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일민미술관 一民美術館 | Ilmin Museum of Art | |
<colbgcolor=#000><colcolor=#fff> 개관일 | 1996년 12월 |
주소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대로 152 (세종로 139-8, 서린동 159-3) |
영업 시간 | 화요일부터 일요일 (오전 11시~오후 7시까지)[1] 매주 월요일 휴관 |
문의 | 전화번호 02-2020-2050 팩스 02-2020-2069 이메일 [email protected] |
링크 |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31호 | |
동아일보 사옥 東亞日報 社屋 | |
시대 | 일제강점기(1926년) |
분류 |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근대교육문화 / 사회문화시설 |
수량 / 면적 | 건물 1棟, 토지 657.8㎡ |
지정연도 | 2001년 4월 6일 |
관리자 (관리단체) | 주식회사 동아일보사 |
1. 개요
서울특별시에 위치해 있는 미술관.2. 상세
|
일민미술관의 현재 모습 |
TBS에서 제작한 일민미술관 영상 |
1996년 동아일보 광화문 옛 사옥 건물을 리모델링하여 개관한 동아일보사의 사립미술관이다. 1992년 동아일보 본사가 충정로 사옥으로 이전하면서 리모델링 공사를 위해 공실 상태로 있다가 리모델링이 끝난 후 1994년에 일민문화관으로 처음 문을 연다. 그리고 1996년 12월, 미술관의 승인을 받아 일민미술관으로 새롭게 개관한다. 건물의 오른쪽에는 동아일보의 광화문 신사옥과 연결되어 있으며 그곳에 있던 신문박물관이 일민미술관으로 이전했다.
참고로 일민미술관은 인촌 김성수의 장남 김상만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김상만의 호인 '일민'을 따서 설립되었으며 일본의 건축가 나카무라 마코토가 설계했다.
3. 역사
| | |
1926년 | 1958년 | 1962년 |
[1926년] - 일제강점기동안 대한민국의 민족지를 향한 염원을 담아 총독부를 마주한 광화문 사거리에 동아일보 사옥이 설립된다. 이때 당시 광화문 사옥은 지하 1층, 지상 3층의 철근 콘크리트와 벽돌이 섞인 근대건축물로 출발했다. [1958~1962년] - 일본의 검열에 맞서 싸우는 동안에도 철거되지 않고 굳건히 그 모습을 지켰다. 또한 시대의 흐름에 맞춰 1958년에는 오른쪽으로 2칸, 1962년에는 위로 2개의 층을 추가하여 규모가 커졌다. |
| |
1968년 | 2001년 |
[1968년] - 증축 및 해방 후 한국의 언론을 대표하는 건축물이 된 동아일보 사옥은 동아방송 개국(1963년)에 따라 다시 하나의 층을 증축하여 지하 1층, 지상 6층으로 확장했다. [1994~1996년] - 더 넓은 사옥이 필요해진 동아일보는 충정로 사옥과 동아미디어센터를 설립하여 이전하고 광화문 사옥은 리모델링 후 1994년 일민문화관으로 새롭게 변신했고 1996년 미술관의 승인을 받아 일민미술관으로 개관한다. [2001년] - 광화문 거리와 일민미술관 내부를 투명하게 연결하는 유리와 스틸의 아트리움, 노출된 기둥과 불규칙한 천장의 보들은 기존 건축물에 대한 존중과 동시대적 미술관으로서 일민미술관의 지향점을 보여주고 있다. |
3.1. 구 동아일보 사옥(근대건축물)
{{{#!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ae1932><tablebgcolor=#ae1932>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1. 장충단비
1.#26 석파정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51 기기국 번사창
1.#76 홍무 25년 장흥사 명 동종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01 국기복색소선 및 사절복색자장요람 1.#126
143-3. 우협시보살상}}}
144-3. 가나가바라타자상 144-4. 소빈다상 144-5. 나쿠라상 144-6. 바다라상 144-7. 카리카상 144-8. 바자라푸트라상 144-9. 지바카상 144-10. 판타카상 144-11. 라후라상 144-12. 나가세나상 144-13. 안가다상 144-14. 바나바시상 144-15. 아지타상 144-16. 수다판타카상 144-17. 제석상 144-18. 사자상 144-19. 인왕상1 144-20. 인왕상2}}}146-2. 나한도2 146-3. 나한도3 146-4. 나한도4 146-5. 제석신중도 146-6. 사자신중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51 철불좌상
