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15 12:19:20

미사강변도시




파일:하남시 상징로고_어두운 배경.svg

## 내부 표 시작 ##

신도시
## 내부 칸 시작 ##
5㎢ 이상
위례신도시 파일:1px 투명.svg·파일:1px 투명.svg
5㎢ 이상
교산신도시
공공주택지구
## 내부 칸 시작 ##
5㎢ 이상
미사강변도시 파일:1px 투명.svg·파일:1px 투명.svg
1㎢ 이상
감일지구
택지개발지구
## 내부 칸 시작 ##
신장지구 파일:1px 투명.svg·파일:1px 투명.svg 신장2지구 파일:1px 투명.svg·파일:1px 투명.svg
1㎢ 이상
풍산지구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
틀:경기도의 기초자치단체, version=379, uuid=4a21530f-3e11-414e-960c-d4d21adb30e7)]
미사강변도시
Misa Riverside City | 渼沙江邊都市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5F5F5,#F5F5F5><tablewidth=100%><nopad> 파일:미사강변도시 조감도.jpg ||
경기도 하남시 미사1동, 미사2동, 미사3동, 덕풍3동 일대[*][2]
### line 2 ###
면적
5.67㎢[3]
### line 2 ###
인구
약 12만 명[4] / 37,535세대
### line 2 ###
조성
### line 2 ###
총사업비
7조 4687억 원
### line 2 ###
사업 기간
2009년 6월 3일 ~ 진행중[5]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5F5F5,#F5F5F5><tablewidth=100%><nopad> ||

1. 개요2. 생활 환경3. 역사4. 주거5. 교통6. 교육
6.1. 학교
6.1.1. 유치원6.1.2. 초등학교6.1.3. 중학교6.1.4. 고등학교
7. 공원8. 상업9. 공공 시설
9.1. 소방·경찰9.2. 보건9.3. 도서관9.4. 우체국9.5. 어린이·청소년9.6. 노인9.7. 장애인9.8. 기타
10. 여담11. 둘러보기

1. 개요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5F5F5,#F5F5F5><tablewidth=100%><nopad> ||
드론으로 촬영한 미사강변도시 상공 영상
창을 열면 한강, 문을 열면 서울
## 명조체, 글자 크기는 팜플렛에서 사용된 슬로건 디자인과 동일하게 적용하였습니다

분양 당시 미사강변도시의 슬로건

미사강변도시경기도 하남시의 지구단위계획구역인 하남미사 공공주택지구을 이르는 지명이다.

하남미사 공공주택지구는 2009년 보금자리주택 시범지구로 선정되어 2014~2020년을 전후하여 개발되었으며, '창을 열면 한강, 문을 열면 서울'이라는 슬로건은 미사강변도시가 서쪽으로는 서울(강동구), 북쪽으로는 한강과 맞닿아 있어 이를 부각한 것이다.

2. 생활 환경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5F5F5,#F5F5F5><tablewidth=100%><nopad> 파일:미사강변도시 토지이용계획도 (19차).svg ||
미사강변도시 토지이용계획도

도시 전체가 넓은 평지[6]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시 구역이 반듯한 직사각형으로 설정되어 있어 격자형 도시이자 계획도시 형태를 갖추고 있다. 도시 중앙에 호수공원이 위치하고 있고, 망월천이 이를 관통한다.

3. 역사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5F5F5,#F5F5F5><nopad> 파일:미사강변도시 개발전후 위성사진.png ||
개발 전후 위성사진

