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8 19:10:58

신민당(1994년)




(신설 합당)
신민당
(신설 합당)


[[신정치개혁당|
신정치개혁당
]]
(신설 합당)[1]

(개별 합류)[2]
파일:신민당(1994년) 로고.svg
신민당
<colcolor=#3D9069> 한문 명칭 <colbgcolor=#fff>新民黨
등록번호 제64호
등록연월일 1994년 7월 8일
말소연월일 1995년 5월 31일
(자유민주연합으로 신설합당)[3]
통합한 정당

·

[[신정치개혁당|
신정치개혁당
]]
중앙당사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68길 18 (여의도동 15-11, 금영빌딩)
대표 김복동
원내총무 한영수
사무총장 정진길
국회의원
10석 / 299석
당 색
청록색 (#3D9069)
당원 수 2,896,268명[4]
정당보조금 1,976,843,000원
당비 수입 367,253,453원
1995년 5월 31일 기준
1. 개요2. 역사3. 역대 지도부
3.1. 대표3.2. 원내총무
4. 선거 결과
4.1. 재보궐선거
5. 기타6. 관련 문서7. 둘러보기

1. 개요

파일:국민-신정당 합당식.jpg

신민당(新民黨)은 1994년 7월 8일 창당되어 1995년 5월 31일까지 존속하였던 대한민국의 정당이다.

2. 역사

정주영으로부터 버림받고[5] 김동길 측만 남은 통일국민당박찬종의 1인 정당이었던 신정치개혁당이 합당하여 창당되었다. 합당 과정에서 김동길박찬종 간의 극심한 갈등으로 전당대회에서 양쪽 모두 정치깡패들을 동원하면서 각목 난투극이 벌어졌다. 이들은 당대표등록 변경 신청과 대표등록정지 가처분 신청으로 팽팽히 맞섰다.

합당 직후인 1994년 8월 박철언의 의원직 상실로 치러진 1994년 재보궐선거에 박철언의 배우자인 현경자를 같은 선거구에 공천하여 당선시켰다.[6] 1994년 12월 김동길과 박찬종이 함께 물러난 후, 1995년 3월 김복동[7]이 새 대표로 선출되었다.

그러나 김종필자유민주연합을 창당하면서 상당수의 지역조직이 자민련으로 넘어갔으며,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민주당과 자민련 사이에서 갈팡질팡하다가# 결국 1995년 5월 31일 자민련에 흡수된다.[8] 9석에 불과했던 자민련은 12석의 신민당을 흡수한 덕분에 단숨에 20석을 넘겨 원내교섭단체가 될 수 있었고, 이후 15대 총선15대 대선까지 순항했다.

한편 합류에 불참한 임춘원 의원은 얼마 뒤 독자적으로 신민당을 재창당하였다. 이 당은 무소속 정당을 표방한다는 차원에서 무정파전국연합[9]으로 당명을 변경하였으나 임춘원에게도 버림받은 후 15대 총선에는 후보를 내지 못하였고, 그 이듬해인 1997년에 당원수 부족으로 해산하였다.

3. 역대 지도부

3.1. 대표

파일:신민당(1994년) 심볼.svg파일:신민당(1994년) 흰색 로고타입.svg 대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박찬종
김동길
권한대행
한영수
박한상
제2대
김복동
}}}}}}}}}}}}}}} ||

3.2. 원내총무

파일:신민당(1994년) 심볼.svg파일:신민당(1994년) 흰색 로고타입.svg 원내총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제1·2대
박규식
}}}}}}}}}}}}}}}

