시위를 하기도 했다.[14] 단일화가 실패하자 통일민주당을 탈당하고 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서울특별시 서초구 갑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3당 합당 이후 꼬마민주당에 입당하였으나 민주당에 합류하지 않고 탈당하였다. 1992년 1월 김동길과 함께 새한당 창당준비위원회를 설립하려 했으나 이탈하였고 본인의 신당을 창당하기로 결정한다.
1992년 신정치개혁당을 창당하고 제14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 6.4%의 득표율로 4위를 기록하였다. 언뜻 별 것 아닌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양김과 정주영이 출마한 선거에서 그만한 조직이나 자금 없이 올린 오직 박찬종 개인의 인기에 따른 득표율이라는 점을 생각해보면 대단한 것이다. 대권 경쟁자가 지금과는 비교하기 마땅치 않을 정도로 강력했는데, 사실상 민주화를 대표했던 거물 두 명과 흙수저 신화를 쓰며 성공한 대표 경제인이 각축을 벌이는 와중에 얻은 결과였다.[15]
이 때의 인기 덕분에 그는 한국 정치인 사상 처음으로 TV광고에 출연하였다. 남양유업의 신제품 브랜드 우유 '다우'의 TV광고모델로 등장하였고, 이때 남양유업에서 내세운 슬로건 '무균질(無菌質) 우유'에 빗대어 '무균질 정치인'으로 자신을 홍보한 것이 꽤 센세이셔널한 반응을 일으켰다. 신정치개혁당의 일부 당직자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출연을 결정했는데, 이는 신정치개혁당의 재정난 때문이기도 하며, 광고비는 보궐선거 비용으로 사용했다고 한다.
이때까지만 해도 박찬종은 삼김시대가 끝나고 나면 가장 유력한 대통령 후보가 될 정치인으로 부각되었다. 이러한 성과를 근거로 박찬종은 활발한 정치 활동을 전개하였다.
2.3. 몰락
1994년 통일국민당 잔류파와 합당하여 신민당(1994년)을 창당하였으나, 각목 전당대회 파문으로 이미지에 상처만 남긴 채 탈당하였다. 광주MBC에서 방영한 김대중 다큐멘터리에 따르면, 당시 김대중 대통령이 여당에 맞서기 위해 야권 통합을 지시했고 그 일환으로 동교동계가 박찬종에게도 접근했지만 성사되지 못했다고 한다. 1995년 열린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서울특별시장 선거에 무소속으로 출마하여,[16] 초반에는 압도적으로 높은 인지도를 앞세워 지지율 1위를 달렸으나, 정계에 복귀한 김대중과 자유민주연합의 암묵적인 지원을 얻은 조순 후보에게 패배하였으며, 애꿎은 의원직만 날려버렸다.[17] 이 당시 신민당에서 각목 전당대회로 앙금이 쌓여있던 김동길은 오로지 박찬종을 떨어뜨리기 위해 조순 선거운동에 가담했다며 박찬종을 가리켜 "무균질 인간? 웃기지 말라고 그래요. 뱃속에 병균이 와글와글해요"라는 비난까지 쏟아냈다.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당시 여당이던 신한국당에 전격 입당하여 선거대책위원장을 맡았다. 이때 통영시 유세에서 "전두환과 노태우 두 전직 대통령을 처벌하지 않았다면 전라도 데모대들이 국가를 위기로 빠트렸을 것"이라는 지역감정 조장 발언으로 큰 비난을 받았다.# 파문이 일자 박찬종은 "전두환, 노태우 정권의 최대 피해자가 전라도 사람들이기 때문에 한 표현이었을 뿐"이라고 해명하였으나, 지역감정을 조장한 상식 이하의 발언으로 비난을 받았고 당시 5.18 민주화운동시민연합은 대국민 사과를 요구하는등 지탄을 받았다.# 신한국당이 예상보다 저조한 득표율을 기록하면서 전국구 의석을 18석 확보하는 데에 그쳐 21번으로 등록했던[18] 박찬종이 낙선한 것은 덤. 낙선 이후 문민정부에서 선거대책위원장으로서의 공로 치하와 낙선에 대한 보상 격으로 정무장관 자리를 제의받았으나 사양했다.
