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10 15:35:47

코스피

KOSPI에서 넘어옴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코스피/역사
#!if 문서명2 != null
, [[코스피/시가총액 변화]]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if 문서명7 != null
, [[]]

📈 주식투자 관련 정보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fa500,#ffa500><colcolor=#000> 기본 용어 시가총액 · 주식 · 주주 · 주주총회 · 액면가 · 매수 · 매도 · 호가 · 시장가 · 시간외 · 상/하한가
주식 프로그램 HTS · MTS
주식 종류 보통주 · 우선주 · 자사주 · 황금주 · 소수점 주식
종목 특성 대형주 · 우량주 · 배당주 · 성장주 · 가치주 · 배당성장주 · 저가주 · 동전주 · 귀족주 · 황제주 · 테마주 · 주도주 · 죄악주 · 개잡주 · 품절주 · 공모주 · 경기관련주 · 경기방어주 · 사모 펀드 · 인프라투자회사 (InvITs) · 부동산투자신탁 (REITs) · 기업성장집합투자기구 (BDC) · 벤처 캐피털 (VC) · 기업인수목적회사 (SPAC) · 특수목적회사(유동화전문회사) · 장외시장
관련 이론 포트폴리오 이론 · 배당할인모형 · CAPM · APT · 효율적 시장 가설
관련 법령 상법 (개정안) ·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시장 제도 · 정책 기업공개(IPO) · 상장 · 상장예비심사 · 상장폐지 · 관리종목 · 배당 · 주식배당 · 스톡옵션 · 증자 · 감자 · 액면병합 · 액면분할 · 인적분할 · 물적분할 · 차등의결권 · 가격제한폭(상한가·하한가) · DART · 시장조성자 · 유동성공급자 · 사이드카 · 서킷브레이커 · 기업 밸류업
주식 세제 배당소득세 (금융소득종합과세 · 배당소득 분리과세) · 주식양도소득세 · 금융투자소득세 · 증권거래세
시장 상태 유동성장세 · 실적장세
거래 유형 공매도 · 단타 · 분산투자 · 장기투자 · 손절매 · 물타기 · 프로그램 매매 · 반대매매 · 시스템 트레이딩 · 알고리즘 트레이딩 · 소수점 투자 · 대체투자 · 조각투자 · 퀀트 투자
시장지수 한국 KRX300 · KOSPI (KOSPI200) · KOSDAQ (KOSDAQ150)
미국 Dow Jones · S&P 500 · NASDAQ · Russell 2000 · PHLX Semiconductor Sector
유럽 EURO STOXX 50 · FTSE 100 · DAX
아시아태평양 닛케이 225 · 항셍지수 · 홍콩H지수 · S&P/ASX 200
전 세계 MSCI Index
기본적 분석 재무제표 재무상태표 · 포괄손익계산서 · 자본변동표 · 현금흐름표 · 주석
지표 총자산수익률(ROA) · 자기자본이익률(ROE) · 주당순이익(EPS) · FFO · AFFO · 주가수익비율(PER) · 주가순자산비율(PBR) · EV/EBITDA(EV · EBITDA)
기술적 분석 기본 요소 봉차트 · 캔들차트 · 양봉 · 신고가
추세 지표 이동평균선 · DMI · MACD(MACD Oscillator) · Parabolic Sar · Pivot Line
모멘텀 지표 모멘텀 · 이격도 · P&F · 삼선전환도 · 투자심리선 · AB Ratio · ADX · Chakin's Volatility · Mass Index · Price Oscillator · Price ROC · 상대강도(RSI) · 스토캐스틱 · SONAR · TRIX
변동성 지표 변동성 · ATR · 볼린저 밴드 · Envelope · Keltner Channels
시장강도 지표 거래량 · OBV · 매물대 · CCl · Chakin's Oscillator · 거래량 이동평균선(EOM) · MFI · PVT · Volume Oscillator · Volume Ratio
기타 일목균형표 · 최대 손실률(MDD)
관련 금융상품 펀드(인덱스 · 인버스 · 재간접) · 랩 어카운트 · ETF · ETN · ELS · 전환사채 · 신주인수권부사채 · 자산유동화증권(모기지) · 자산유동화기업어음 · 선물 · 옵션 · 스왑
관련 절세상품 ISA · IRP · 연금저축
관련 범죄 내부자거래 · 주가 조작 · 분식회계 · 투자 사기
주요산업 및 신조어 차화정 · 빅테크 · FAANG · 핀테크 · 테크핀 · CHIP4 · BBIG(BBIGCS) · 소부장 · 매그니피센트 7 · 그래놀라즈 · 사무라이 7 · AI5
관련 기관 금융위원회 (증권선물위원회) · 금융감독원 · 한국거래소 · 한국금융투자협회
기타 종목토론방 · 코리아 디스카운트 · 쿼드러플위칭데이 · 개미 · 리딩방 (유사투자자문)
}}}}}}}}} ||