4. 선거 결과

4.1. 재보궐선거

<rowcolor=#fff> 연도 국회의원
1994년 8월 1 / 3

5. 기타

  • 각목 난투극 외에는 정치 역사에서 이렇다 할 족적이 없다(...). 이전 세력인 통일국민당신정치개혁당은 나름 존재감이 있었으나, 합당 후 심한 갈등을 빚고 사실상 실패한 정당이 되어버렸다.
  • 신민당(1967년)과 같은 이름을 썼으나, 해당 정당의 후신 정당으로 보기는 어렵다. 원조 신민당에 대한 계승 의식으로 지은 당명이 아니라, '신정치개혁당'의 '신', '통일국당'의 '민' 자를 합쳐서 지은 당명으로 추정된다.[11] 그런데 원조 신민당과의 묘한 공통점이 있다. 원조 신민당에서 1976년에 신민당 전당대회 각목 난동 사건이 있었는데, 1994년 신민당에서도 전당대회에서 각목 난투극이 있었다는 점.
  • 1년도 안 되는 존속 기간 동안 100만 명 이상의 당원이 탈당했다. 원래 통일국민당의 당원이 워낙 많았는데, 그 당원들이 정주영의 정계 은퇴 이후 빠져나가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 로고는 빨간색과 파란색 타원형 두 개가 위아래로 엇갈린 형태였다. 상징색은 #여기 2분 3초경에 청록색을 확인할 수 있다.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대한민국의 보수정당
제5공화국 ~ 문민정부
(1981 ~ 1998)

{{{#!wiki style="margin: 0 -10px 3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1px -9px;"
제5공화국 이전
민주정의당 한국국민당
신민주공화당 정당등록취소 통일민주당*
민주자유당 민주당에서 분당
민주자유당 통일국민당 신정치개혁당
민주자유당 새한국당 신정치개혁당
신민당
민주당에 합당 신민당
민주자유당 자유민주연합
자유민주연합
민주당※ 신한국당 자유민주연합
신한국당 국민신당
한나라당
* 3당 합당으로 보수정당에 합류
신한국당-민주당 합당으로 보수정당에 합류
문민정부 이후
동일시기 타정당: 진보정당(제1공-노태우) 진보정당(문민-이명박) 민주당계
}}}}}}}}} ||
대한민국의 제3지대 정당
제5공화국 ~ 국민의 정부
(1981 ~ 2003)