1997년 제15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여론조사에서 김대중에 이은 2위를 기록하기도 했으나, 당내 기반이 전무했던 탓에 신한국당 대선후보 경선을 중도 포기하고 탈당했다. 이후 신한국당을 탈당한 뒤 국민신당에 입당하여 이인제를 지지하였다. 1998년 7월 재보선에서 자신의 지역구였던 서초구 갑에[19] 출마하였으나 3파전이 될 것이라는 예상이 무색하게 8.7%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4위에 그쳤다.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국민당의 창당에 참여하여 부산광역시 중구-동구 선거구에서 출마했으나 한나라당 정의화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02년에는 이회창과 화해하고 제16대 대통령 선거 운동을 도왔으나, 이회창은 낙선하였다.
2002년 부로 독도의 주권이 일본에 넘어간다는 유언비어를 유포하는 등 또다시 구설수로 잠시 주목을 받은 적이 있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부산 서구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한나라당 유기준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그 후로는 사실상 정계를 떠나 본업인 변호사 활동을 하고 있다. BBK 주가조작 사건, 판사 석궁 테러 사건, 미네르바 사건, 동방신기 노예계약 사건, 주한일본대사습격사건 등을 담당하여 세간의 주목을 받았다.
2.4. 정계 은퇴 이후
2013년 아시아경제연구원 이사장, 그리고 한국자산관리방송 회장으로 취임했다.2018년 7월 자유한국당의 비상대책위원장 물망에 오르기도 했다. 사실상 이시기부터 아스팔트 우파로 정착했다고 보고있다.
2019년 유튜브에 '박찬종TV'를 개설하고 문재인 정부를 저격하는 영상을 올리는가 한편 집권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을 김정은 추종세력이라고 저격하면서 아예 강성우파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사실 이전에 2017년 말에는 민주당계 인사가 많이 참여하는 국민TV 맘마이스에도 출연한 걸 생각하면 아이러니한 부분이었다.
이후 2020년과 2021년에는 전광훈의 이른바 아스팔트 기독교 우파 무리와 어울리면서 전광훈이 창당한 국민혁명당 고문으로도 활동하기 시작했다.
2024년부터는 LA 우리방송에서 "박찬종이 말한다" 라는 대담 콘텐츠를 진행하면서 당시 비상계엄 시국 상황 때 윤석열의 탄핵을 막아야 한다, 이재명의 독재를 막기 위해 청렴한 김문수를 밀어야 한다 등의 주장을 계속 이어나갔다.
2025년 대선에서는 김문수를 지지하며 '우국충정', '일편단심', '청렴결백', '직정경행'이라고 평가하였고 김문수가 목표로 하는 것을 반드시 이뤄야 한다는 주장을 펼쳤다.#
3. 평가
신정치개혁당을 창당해 양김과 현대그룹 정주영 회장과 경쟁했던 1992년 총선과 대선을 기점으로 '무균질 정치인'이란 수식어를 얻으며 3김의 뒤를 잇는 정치인이라는 유망한 평가를 받으며 대중들에게 인지도를 얻었고, 1994년 김동길과의 당권 싸움으로 인한 각목 테러 사건과 이듬해인 1995년 서울시장 선거 낙선 이후로도 김영삼 대통령에 의해 신한국당에 영입되어 1997년 초까지만 해도 차기 대권 지지율 1위를 유지하며 전성기를 누렸으나, 경선 사퇴 후 이인제를 따라 탈당해 국민신당에 합류한 뒤 철새 이미지가 굳어져 하락세를 달렸다.특히 1998년 재보궐선거 당시 서울 서초구 갑 지역에 출마했으나 낙선한 것을 보면 잘 알 수 있다. 본래 박찬종은 13대 총선 당시 무소속, 14대 총선 당시 신정치개혁당 소속으로 이 지역구에 출마하여 주요정당 후보를 모두 누르고 재선을 했는데, 1998년 재보궐선거에서는 한나라당과 자민련은 물론이고 무소속 이종률 후보에게도 뒤지는 한자릿수 득표율로 4위를 기록하며 참패하였다. 그 이후로는 제도권 정계로 돌아가지 못했다.
