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제3지대 정당 · 충청권 정당 · 보수 정당 | ||||
(창당) | → | 희망의한국신당 | → | (해산) |
[[자유민주연합|]] (개별 합류) | (개별 합류)[1] | |||
→ | [[민주국민당(2000년)|]] (개별 합류)[2] |
희망의한국신당 | |
<colcolor=#283C7B,#D52B3C> 영문 명칭 | <colbgcolor=#fff,#1F2023>New Korea Party of Hope |
등록일 | 2000년 2월 21일 (자유민주연합에서 분당) |
해산일 | 2001년 10월 20일 (해산 직후 한나라당에 일괄합류) |
약칭 | 한국신당 |
선행 조직 | [[자유민주연합|]] |
중앙당사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14가길 10 (공덕동, 동아빌딩 2층)[3] |
의석 수 | 1석 / 273석 (해산 직전) |
당색 | 남색 (#283C7B) |
붉은색 (#D52B3C) | |
당원 수 | 4,859명 (2001년 10월 20일 기준)[4] |
[clearfix]
1. 개요
▲ 희망의한국신당 창당 발기인 대회 (2000년 2월 15일) 당시 당 대표였던 김용환 의원과 허화평 전 의원의 모습 그러나 허화평 전 의원은 한국신당을 창당한지 며칠도 안 돼서 민주국민당으로 가버린다. |
희망의한국신당은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급하게 창당되었던 충청권 보수정당이었다. 공보물에서 한줄로 쓸 때의 표기는 띄어쓰기를 포함한 '희망의 한국신당'이었으며, 약칭은 한국신당.
2. 역사
대한민국의 보수정당 | |||||||
국민의 정부 (1998 ~ 2003) {{{#!wiki style="margin: 0 -10px 3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1px -9px;" | ▲ 국민의 정부 이전 | ||||||
한나라당 | 국민신당 | 자유민주연합 | |||||
새정치국민회의에 합당 | |||||||
한나라당 | |||||||
민주국민당 | 한나라당 | 희망의한국신당 | 자유민주연합 | ||||
한나라당 | |||||||
한나라당 | 한국미래연합 | ||||||
한나라당 | 하나로국민연합 | 자유민주연합 | 국민통합21 | ||||
▼ 국민의 정부 이후 | |||||||
동일시기 타정당: 진보정당 민주당계 | }}}}}}}}} |
대한민국의 제3지대 정당 | |||||||
제5공화국 ~ 국민의 정부 (1981 ~ 2003) {{{#!wiki style="margin: 0 -10px 3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1px -9px;" | 통일국민당 | 신정치개혁당 | 새한국당 | ||||
민주당에 합당 | |||||||
신민당 | |||||||
민주당-개혁신당 합당 | 신민당 | 자유민주연합 | |||||
통합민주당 | 신한국당에서 분당 | 자유민주연합 | |||||
무정파전국연합 | 무당파국민연합 | ||||||
민주당 | 정당등록취소 | 정당해산 | |||||
신한국당과 합당 | 신한국당에서 분당 | 자유민주연합 | |||||
국민신당 | |||||||
새정치국민회의에 합당 | |||||||
자유민주연합 | |||||||
한나라당에서 분당 | 자유민주연합 | ||||||
민주국민당 | 희망의한국신당 | 자유민주연합 | |||||
정당해산 | |||||||
한국미래연합 | |||||||
정당해산 | |||||||
국민통합21 | 하나로국민연합 | 자유민주연합 | |||||
▼ 국민의 정부 이후 |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자유민주연합 내부에서 내각제 개헌 문제를 두고 계파갈등이 일어났는데, 이 과정에서 김용환 前 사무총장이 자기 계보인 이상만, 김고성 의원을 데리고 나와서 창당했다. #창당대회 KBS 보도 또한 12.12 군사반란의 주축인 허화평 전 의원도 동참했으나 민주국민당으로 옮겨갔다.