{{{#!wiki style="margin: 0 -10px 3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1px -9px;"
통일국민당 신정치개혁당 새한국당
민주당에 합당
신민당
민주당-개혁신당 합당 신민당 자유민주연합
통합민주당 신한국당에서 분당 자유민주연합
무정파전국연합 무당파국민연합
민주당 정당등록취소 정당해산
신한국당과 합당 신한국당에서 분당 자유민주연합
국민신당
새정치국민회의에 합당
자유민주연합
한나라당에서 분당 자유민주연합
민주국민당 희망의한국신당 자유민주연합
정당해산
한국미래연합
정당해산
국민통합21 하나로국민연합 자유민주연합
국민의 정부 이후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보수정당의 계파 역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광복 ~ 제헌 총선
총동원위 독립촉성위 조선민주당
제헌 총선 ~ 대한국민당 창당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일민
대한국민당 창당 ~ 제2대 총선
대한독립촉성국민회 대한국민당
제2대 총선 ~ 자유당 창당
대한국민당 공화구락부 신정동지회 원외자유당
자유당 창당 ~ 개헌안 파동
대한국민당 원내자유당 원외자유당
개헌안 파동 ~ 잔류파 탈당
잔류파 합동파 원외자유당
부산정치파동 ~ 족청계 숙청
장택상계 장면계 조경규계 전진한계 이승만계 족청계
족청계 숙청 ~ 사사오입 개헌
장택상계 조경규계 이승만계 이기붕계
사사오입 개헌 ~ 4대 총선
조경규계 이재학계 장경근계 이승만계 이기붕계
4대 총선 ~ 4.19 혁명
이재학계 장경근계 이승만계 이기붕계
4.19 혁명 ~ 5.16 군사정변
전진한계 헌정동지회 자유당
5.16 군사정변 ~ 민주공화당 창당
정치 활동 금지
민주공화당 창당 ~ 민정이양
한독당 자유당 박정희계 김종필계
민정이양 ~ 3선 개헌
한독당 자유당 반김 박정희 친위 김종필계
3선 개헌 ~ 7대 대선
반김 박정희 친위 김종필계
7대 대선 ~ 10월 유신
반김 박정희 친위 김종필계
10월 유신 ~ 10.26 사건
공화 유정회 김종필계 민정회
10.26 사건 ~ 5.17 내란
정풍회 김종필계
5.17 내란 ~ 12대 대선
정치 활동 금지
12대 대선 ~ 6월 민주 항쟁
<nopad> 한국국민당 <nopad> 민주정의당
박정희계 노태우계 전두환계
6월 민주 항쟁 ~ 3당 합당
<nopad> 신민주공화당 <nopad> 민주정의당
공화계 노태우계 전두환계
3당 합당 ~ 14대 총선
<nopad> 민주자유당
상도동계 청구동계 민정계
14대 총선 ~ 자민련 창당
<nopad> 통일국민당 <nopad> 신정당 <nopad> 새한국 <nopad> 민주자유당
정주영계 새한계 박찬종계 이종찬계 청구동계 상도동계 민정계
자민련 창당 ~ 신한국당 당명변경
<nopad> 신민당 <nopad> 자유민주연합 <nopad> 민주자유당
김동길계 박찬종계 청구동계 상도동계 민정계
신한국당 당명변경 ~ 15대 총선
<nopad> 자유민주연합 <nopad> 신한국당
청구동계 상도동계 민정계
15대 총선 ~ 한나라당 창당
<nopad> 자유민주연합 <nopad> 신한국당
청구동계 상도동계 이회창계 민정계
한나라당 창당 ~ 15대 대선
<nopad> 자유민주연합 <nopad> 국민 <nopad> 한나라당
청구동계 이인제계 민주계 상도동계 이회창계 민정계
15대 대선 ~ 3회 지선
<nopad> 자유민주연합 <nopad> 민국당 <nopad> 한국 <nopad> 한나라당
청구동계 조순계 김용환계 민주계 이회창계 민정계
3회 지선 ~ 16대 대선
<nopad> 자유민주연합 <nopad> 민국당 <nopad> 한나라당 <nopad> 한미연
청구동계 김윤환계 민주계 이회창계 민정계 박근혜계
16대 대선 ~ 17대 총선
<nopad> 자유민주연합 <nopad> 하나로 <nopad> 통합21 <nopad> 한나라당
청구동계 이한동계 정몽준계 민주계 이회창계 민정계 박근혜계
17대 총선 ~ 4회 지선
<nopad> 중심당 <nopad> 자민련 <nopad> 한나라당
심대평계 청구동계 남원정 민주계 친이명박 이회창계 친박근혜
4회 지선 ~ 17대 대선
<nopad> 국민중심당 <nopad> 한나라당
심대평계 청구동계 친이명박 이회창계 친박근혜
17대 대선 ~ 18대 총선
<nopad> 중심당 <nopad> 선진당 <nopad> 한나라당 <nopad> 한국당
심대평계 이회창계 친이명박 친박근혜
18대 총선 ~ 5회 지선
<nopad> 자유선진당 <nopad> 한나라당 <nopad> 친박연
심대평계 이회창계 친이명박 친박근혜
5회 지선 ~ 새누리당 당명변경
<nopad> 국민련 <nopad> 선진당 <nopad> 한나라당 <nopad> 미래연
심대평계 이회창계 친이명박 친박근혜
새누리당 당명변경 ~ 19대 총선
<nopad> 생각 <nopad> 선진당 <nopad> 새누리당
탈당파 선진계 친이 친박
19대 총선 ~ 새누리-선진 흡수
<nopad> 선진통일당 <nopad> 새누리당
선진계 친김 비박 친박
새누리-선진 흡수 ~ 18대 대선
<nopad> 새누리당
친김 비박 선진계 친박
18대 대선 ~ 새누리당 분당
<nopad> 새누리당
친김 비박 친무 친박
새누리당 분당 ~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nopad> 늘푸른 <nopad> 바른정당 <nopad> 새누리당
구친이 친유 친무 비박 친홍 친박 진박 신박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 자유한국당 당명변경
<nopad> 늘푸른 <nopad> 바른정당 <nopad> 새누리당
구친이 친유 친무 비박 소장파 친홍 친박
자유한국당 당명변경 ~ 바른미래당 창당
<nopad> 늘푸른 <nopad> 바른정당 <nopad> 자유한국당
구친이 친유 비박 친무 소장파 친홍 친박
바른미래당 창당 ~ 바른미래당 분당
<nopad> 바른미래당 <nopad> 자유한국당
호남계 손학규계 친안 친유 친무 친홍 친황 친박
바른미래당 분당 ~ 미래통합당 창당
<nopad> 바른미래당 <nopad> 새보당 <nopad> 전진당 <nopad> 자유한국당
손학규계 친안 친유 이언주계 친무 친홍 친황 친박
미래통합당 창당 ~ 국민의힘 당명변경
<nopad> 국민 <nopad> 미래통합당 · 미래한국당
친안 친홍 친무 새보계 민주계 친황 친박
국민의힘 당명변경 ~ 국민의힘-국민의당 합당
<nopad> 국민 <nopad> 국민의힘
친안 친홍 친최 친준 친유 친원 친황 친윤
국민의힘-국민의당 합당 ~ 8회 지선
<nopad> 국민의힘
친홍 친최 친준 친유 친오 친안 친윤
8회 지선 ~ 22대 총선
<nopad> 개혁 <nopad> 국민의힘
친준 비윤 친오 친홍 친한 윤핵관 친윤
22대 총선 ~ 12.3 비상계엄
<nopad> 개혁 <nopad> 국민의힘 · 국민의미래
친준 비윤 친한 친홍 윤핵관 친윤
12.3 비상계엄 ~ 21대 대선
<nopad> 개혁 <nopad> 국민의힘
친준 찬탄파 친한 친홍 친김 친덕 반탄파
21대 대선 ~ 현재
<nopad> 개혁신당 <nopad> 국민의힘
친준 찬탄파 친한 친김 친길 반탄파
현재 정당별 계파 (기타 진보 · 정의 · 진보 · 기본소득 · 사민 · 혁신 · 민주 · 새민주 · 개혁 · 국민의힘)
계파 역사 (진보정당 · 민주당계 · 제3지대 · 보수정당) }}}}}}}}}}}}