그래도 대선과 1998년 재보궐선거를 제외하면 선거비 전액 보전에 해당하는 15% 이상은 항상 넘겼으며 이는 개인의 인기에서 오는 고정 지지층은 나름대로 건재했음을 알 수 있는 부분이다.
4. 박찬종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박찬종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박찬종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안철수와의 비교
안철수 열풍의 1990년대 버전을 보여준 정치인이라는 평가가 있다. 물론, 두 사람은 거대 양당 체제 속의 인물이 아니면서 신선하고 깨끗한 이미지로 돌풍을 일으켰다는 점에서는 유사하다. 또 개인의 인기만으로 대권 주자에까지 올랐으며, 양당 체제 속에서 조직력의 부재를 겪었다는 점에서도 비슷한 부분이 있다.하지만 두 사람의 정치 활동과 방식에 있어서는 차이가 분명히 있다. 박찬종은 33세에 국회의원 선거에 처음 출마했고, 35세에 국회의원에 당선했다. 그 뒤로도 정계은퇴하기 전까지 줄곧 정치 활동을 했던 사람이라는 점에서, 의사-대학교수-기업인으로 크게 성공한 뒤에 정치에 입문한 안철수와는 차이가 있다.
또한 두 사람의 화법에도 차이가 있다. 박찬종은 직설적이고 돌직구 스타일의 화법으로 유명하지만, 안철수는 좋게 말하자면 조심스럽고, 나쁘게 말하자면 모호한 화법을 구사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6. 소속 정당
소속 | 기간 | 비고 |
[[민주공화당| 민주공화당 ]] | 1971 - 1980 | 정계 입문 |
| 1980 - 1985 | 제명[20] |
[[신한민주당| 신한민주당 ]] | 1985 - 1987 | 창당 |
| 1987 | 탈당[21] |
[[통일민주당| 통일민주당 ]] | 1987 | 창당 |
| 1987 - 1990 | 탈당[22] |
[[민주당(1990년)| 민주당 ]] | 1990 - 1991 | 창당 |
| 1991 - 1992 | 탈당[23] |
[[신정치개혁당| 신정치개혁당 ]] | 1992 - 1994 | 창당 |
| 1994 - 1995 | 합당[24] |
| 1995 - 1996 | 탈당[25] |
| 1996 - 1997 | 입당 |
[[한나라당| 한나라당 ]] | 1997 | 합당[26] |
| 1997 | 탈당[27] |
| 1997 - 1998 | 입당 |
| 1998 - 2000 | 탈당[28] |
| 2000 - 2001 | 창당 |
| 2001 - 2002 | 탈당[29] |
[[한나라당| 한나라당 ]] | 2002 - 2004 | 복당[30] |
| 2004 - 2021 | 탈당 정계 은퇴 |
| 2021 - 2022 | 입당 |
[[자유통일당| 자유통일당 ]] | 2022 - 현재 | 당명 변경 |
7. 선거 이력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1971 | 제8대 국회의원 선거 | 부산 3[31] | [[민주공화당| 민주공화당 ]] | 41,128 (34.83%) | 낙선 (2위) | |
1973 | 제9대 국회의원 선거 | 부산 2[32] | 72,999 (35.24%) | 당선 (2위) | 초선[33] | |
1978 |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 85,439 (33.33%) | 재선[34] | |||
1981 | 제11대 국회의원 선거 | 부산 2[35] | | 후보 사퇴 | ||
1985 | 제12대 국회의원 선거 | 부산 1[36] | [[신한민주당| 신한민주당 ]] | 83,463 (31.97%) | 당선 (2위) | 3선[37] |
1988 |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 서울 서초 갑 | | 27,584 (30.46%) | 당선 (1위) | 4선 |
1992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신정치개혁당| 신정치개혁당 ]] | 37,172 (38.68%) | 5선[38] | ||
제14대 대통령 선거 | 대한민국 | 1,516,047 (6.37%) | 낙선 (4위) | |||
1995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서울특별시장 | | 1,623,356 (33.51%) | 낙선 (2위) | |
1996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전국구 | | 6,783,730 (34.51%) | 낙선 (21번) | |