당색으로는 탁한 남색을 사용하였다. 로고와 함께 당명을 표기할 때는 글꼴 HY울릉도B[5]를 사용했다. 북구·강서구 을에 출마한 윤무헌 후보 공보물에서 확인할 수 있다. # 김고성 후보 공보물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
이후 16대 총선에서 충청권을 중심으로 후보를 내었다. 그 결과 자민련과 같이 박살났다. 김용환 대표최고위원 혼자 당선되고 지역구 김고성(충남 공주·연기)[6], 이상만(충남 아산)[7]을 포함한 나머지 후보 31명이 모두 떨어진 것.
결국 김용환 1인을 빼면 원내인사도 없었던데다가 이후 사실상 한나라당과 행보를 같이 하기 시작했고, 결국 김용환 당 대표는 2001년 1월부터 한나라당과의 사실상 합당을 추진하면서[8] 10월 20일 당을 자진 해산했다.
3. 해산 후
이 당 해산 이후 김용환 대표는 한나라당 부총재, 상임고문을 지냈고, 2007년 제17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7인회의 일원으로서 박근혜를 도왔다. 이후 2012년 대선이 끝나고 "최태민의 그림자에서 벗어나라."라고 직언을 하는 바람에 박근혜 대통령에게 찍혔고, 결국 김용환의 충고를 무시한 박근혜 대통령은 탄핵되었다. 이후 김용환 상임고문은 2017년 4월 7일에 사망했다.16대 총선 당시 현직 의원들이나 여러 번 출마했으나 낙선했던 인사들을 보면 김고성(충남 연기)의원은 자민련 정진석 후보에게 낙선한 이후 정계를 떠났고, 이상만(충남 아산)의원은 17대 총선에 무소속으로 나섰다가 열린우리당 복기왕 후보에게 밀려서 낙선했다.
민주한국당, 평화민주당 출신의 조병환 영천시 당협위원장은 내리 5번째 낙선을 끝으로 정계를 떠났고 평화민주당과 군소정당을 떠돌던 윤승중 파주시 당협위원장은 17대 총선을 앞두고 자민련 공천을 받아 출마했지만 낙선했다. 연기군에서 내리 낙선하고 대전 중구로 옮겨간 김준회 후보도 16대 총선을 끝으로 은퇴했다.
나머지 인물들을 살펴보면 강남구 을 이춘근 당협위원장은 자민련에 복당해 17대 총선에 나왔지만 떨어졌고, 서초구 갑 이강욱 당협위원장은 한국기독당에 입당해 17대 총선 구로구 갑에 출마하나 낙선했다. 그리고 부산 북·강서을에 출마했던 윤무헌 당협위원장은 새천년민주당 소속으로 17대 총선에 나섰으나 낙선했다. 나머지 인사들은 대부분 한나라당에 합류했다.
이외에도 묻혀버린 한국신당 출신 인사 중에서 현역 정치인은 16대 총선에서 청원군에 출마했던 홍성각 후보인데, 이 사람은 무려 18년이 지나서 자유한국당 소속으로 2018년 지방선거에서 기초의원(청주시 바 선거구)에서 당선되었다.
