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ae1932><tablebgcolor=#ae1932>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1. 장충단비
1.#26 석파정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51 기기국 번사창
1.#76 홍무 25년 장흥사 명 동종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01 국기복색소선 및 사절복색자장요람 1.#126
143-3. 우협시보살상}}}
144-3. 가나가바라타자상 144-4. 소빈다상 144-5. 나쿠라상 144-6. 바다라상 144-7. 카리카상 144-8. 바자라푸트라상 144-9. 지바카상 144-10. 판타카상 144-11. 라후라상 144-12. 나가세나상 144-13. 안가다상 144-14. 바나바시상 144-15. 아지타상 144-16. 수다판타카상 144-17. 제석상 144-18. 사자상 144-19. 인왕상1 144-20. 인왕상2}}}146-2. 나한도2 146-3. 나한도3 146-4. 나한도4 146-5. 제석신중도 146-6. 사자신중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51 철불좌상
1.#176 기성도병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201 청룡사 지장시왕도
1.#226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251 염불사 지장시왕도
259-3. 청동젓가락 259-4. 청동국자 259-5. 일본봉래문경 259-6. 상평통보}}}
269-3. 오천오백불명신주제장멸죄경권1,3,4,6 269-4. 묘법연화경권1,2,3,4,6 269-5. 각종다라니}}}
1.#276 백자동화원형문각호281-2. 향우측 협시상 281-3. 향좌측 협시상}}}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301 북한지
320-3. 발원문 320-4. 약초, 오곡, 오향, 광물 320-5. 일체여래전신사리보협진언}}} 1.#326 선원제전집도서
[44] 경기지역으로 반출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5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351 봉국사 아미타괘불도356-2. 정족산성접전사실 356-3. 하거집}}}
1.#376 선종영가집(언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4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401 백자양각 재명 매죽문 선형필세필가
415-3. 석조도명존자상 415-4. 시왕상 415-5. 귀왕상 415-6. 판관상 415-7. 사자상 415-8. 금강역사상 415-9. 동자상}}}
1.#426 지장사 목조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51~501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451 묘법연화경 권1-2
1.#476 봉원사 시왕도 및 사자·장군도 [50] 보물로 승격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폐지 이후(번호없음-1)]⠀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2021년 11월 19일부로 번호 지정제 폐지 2021.11.19 - 2023.04.06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없음-2]⠀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2023.04.06 - 2025.01.23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없음-3]⠀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 }}}}}}}}}}}}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유산 제304호 | |
장양공정토시전부호도 壯襄公征討時錢部胡圖 | |
소재지 | <colbgcolor=#fff,#191919> 서울특별시 노원구 화랑로 574 (공릉동 77-1, 육군사관학교 박물관) |
분류 | 유물 / 일반회화 / 기록화 / 계회도 |
수량 / 면적 | 1축 |
지정연도 | 2010년 6월 17일 |
제작시기 | 조선 후기 |
|
<colbgcolor=#C00D45> 〈장양공정토시전부호도〉 |
1. 개요
조선 중기, 1588년(선조 21)에 함경북도 병마절도사였던 이일(李鎰)이 여진족의 시전 부락을 소탕하고 그 포로를 심문하는 광경을 묘사한 그림. 현재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유산 제304호로 지정되어 있다.2. 내용
| |
<colbgcolor=#C00D45> 〈장양공정토시전부호도〉의 일부를 확대한 모습[1] |
1500년대 후반 여진족 시전부락 일대의 넓은 지역을 부감시(俯瞰視)로 조망하고, 장양공의 부대와 여진족 사이에 벌어진 전투 상황을 화면 가득 담았다. 지형도식 묘법으로 지형지세의 틀을 잡았는데, 산봉우리는 먹선으로 윤곽을 그린 다음 안쪽에 호초점(胡椒點)을 찍어 질감을 나타냈다. 또 아래쪽 근경의 산봉과 능선에 화보풍(畵譜風) 수목들을 배치해 상부의 원경과 구별하였다.
|
<colbgcolor=#C00D45> 〈장양공정토시전부호도〉의 일부를 확대해서 본 조선시대 기병 |
3. 외부 링크
4.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유산 제304호
조선 중기 함경북도 병마절도사 장양공(壯襄公) 이일(李鎰, 1538~1601)이 함경도 지역을 침략하던 여진족 시전부락을 정벌하는 모습을 그린 그림이다. ‘장양공정토시전부호도(壯襄公征討時錢部胡圖)’라고 쓴 전서체의 제목과 그림, 좌목으로 구성된 전형적인 계축 형식이다. 맨 아랫단 좌목의 말미에는 8세손 1849년 윤하(閏夏) 일자의 이재관(李在寬) 글이 있어 여진족 시전 부락을 토벌하게 된 경위와 그림의 제작 경위를 알 수 있다.
