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解散
Dismiss1. 모였던 사람이 흩어짐. 또는 흩어지게 함.
- 회의가 끝나자 회원들이 해산을 하였다.
- 일본 영사는 상해 시장에게 시장의 사과, 범인의 체포ㆍ처벌, 배일 단체의 즉각 해산 등 네 가지 항목을 시한부로 내밀었다.
- 훈련대가 해산에 불평을 품고 궐내에 뛰어들어 호소하기에 이르렀으나 곧 진압되었다는 것이다.
- 피청구인 통합진보당을 해산한다.
1.1. 법률 용어
1. 의회에서, 의원 전원에 대하여 임기 만료 전에 그 자격을 박탈하는 일. 또는 특정 정당에 대해서 법인격을 박탈하는 일.2. 민법이나 상법에서, 조직체가 폐지되는 일. 회사법상 회사인 법인이나 조합(민법)에 쓰인다. 정당해산심판도 이 용례이다.
- 회사의 경우 회사가 거래의 목적인 영업 활동을 중지하고 법인격을 잃는 상태가 되는 일을 뜻한다. 합병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재산 관계를 처리하고 조직을 폐지한다.
- 예를 들어 만일에 판사가 주식 회사 삼성에 대해서 해산 판결을 내린다면, 사옥(社屋)도 그대로 있고 대표 이사와 회계사, 변호사, 임직원도 계속 그 자리에 살아 있다. 당장 삼성은 그날부로 지구상에서 사라지는 것은 아니고, 해산한 법인이 잔무를 처리하고 재산을 정리하여 완전히 없어질 때까지의 그 권리의무 내에서 청산법인으로 기능한다. 청산이 종결되어야 완전히 법적 주체의 지위에서 박탈된다.
- 정당의 해산
- 통합진보당 해산
- 정당은 자진해산이나 헌법재판소의 해산결정 이외에도 '등록취소'되거나 '소멸'될 수도 있다.
- 문부과학성에서 통일교 종교법인에 대해 해산을 청구한 사례가 있다. #
2. 海山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eee,#222> 하천 지형 | <colbgcolor=#fff,#000>직류하천 | 자유곡류하천 | 감입곡류하천 | 망류하천 | 감조하천 | 샘(옹달샘) | 폭포 | 계곡(V자곡) | 선상지 | 하안 단구 | 우각호 | 구하도 | 하중도 | 천정천 | 범람원(자연제방 · 배후습지) | 삼각주 | 하구 | 돌개구멍 |
해안 지형 | 곶 | 만 | 사빈 | 석호 | 갯벌 (펄갯벌 · 모래갯벌) | 해안 사구 | 해안 단구 | 해식 동굴 | 해식애 | 해식 아치 | 육계도 | 시스택 | 파식대 | 사주 | 사취 | 리아스 해안 | |
해양 지형 | 군도 | 산호초 | 대륙붕 | 해곡 | 해저협곡 | 대륙 사면 | 대륙대 | 심해저 평원 | #s-2(기요) | 해구 | 해령 | 블루홀 | |
건조 지형 | 사구 | 사막포도 | 와디 | 버섯 바위 | 삼릉석 | 오아시스 | |
빙하 지형 | 혼 | 피오르 | U자곡 | 빙하호 | 크레바스 | 빙하동굴 | 빙붕 | 빙상 | 빙산 | |
카르스트 지형 | 석회동굴(석순 · 종유석 · 석주) | 카르스트 지형(돌리네 · 우발레 · 폴리에) | 싱크홀 | |
화산 지형 | 칼데라 | 화구호 | 오름 | 단성 화산 | 성층 화산 | 온천 | 간헐천 | 열점 | 용암 동굴 | 주상절리 | 용암 대지 | |
구조 지형 | 분지(침식분지(펀치볼 · 케스타) · 대찬정 분지) | 곡저평야 | 대평원 | 팜파스 | 지협 | 지층 | 탁상지(테이블 산) | 순상지 | 고위평탄면 | 습곡산맥(고기 습곡산맥 · 신기 습곡산맥) | 단층산맥 | 해령 | |
기타 | 잔류 암괴지형 | 풍화혈 | 풍화 암설지형 | 매스무브먼트 | }}}}}}}}} |
대양의 밑바닥에 원뿔 모양으로 우뚝 솟아오른 봉우리.
해산의 예로 독도 근처에 있는 안용복 해산, 심흥택 해산, 이사부 해산을 들 수 있다.
2.1. 평정해산
프랑스 지질학자 기요의 이름을 따서 기요(guyot)로도 불린다. 정상부가 평평한 것이 특징인데, 이것은 옛날에 해수면 위에 있을 때 침식된 후 침강하고 바다 속으로 내려가서 그렇다. 위의 안용복 해산, 이사부 해산도 여기 속한다. 독도도 평정해산에서 화산이 재차 작게 솟아 생겨났다.#3. 海産
자세한 내용은 해산물 문서 참고하십시오.4. 解産
자세한 내용은 출산 문서 참고하십시오.아이를 낳음.
출산이란 단어가 들어오기 전에 이 단어를 썼으며, 1907년 대한제국 군대해산 당시 대한제국군들이 일제에 의하여 강제로 해산(解散)되자 "우리더러 미역국을 먹으라는 것이냐?"고 반발한 데서 '미역국을 먹었다'라는 말이 생겼다고 하는데, 이는 '출산'을 뜻하는 해산(解産)과 '집단을 해체하다'를 뜻하는 해산(解散)이 같은 음성이기 때문이었다. 자세한 건 문서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