{{{#!wiki style="margin: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파일:한국거래소 심볼.svg한국거래소
증권시장
}}}||
<colbgcolor=#00b4d5><colcolor=#FFF> 한국종합주가지수 | KOSPI
韓國綜合株價指數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
<nopad> 파일:코스피_차트.png
거래소 한국거래소 KRX 정보데이터시스템
기준일 1980년 1월 4일
기준일 지수값 100.00
역대 최고치 장중 4,226.75 (2025년 11월 4일)
종가 4,221.87 (2025년 11월 3일)
구성 종목 수 843 (2025년 10월)
시가 총액 3,477조 원 (2025년 11월 3일)
현재 지수 4,073.24 (2025년 11월 10일 종가)
1. 개요2. 특징3. 산출 방식4. 역사5. 여담
5.1. 정권별 코스피 상승률5.2. 코스피 개장 후 아직도 남아있는 회사5.3. 이재명 정부 코스피 급등 원인
5.3.1. 밸류업 2.0
5.4. 보합 마감 기록
6. 역대 본부장 및 위원7. 시가총액 상위 종목8. 연관 주가지수9. 각종 기록
9.1. 돌파 기록 (종가 기준)
10. 관련 문서



<colbgcolor=#00b4d5> 코스피
자세한 내용은 코스피 문서를 참고해주세요.
직전 매수/매도 사이드카 발동일 2025년 11월 5일
현재 지수 4,026.45 (2025년 11월 6일)
역대 최고 장중 4,221.92
(2025년 11월 3일)
종가 4,221.87
(2025년 11월 3일)
{{{#!folding [ 시가총액 순위 ]<rowcolor=#fff> 순위 종목명 업종 시가총액(원)
1 삼성전자 전기전자 654.12조
2 SK하이닉스 전기전자 440.44조
3 LG에너지솔루션 전기전자 111.03조
4 삼성바이오로직스 의약품 86.90조
5 삼성전자우 전기전자[우선주] 70.33조
6 현대자동차 운수장비 59.27조
7 두산에너빌리티 기계 57.13조
8 HD현대중공업 조선 55.74조
9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방위산업 53.57조
10 기아 운수장비 46.78조
11 KB금융 금융업 44.78조
12 NAVER 서비스업 43.68조
13 한화오션 조선 43.05조
14 셀트리온 의약품 40.32조
15 삼성물산 패션, 건설, 유통업 38.66조
16 신한지주 금융업 35.73조
17 SK스퀘어 벤처투자 35.45조
18 HD한국조선해양 조선 34.74조
19 HD현대일렉트릭 전기전자 34.67조
20 삼성생명 보험 30.32조
}}}
[ 돌파 기록 (종가 기준)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e4a014><tablebgcolor=transparent><rowbgcolor=#00b4d5><rowcolor=#fff> 정부 || 돌파 || 일자 || 지수 ||
최규하 정부 100 1980년 1월 4일 100.00
전두환 정부 200 1986년 4월 1일 200.15
300 1987년 1월 21일 301.93
400 1987년 3월 31일 405.13
500 1987년 8월 19일 500.73
600 1988년 1월 26일 602.32
노태우 정부 700 1988년 5월 24일 705.51
800 1988년 11월 24일 805.86
900 1988년 12월 12일 911.35
1000 1989년 3월 31일 1003.31
문민정부 1100 1994년 10월 14일 1103.37
참여정부 1200 2005년 9월 26일 1206.41
1300 2005년 12월 1일 1305.98
1400 2006년 1월 4일 1402.11
1500 2007년 4월 9일 1501.06
1600 2007년 5월 11일 1603.56
1700 2007년 5월 31일 1700.91
1800 2007년 6월 18일 1806.88
1900 2007년 7월 12일 1909.75
2000 2007년 7월 25일 2004.22
이명박 정부 2100 2011년 1월 14일 2108.17
2200 2011년 4월 25일 2216.00
문재인 정부 2300 2017년 5월 22일 2304.03
2400 2017년 7월 13일 2409.49
2500 2017년 10월 30일 2501.93
2600 2020년 11월 23일 2602.59
2700 2020년 12월 4일 2731.45
2800 2020년 12월 24일 2806.86
2900 2021년 1월 4일 2944.45
3000 2021년 1월 7일 3031.68
3100 2021년 1월 8일 3152.18
3200 2021년 1월 25일 3208.99
3300 2021년 6월 25일 3302.84
이재명 정부 3400 2025년 9월 15일 3407.31
3500 2025년 10월 2일 3549.21
3600 2025년 10월 10일 3610.60
3700 2025년 10월 16일 3748.37
3800 2025년 10월 20일 3814.69
3900 2025년 10월 24일 3941.59
4000 2025년 10월 27일 4042.83
4100 2025년 10월 31일 4107.50
4200 2025년 11월 3일 4221.87
||
[우선주]

