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당) | → | 한국국민당 | → | (해산) |
[[민주공화당|]] (개별 합류) | → | (개별 합류) | ||
[[유신정우회|]] (개별 합류) | ||||
(개별 합류) | → | → | (개별 합류) |
한국국민당 | |
공식명칭 | <colbgcolor=#fff,#1F2023>한국국민당 (韓國國民黨, Korean National Party) |
약칭 | 국민당 |
창당일 | 1981년 1월 23일 |
해산일 | 1988년 4월 26일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 해산)[1] |
선행조직 | [[민주공화당|]], [[유신정우회|]] |
정당 성격 | 구색정당 (관제야당) |
해산 전 총재 | 이만섭 |
의석 수 | 1석 / 299석 (해산 직전) |
중앙당사 | 서울특별시 종로구 서소문길 11-50 (정동) |
당 색 | 초록색 (#498C00) |
노란색 (#F8C050) | |
당기 |
[clearfix]
1. 개요
1981년 창당되어 1988년까지 존재한 관제야당. 약칭은 '국민당'이며 상징은 문서 상단의 당기에 새겨진 거북이 등껍질 문양에서도 알 수 있듯이 노란 거북이였다.[2]2. 상세
▲한국국민당 창당식 신문기사 (1981.1.23) |
1980년 전두환과 신군부의 정치금지법으로 해산된 민주공화당과 유신정우회 소속 정치인들 중에서 정치활동금지를 피한 인사들이 1981년 1월 서울특별시 종로구 정동 풍전빌딩에서 창당하였다. 초대 총재는 김종철[3]이었다.
국민당 창당의 실무 책임자를 맡았던 김한선 전 의원은 훗날 김종철이 자신에게 창당 참여를 제안하러 와 "신군부 고위층 인사가 자신에게 제1·2여당, 제1·2야당, 반공당 등 5개 정당을 만드는 구상을 밝히며 나보고 제2여당을 책임지고 만들라고 했다. 참여 인사는 공화당·유정회 출신 인사들을 주축으로 하는 명단이 넘어올 것이다"라고 했다고 밝혔다.[4] 국민당 창당 작업에 신군부가 얼마나 깊이 관여되어 있었는지 알 수 있는 대목이다. 기사
여당의 후신인 만큼 원내 제1야당을 목적으로 했으나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충청권과 영남권, 강원권 일부에서만 당선자를 내면서 총 25석으로 민주한국당에게 밀려 제2야당이 되었다. 1985년 이만섭이 2대 총재로 취임하였으나,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한민주당 돌풍에 밀려 20석으로 당세가 위축되면서 제3야당으로 전락했다. 그러나 민한당 소속 당선자들이 거의 다 신민당에 입당하고, 민한당에는 3명의 의원만이 남으면서 다시 제2야당이 되었다.
1987년 6월 민주 항쟁 이후 김종필이 정계에 복귀하여 신민주공화당을 창당하자 현직 국회의원 8명과 대부분의 당직자, 지역조직이 신민주공화당으로 넘어가면서 사실상 와해되었고, 남은 국회의원 중 8명도 집단 탈당하여 집권당인 민주정의당에 입당하면서 이만섭 총재를 포함한 4명의 국회의원만 남는다. 결국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총선거에서 당선자를 내지 못하면서 등록취소되었다.[5] 그래도 왕년의 경쟁자 민주한국당, 신한민주당보다 2배나 많은 65,032표를 얻었다. 6위 민중의당(65,650표)보다 근소하게 뒤진 게 함정. 5위는 한겨레민주당이었다.
중앙당사는 창당 초기인 1981년 1월부터 서울특별시 종로구 정동 11-3 풍전빌딩에 터를 잡은 이후 9월에 정동길 33 구 신아일보 별관을 거쳤다가, 1985년부터 서소문길 11-50 신아빌딩으로 옮겼다.
여담으로 다른 당직자와 달리 마지막까지 한국국민당 총재 자리를 지켰던 이만섭은 이후 김영삼의 민주자유당과 국민신당을 거쳐 김대중의 새천년민주당으로 소속을 옮겨 국회의장을 두 번 지냈다.