미사강변도시가 위치한 옛 풍산동[7]서울 강동구와 맞닿은 지역으로 개발 압력은 높았음에도 그린벨트 지역으로 묶여있어 논과 비닐하우스 등의 농지와 공장, 작은 주택들이 위치한 마을로 남아있었으나 후술된 개발 사업으로 동네가 완전히 뒤바뀌게 되었다.
  • 2009년 5월 12일[8] 국토해양부(현 국토교통부)에서 수도권에 보금자리주택 시범지구 4곳을 선정하여 발표하였다. #
    • 선정된 4곳은 서울 강남지구·서초지구, 고양 원흥지구하남 미사지구(미사강변도시)이다.
    • 위치는 녹지로서의 기능이 훼손되어 보존가치가 낮은 개발제한구역 중 서울 도심에서 12~18km 이내에 위치하고, 대중교통 접근성이 양호하여 교통유발이 적고 개발비용이 과도하지 않은 지역을 선정하였다.
    • 정부의 보금자리주택 시범지구 추진계획 발표 당시 그동안 희생당해온 그린벨트지역 서민들의 토지를 정부가 헐값에 강제 수용하려고 한다며 토지주들이 전면 철회를 요구하며 반발하기도 하였다. #
  • 2009년 6월 3일 하남미사지구를 보금자리주택지구로 지정하여 고시하였다. #
    • 2009년 9월 28일 지구계획이 승인되었다.
    • 2009년 12월 30일 주택건설사업계획이 승인되었다.
  • 2011년 11월 23일 지구 조성공사를 착공하였다.[9]
    • 공사 중 신석기·청동기·철기시대 생활유구와 조선~근대 분묘유구 등이 발굴되기도 하였는데, 당시 하남고등학교 인근에 있던 민둥산이 백제시대 전방후원분(일본식 무덤 양식)으로 추정된다는 주장이 있었으나 평범한 민둥산인것으로 드러났다.[10] # # # #
    • 지역 내에 345kV 송전탑이 지나가고 있었는데, 개발 과정에서 물리적 문제로 지중화가 불가능한 북측 지역의 송전탑 두 개를 제외하고 나머지 구간은 지중화되었다.
  • 2014년 6월부터 미사강변 파밀리에를 시작으로 주민 입주가 진행되었다.
    • 이때는 지하철이 개통하기 이전이고, 중심상업지구는 한창 공사중이던 상황이라 초창기 입주민들은 몇 년간 이후에 비해 불편함을 겪었다.
  • 2020년 8월 8일 수도권 전철 5호선 미사역이 개통되었다.[11]
    • 비슷한 시기에 중심상업지구의 상가들과 오피스텔까지 모두 준공되어 주민 입주가 대부분 완료됨과 동시에 전반적인 도시 조성이 완료되었다.[12] 이로써 하남시는 미사강변도시 개발로 인구가 70% 가량 증가하게 되었다.

현재는 3기 신도시로 지정된 왕숙신도시 광역교통개선대책으로 서울 지하철 9호선을 연장하는 강동하남남양주선이 지역을 경유하는 것으로 확정됨에 따라 944정거장 건설이 예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 사업 정보 및 연혁 #===
하남미사 공공주택지구 조성사업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5F5F5,#F5F5F5><tablewidth=100%><nopad> ||

사업지구 정보
위치
경기도 하남시 선동, 덕풍동, 초이동, 광암동 일원
### line 2 ###
사업비
총 : 74,687 억원
### line 2 ###
면적
5,679,364.9 ㎡
### line 2 ###
사업기간
2009년 06월 03일 ~ 2022년 06년 30일
### line 2 ###
계획인구
92,501 명
### line 2 ###
건설호수
37,535 호
### line 3 ###
시행자

고시(공고) 정보
근거법
### line 2 ###
사업단계
부분준공, 준공
### line 2 ###
고시(공고)일자
2022년 10월 05일
### line 2 ###
고시(공고)번호
국토교통부 공고 제2022-1242호
### line 3 ###
담당기관 연락처
한국토지주택공사 하남사업본부 (031-790-9349)

지구 지정일
2009년 06월 03일
### line 2 ###
개발계획 승인일
2009년 09월 28일
### line 2 ###
실시계획 승인일
2009년 09월 28일
### line 3 ###
준공(예정)일
2022년 06월 30일

위치도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5F5F5,#F5F5F5><tablewidth=100%><nopad> 파일:미사강변도시 위치도.jpg ||

광역교통개선대책 계획도[13]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5F5F5,#F5F5F5><tablewidth=100%><nopad> 파일:미사강변도시 광역교통 계획도.jpg ||