1. 개요

대한민국의 종합주가지수 및 주식시장.

정식 명칭은 유가증권시장으로 본래 한국증권거래소 시절부터 전해 내려 온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의 '종합주가지수'를 가리키는 말이었으나, 오늘날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 전체를 일컫는 말로 그 의미가 확대되었다. 다만 한국어로 표기되는 정식 명칭은 그대로 '유가증권시장'이며 한국거래소에서 공식적으로 명칭을 변경한 적은 없다. 그럼에도 오늘날 유가증권시장은 '코스피 시장(KOSPI Market)'으로 불린다. 이 문서도 지수 뿐만 아니라 유가증권시장도 같이 설명한다. 업무는 유가증권시장본부가 맡는다.

유가증권시장에 기업공개를 통해 상장하려는 기업상장예비심사 청구수수료 500만원을 납부해야 한다.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한 회사들은 한국상장회사협의회의 당연직 회원이 된다. 한국상장회사협의회

2. 특징

명실상부한 대한민국의 제1증권시장이다. 코스피의 장은 오전 9시부터 시작해서 오후 3시 30분에 장을 마감하며, 거의 모든 대기업들은 이 코스피시장에 상장되어있다. 2023년 기준 대표종목들로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에너지솔루션, 삼성바이오로직스, POSCO홀딩스, 현대차, 네이버 등이 있다.

KOSPI의 I가 지수라는 뜻이므로 '코스피지수'는 겹말에 해당한다. 형식적으로 제대로 따져서 부르려면 KOSP 지수라고 불러야 하지만, 국내외를 막론하고 코스피지수, KOSPI Index 등으로 불리는 등 지켜지지는 않는다.

코스피시장의 가격제한폭은 ±30%이다.[예외] 코스피시장의 선물시장으로는 코스피200 선물이 있으며 이 코스피200 선물 시장은 거래량이나 거래대금으로 볼 때 세계 3~4위의 규모를 자랑한다. 사이드카 제도와 서킷브레이커 제도가 시행되고 있다.

대한민국의 공식적인 대표 주가지수는 KRX300인데 정작 외국인들마저 코스피가 대한민국의 대표지수인 줄 알고 있다.[2] 그 정도로 코스피의 네임밸류는 상당한 수준이다. 미국, 영국, 중국, 싱가포르, 홍콩. 일본 등 외국 경제방송 하단 자막에는 코스피와 코스닥지수가 나오기에, 코스피의 실질적인 대표 주가지수로서 위상은 유효하다.