1.#176 기성도병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201 청룡사 지장시왕도
1.#226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251 염불사 지장시왕도
259-3. 청동젓가락 259-4. 청동국자 259-5. 일본봉래문경 259-6. 상평통보}}}
269-3. 오천오백불명신주제장멸죄경권1,3,4,6 269-4. 묘법연화경권1,2,3,4,6 269-5. 각종다라니}}}
1.#276 백자동화원형문각호281-2. 향우측 협시상 281-3. 향좌측 협시상}}}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301 북한지
320-3. 발원문 320-4. 약초, 오곡, 오향, 광물 320-5. 일체여래전신사리보협진언}}} 1.#326 선원제전집도서
[44] 경기지역으로 반출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5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351 봉국사 아미타괘불도356-2. 정족산성접전사실 356-3. 하거집}}}
1.#376 선종영가집(언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4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401 백자양각 재명 매죽문 선형필세필가
415-3. 석조도명존자상 415-4. 시왕상 415-5. 귀왕상 415-6. 판관상 415-7. 사자상 415-8. 금강역사상 415-9. 동자상}}}
1.#426 지장사 목조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51~501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451 묘법연화경 권1-2
1.#476 봉원사 시왕도 및 사자·장군도 [50] 보물로 승격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폐지 이후(번호없음-1)]⠀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2021년 11월 19일부로 번호 지정제 폐지 2021.11.19 - 2023.04.06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없음-2]⠀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2023.04.06 - 2025.01.23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없음-3]⠀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 }}}}}}}}}}}} |
- 동아일보 사옥(東亞日報舍屋)
- 지정번호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31호 / 시대 : 1926년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 139번지
서울 종로구 화동의 옛 중앙학교 교사를 빌려 1920년 4월 1일 창간한 동아일보사가 1926년 12월 전용사옥으로 지은 건물이다.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언론사 건물로서 1992년까지 이곳에서 신문을 발행하였다. 준공 당시에는 지하 1층, 지상 3층으로 철근콘트리트와 벽돌구조이며 외벽에는 석재와 타일을 붙였고 인조석도 부분적으로 사용하였다. 현관 위에서 옥탑까지 수직으로 이어져 있는 내민창이 특징인데 이는 1920년대에 세계적으로 유행하던 모더니즘 디자인으로 옮아가는 당시의 디자인 경향의 단계를 보여주고 있다. 1963년 4월 이 건물에서 동아방송이 개국하기도 하였으며 몇 차례 증개축을 거쳐 1968년 지상 6층으로 확장되었다. 충정로로 사옥을 옮긴 후 1996년부터 일민미술관으로 사용하고 있다. 2001년 큰 규모의 보수 및 증축공사를 하여 내부 모습은 많이 달라졌으나 외관과 내부공간의 일부는 원형대로 보존되어 있어 1920년대 건축양식과 건축재료의 유구를 살펴볼 수 있으며 광화문 네거리의 근대시기 모습을 전해주는 유일한 건물이다.
4. 일민문화재단
일민문화재단은 언론과 문화진흥에 헌신한 일민 김상만 선생의 유지를 기리기 위해 1994년 설립된 비영리 문화단체이다. 일민문화재단은 일민 김상만 선생의 신념을 실현하기 위해 일민문화상, 일민미술관 운영 등을 통해 문화활동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또한 일민문화재단은 일민 김상만 선생이 생전에 수집한 고려 시대, 조선 시대, 근대 도자기와 서화 등을 비롯해 이루어진 일민컬렉션과 동아일보 미술품, 일민미술관 현대미술품 등 2,000여 점을 소장하여 관리하고 있다.
