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특별자치도지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초대 박경훈 | 제2대 유해진 | 제3대 임관호 | 제4대 김용하 | 제5대 김충희 |
제6대 최승만 | 제7대 길성운 | 제8대 전인홍 | 제9대 양제박 | 제10대 김선옥 | |
제11대 강성익 | 제12대 김영관 | 제13대 강우준 | 제14대 정우식 | 제15대 구자춘 | |
제16대 권용식 | 제17대 이승택 | 제18대 장일훈 | 제19대 강신익 | 제20대 박상렬 | |
제21대 이규이 | 제22대 최재영 | 제23대 장병구 | 제24대 이창수 | 제25대 이군보 | |
제26대 홍영기 | 제27·28대 우근민 | 제29대 신구범 | 제30대 김문탁 | 제31대 신구범 | |
제32·33대 우근민 | 제34·35대 김태환 | 제36대 우근민 | 제37·38대 원희룡 | 제39대 오영훈 | |
| |||||
제주특별자치도지사 권한대행 | }}}}}}}}} |
<colcolor=#fff><colbgcolor=#939499> 제14대 제주도지사 정우식 鄭雨湜 | Jung Woo Sik | |||
| |||
출생 | 1921년 8월 13일 | ||
경상남도 산청군 신등면 가술리 청산마을 | |||
사망 | 2012년 7월 19일 (향년 90세) | ||
서울특별시 | |||
묘소 | 국립대전현충원 장병 1묘역-147판-11064호 | ||
본관 | 초계 정씨[1] | ||
자 | 광수(光秀) | ||
호 | 약산(若山) | ||
재임기간 | 제14대 제주도지사 (관선) | ||
1966년 1월 29일 ~ 1968년 2월 22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939499><colcolor=#fff> 학력 | 진주공립중학교[2] (졸업) 주오대학 (법과 / 졸업) 육군대학 (졸업) 미국 육군헌병학교 (졸업) 미국 국제경찰대학원 (수료) | |
가족 | 배우자 김도실, 장남 정동구 | ||
종교 | 불교 | ||
경력 | 제17대 서울특별시 경찰국장 제9대 대한승마협회 회장 제27대 국립경찰전문학교 교장 제14대 제주도지사(관선) 재단법인 육영재단 상임이사 육영재단 어린이회관 관장 한국양봉협회 회장 제8·10대 대한테니스협회 회장 한일시멘트 고문 | ||
군사 경력 | |||
복무 | 대한민국 육군[3] | ||
? ~ 1964년 | |||
최종 계급 | 대령 (대한민국 육군) | ||
최종 보직 | 서울특별시 경찰국장 | ||
주요 보직 | 제6군관구사령부 헌병참모 서울지구 헌병부장 수도방위사령부 해병참모 | }}}}}}}}}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전 경찰공무원, 정치인이다. 본관은 초계(草溪)[4], 자는 광수(光秀), 호는 약산(若山)이다. 종교는 불교이다.2. 생애
1921년 8월 13일 경상남도 산청군 신등면 가술리 청산마을에서 아버지 정호덕(鄭鎬德, 1896 ~ 1973.12.29.)[5]과 어머니 진주 강씨[6] 사이에서 8남 3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진주공립중학교[7], 1943년 일본 주오대학 법과를 졸업하였다.8.15 광복 이후 육군 헌병 장교로 임관하여 육군대학을 졸업하였고, 1953년 미국 육군헌병학교를 졸업하였다. 이후 귀국하여 제6군관구사령부 헌병참모, 서울지구 헌병부장, 수도방위사령부 해병참모 등으로 복무하였다.
1961년 8월 26일 육군 대령으로 제17대 서울특별시 경찰국장으로 부임하여 1964년 6월 18일까지 재임하였다. 1963년 2월부터 1965년 1월까지 제9대 대한승마협회 회장을 지냈다. 전역 후 미국으로 유학하여 무관 직할의 국제경찰대학원을 수료하였고, 1964년 6월 17일부터 1966년 1월 29일까지 치안부이사관으로서 제27대 국립경찰전문학교 교장으로 재임하였다. 1966년 1월부터 1968년 1월까지 제14대 관선 제주도지사로 재임하였다. 이후 재단법인 육영재단 상임이사 겸 육영재단 어린이회관 관장을 역임하였다.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경상남도 산청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신민당 정영모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1972년 2월부터 1973년 1월까지 제8대 대한테니스협회 회장, 1972년 9월 16일부터 1974년 12월 20일까지 사단법인 한국양봉협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경상남도 거창군·함양군·산청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신민당 김동영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1975년 2월부터 1976년 7월까지 제10대 대한테니스협회 회장을 지냈다.
1978년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서울대학교에 재학 중이던 장남 정동구(鄭東龜, 1953.2.8. ~ )가 운동권 시위에 가담하였던 여파로 민주공화당 공천에서 노인환에 밀려 탈락하였다.[8] 이후 한일시멘트 고문을 지냈다.[9]
무공훈장을 수훈하였다.
2012년 7월 19일(목) 새벽 2시에 서울특별시에서 노환으로 사망했다.# 유해는 2012년 7월 21일 국립대전현충원 장병 1묘역에 안장되었다.