타국의 주식관련 사이트나 주식전문방송사 같은 곳에서 전세계 증시 현황을 보여줄 때 코스피는 항상 등장하는 편이다. 하지만 몇몇 국가만 축약해서 보여줄 때는 코스피를 포함시키지 않는다. 전 세계에서는 한국의 코스피시장이 꽤 큰 편이지만 동아시아에서는 상하이종합지수와 닛케이225지수에 밀려 대표성이 낮기 때문이다.

만성적인 저평가(이른바 코리아 디스카운트)에 시달린다. 과거에는 분단국가라는 지정학적 특성이 주요 저평가 요인으로 알려졌으나, 현재는 지나친 물적분할, 배당에 인색한 문화, 불투명한 지배구조, 경기민감주 위주의 종목 구성, 지식재산권 개발보다 하청 및 위탁생산에 의존하는 산업 구조, 장기적인 실적에 대한 불확실성, 상속을 위해 오히려 주가 하락을 조용히 환영하는 경영진 존재 등이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여기에 코스닥 시장이 코스피 시장보다 더 홀대받는 상황도 문제점으로 손꼽힌다.[3] 결국에 코스닥 디스카운트를 해소해야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3. 산출 방식

[ 펼치기 · 접기 ]
현재의 코스피는 시가총액식 주가지수로, 1980년 100을 기준으로 1983년에 지정되었다. 그 이전에 다우존스식 수정주가평균방식으로 주가지수를 계산했는데 1964년에 처음으로 주가지수 산출을 시작하였고 경제규모가 커져서 기존 주가지수가 새로 상장된 기업들의 주가수준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얘기가 나오면서 1972년에 한국종합지수라고 해서 지수를 새로 지정하여 1982년도까지 사용했다. 그러나 그 사이에도 1975년과 1981년에 걸쳐 두차례에 걸쳐 산출시점을 변경했기 때문에 사전지식이 없으면 이 당시의 주가지수가 어느 정도 수준이었는지 제대로 가늠하기가 힘들며 당대 주식시장이나 경제상황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이를 숙지해야된다. 코스피가 그리 높지 않아 보이는 것도 산출시점이 비교적 늦어서인 면도 없지는 않다. 만약 맨처음 시기부터 시가총액식으로 산출되었다면 코스피가 2만-3만 포인트대를 넘나든다는 계산도 나올 지경이다. 참고로 1980년 기준으로 기준지수는 100. 즉, 지금 지수가 1,600포인트이면 1980년 시가총액대비 현재의 시가총액이 16배라는 의미. 하지만 다른 기업들이 계속 들어오고 나가고 하기 때문에 2010년대 후반 시가총액은 1980년 대비 약 300배 정도로 불어난 상태다.


구체적인 계산 방법은 다음과 같다.

코스피 지수 = (현재 시점의 전체 시가총액 / 기준 시점의 전체 시가총액) × 100

여기서 기준시점은 1980년 1월 4일, 비교시점은 현재를 의미한다.

4.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코스피/역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코스피/역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코스피/역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여담

5.1. 정권별 코스피 상승률

보수정권 시기보다 진보정권 시기에 코스피 상승률이 더 큰 모습을 보이고 있다.[4] 다만 코스피 지수와 같은 경제 지표는 대외 변수의 영향이 크기 때문에 진보정권이 증시부양에 효과적이라고 바로 단정짓기는 어려울 수 있다. 한편 윤석열 정부는 상법개정을 비롯한 증시부양 요청사항에 거부권을 날리는 등 지속적으로 묵살해왔다. 대외변수가 쉽지 않았던 것은 맞지만, 친대주주 정책으로 인한 주가 외면에 윤석열 정부의 책임이 분명히 존재한다는 것.
<rowcolor=#fff> 대수 정부 취임 직전일 종가 임기 만료일 종가 변동률 성향
21 이재명 정부 2770.84 - - 진보
20 윤석열 정부 2610.81 2465.42 -5.90% 보수
19 문재인 정부 2292.76 2610.81 +13.87% 진보
18 박근혜 정부 2018.89 2097.35 +3.89% 보수
17 이명박 정부 1686.45 2018.89 +19.71% 보수
16 노무현 정부 616.29 1686.45 +173.65% 진보
15 김대중 정부 540.89 616.29 +13.94%
14 김영삼 정부 672.81 540.89 -19.61%
13 노태우 정부 656.79 672.81 +2.44%