토지이용계획도(19차)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5F5F5,#F5F5F5><tablewidth=100%><nopad> 파일:미사강변도시 토지이용계획도 (19차).svg ||

보금자리주택 시범지구 추진 계획 #

지구단위계획 시행지침 #

연혁
* 2009년 05월 11일 : 미사지구 포함 4곳을 보금자리주택 시범지구로 선정하여 추진계획 발표#
  • 2009년 06월 03일 : 하남미사 보금자리주택지구 지정 고시(국토해양부 고시 제2009-279호#)
  • 2009년 09월 28일 : 지구계획 승인
  • 2009년 12월 30일 : 주택건설사업계획 승인
  • 2011년 06월 13일 : 기업이전대책 수립(국토교통부, 경기도, 하남시, 한국토지주택공사)
  • 2011년 11월 23일 : 단지 조성공사 착공
  • 2014년 06월 30일 : 최초 주민입주(미사강변 파밀리에)
  • 2014년 09월 30일 : 2단계 지구지정[14] 및 지구계획 승인
  • 2020년 08월 08일 : 수도권 전철 5호선 미사역 개통
  • 2022년 06월 30일 : 지구지정 변경(6차) 및 지구계획 변경(20차) 승인(국토교통부 고시 제2022-373호#)
  • 2022년 10월 05일 : 1-6단계 사업준공(국토교통부 공고 제2022-1242호#)