1998 | 7월 재보궐선거 (국회의원) | 서울 서초 갑 | | 4,600 (8.71%) | 낙선 (4위) | [39] |
2000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 부산 중·동 | | 26,881 (31.71%) | 낙선 (2위) | |
2004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부산 서 | | 12,731 (18.76%) | 낙선 (3위) |
역대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8대 총선 (부산 3) | 9대 총선 (부산 2) | |
| | |
10대 총선 (부산 2) | 12대 총선 (부산 중구·동구·영도구) | |
| | |
13대 총선 (서울 서초구 갑) | 14대 총선 (서울 서초구 갑) | |
| | |
14대 대선 (대한민국) | 1회 지선 (서울특별시장) | |
| | |
15대 총선 (신한국당 전국구 21번) | 1998년 7월 재보궐 (서울 서초구 갑) | |
| | |
16대 총선 (부산 중구·동구) | 17대 총선 (부산 서구) | }}}}}}}}} |
역대 후보 이력 | ||||||||||||||||||||||||||||||||||||||||||||||||||||||||||||||||||||||||||||||||||||||||||||||||||||||||||||||||||||||||||||||||||||||||||||||||||||||||||||||||||||||||||||||||||||||||||||||||||||||||||||||||||||||||||||||||||||||||||
|
8. 대중매체에서
1995년 SBS 드라마 <코리아게이트>에서는 배우 김병세가 연기했다.9. 둘러보기
박찬종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
제8대 김승목 김영삼 | → | 제9·10대 김영삼 박찬종 | → | 선거구 조정 왕상은[A] 안건일[A] 서석재[B] 곽정출[B] |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서·동 | 부산진 | 동래 | ||
김상진 신기석 | 김영삼 박찬종 | 정해영 김임식 | 양찬우 이기택 | ||
◀ 제8대 제10대 ▶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
김상진 | 박찬종 | 김임식 | 이기택 양찬우 | 김승목 김재홍 | |
* 서·동 김영삼 제명 (1979.10.4.) * 중·영도 예춘호 사퇴 (1980.7.4.) * 부산진·북 정해영 사퇴 (1980.8.27.) | |||||
◀ 제9대 제11대 ▶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중·동·영도 | 서·사하 | 부산진 | ||
김정길 박찬종 | 서석재 곽정출 | 강경식 김정수 | |||
동래 | 남·해운대 | 북 | |||
이건일 박관용 | 이기택 유흥수 | 장성만 문정수 | |||
◀ 제11대 제13대 ▶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종로 | 중 | 용산 | 성동 갑 | 성동 을 |
이종찬 | 정대철 | 서정화 | 강금식 | 조세형 | |
성동 병 | 동대문 갑 | 동대문 을 | 중랑 갑 | 중랑 을 | |
박용만 | 최훈 | 김영구 | 이상수 | 김덕규 | |
성북 갑 | 성북 을 | 도봉 갑 | 도봉 을 | 노원 갑 | |
이철 | 조윤형 | 신오철 | 이철용 | 백남치 | |
노원 을 | 은평 갑 | 은평 을 | 서대문 갑 | 서대문 을 | |
김용채 | 오유방 | 김재광 | 강성모 | 임춘원 | |
마포 갑 | 마포 을 | 양천 갑 | 양천 을 | 강서 갑 | |
노승환 | 강신옥 | 양성우 | 김영배 | 공석 | |
강서 을 | 구로 갑 | 구로 을 | 영등포 갑 | 영등포 을 | |
남재희 | 김기배 | 유기수 | 장석화 | 나웅배 | |
동작 갑 | 동작 을 | 관악 갑 | 관악 을 | 서초 갑 | |
서청원 | 박실 | 한광옥 | 이해찬 | 박찬종 | |
서초 을 | 강남 갑 | 강남 을 | 송파 갑 | 송파 을 | |
김덕룡 | 황병태 | 이태섭 | 김우석 | 김종완 | |
강동 갑 | 강동 을 | ||||
김동규 | 김중위 | ||||
선거 결과 | |||||
* 영등포 을 김명섭 당선무효 (1989.5.26.) * 강서 갑 이원배 의원직 상실 (1992.2.28.) | |||||