5.2. 코스피 개장 후 아직도 남아있는 회사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회사명 종목코드 비고
경방 000050
유수홀딩스000700[5]
한진중공업홀딩스003480[6]}}}

5.3. 이재명 정부 코스피 급등 원인

5.3.1. 밸류업 2.0

코스피 4,000 역대 최고치 달성...★ 이게 무슨 상황인지 쉽게 정리해 봄[7]
  • 실제로 이재명 정부 들어 코스피 3000선이 회복되고 4000선을 돌파했다. 회복의 요인들로는 아래와 같은 것이 제시되고는 한다.
    • 굴뚝산업의 기여도: 방산, 조선, 원전 등 소외산업의 약진. 다만, 대외변수가 원인이긴 하다.[8]
    • 밸류업 1.0: 윤석열 시절 밸류업이 모양이 빠졌던건 사실이지만, 금융주(은행, 증권)은 이 때부터 이미 가치 재평가 준비가 되어있긴 했다.
    • 밸류업 2.0: 이재명 정부의 상법개정안 통과로 방점을 찍었다. 이건 대외요인보다는 법 개정/개혁이란 요인. 감사선임 3%룰 등은 친기업적인 윤석열 때는 사실상 통과하기 어려웠을 것을 미루어볼 때, 이재명 정부의 공적이긴 하다. 그러나 대주주 기준 변경 등 세재개편안으로 인한 역풍을 고려할 때 현재 시점에서 평가하기엔 이른 감이 있으며 장기적으로 지켜봐야 할 부분이다.하지만 이 사안은 9월 11일 이 대통령이 '주식 양도세 대주주 기준 굳이 10억으로 내릴 필요 있느냐'라고 언급하며 사실상 일단락되었다. 그리고 11월 3일에 코스피 역사상 최고점인 4,200포인트를 돌파했다.

5.4. 보합 마감 기록

  • 2018년 10월 16일, 코스피 지수가 전날대비 단 0.01포인트도 변동하지 않은채 마감한 적이 있었다.참고 코스피가 전산화된 1987년 이후 8번째 기록이며, 2000년대 이후로는 3번째 있는 일이라고 한다.

6. 역대 본부장 및 위원

===# 역대 본부장 #===
  • 옥치장 (2005~2008)
  • 이광수 (2008~2010)
  • 이창호 (2010~2012)
  • 김진규 (2012~2014)
  • 김원대 (2014~2016)
  • 이은태 (2016~2019)
  • 임재준 (2019~2022)
  • 양태영 (2022~2025)
  • 정규일 (2025~)

===# 유가증권시장위원회 위원(등기임원) #===
  • 정규일 / 위원장(2025~)
  • 이병윤 / 위원(2022~)
  • 김정훈 / 위원(2023~)
  • 민병덕 / 위원(2024~)
  • 김성환 / 위원(2024~)

7. 시가총액 상위 종목

시가총액 상위 20위 종목
<rowcolor=#fff> 순위 종목명 업종 시가총액(원)
1 삼성전자 전기전자 654.12조
2 SK하이닉스 전기전자 440.44조
3 LG에너지솔루션 전기전자 111.03조
4 삼성바이오로직스 의약품 86.90조
5 삼성전자우 전기전자[우선주] 70.33조
6 현대자동차 운수장비 59.27조
7 두산에너빌리티 기계 57.13조
8 HD현대중공업 조선 55.74조
9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방위산업 53.57조
10 기아 운수장비 46.78조
11 KB금융 금융업 44.78조
12 NAVER 서비스업 43.68조
13 한화오션 조선 43.05조
14 셀트리온 의약품 40.32조
15 삼성물산 패션, 건설, 유통업 38.66조
16 신한지주 금융업 35.73조
17 SK스퀘어 벤처투자 35.45조
18 HD한국조선해양 조선 34.74조
19 HD현대일렉트릭 전기전자 34.67조
20 삼성생명 보험 30.32조

