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keepall> 자연재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f77b00><colcolor=#fff> 지질 재해 | 화산(라하르 · 화산쇄설류 · 화산재) · 지진(쓰나미) · 싱크홀 · 빙하 홍수 | |
기상 재해 | 슈퍼셀(토네이도) · 폭염 · 한파 · 폭설(눈사태 · 조드 · 눈보라) · 가뭄(기근 · 산불) · 모래 폭풍(황사 · 더스트 볼) · 우박 · 낙뢰 · 빙하기(소빙하기) · 사막화 · 지구 온난화 · 산성비 | ||
태풍 · 허리케인 · 사이클론(해일 · 폭우 · 침수 · 홍수 · 산사태 · 낙뢰) | |||
생물 재해 | 전염병 · 녹조 · 적조 | ||
황충 · 모기(말라리아 · 뎅기열 · 황열병 · 일본뇌염) · 분류:해충 · 분류:유해조수 | |||
우주 재해 | 감마선 폭발 · 초신성 · 항성접근에 의한 궤도 교란 · 천체물리학적 제트 · 천체 충돌(지구접근천체와의 충돌) · 태양풍 증가 · 태양의 항성진화 · 진공 부패 | ||
가상의 재해 | 균열 · 시공의 균열 · 좀비 바이러스 | ||
행동지침 |
1. 개요
사태(沙汰) 또는 매스 무브먼트(mass movement)는 사면물질이 중력의 영향에 의해 사면 아래로 흘러내리는 현상을 말한다.2. 상세
그 원리는 전단강도와 전단응력의 관계로 설명할 수 있다. 전단강도는 사면의 형태를 유지하려는 힘, 전단응력을 사면 아래로 흘러내리려는 힘이라 할 수 있다. 보통 산의 사면에서 전단강도와 전단응력은 평형을 이루고 있다. 하지만 사면 외부에서 가해지는 어떤 요인에 의해 두 힘 사이의 평형이 무너지면(전단응력이 전단강도보다 강해지면) 사태가 발생한다. 앞서 언급했듯 '중력의 영향'에 의해 발생하는 현상이기 때문에 유수나 바람에 의한 '풍화', '침식', '퇴적'과는 다른 성질의 현상이다.사태는 사면 구성 물질, 사면 경사, 사면 수분함량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다양한 모습(유속, 퇴적형태 등)으로 발생한다. 형태, 사면구성물질, 유속에 따른 구분은 아래 표와 같다.
사면구성물질 | 유속 | |||
Rock | Fine-grained Soil | Coarse-grained Soil | ||
Slide | Slump | Earth Slump | Debris slump | Slow (느림) |
Block glide | Earth Slide | Debris Slide | Rapid (빠름) | |
Flow | Rock Avalanche | Mudflow, avalanche | Debris flow, avalanche | Very Rapid (매우 빠름) |
Creep (포행) | Creep | Creep | Extremely slow (가장 느림) | |
Fall | Rockfall (낙석) | Earthfall | Debrisfall | Extremely rapid (가장 빠름) |
위에 표에서 보다시피 사태는 크게 Slide, Flow, Fall로 구분된다. 다른 구분법으로는 아래와 같은 구분도 있다. Slide, Flow, Heave.
Slide나 Flow는 이러나 저러나 들어가는 것으로 보아 사태의 핵심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2011년 여름 서울 서초구 우면산에서 일어난 산사태는 산사태가 계곡을 타고 흘러내리며 물, 흙, 돌과 함께 쏟아진 토석류라고 할 수 있다.
한국에서는 우면산 산사태 정도면 대규모 사태지만, 큰 나라/산맥을 가면 우면산 산사태 정도는 우스운 규모이다. 히말라야산맥은 산의 경사도 가파르고, 지진이 발생하기 쉽고, 여름철 몬순 때문에 사면 수분 함량도 높아 대규모 사태가 일어나기 쉽다. 따라서 아래 그림과 같은 지형을 쉽게 관찰할 수 있다.
사진은 Darcha라는 마을 근처의 Rock Avalanche이다. 위경도좌표는 32.67N, 77.2E이니 궁금하면 구글어스로 들어가서 찾아볼 것.
사진으로는 잘 안 와닿지만, 저 퇴적물질의 면적만 40만 제곱미터이고, 저기 쌓인 바위 하나의 크기가 소형 SUV 크기 정도이다.
한국에서는 흔히 강우가 집중되는 여름철에만 일어난다고 생각하기 쉬우나 산사태가 아닌 다른 중력침식은 해빙기인 2월 말~3월 사이에도 얼마든지 일어날 수 있다. 맑은 날씨라고 방심했다가 낙석현상이 생기는 아찔한 상황이 벌어지기도 한다.
지진이 잦은 곳에서는 지진이 뇌관이 되어 발생할 수도 있고, 화산이 있다면 쌓인 화산재가 비와 섞여 흘러내리는 경우가 있다.
3. 종류
3.1. 산사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산사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산사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2. 눈사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눈사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눈사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3. 라하르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라하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라하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