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8 11:07:20

황학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
무덕문
계상당 춘화각영취정
서암 덕유당 상휘당 광명전 어조당 용비루 장락전 봉상루
영렬천 자정전 집경당 회상전 융복전 융무당 집희당 경선당
위선당 태령전 자정문 영선당 사현합
태령문 향실숭정전 정시합 흥정당 청한정 지효합 상의원
내삼청 숭양문
숭정문 승휘전 흥원문
직조청 내각(규장각) 예문관 서방색 궁방 사옹원 사은원 양덕당
일영대 금루 호위청 선부관청 경현당
기상청
국립기상박물관
무겸청 연화문 광달문 화경문 경헌문 승화문
숭의문 서울특별시교육청 금상문 서울역사박물관 건명문 금천교 흥화문
남소 옥당(홍문관) 약방(내의원) 약원 도감군사대직청 빈청 전설사
오위도총부 정원(승정원) 덕응방 내구 마구
개양문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 ||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23호[1] 25호 26호
석파정 별당 황학정 석파정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5호
황학정
黃鶴亭
소재지 <colbgcolor=#fff,#191919>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9길 15-32 (사직동)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조경건축 / 누정
수량 / 면적 건물 1棟, 토지 154.1㎡
지정연도 1974년 1월 15일
시대 광무 2년 (1898년)
파일:external/tong.visitkorea.or.kr/1568123_image2_1.jpg
<colbgcolor=#bf1400> 황학정
1. 개요2. 특징

[clearfix]

1. 개요

黃鶴亭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동 인왕산 아래에 위치해 있는 대한제국 때 세워진 누각 및 정자. 조선왕조 시절부터 오랫동안 이어져온 유일한 활터이며 원래는 경희궁 내(內)에 있었지만 1922년 일제가 사직단(社稷壇)을 사직공원으로 변모시키면서 지금의 인왕산 아래로 자리를 옮겼다. 현재 사단법인 황학정이 관리운영하고 있다.

대한제국 때인 1898년 고종의 명령에 의거하여 경희궁 내(內) '회상전(會祥殿) 담장에 있던 궁술 연습장으로 사용되었던 사정(射亭)으로 한때 고종이 이곳에서 직접 활쏘기를 했던 곳이기도 하다.[2]

그러나 1922년 일제가 이곳에 학교를 짓는다는 이유로 경희궁을 철거하고 경희궁 건물이 일반에게 불하될 때 이를 받아 지금의 서울특별시 사직공원(사직단) 북쪽 인왕산 아래로 자리를 옮기게 되었는데 이곳은 그 전까지는 국궁 터로 있었던 '등과정(登科亭)' 의 옛 터가 있었던 곳이었다.

조선왕조 때 궁술 연습을 목적으로 한 국궁터 역할을 한 사정이 5개가 있었으나 1884년 갑신정변이 일어나고 1894년 갑오개혁 등으로 인하여 활쏘기 무예가 쇠퇴하게 되어 활터가 폐지되었고 일제강점기 때는 조선총독부가 활쏘기 금지령[3]을 내리기도 했지만 유일하게 황학정만이 그 명맥을 잇게 되었다.

1950년 6.25 전쟁 때 일부 파괴 및 훼손이 되어 활쏘기가 중단되기도 했지만 이후 보수공사 등을 통해 활쏘기가 재개되기도 했다.

1974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25호로 지정되었다.

2. 특징

  • 주변에는 인왕산 절경이 바로 있으며 정자 앞에 활쏘기터가 있었고 동남향을 기준으로 만든 한옥풍 정자로 되어있다. 정자 벽면에는 태극기고종의 영정사진이 내걸려 있으며 정자 앞에는 '黃鶴亭' 이라는 간판이 내걸려 있고 멀리 국궁 화살판이 설치되어 있다. 지금도 국궁인들이 이 곳에서 활쏘기를 하고 있으며 황학정 궁사(弓射)들의 활쏘기 모습을 직접 볼 수 있다.
  • 황학정 옆에는 '한천각(閑天閣)' 이라는 팔각정 정자가 있으며 정자 옆에 인왕산 등산로 입구가 있다.
    (정정) 2024년 현재 한천각 옆으로 인왕산 등산로 입구는 없다. 한천각까지 들어와도 막힌 길이라 다시 돌아나가야 함.

[1] 24호 석불좌상은 2018년 4월 20일에 문화재청에서 보물 제1977호로 승격시키면서 해지했다.[2] 때문에 황학정에서는 고종 황제를 초대 사두(射頭)로 친다. 사두는 활터의 우두머리로 활터를 대표하는 수장이다.[3] 다만 당시 기사를 보면 강점기 내내 금지한것은 아니고 전쟁이 격화되는 1941년도부터 공출로인해 물리적으로 불가능해진것으로 보인다.http://www.archerynews.net/news/view.asp?idx=286&msection=2&ssection=23&page=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