7.1. 역대 시가총액 상위 10위 목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코스피/시가총액 변화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코스피/시가총액 변화#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코스피/시가총액 변화#|]]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연관 주가지수

9. 각종 기록

  • 역대 최고
<rowcolor=#fff> 기준 일자 지수
장중 2025년 11월 4일 4226.75
종가 2025년 11월 3일 4221.87
  • 최다 연속 상승일수: 1984년과 2019년의 13거래일.
    <rowcolor=#fff> 연속 거래일 시작일 시작일 전 종가 마감일 마감일 종가

    13일 1984-01-19 117.58 1984-02-02 129.24

    11일 1988-12-02 825.0 1988-12-14 922.56

    11일 1999-05-25 695.6 1999-06-08 853.6

    12일 2006-03-23 1309.83 2006-04-07 1402.36

    11일 2009-07-14 1378.12 2009-07-28 1526.03

    13일 2019-03-29 2128.1 2019-04-16 2248.63

    13일 2019-09-04 1965.69 2019-09-24 2101.04

    11일 2025-09-02 3142.93 2025-09-16 3449.62
  • 최다 연속 하락일수: 1983년의 11거래일.
    <rowcolor=#fff> 연속 거래일 시작일 시작일 전 종가 마감일 마감일 종가

    11일 1983-11-17 121.22 1983-11-29 117.61

    9일 1988-08-19 710.63 1988-08-29 662.69

    10일 1989-06-21 907.14 1989-07-01 846.3

    10일 1989-09-16 964.28 1989-09-27 924.75

    9일 1989-12-01 906.33 1989-12-11 844.75

    9일 1993-02-24 676.62 1993-03-06 605.93

    9일 1997-11-22 506.07 1997-12-02 376.87

    9일 2000-09-04 692.19 2000-09-19 571.17
  • 최다 종목 상한가: 1998년 1월 30일의 792종목
  • 월간 상승률 최고치: 1998년 1월의 50.77%
  • 월간 하락률 최고치: 1997년 10월의 27.25%
  • 연간 상승률 최고치: 1987년의 92.62%
  • 연간 하락률 최고치: 2000년의 50.92%
  • 역대 5% 이상 하락일
<rowcolor=#fff> 일자 지수 등락 등락률
1981.01.05. 92.95<colcolor=#00f,#55f> -13.92<colcolor=#00f,#55f> -13.02%[10]
1998.06.12. 302.09 -26.61 -8.10%
2000.04.17. 707.72 -93.17 -11.63%
2000.06.15.[11] 770.95 -48.32 -5.89%
2000.07.24. 737.89 -45.17 -5.76%
2001.09.12. 475.60 -64.97 -12.02%
2007.08.16. 1691.98 -125.91 -6.93%
2008.09.16. 1387.75 -90.17 -6.10%
2008.10.16. 1213.78 -126.50 -9.44%
2008.10.24. 938.75 -110.96 -10.57%
2011.08.19. 1744.88 -115.70 -6.22%
2011.09.23. 1697.44 -103.11 -5.73%
2020.03.19. 1457.64 -133.56 -8.39%
2020.03.23. 1482.46 -83.69 -5.34%
2024.08.05 2441.55 -234.64[12] -8.77%
2025.04.07 2328.20 -137.22 -5.57%
  • 역대 5% 이상 상승일
<rowcolor=#fff> 일자 지수 등락 등락률
1998.06.17. 303.81<colcolor=#ff0000> +23.81<colcolor=#ff0000> +8.50%
1998.12.10. 567.61 +41.09 +7.80%
1998.12.21. 565.27 +40.42 +7.70%
2000.03.02. 894.66 +66.28 +8.00%
2000.08.09. 710.23 +44.15 +6.62%
2007.08.20. 1731.27 +93.20 +5.68%
2008.10.14. 1367.69 +79.16 +6.14%
2008.10.30. 1084.72 +115.75 +11.95%
2020.03.20. 1566.15 +108.51 +7.44%
2020.03.24. 1609.97 +127.51 +8.60%
2020.03.25. 1704.76 +94.79 +5.89%
2020.06.16. 2138.05 +107.23 +5.28%
2023.11.06. 2502.37 +134.03 +5.66%
2025.04.10. 2445.06 +151.36 +6.60%