3. 역대 당직자
4. 역대 총재
총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8c05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498c00> 제1·2대 김종철 | 제3대 이만섭 |
}}}}}}}}}}}} |
5. 원내총무
원내총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8c05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초대 이동진 | 제2대 김종하 | 제3대 김용채 | 제4대 양정규 |
}}}}}}}}}}}}}}} |
6. 둘러보기
대한민국의 제3지대 정당 | |||||||
제5공화국 ~ 국민의 정부 (1981 ~ 2003) {{{#!wiki style="margin: 0 -10px 3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1px -9px;" | 통일국민당 | 신정치개혁당 | |||||
민주자유당에서 분당 | |||||||
새한국당 | 민주자유당에서 분당 | ||||||
신민당 | 자유민주연합 | ||||||
민주당에 합당 | |||||||
자유민주연합 | |||||||
신한국당에서 분당 | 신민당 | 자유민주연합 | |||||
무당파국민연합 | 무정파전국연합 | ||||||
정당등록취소 | |||||||
신한국당에서 분당 | 정당해산 | ||||||
국민신당 | 한나라당에서 분당 | ||||||
새정치국민회의에 합당 | 민주국민당 | 희망의한국신당 | 자유민주연합 | ||||
새천년민주당 | 정당해산 | 하나로국민연합 | 자유민주연합 | ||||
국민통합21 | |||||||
▼ 국민의 정부 이후 |
대한민국의 보수정당 | |||||||
제5공화국 ~ 문민정부 (1981 ~ 1998) {{{#!wiki style="margin: 0 -10px 3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1px -9px;" | ▲ 제5공화국 이전 | ||||||
민주정의당 | 한국국민당 | ||||||
신민주공화당 | 정당등록취소 | 통일민주당* | |||||
민주자유당 | 민주당에서 분당 | ||||||
민주자유당 | 통일국민당 | 신정치개혁당 | |||||
민주자유당 | 새한국당 | 신정치개혁당 | |||||
신민당 | |||||||
민주당에 합당 | 신민당 | ||||||
민주자유당 | 자유민주연합 | ||||||
자유민주연합 | |||||||
민주당※ | 신한국당 | 자유민주연합 | |||||
신한국당 | 국민신당 | ||||||
한나라당 | |||||||
* 3당 합당으로 보수정당에 합류 ※ 한나라당 창당으로 보수정당에 합류 | |||||||
▼ 문민정부 이후 | |||||||
동일시기 타정당: 진보정당(제1공-노태우) 진보정당(문민-이명박) 민주당계 | }}}}}}}}} |
''' 1981.4.11. ~ 1985.5.12.'''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임기 개시 당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여당 | |||||
151석 | ||||||
관제야당 | ||||||
82석 | 25석 | |||||
2석 | 2석 | |||||
2석 | 1석 | 1석 | ||||
무소속 10석 | ||||||
재적 276석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임기 종료 당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여당 | |||||
149석 | ||||||
야당 | ||||||
59석 | 32석 | |||||
24석 | 1석 | |||||
무소속 6석 | ||||||
재적 271석 | ||||||
임시의정원 ·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제헌 · 2 · 3 · 4 · 5 · 6 · 7 · 8 · 9 · 10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21 · 22 | }}}}}}}}} |
''' 1985.5.13. ~ 1988.5.29.'''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임기 개시 당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여당 | |||||
148석 | ||||||
야당 | ||||||
103석 | ||||||
21석 | 3석 | |||||
무소속 1석 | ||||||
재적 276석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임기 종료 당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여당 | |||||
160석 | ||||||
야당 | ||||||
50석 | ||||||
22석 | 9석 | |||||
무소속 29석 | ||||||
재적 270석 | ||||||
임시의정원 ·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제헌 · 2 · 3 · 4 · 5 · 6 · 7 · 8 · 9 · 10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21 · 22 | }}}}}}}}} |
[1] 이후 대부분 신민주공화당에 입당하였다.[2] 본래 이만섭은 공화당에서 쓰던 황소를 쓰려고 했고, 안 되면 2안으로 단군의 어머니를 뜻하는 '곰'으로 상징을 정하려고 했다. # 그러다가 '곰'과 '거북이'의 2파전이 펼쳐졌고, 최종적으로 거북이로 선택된 모양. 거북이가 상징하는 것은 장수, 한계상황에서의 생명력, 임진왜란 당시의 거북선 등이었다. #[3] 한화그룹 창업주인 현암 김종희 회장의 형이다. 즉,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의 큰아버지.[4] 이 구상은 지지기반이 겹친다는 이유로 폐기된 반공정당을 빼곤 모두 실현되었다. 제1야당은 민주한국당이고 제2야당은 고정훈의 민주사회당인데 모두 신군부가 만든 구색정당이었다.[5] 2014년 헌법재판소가 득표율 미만 정당 해산 규정에 대해 위헌 결정을 내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