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의미
|
|
<colbgcolor=#000> 〈십장생도〉 |
직역하자면 오래 사는 열 가지 생물인데, 실제로는 생물학적 분류로 무생물인 것이 태반이다. 따라서 생물이라기보다는 생성이나 형성으로 해석하는 것이 옳다. 목록은 해[A], 산[A], 물[A], 돌[A], 달[A] 또는 구름[A], 소나무[B], 불로초[B], 거북[B], 두루미[B], 사슴[B]이다.
앞의 6개[A]는 자연물, 뒤의 5개[B]는 생물이다. 경우에 따라 내(川)랑 대나무가 자연물과 생물에 대신 포함된다.
이들은 수명이 15년 내외인 사슴을 제외하면 실제로도 오래 산다.[14] 해와 달 같은 앞의 자연물들이야 수십억 년을 존재했고[15], 불로초는 가상의 존재라 제외하면 소나무는 600년, 거북은 대형 땅거북의 경우 100년 이상, 대나무는 100년 내외, 두루미는 50년 내외까지 살기 때문에 상당히 오래 사는 생물들이다.
1.1. 십장생도
{{{#!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ae1932><tablebgcolor=#ae1932>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1. 장충단비
1.#26 석파정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51 기기국 번사창
1.#76 홍무 25년 장흥사 명 동종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01 국기복색소선 및 사절복색자장요람 1.#126
143-3. 우협시보살상}}}
144-3. 가나가바라타자상 144-4. 소빈다상 144-5. 나쿠라상 144-6. 바다라상 144-7. 카리카상 144-8. 바자라푸트라상 144-9. 지바카상 144-10. 판타카상 144-11. 라후라상 144-12. 나가세나상 144-13. 안가다상 144-14. 바나바시상 144-15. 아지타상 144-16. 수다판타카상 144-17. 제석상 144-18. 사자상 144-19. 인왕상1 144-20. 인왕상2}}}146-2. 나한도2 146-3. 나한도3 146-4. 나한도4 146-5. 제석신중도 146-6. 사자신중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51 철불좌상
1.#176 기성도병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201 청룡사 지장시왕도
1.#226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251 염불사 지장시왕도
259-3. 청동젓가락 259-4. 청동국자 259-5. 일본봉래문경 259-6. 상평통보}}}
269-3. 오천오백불명신주제장멸죄경권1,3,4,6 269-4. 묘법연화경권1,2,3,4,6 269-5. 각종다라니}}}
1.#276 백자동화원형문각호281-2. 향우측 협시상 281-3. 향좌측 협시상}}}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301 북한지
320-3. 발원문 320-4. 약초, 오곡, 오향, 광물 320-5. 일체여래전신사리보협진언}}} 1.#326 선원제전집도서
[44] 경기지역으로 반출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5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351 봉국사 아미타괘불도356-2. 정족산성접전사실 356-3. 하거집}}}
1.#376 선종영가집(언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4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401 백자양각 재명 매죽문 선형필세필가
415-3. 석조도명존자상 415-4. 시왕상 415-5. 귀왕상 415-6. 판관상 415-7. 사자상 415-8. 금강역사상 415-9. 동자상}}}
1.#426 지장사 목조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51~501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451 묘법연화경 권1-2
1.#476 봉원사 시왕도 및 사자·장군도 [50] 보물로 승격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폐지 이후(번호없음-1)]⠀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2021년 11월 19일부로 번호 지정제 폐지 2021.11.19 - 2023.04.06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없음-2]⠀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2023.04.06 - 2025.01.23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없음-3]⠀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 }}}}}}}}}}}}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유산 제136호 | |
십장생도 十長生圖 | |
소재지 | <colbgcolor=#fff,#191919> 서울 종로 새문안 55 (신문 2가 2-1, 서울역사박물관) |
분류 | 유물 / 일반회화 / 영모화조화 / 영모화 |
수량 / 면적 | 병풍 한틀 (10幅) |
지정연도 | 2001년 12월 31일 |
제작시기 | 조선 후기 (19세기) |
|
<colbgcolor=#000> 십장생도[16] |
조선 말기 궁중에서 그린 십장생도가 있다. 10폭을 병풍 하나로 합친 그림이며 서울역사박물관에서 보관하고 있다. 이 그림은 2001년 12월 31일에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37호로 지정받았다.
1.2. 1에서 유래된 화장품 이름
이름의 유래는 1. 광고 모델은 전인화. 로제 화장품에서 개발한 한방라인 화장품 브랜드로, 중년 여성이 타겟인 듯.2. 신조어
십대도 장차 백수가 되는 것을 생각해야 한다는 말의 준말로, 한국의 세태를 비꼬는 말. 이태백, 삼팔선 등 성인들의 취업난에 관한 신조어가 생기더니 어느새 십대 소년들의 장래에 대한 우려를 의미하는 신조어까지 생겨나고 말았다.2.1. 관련 문서
3. 비속어
본래 뜻에 의하면 절대로 욕이 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어감 때문에 욕설로도 쓰이고 있다. '십'으로 시작하기에 발음을 조금만 세게 하면 욕설로 들리기 때문인 듯하다. '욕 먹으면 오래 산다'는 속설과 관련지으면 '십장생만큼 오래 살 정도로 욕 먹을 놈'이라는 뜻이 되는 경우가 있다. 웃찾사 초기 시절 한 코너에서 이 말이 나왔는데, 이후 자주 쓰이고 있다. 십장생이라는 말 자체는 사전적으로 비속어로 분류가 안 되므로 검열에 안 걸리는 것도 한 몫 한다.예시)
욕이라는 건 말이다, 옘병 땀병에 가다버릴 속병에 걸려가지고 땀통이 끊어지면은 끝나는 거고 시베리아 벌판에서 얼어죽을 년 같으니! 십장생 같은 년! 옘병 땀병에 그냥, 땀통 끊어지면은 그냥 죽는 거야, 이 년아. 이런 개나리를 봤나! 야, 이 십장생아! 귤 까라 그래! 거이 시베리아야, 예라이 썅화차야! 이 시베리아 벌판에서 귤이나 까라! - By 김영옥 in 올드미스 다이어리
3학년 4반이다, 이 십장생아! - By 오니즈카 에이키치 in GTO 투니버스 더빙판.
4. 정구의 무협소설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십장생(소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십장생(소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