◀ 제12대 제14대 ▶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종로 | 중 | 용산 | 성동 갑 | 성동 을 |
이종찬 | 정대철 | 서정화 | 이세기 | 조세형 | |
성동 병 | 동대문 갑 | 동대문 을 | 중랑 갑 | 중랑 을 | |
강수림 | 노승우 | 김영구 | 이순재 | 김덕규 | |
성북 갑 | 성북 을 | 도봉 갑 | 도봉 을 | 도봉 병 | |
이철 | 신계륜 | 유인태 | 김원길 | 조순형 | |
노원 갑 | 노원 을 | 은평 갑 | 은평 을 | 서대문 갑 | |
백남치 | 임채정 | 손세일 | 이원형 | 김상현 | |
마포 갑 | 마포 을 | 양천 갑 | 양천 을 | ||
임춘원 | 박명환 | 박주천 | 박범진 | 김영배 | |
강서 갑 | 강서 을 | 구로 갑 | 구로 을 | 구로 병 | |
박계동 | 최두환 | 김기배 | 이경재 | 김병오 | |
영등포 갑 | 영등포 을 | 동작 갑 | 동작 을 | 관악 갑 | |
장석화 | 나웅배 | 서청원 | 박실 | 한광옥 | |
관악 을 | 서초 갑 | 서초 을 | 강남 갑 | 강남 을 | |
공석 | 공석 | 김덕룡 | 김동길 | 홍사덕 | |
송파 갑 | 송파 을 | 강동 갑 | 강동 을 | ||
조순환 | 김종완 | 공석 | 김중위 | ||
선거 결과 | |||||
* 관악 을 이해찬 사퇴 (1995.6.30.) * 서초 갑 박찬종 사퇴 (1995.6.9.) * 강동 갑 이부영 의원직 상실 (1995.11.11.) | |||||
◀ 제13대 제15대 ▶ | }}}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835B38><tablebgcolor=#835B38>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835B38><tablebgcolor=#835B38>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강기천 | 강병규 | 권성기 | 길전식 | 김광수 |
김상년 | 김상영 | 김영병 | 김용채 | 김용태 | |
김용호 | 김원태 | 김유탁 | 김임식 | 김제원 | |
김종익 | 김종철 | 김주인 | 김효영 | 류승원 | |
문태준 | 문형태 | 민기식 | 민병기 | 박명근 | |
박숙현 | 박준규 | 박찬 | 박찬종 | 박철 | |
백남억 | 서상린 | 손승덕 | 신기석 | 신동관 | |
신현확 | 신형식 | 양찬우 | 오유방 | 오준석 | |
오학진 | 유기정 | 육인수 | 윤인식 | 이도환 | |
이병옥 | 이병주 | 이병희 | 이종근 | 이해원 | |
이효상 | 임인채 | 장경순 | 장승태 | 장영순 | |
정래혁 | 정무식 | 정우식 | 정일권 | 정희섭 | |
채영철 | 최재구 | 황재홍 | }}}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808080><tablebgcolor=#808080>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808080><tablebgcolor=#808080>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박찬종 | 오유방 | 임호 | }}}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808080><tablebgcolor=#808080>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808080><tablebgcolor=#808080>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고재청 | 김병수 | 김옥선 | 류갑종 | 문병하 |
박규식 | 박찬종 | 박한상 | 박해충 | 서종렬 | |
신도환 | 신동준 | 신재휴 | 유치송 | 유한열 | |
이만섭 | 이철 | 이철승 | 이태구 | 이택돈 | |
이택희 | 임영득 | 임종기 | 장기욱 | 정재원 | |
정휘동 | 허경구 | 홍사덕 | 홍희표 | }}}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050099><tablebgcolor=#050099>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050099><tablebgcolor=#050099>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김득수 | 김봉욱 | 박찬종 | 송현섭 | 정웅 | }}} }}}}}} |