9.1. 돌파 기록 (종가 기준)

<rowcolor=#fff> 정부 돌파 일자 지수
최규하 정부 100 1980년 1월 4일 100.00
전두환 정부 200 1986년 4월 1일 200.15
300 1987년 1월 21일 301.93
400 1987년 3월 31일 405.13
500 1987년 8월 19일 500.73
600 1988년 1월 26일 602.32
노태우 정부 700 1988년 5월 24일 705.51
800 1988년 11월 24일 805.86
900 1988년 12월 12일 911.35
1000 1989년 3월 31일 1003.31
문민정부 1100 1994년 10월 14일 1103.37
참여정부 1200 2005년 9월 26일 1206.41
1300 2005년 12월 1일 1305.98
1400 2006년 1월 4일 1402.11
1500 2007년 4월 9일 1501.06
1600 2007년 5월 11일 1603.56
1700 2007년 5월 31일 1700.91
1800 2007년 6월 18일 1806.88
1900 2007년 7월 12일 1909.75
2000 2007년 7월 25일 2004.22
이명박 정부 2100 2011년 1월 14일 2108.17
2200 2011년 4월 25일 2216.00
문재인 정부 2300 2017년 5월 22일 2304.03
2400 2017년 7월 13일 2409.49
2500 2017년 10월 30일 2501.93
2600 2020년 11월 23일 2602.59
2700 2020년 12월 4일 2731.45
2800 2020년 12월 24일 2806.86
2900 2021년 1월 4일 2944.45
3000 2021년 1월 7일 3031.68
3100 2021년 1월 8일 3152.18
3200 2021년 1월 25일 3208.99
3300 2021년 6월 25일 3302.84
이재명 정부 3400 2025년 9월 15일 3407.31
3500 2025년 10월 2일 3549.21
3600 2025년 10월 10일 3610.60
3700 2025년 10월 16일 3748.37
3800 2025년 10월 20일 3814.69
3900 2025년 10월 24일 3941.59
4000 2025년 10월 27일 4042.83
4100 2025년 10월 31일 4107.50
4200 2025년 11월 3일 4221.87

10. 관련 문서


[예외] 단, 종목이 상장 당일이거나 정리매매로 지정되었을 경우에는 가격제한폭이 사실상 없다.[2] 금융당국에서도 사실상 코스피를 대표지수로 놓는다.[3] 코스닥 종목들이 코스피 종목들보다 체질이 대체적으로 떨어져서 주가가 매우 부진한데 PER은 아직도 더 높아 주가가 더 오를 가능성이 매우 낮다.[4] 이는 미국도 마찬가지이다. 미국도 1960년대 이후 민주당 집권 시기가 공화당 이는 집권 시기보다 다우존스30 주가지수 상승률이 3배 가까이 높았다.(민주당 정권: 평균 83.6%, 공화당 정권: 평균 30.56%)[5]한진해운의 존속법인. 과거 한진해운홀딩스였다.[6] 원래 한진중공업을 자회사로 두고 있었으나 매각하였다.[7] 스브스뉴스의 영상.[8] 각각 우크라이나 전쟁/중국위협, 트럼프의 한국조선 대환영, 에너지 부족으로 인한 원전수요복구 등.[우선주] [10] 당시 지수 기준으로는 139.6p → 122.4p다.[11] 이날은 남북정상회담 6.15 남북공동선언이 발표되는 날이였다.[12] 역대 하락 폭 1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