[1] 박찬종계[2] 박찬종계[3] 선관위 기록으로는 자유민주연합에 흡수 합당된 게 아니라 자유민주연합과 신설 합당하면서 새로운 자유민주연합을 창당한 것으로 되어 있다.[4] 등록 당시 당원 수는 3,874,616명이었다.[5] 문민정부에서 현대그룹에 대해 세무조사를 비롯한 정치보복을 단행하다보니 정주영의 입장에서는 대선용 정당 따위는 눈에 들어오지도 않았을 것이다.[6] 이후 박철언은 사면되면서 2년만에 다시 국회로 복귀했다.[7] 노태우 전 대통령의 영부인김옥숙의 친오빠. 노태우와는 매제-처남 관계이자 육군사관학교 11기 동기이다.[8] 이 때 자민련이 신민당을 흡수 합당하는 방식이 아니라, 새로운 '자유민주연합'을 만드는 방식으로 신설 합당을 하였다. 따라서 신민당과의 합당 이후의 자민련은 기존의 자민련을 승계했을 뿐 완전히 같은 정당은 아니다.[9] 원래는 '무소속전국연합'으로 하려고 했으나,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당명 변경을 거부하였다. 참고로 같은 시기에 비슷한 성격의 무당파국민연합도 있었는데, 이쪽은 총선에 참가했다가 득표율 미달로 해산하였다.[10] 국고보조금 지급중단과 관련된 당내갈등으로 인한 동반사퇴.[11] 신민당(1967년) 또한 한당중당을 합당하면서 지은 당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