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4 23:06:48

산성비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한컴타자연습에 있었던 게임}}}에 대한 내용은 [[타자 연습]]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타자 연습#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타자 연습#|]]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DEEMO 곡 Scherzo -pain in rain-의 별명}}}에 대한 내용은 [[Scherzo -pain in rain-]]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cherzo -pain in rain-#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cherzo -pain in rain-#|]]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유희왕에 등장하는 카드}}}에 대한 내용은 [[애시드 레인]]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애시드 레인#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애시드 레인#|]]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매직 더 개더링에 등장하는 카드}}}에 대한 내용은 [[Biting Rain]]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Biting Rain#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Biting Rain#|]]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한컴타자연습에 있었던 게임: }}}[[타자 연습]]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타자 연습#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타자 연습#|]]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DEEMO 곡 Scherzo -pain in rain-의 별명: }}}[[Scherzo -pain in rain-]]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cherzo -pain in rain-#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cherzo -pain in rain-#|]]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유희왕에 등장하는 카드: }}}[[애시드 레인]]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애시드 레인#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애시드 레인#|]]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매직 더 개더링에 등장하는 카드: }}}[[Biting Rain]]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Biting Rain#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Biting Rain#|]]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colkeepall>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4e6881><colcolor=#ffffff> 형태 가랑비 · 산성비 · 소나기(스콜) · 안개비 · 여우비 · 이슬비 · 인공강우 · 집중호우(한반도)
시기별 비 장마(연도별 상황) · 우기 · 태종우 · 단비
관련 도구 우산 · 비옷 · 삿갓 · 우량계 · 측우기
기타 적란운 · 난층운 · 강우 · 기우제 · 빗물세 · 다우지 · 강우량
}}}}}}}}} ||
<colkeepall> 자연재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77b00><colcolor=#fff> 지질 재해 화산(라하르 · 화산쇄설류 · 화산재) · 지진(쓰나미) · 싱크홀 · 빙하 홍수
기상 재해 슈퍼셀(토네이도) · 폭염 · 한파 · 폭설(눈사태 · 조드 · 눈보라) · 가뭄(기근 · 산불) · 모래 폭풍(황사 · 더스트 볼) · 우박 · 낙뢰 · 빙하기(소빙하기) · 사막화 · 지구 온난화 · 산성비
태풍 · 허리케인 · 사이클론(해일 · 폭우 · 침수 · 홍수 · 산사태 · 낙뢰)
생물 재해 전염병 · 녹조 · 적조
황충 · 모기(말라리아 · 뎅기열 · 황열병 · 일본뇌염) · 분류:해충 · 분류:유해조수
우주 재해 감마선 폭발 · 초신성 · 항성접근에 의한 궤도 교란 · 천체물리학적 제트 · 천체 충돌(지구접근천체와의 충돌) · 태양풍 증가 · 태양의 항성진화 · 진공 부패
가상의 재해 균열 · 시공의 균열 · 좀비 바이러스
행동지침
}}}}}}}}} ||


1. 개요2. 산성비를 맞으면 대머리가 된다?

1. 개요

대기중에 부유하는 어떤 물질이 비에 녹아들면 화학 반응에 의해 황산, 아황산, 질산 등의 으로 변하여 빗물의 pH가 5.6 미만이 되는 현상.

일반적으로 pH 7 미만이 산성이지만 강수의 경우엔 pH 5.6 이상 7 미만일 때를 굳이 산성비라고 표현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대기중의 이산화탄소 등이 에 용존되어 자연적으로 산성을 띠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름과는 달리 산성비는 비정상적으로 강한 산성을 띠는 강수에만 산성비로 구분짓는 것이다. 약한 산성을 띠는 비 정도로는 환경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기 어렵지만, 강산을 유발하는 물질로 오염된 대기로 인해 강한 산성을 띠게 된 비는 토양의 급격한 산성화나 대리석 등 축조물 부식 등 영향을 크게 준다.