4. 지도부
대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초대 김용환 |
}}}}}}}}}}}}}}} |
5. 역대 선거
5.1. 국회의원 선거
연도 | 선거명 | 지역구 (비율) | 비례대표 (득표율) | 총 의석 (비율) | 결과 |
2000년 | 16대 | 1 / 227 (0.4%) | 0 / 46 (0.4%) | 1 / 273 (0.4%) | 원내 5당 |
6. 둘러보기
대한민국의 보수정당 | |||||||
국민의 정부 (1998 ~ 2003) {{{#!wiki style="margin: 0 -10px 3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1px -9px;" | ▲ 국민의 정부 이전 | ||||||
한나라당 | 국민신당 | 자유민주연합 | |||||
새정치국민회의에 합당 | |||||||
한나라당 | |||||||
민주국민당 | 한나라당 | 희망의한국신당 | 자유민주연합 | ||||
한나라당 | |||||||
한나라당 | 한국미래연합 | ||||||
한나라당 | 하나로국민연합 | 자유민주연합 | 국민통합21 | ||||
▼ 국민의 정부 이후 | |||||||
동일시기 타정당: 진보정당 민주당계 | }}}}}}}}} |
대한민국의 제3지대 정당 | |||||||
제5공화국 ~ 국민의 정부 (1981 ~ 2003) {{{#!wiki style="margin: 0 -10px 3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1px -9px;" | 통일국민당 | 신정치개혁당 | 새한국당 | ||||
민주당에 합당 | |||||||
신민당 | |||||||
민주당-개혁신당 합당 | 신민당 | 자유민주연합 | |||||
통합민주당 | 신한국당에서 분당 | 자유민주연합 | |||||
무정파전국연합 | 무당파국민연합 | ||||||
민주당 | 정당등록취소 | 정당해산 | |||||
신한국당과 합당 | 신한국당에서 분당 | 자유민주연합 | |||||
국민신당 | |||||||
새정치국민회의에 합당 | |||||||
자유민주연합 | |||||||
한나라당에서 분당 | 자유민주연합 | ||||||
민주국민당 | 희망의한국신당 | 자유민주연합 | |||||
정당해산 | |||||||
한국미래연합 | |||||||
정당해산 | |||||||
국민통합21 | 하나로국민연합 | 자유민주연합 | |||||
▼ 국민의 정부 이후 |
''' 1996.5.30. ~ 2000.5.29.''' {{{#!wiki style="margin: 3px 0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3.3%; margin: 0 -10px" {{{#!folding [ 임기 개시 ] {{{#!wiki style="margin: -6px -1px" | 여당 | |||||||||
142석 | ||||||||||
야당 | ||||||||||
79석 | ||||||||||
48석 | 8석 | |||||||||
무소속 15석 | ||||||||||
재적 299석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3.3%; margin: 0 -10px" {{{#!folding [ 후반기 개시 ] {{{#!wiki style="margin: -6px -1px" | 연립여당 | ||||||||
87석 | 49석 | |||||||||
야당 | ||||||||||
152석 | 8석 | |||||||||
무소속 3석 | ||||||||||
재적 299석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3.3%; margin: 0 -10px" {{{#!folding [ 임기 종료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연립여당 | ||||||||
98석 | 52석 | |||||||||
야당 | ||||||||||
128석 | ||||||||||
8석 | 3석 | |||||||||
무소속 9석 | ||||||||||
재적 298석 | ||||||||||
임시의정원 ·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제헌 · 2 · 3 · 4 · 5 · 6 · 7 · 8 · 9 · 10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21 · 22 | }}}}}}}}}}}} |
''' 2000.5.30. ~ 2004.5.29.''' {{{#!wiki style="margin: 3px 0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3.3%; margin: 0 -10px" {{{#!folding [ 임기 개시 ] {{{#!wiki style="margin: -6px -1px" | 연립여당 | |||||||
119석 | 17석 | |||||||
야당 | ||||||||
133석 | ||||||||
2석 | 1석 | |||||||
무소속 1석 | ||||||||
재적 273석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3.3%; margin: 0 -10px" {{{#!folding [ 후반기 개시 ] {{{#!wiki style="margin: -6px -1px" | 여당 | ||||||
111석 | ||||||||
야당 | ||||||||
130석 | 14석 | |||||||
1석 | 1석 | |||||||
무소속 3석 | ||||||||
재적 260석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3.3%; margin: 0 -10px" {{{#!folding [ 임기 종료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여당 | ||||||
48석 | ||||||||
야당 | ||||||||
138석 | ||||||||
59석 | 10석 | 1석 | ||||||
무소속 15석 | ||||||||
재적 271석 | ||||||||
임시의정원 ·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제헌 · 2 · 3 · 4 · 5 · 6 · 7 · 8 · 9 · 10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21 · 22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