3. 선거 이력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1971 | 제8대 국회의원 선거 | 경남 산청[10] | [[민주공화당| | 24,535 (62.87%) | 당선 (1위) | 초선 |
1973 | 제9대 국회의원 선거 | 경남 거창·함양·산청[11] | 42,199 (32.97%) | 재선 |
역대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8대 총선 (경남11 산청) | 9대 총선 (경남9 산청.함양.거창) | }}}}}}}}} |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마산 | 고성 | 거제 | ||
황은환 | 구태회 | 김기섭 | 최재구 | 이학만 | |
진해·창원 | 함안·의령 | 창녕 | |||
황낙주 | 최세경 | 엄기표 | 조홍래 | 김이권 | |
산청 | 합천 | 밀양 | 양산·동래 | 울산·울주 | |
정우식 | 이상신 | 박일 | 신상우 | 최형우 | |
김해 | 남해 | 거창·함양 | |||
김영병 | 신동관 | 민병권 | |||
◀ 제7대 제9대 ▶ | }}}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마산·진해·창원 | 진주·삼천포·진양·사천 | 충무·통영·거제·고성 | 울산·울주·동래 | 의령·함안·합천 |
이도환 황낙주 | 정헌주 | 김주인 최재구 | 김원규 최형우 | 이상신 | |
밀양·창녕 | 김해·양산 | 하동·남해 | 거창·함양·산청 | ||
박일 | 신상우 김영병 | 신동관 문부식 | 정우식 김동영 | ||
* 의령·함안·합천 이상철 사망 (1973.6.18.) * 밀양·창녕 성낙현 사퇴 (1978.7.28.) * 진주·삼천포·진양·사천 최세경 사퇴 (1979.2.19.) | |||||
◀ 제8대 제10대 ▶ | }}}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835B38><tablebgcolor=#835B38>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835B38><tablebgcolor=#835B38>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장덕진 | 김임식 | 양찬우 | 류승원 | 김숙현 |
이병희 | 이윤학 | 차지철 | 오치성 | 서상린 | |
최영희 | 박명근 | 김유탁 | 김재춘 | 오학진 | |
김용호 | 최돈웅 | 이교선 | 장승태 | 김재순 | |
한병기 | 이우현 | 김진만 | 민기식 | 육인수 | |
김원태 | 정구중 | 이정석 | 이해원 | 김용태 | |
김제원 | 이병주 | 김종익 | 이상익 | 최종성 | |
장영순 | 박승규 | 김세배 | 김종철 | 박성호 | |
유기정 | 전휴상 | 길병전 | 이정우 | 이병옥 | |
장경순 | 김상영 | 김중태 | 고재필 | 문형태 | |
박준호 | 길전식 | 윤재명 | 정간용 | 임충식 | |
정판국 | 오중열 | 박종진 | 윤인식 | 손재형 | |
강재구 | 김병윤 | 정무식 | 백남억 | 박준규 | |
김봉환 | 김상년 | 문태준 | 오준석 | 정진화 | |
박숙현 | 김인 | 고우진 | 김창근 | 권성기 | |
구태회 | 최재구 | 이학만 | 최세경 | 엄기표 | |
정우식 | 김영병 | 신동관 | 민병권 | 홍병철 | |
현오봉 | 김종필 | 정일권 | 백두진 | 김형욱 | |
권오병 | 이동원 | 이종우 | 유봉영 | 홍승만 | |
모윤숙 | 최용수 | 이해랑 | 강병규 | 강성원 | |
문창탁 | 권일 | 김성두 | 신광순 | 박태원 | |
박철 | 전정구 | 장덕진 | 이도선 | 김현숙 | |
편정희 | 김옥자 | 노진환 | }}}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835B38><tablebgcolor=#835B38>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835B38><tablebgcolor=#835B38>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민병기 | 정래혁 | 오유방 | 정희섭 | 강병규 |
신기석 | 박찬종 | 김임식 | 양찬우 | 류승원 | |
이병희 | 박명근 | 서상린 | 오학진 | 김유탁 | |
김용채 | 손승덕 | 김용호 | 김효영 | 정일권 | |
장승태 | 민기식 | 이종근 | 이해원 | 육인수 | |
김원태 | 김용태 | 김종철 | 김제원 | 이병주 | |
김종익 | 장영순 | 유기정 | 채영철 | 김광수 | |
장경순 | 이병옥 | 박철 | 강기천 | 김상영 | |
임인채 | 문형태 | 신형식 | 길전식 | 윤인식 | |
박찬 | 이효상 | 정무식 | 박숙현 | 백남억 | |
김상년 | 박준규 | 신현확 | 문태준 | 오준석 | |
권성기 | 황재홍 | 이도환 | 김주인 | 최재구 | |
김영병 | 신동관 | 정우식 | }}} }}}}}} |
[1] 대제학공파(大提學公派)-초계진주파(草溪晋州派)-매헌공파(梅軒公派)-진주파(晋州派) 30세 식(湜) 항렬.[2] 현 진주고등학교[3] 군번 15184[4] 대한민국헌정회 회원프로필[5] 자는 무백(武伯). 진주군 협성상회(協成商會) 주식회사의 이사, 감사를 지냈고, 1930년 4월 1일 경상남도 평의회원(산청군), 1937년 5월 10일 경상남도 도회의원(산청군 선거구)으로 선출되었다.[6] 강사영(姜師泳)의 딸이다.[7] 현 진주고등학교[8] 1978년 11월 8일 조선일보 기사[9] 1983년 8월 13일 경향신문 기사[10] 제11선거구[11] 제9선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