토양 같은 경우는 식생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산성과 염기성의 완충 능력을 가지고 있지만 산성비에 의해 급격히 산성화되면 균형이 깨어지고 인류가 식량을 생산하지 못하게 되는 피해를 준다. 수중 생태계도 파괴시키는데 용존 무기 성분 조성을 변화시켜 영향을 줄 수 있다. 장기적으로는 산성비에 의해 강산의 공급 과잉으로 물과 토양의 완충 능력을 무너뜨리는 것이다. 호수 밑바닥에서 유해 중금속이 용탈되면 수중 생태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알루미늄이 호수에 유입되면 어류는 점액을 지나치게 분비하도록 자극을 받게 되고, 과다 분비된 점액은 아가미를 막아 질식할 수 있다(호흡기 장애). 또 식물 플랑크톤과 수생 식물에 영양분으로 공급되는 인산염과 결합하여 영양분으로서의 가치를 떨어뜨린다. 또 한 형태는 메틸 수은(CH3Hg)의 독성 농도를 높여 물고기에게 피해를 입힌다. 호수가 지나치게 산성화되면 호수 바닥에 침전물의 형태로 존재하는 낮은 독성 상태의 무기 수은을 메틸 수은 등 고도로 독성이 있는 유기 수은으로 전환시킨다.

수은 등의 중금속은 동물 지방에 잘 녹아들기에 생물 농축을 일으킬 수 있어 먹이 연쇄와 먹이 그물을 통해 전체 수생 생태계에 영향을 미친다. 이와 함께 식물성, 동물성 플랑크톤, 부착 조류, 수생 식물 및 저서생물들의 조성이 바뀌고 단순화되어 호수와 물이 아주 맑아져 깨끗한 호수와 구별하기 어렵다. 유기물 분해가 되지 않아서 물고기가 떼죽음을 당하기도 한다.

인체로 인한 피해로는 인간 호흡기 질병(bronchitis, asthma)을 일으킨다. 우선 직접적으로 눈이나 피부를 자극하여 불쾌감이나 통증을 일으킬 수 있다. 산성비 속에 포함된 질산 이온은 몸속에서 발암성인 니트로소 화합물로 변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 위암 발생과 관계가 있다.

가장 유명한 사례로 스칸디나비아반도의 국가들은 산업 혁명이 일어난 영국에 의해 자그마치 100여 년 동안이나 산성비 피해를 본 바가 있다.

이와 비슷한 종류로는 산성 눈, 산성 안개 등이 있다. 전자의 경우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으면 된다지만 후자의 경우 동물의 호흡기에 직접적으로 타격을 주므로 최소한 동물의 호흡기에 흡입될 가능성은 적은 산성비보다도 위험하다.

2. 산성비를 맞으면 대머리가 된다?

산성비는 인체에도 해를 끼쳐 ..... 자주 비를 맞을 경우 머리칼이 빠지고 피부병·눈병 등이 생길 우려가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1992년 6월 13일 경향신문)
대한민국에 존재하는 유언비어이다. 언론에서 환경 오염의 지표로 산성비와 그 피해가 거론되면서 인체에 대한 피해로 탈모를 들기 시작했고, 어느샌가 산성비는 대머리를 유발한다고 뇌리에 박혀버렸다. 산성비가 인체에 좋을 리는 없겠지만 대머리는 비약적이다.

국립환경과학원의 자료를 보면 전국 비의 연평균 pH는 4.3~5.8, 대도시의 경우 pH 4.4~4.8 정도이다.[1] 산성비와 무관하게 머리카락을 젖은 상태로 오래 방치하는 것은 모발과 두피 건강에 좋지 않지만 아래 영상을 확인하면 산성비의 영향이 거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애초에 샴푸가 pH 5 정도의 약산성이다. 그렇기에 산성비 정도의 산도로는 대머리가 될 리가 없다.
한무영 교수에 따르면 피부의 산성도는 ph 5.5, 최근 몇 년간 비의 산성도는 ph 5.5이므로
비는 피부를 상하게 하거나 탈모를 일으키지 않는다.


[1] 참고로 흔히 음식에 쓰는 식초가 pH 2.4~3.5 사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