제목과 그림, 좌목을 붉은 선으로 구획하고 좌목에도 붉은 선으로 인찰하였다. 좌목에는 대장(大將)인 함경북도 병마절도사 이일과 그 휘하의 조전장(助戰將) 서득운(徐得運), 종사관(從事官) 이용순(李用淳), 승의랑(承議郞) 심극명(沈克明), 심약선교랑(審藥宣敎郞) 이혜정(李蕙汀), 조전장 7명의 이름이 쓰여 있다. 이어 선봉장(先鋒將)인 고령진(高嶺鎭) 병마첨절제사 유극량(劉克良)을 포함한 22명의 좌위(左衛) 소속 군병, 선봉장 함경북도 조방장(助防將) 李薦(李薦)을 포함한 24명의 우위(右衛) 소속의 군병 이름이 기록되어 있다.
이재관에 의하면 원래는 장양공 이일의 손자 경상좌수사 이견(李汧, 1618~?)이 조부의 공훈을 기념하고 후세에 알리고자 그림을 그려 종손(宗孫)과 지손(支孫)의 집안에 보관하였다고 한다. 세월이 흘러 남은 것이 한 건 밖에 없게 되자 1849년에 다시 신본(新本) 3건을 만들어 예전에 가장(家藏)했던 대로 보관한다는 내용이다. 전형적인 계축 형식이지만 좌목의 인물들이 공유하였던 결계(結契)의 기념화가 아니라 집안 조상의 행적을 기리기 위한 집안 차원의 기념화로 제작된 점이 주목된다.
좌목 말미에 글을 쓴 이재관이 조선후기 화원(畵員)인 소당(小塘) 이재관(李在寬, 1783~1837)인지에 대해서는 좀 더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나 그림의 작자가 이재관인지 아닌지의 여부와 상관없이 이 그림은 당시의 전투 상황이 잘 표현된 우수한 작품으로 부감시에 의해 여진족 시전부락 일대의 지세(地勢)가 잘 드러나 있고, 전투하는 군사들과 오랑캐들의 모습도 다양한 자세와 움직임으로 그려져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산은 먹선으로 윤곽을 그리고 작은 점을 골고루 찍었으며 나무에서는 화보풍의 남종화풍이 엿보인다. 채색은 적색, 황색, 갈색, 엷은 녹색 위주로 담채되었다.
이와 같이 <장양공정토시전부호도>는 전형적인 계축 형식을 지녔지만 결계(結契)의 기록물이 아니라 조상의 공훈을 기리기 위한 집안 차원의 기념화로 제작된 점, 전쟁 장면을 내용으로 한 점, 무인(武人) 집안에서 주관한 점 등에서 희귀성을 갖고 있고, 이모된 경위가 작품에 확실하게 기록되어 기록화로서의 가치가 인정되고 작품의 수준도 우수하다.
제목과 그림, 좌목을 붉은 선으로 구획하고 좌목에도 붉은 선으로 인찰하였다. 좌목에는 대장(大將)인 함경북도 병마절도사 이일과 그 휘하의 조전장(助戰將) 서득운(徐得運), 종사관(從事官) 이용순(李用淳), 승의랑(承議郞) 심극명(沈克明), 심약선교랑(審藥宣敎郞) 이혜정(李蕙汀), 조전장 7명의 이름이 쓰여 있다. 이어 선봉장(先鋒將)인 고령진(高嶺鎭) 병마첨절제사 유극량(劉克良)을 포함한 22명의 좌위(左衛) 소속 군병, 선봉장 함경북도 조방장(助防將) 李薦(李薦)을 포함한 24명의 우위(右衛) 소속의 군병 이름이 기록되어 있다.
이재관에 의하면 원래는 장양공 이일의 손자 경상좌수사 이견(李汧, 1618~?)이 조부의 공훈을 기념하고 후세에 알리고자 그림을 그려 종손(宗孫)과 지손(支孫)의 집안에 보관하였다고 한다. 세월이 흘러 남은 것이 한 건 밖에 없게 되자 1849년에 다시 신본(新本) 3건을 만들어 예전에 가장(家藏)했던 대로 보관한다는 내용이다. 전형적인 계축 형식이지만 좌목의 인물들이 공유하였던 결계(結契)의 기념화가 아니라 집안 조상의 행적을 기리기 위한 집안 차원의 기념화로 제작된 점이 주목된다.
좌목 말미에 글을 쓴 이재관이 조선후기 화원(畵員)인 소당(小塘) 이재관(李在寬, 1783~1837)인지에 대해서는 좀 더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나 그림의 작자가 이재관인지 아닌지의 여부와 상관없이 이 그림은 당시의 전투 상황이 잘 표현된 우수한 작품으로 부감시에 의해 여진족 시전부락 일대의 지세(地勢)가 잘 드러나 있고, 전투하는 군사들과 오랑캐들의 모습도 다양한 자세와 움직임으로 그려져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산은 먹선으로 윤곽을 그리고 작은 점을 골고루 찍었으며 나무에서는 화보풍의 남종화풍이 엿보인다. 채색은 적색, 황색, 갈색, 엷은 녹색 위주로 담채되었다.
이와 같이 <장양공정토시전부호도>는 전형적인 계축 형식을 지녔지만 결계(結契)의 기록물이 아니라 조상의 공훈을 기리기 위한 집안 차원의 기념화로 제작된 점, 전쟁 장면을 내용으로 한 점, 무인(武人) 집안에서 주관한 점 등에서 희귀성을 갖고 있고, 이모된 경위가 작품에 확실하게 기록되어 기록화로서의 가치가 인정되고 작품의 수준도 우수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