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서경 황성(皇城) 내에 있던 궁궐에 대한 내용은 장락궁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 | | ||||||||||||||||
| |||||||||||||||||
서암 | ┏ | ━ | ━ | ━ | ┓ | | | | | | | | |||||
영렬천 | ┃ | 자정전 | ┃ | | | | | | | ||||||||
태령전 | ┠ | ━ | 자정문 | ━ | ┨ | | | ||||||||||
태령문 | 숭정전 | ㅣ | | | | | |||||||||||
┃ | | ||||||||||||||||
┗ | ━ | 숭정문 | ━ | ┛ | | | |||||||||||
| | | | | | ||||||||||||
| | | | ||||||||||||||
기상청 국립기상박물관 | | | | | |||||||||||||
서울특별시교육청 | 서울역사박물관 | | 금천교 | 흥화문 | |||||||||||||
| | | | | | ||||||||||||
| | | | | |||||||||||||
| |||||||||||||||||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 ||
대한민국 사적 제271호 경희궁 | ||
<colbgcolor=#bf1400> 경희궁 장락전 慶熙宮 長樂殿 | ||
위치 | 서울특별시 종로구 경희궁길 (추정) | |
건축시기 | 창건시기 미상 / 철훼시기 미상 (1867년 이후) |
<colbgcolor=#bf1400> 〈서궐도안〉을 채색한 〈서궐도〉에서 보이는 장락전 영역 |
[clearfix]
1. 개요
경희궁의 대비전(大妃殿)이다. 대비전은 궁궐의 동북쪽 영역에 두는 관례에 따라 장락전 역시 경희궁의 동북쪽에 있었으며 지형 특성 상 언덕에 놓였다. 현재는 남아있지 않다. 위치는 지금의 한국관광연구원 바로 위에 있었다.'장락(長樂)'이란 '오랜(長) 즐거움(樂)'을 뜻한다. 중국의 한나라 고조가 어머니의 궁을, 오랫동안 즐거우시라는 뜻을 담아 '장락궁(長樂宮)'이라 했다. 이후 '장락'은 대비, 태후나 그 궁을 가리키는 단어가 되었다.
2. 역사
창건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다. 《궁궐지》에는 인조가 왕위에 오르기 전에 지냈던 곳으로 나와있다. 1693년(숙종 19년) 경희궁을 수리한 기록인 《경덕궁수리소의궤(慶德宮修理所儀軌)》[1]에는 나타나지 않는데, 인조가 지냈다는 그 전각이 나중에 장락전으로 이름이 바뀐 것인지, 아니면 그 이후에 새로 건립된 것인지는 모른다.# 그러나 《영조실록》의 이 기사에 1702년(숙종 28년)에 숙종의 세 번째 왕비 인원왕후가 이 곳에서 가례를 올렸다고 언급할 것을 볼 때 1693년에서 1702년 사이에 장락전이란 이름의 건물이 생긴 것은 분명하다.영조는 인원왕후의 흔적이 서린 이곳에서 인원왕후를 많이 그리워했던 듯 하다. 비록 7살 밖에 차이나지 않는 계모이지만, 자신이 왕위에 오르는 데에 큰 도움을 준 은인이기 때문이었다. 1762년(영조 38년)에는 꿈에서 이미 승하한 인원왕후[2]를 뵈어 이를 기록해 장락전에 부쳤다.# 또한 1767년(영조 43년) 9월에는 인원왕후의 생일을 맞아 인원왕후를 모셨던 상궁과 내시들에게 비단과 목면을 하사했으며 경종 시절의 내시들에게는 쌀과 베를 지급했다.#
이후 간택 장소로도 사용했다. 1819년(순조 19년)에는 효명세자의 세자빈을 여기서 간택했다. 이 때 간택된 세자빈이 바로 헌종의 어머니이자 고종의 양어머니인 신정왕후(조 대비)이다. 또한 1844년(헌종 10년)에 헌종의 계비 효정왕후도 이곳에서 간택했다.
경희궁 주요 영역이 1829년(순조 29년)에 대부분 불탔지만 곧 재건했는데 이 때 복구 내역을 기록한 《서궐영건도감의궤(西闕營建都監儀軌)》에 장락전이 보이지 않는 것을 보아 무사했던 듯 하다. 1834년(헌종 즉위년)에는 승하한 순조의 빈전이 되었고#, 1836년(헌종 2년) 종묘를 넓혀지을 때 역대 임금과 왕비의 신주를 이 곳과 광명전에 나누어 모셨다.#
고종 시기 경복궁을 중건할 때 경희궁의 건물들을 헐어다 자재로 쓰면서 사라졌다. 다만 1867년(고종 4년)에 대왕대비 신정왕후의 60세 탄신 기념 의식을 치렀다는 기록을 보아# 행사를 끝낸 직후에 철거한 듯 하다. 장락전을 고종 때 헐었다는 근거는 다음 기록에서 찾을 수 있다.
서궐(경희궁) 내에는 숭정전, 회상전, 정심합(正心閤), 사현합(思賢閤), 흥정당만 남기고 그 나머지는 모두 헐었다. 목재를 가져오니 다수가 썩었다. 이 가운데 좋은 것을 골라서 (경복궁의) 나인간(內人間)과 각사의 건조에 사용했다.
《경복궁 중건일기》
《경복궁 중건일기》
3. 구조
※ 사실 현재 이 건물의 형태에 관해서는 학자와 연구가들마다 의견이 조금씩 다르다. 〈서궐도안〉에서는 지붕이 이어져있는 것처럼 그려놓았고, 복도와 행랑이 이어져있는 것 처럼 표현했기 때문. 정확한 조사는 발굴 조사와 사진이 남아있어야지 가능한데, 현재 장락전이 있던 자리는 주택과 아파트가 들어섰기 때문에 답이 없는 상황이다. 그래서 후술할 건물 구조에 관한 문장은 간략한 설명을 위해 편의상 '~이다.'로 적혀있는 것일 뿐, 어디까지나 전적으로 남은 자료를 토대로 한 추측 임을 감안해야 한다.
}}} ||<colbgcolor=#bf1400> 〈서궐도안〉을 채색한 〈서궐도〉의 장락전 영역 |
<colbgcolor=#bf1400> CG로 재현한 장락전# |
- 윗 단락에서 말했지만, 장락전 영역 자체가 이미 높은 기단 위에 위치했는데 거기에다 장락전 본채는 따로 기단을 또 두어 굉장히 높게 지었다. 양 옆에 있는 2층 누각인 용비루와 봉상루와 높이를 맞추기 위해서인 듯 하다.
<colbgcolor=#bf1400> CG로 재현한 봉상루.# 용비루도 같은 형태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