4.1. 일민문화상
일민 김상만 선생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1995년 일민문화재단이 일민예술상을 제정했다. 우리 문화의 우수성을 국내외에 알린 예술인을 뽑아 수여하고 있으며 2007년 제 8회부터 일민문화상으로 이름을 바꾸고 문화 활동을 통한 사회복지나 국가와 공공의 발전에 공헌한 개인 혹은 단체로 대상을 확대하여 시상하고 있다. 일문문화상은 격년제로 실시되며, 해당 연도 9월에서 10월에 추천 및 지원 접수를 받고 심사위원회에서 심사하여 12월에 발표한다. 시상은 다음 연도 1월에 이루어지며 상금 5,000만원과 상패가 함께 수여된다.역대 수상자 | ||||
선정일 | 수상일 | 분야 | 수상자 | |
제 1회 | 1995년 | 1996년 2월 23일 | 음악 | 정명훈 |
제 2회 | 1996년 | 1997년 1월 20일 | 미술 | 서세옥 |
제 3회 | 1997년 | 1998년 1월 19일 | 연극 | 김정옥 |
제 4회 | 1999년 | 2000년 1월 19일 | 연극 | 윤호진 |
제 5회 | 2000년 | 2001년 1월 19일 | 무용 | 김혜식 |
제 6회 | 2001년 | 2002년 1월 19일 | 영화 | 임권택 |
제 7회 | 2005년 | 2006년 1월 19일 | 미술 | 최정화 |
제 8회 | 2007년 | 2008년 1월 18일 | - | 느티나무 도서관 |
제 9회 | 2009년 | 2010년 1월 19일 | - | 서울국제여성영화제 |
제 10회 | 2011년 | 2012년 1월 19일 | - | 최완수 |
제 11회 | 2013년 | 2014년 1월 17일 | - | 조한혜정 |
5. 관람 안내
관람료 | |
일반 | 9,000원 |
학생[2] | 7,000원 |
미취학아동 | 무료 |
- 이마 멤버십인 회원은 본인에 한해서 무료입장 - 일민미술관, 신문박물관 통합권 구매 시 할인 - 만 65세 이상 / 장애인 / 매월 마지막 수요일 '문화가 있는 날' 50% 할인 - 매주 평일 수요일 점심시간 '직장인 무료' - 중복할인 불가 | |
단체관람 | |
일반 | 8,000원 |
학생[3] | 6,000원 |
- 20명 이상 단체 관람은 미리 예약을 해야만 입장이 가능하다. (예약문의 02-2020-2050) - 중복할인 불가 | |
직장인 점심시간 무료관람 | |
시간 | 수요일 오전 11시30분 ~ 오후 1시30분까지 |
- 명함과 신분증을 지참한 후 안내 데스크에 제시하면 무료 관람티켓을 준다. |
편의시설로는 건물 1층에 음료와 식사를 할 수 있는 카페가 있으며 아트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아트샵도 있다. 다만 이외의 휴게 공간이 따로 마련되어 있지 않아 카페 외에서 기다려야 할 경우 불편하다.
6. 전시
일민미술관은 신문박물관과 같은 건물을 쓰고 있다. 5층과 6층은 신문박물관으로 지하층과 나머지 지상층이 일민미술관의 기획전시 영역이다.현재 진행되고 있는 전시는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7. 교통
주차공간이 협소해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을 추천.[4]7.1. 지하철
서울 지하철 5호선 광화문역 5번 출구 도보 1분, 1/2호선 시청역 4번 출구 도보 10분만 걸으면 도착할 수 있다.7.2. 버스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광화문역#s-7|7]]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광화문역#|]] 부분을
참고하십시오.8. 기타
- 2001년 4월 6일에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31호로 지정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