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ae1932><tablebgcolor=#ae1932>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1. 장충단비
1.#26 석파정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51 기기국 번사창
1.#76 홍무 25년 장흥사 명 동종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01 국기복색소선 및 사절복색자장요람 1.#126
143-3. 우협시보살상}}}
144-3. 가나가바라타자상 144-4. 소빈다상 144-5. 나쿠라상 144-6. 바다라상 144-7. 카리카상 144-8. 바자라푸트라상 144-9. 지바카상 144-10. 판타카상 144-11. 라후라상 144-12. 나가세나상 144-13. 안가다상 144-14. 바나바시상 144-15. 아지타상 144-16. 수다판타카상 144-17. 제석상 144-18. 사자상 144-19. 인왕상1 144-20. 인왕상2}}}146-2. 나한도2 146-3. 나한도3 146-4. 나한도4 146-5. 제석신중도 146-6. 사자신중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51 철불좌상
1.#176 기성도병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201 청룡사 지장시왕도
1.#226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251 염불사 지장시왕도
259-3. 청동젓가락 259-4. 청동국자 259-5. 일본봉래문경 259-6. 상평통보}}}
269-3. 오천오백불명신주제장멸죄경권1,3,4,6 269-4. 묘법연화경권1,2,3,4,6 269-5. 각종다라니}}}
1.#276 백자동화원형문각호281-2. 향우측 협시상 281-3. 향좌측 협시상}}}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301 북한지
320-3. 발원문 320-4. 약초, 오곡, 오향, 광물 320-5. 일체여래전신사리보협진언}}} 1.#326 선원제전집도서
[44] 경기지역으로 반출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5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351 봉국사 아미타괘불도356-2. 정족산성접전사실 356-3. 하거집}}}
1.#376 선종영가집(언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4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401 백자양각 재명 매죽문 선형필세필가
415-3. 석조도명존자상 415-4. 시왕상 415-5. 귀왕상 415-6. 판관상 415-7. 사자상 415-8. 금강역사상 415-9. 동자상}}}
1.#426 지장사 목조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51~501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451 묘법연화경 권1-2
1.#476 봉원사 시왕도 및 사자·장군도 [50] 보물로 승격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폐지 이후(번호없음-1)]⠀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2021년 11월 19일부로 번호 지정제 폐지 2021.11.19 - 2023.04.06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없음-2]⠀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2023.04.06 - 2025.01.23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없음-3]⠀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 }}}}}}}}}}}}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유산 제142호 | |
흥선대원군 이하응필 묵란도 興宣大院君 李昰應筆 墨蘭圖 | |
소재지 | <colbgcolor=#fff,#191919>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55 (신문로 2가 2-1, 서울역사박물관) |
분류 | 유물 / 일반회화 / 사군자 / 란도 |
수량 / 면적 | 병풍 1틀(12幅) |
지정연도 | 2002년 3월 15일 |
제작시기 | 1891년(고종 28년) |
|
<colbgcolor=#29176e> 〈흥선대원군 이하응필 묵란도〉[1] |
1. 개요
흥선대원군이 그린 묵란도 그림이다. 2002년 3월 15일에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42호로 지정받았다.2. 상세
1891년(고종 28년)에 흥선대원군이 유씨 성을 가진 사람의 부탁으로 그린 그림이다. 흥선대원군은 젊은 시절부터 당숙인 추사 김정희에게 글과 그림을 배운 만큼[2], 당대 최고의 예술가로 유명했으며 특히 난을 잘 그리기로 유명했다. 그래서 흥선대원군의 작품에는 김정희의 영향이 많이 들어있는데, 말년으로 갈 수록 흥선대원군 자신만의 특징을 담아낸 작품을 많이 제작했다. 이 그림도 그 중 하나이다. | | |
<colbgcolor=#29176e> 왼쪽부터 〈1 ~ 2폭〉, 〈3 ~ 4폭〉, 〈5 ~ 6폭〉이다.[3] |
| | |
<colbgcolor=#29176e> 왼쪽부터 〈7 ~ 8폭〉, 〈9 ~ 10폭〉, 〈11 ~ 12폭〉이다.[4] |
그림 속 난초잎은 위로 갈 수록 시원하게 힘껏 뻗쳐지다가 마지막에는 부드럽게 마무리 되었다. 또한 각 진 바위 여러 개가 겹쳐져 있고, 바위의 윗 부분은 넓고 아래로 내려갈 수록 폭이 좁아진다. 이는 동시기의 유명한 서화가 정학교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각 폭 하단의 바깥쪽 가장자리에는 도장이 찍혀있는데 다 다른 도장이다.
[1]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2] 정확히는 법적인 진이당숙(아버지의 이종사촌)이다. 김정희의 양어머니와 흥선대원군의 양할머니가 서로 자매이기 때문에, 피 한 방울 안 섞였지만 법적으로는 당숙 - 조카가 되었다. 그 인연으로 김정희에게 예술을 배웠던 것.[3] 해당 줄 첫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해당 줄 두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해당 줄 세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4] 해당 줄 첫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해당 줄 두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해당 줄 세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해당 줄 두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해당 줄 세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4] 해당 줄 첫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해당 줄 두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해당 줄 세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