[1] 중구 선거구의 제13대 국회의원이다.[2] 동구 선거구의 제13대 국회의원이다.[3] 영도구 선거구의 제13대 국회의원이다.[C] 서울 강남구(서초구 분구 이전) 선거구의 제12대 국회의원이다.[C] [6] 서울특별시장 선거 출마로 인한 의원직 사퇴. 잔여 임기 1년 미만으로 인해 재보궐선거 미실시.[7] 서울특별시장 선거 출마로 인한 의원직 사퇴.[D] 현재의 경제학과는 사회과학대학 소속이다.[9] #[10] 2025년 3월 기준.[D] [12] 당시 명칭은 계리사였다. 계리사가 공인회계사로 개칭된 것은 1966년이다. 지금의 보험계리사와는 무관한 직업이다.[13] 장덕진의 고시 3과 합격이 언론에 대서특필되었던 것에 자극받아, 행시와 계리사 시험에 응시했다고 한다. 지금은 의미가 많이 줄어들었으나 당시의 계리사(공인회계사) 시험 합격자 정원과 난이도는 실로 고시와 동급이었다. 그래서 박찬종 역시 신문에서는 고시 3과 합격자의 일원으로 다뤄졌다. 신오철과 장덕진이 사망한 현재로서는 생존 최고령 고시 3과 합격자인 셈이다.[14] 이들은 서명파라고 불렸는데 결국 노태우가 당선되자 13대 총선에는 모두 무소속으로 출마했다.[15] 이후 2007년 제17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해 5.8%를 득표한 창조한국당 후보 문국현이 비슷한 사례라고 할 수 있다.[16] 그 과정에서 국회의원직을 사퇴하였다. 그래서 해당 지역구는 1996년 6월까지 무주공산이었다.[17] 그나마 불행 중 다행인 건 2위로 낙선했다는 점인데, 당시 여당인 민주자유당 후보로 서울특별시장 선거에 출마한 정원식 전 총리는 아예 3위로 낙선하면서 정치 생명이 끝났다.[18] 원 지역구인 서초구 갑은 관선 서울특별시장을 마치고 원외 인사 신분이었던 최병렬이 공천되었고, 박찬종에게는 당선권인 전국구 2번 자리가 돌아갔으나 당과 후진을 위한다는 이유로 애매한 번호인 21번으로 옮겼고 결국 낙선했다.[19] 전임자인 최병렬 의원이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울특별시장 출마를 이유로 의원직을 사퇴하며 해당 지역구에서 보궐선거가 열렸다.[20] 1980년 4월 제명#[21]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22]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23]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24] 통일국민당과 신설 합당[25] #[26] 통합민주당과 신설 합당[27]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28] 새정치국민회의 합류 거부#[29] #[30] #[31] 서구[32] 서구, 동구[33] 신민당 김영삼 후보와 동반 당선[34] 신민당 김영삼 후보와 동반 당선[35] 서구[36] 중구, 동구, 영도구[37] 민주한국당 김정길 후보와 동반 당선[38] 1995. 6. 9 사퇴
(서울시장 선거 출마)[39] 전임자 최병렬 사퇴(서울시장 선거 출마)[A] 부산 제1선거구의 제11대 국회의원이다.[A] [B] 부산 제2선거구의 제11대 국회의원이다.[B]
(서울시장 선거 출마)[39] 전임자 최병렬 사퇴(서울시장 선거 출마)[A] 부산 제1선거구의 제11대 국회의원이다.[A] [B] 부산 제2선거구의 제11대 국회의원이다.[B]
분류
- 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
- 대한민국의 검사 출신 변호사
- 제9대 국회의원
- 제10대 국회의원
- 제12대 국회의원
- 제13대 국회의원
- 제14대 국회의원
- 민주공화당(1963년) 국회의원
- 신한민주당 국회의원
- 통일민주당 국회의원
- 무소속 국회의원
- 민주당(1990년) 국회의원
- 신정치개혁당 국회의원
- 신민당(1994년) 국회의원
- 제14대 대통령 선거/후보
- 1939년 출생
- 김해시 출신 인물
- 신민당(1994년) 대표
- 신정치개혁당 대표
- 검사 출신 정치인
- 변호사 출신 정치인
- 공무원 출신 정치인
- 서울대학교 출신
- 경기고등학교 출신
- 경남중학교 출신
- 해병대 장교 출신
- 단기 군법무관 출신
- 밀양 박씨
- 대한민국의 남성 유튜버
- 정치 유튜버
- 공인회계사
- 자유통일당 소속
- 대한민국의 민주운동가
- 5급 공개경쟁채용시험 출신/전신
- 제15대 대통령 선거/후보 경선/후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