4. 주거



## 레벨 2 ##
파일:미사강변도시 로고_white.svg

[ 공동주택 ]
## 레벨 4 (내부 표) ##
||<width=1000px><height=25px><tablebordercolor=white,white><bgcolor=white,white>||
이 맨 앞에 있어야함) ##################
555세대 · 2017년 8월 입주 · GS건설
615세대 · 2015년 5월 입주 · 한일건설
550세대 · 2018년 5월 입주 · 대원 | 자영
미사강변 리슈빌
A4
10년 분양전환 공공임대리츠(NHF)
996세대 · 2018년 1월 입주 · 계룡건설산업
1,164세대 · 2015년 10월 입주 · STX
미사강변 2차 푸르지오
A6
민간분양
1,066세대 · 2016년 9월 입주 · 대우건설
미사강변 센트리버
A7
공공분양
1,145세대 · 2016년 9월 입주 · 삼호
미사강변 스타힐스
A8
공공분양
1,389세대 · 2016년 12월 입주 · 서희건설
712세대 · 2014년 8월 입주 · 대우건설
875세대 · 2016년 7월 입주 · 포스코건설
763세대 · 2015년 2월 입주 · 한신공영
미사강변 파크뷰
A12
10년 분납임대(조기분양)
664세대 · 2015년 7월 입주 · 태평양개발 | 일신건영
미사강변도시 13단지
A13
영구임대 | 국민임대
2,742세대 · 2015년 12월 입주 · 이수건설
1,632세대 · 2018년 8월 입주 · 이수건설
미사강변 파밀리에
A15
공공분양
976세대 · 2014년 4월 입주 · 신동아건설
미사강변 트래지안
A16
10년 분납임대(조기분양)
620세대 · 2015년 10월 입주 · 서한
미사강변도시 17단지
A17
국민임대
2,180세대 · 2016년 7월 입주 · 한국토지주택공사
미사강변 센텀팰리스
A18
공공분양
1,455세대 · 2016년 8월 입주 · 대우건설
821세대 · 2016년 6월 입주 · 대보건설
미사강변 동일하이빌
A20
공공분양
821세대 · 2016년 6월 입주 · 동일토건
1,222세대 · 2017년 3월 입주 · GS건설
미사강변 동원로얄듀크
A22
민간분양
808세대 · 2016년 4월 입주 · 동원개발
미사강변 더샵 센트럴포레
A23
민간분양
487세대 · 2017년 11월 입주 · 포스코건설
미사강변 브라운스톤
A24
10년 분양전환 공공임대리츠(NHF)
871세대 · 2018년 11월 입주 · 이수건설
미사강변 아란티움
A25
10년 분양전환 공공임대리츠(NHF)
688세대 · 2018년 10월 입주 · 금호산업
미사강변도시 26단지
A26
장기전세
588세대 · 2016년 9월 입주 · 현대산업개발
e편한세상 미사
A27
민관합동 공공분양
652세대 · 2018년 7월 입주 · 대림산업
미사강변 골든센트로
A28
공공분양
1,541세대 · 2014년 12월 입주 · 대우건설
미사강변 효성해링턴플레이스
A29
10년 분양전환 공공임대리츠(NHF)
1,401세대 · 2017년 9월 입주 · 효성중공업
미사강변 푸르지오
A30
민간분양
1,188세대 · 2016년 4월 입주 · 대우건설
미사 레스티아
A31
5년 공공임대(조기분양)
1,104세대 · 2017년 11월 입주 · 부영주택
미사강변 신안인스빌
A32
민간분양
734세대 · 2019년 1월 입주 · 신안종합건설
726세대 · 2019년 1월 입주 · 제일건설
미사역 파라곤
C1
민간분양
주상복합 | 미사역 연결(상가 경유, 실외 도보구간 있음)
925세대 · 2021년 7월 입주 · 동양건설산업 | 라인건설
미사역 호반써밋
C2
민간분양
주상복합
846세대 · 2019년 6월 입주 · 호반건설
미사강변도시 C3단지
C3
행복주택
주상복합
1,492세대 · 2018년 11월 입주 · 한일건설
[ 단독주택 ]
## 레벨 4 (내부 표) ##
||<width=1000px><height=25px><tablebordercolor=white,white><bgcolor=white,white>||
금빛마을
R1
획지 · 세대
구산문화마을
R2 | R3
획지 · 세대
미사가람마을
R4
획지 · 세대
강변마을
R5
획지 · 세대
미사수변마을
R6
획지 · 세대
[ 오피스텔 ]
## 레벨 4 (내부 표) ##
||<width=1000px><height=25px><tablebordercolor=white,white><bgcolor=white,white>||
우성르보아파크
727세대 · 2018년 5월 입주 · 우성건영
미사역 효성해링턴타워 더퍼스트
건물명 : 효성헤링턴타워더퍼스트
1,420세대 · 2018년 9월 입주 · 
성산타워
230세대 · 2018년 5월 입주 · 
미사푸르지오시티 A동
546세대 · 2018년 8월 입주 · 
마들렌
151세대 · 2018년 4월 입주 · 
미사엘큐브
220세대 · 2019년 6월 입주 · 
더랜드시티
333세대 · 2019년 8월 입주 · 
e편한세상 시티 미사
546세대 · 2019년 4월 입주 · 
미사 마이움 센트럴 아케이드
322세대 · 2018년 8월 입주 · 
미사푸르지오시티 B동
269세대 · 2018년 8월 입주 · 
우성르보아리버
336세대 · 2018년 1월 입주 · 
하남미사 롯데캐슬 스타
984세대 · 2019년 12월 입주 · 
1,344세대 · 2020년 7월 입주 · 현대엔지니어링
680세대 · 2020년 7월 입주 · 현대엔지니어링
해링턴타워 레이크파크
527세대 · 2019년 2월 입주 · 
힐스테이트 에코 미사
650세대 · 2018년 10월 입주 · 
스타파크
141세대 · 2018년 8월 입주 · 
르보아파크 Ⅱ
480세대 · 2019년 7월 입주 · 
더 오페라2
420세대 · 2018년 8월 입주 · 
미사랑데르Ⅲ
46세대 · 2018년 5월 입주 · 
미사 아넬로 스위첸
449세대 · 2025년 11월 입주 예정(건설중) · KCC건설
미사역 헤리움 애비뉴어
684세대 · 2020년 10월 입주 · 
서건 미사 메트로타워
103세대 · 2019년 1월 입주 · 
퀸즈파크 미사1차
750세대 · 2019년 2월 입주 · 
퀸즈파크 미사2차
593세대 · 2019년 7월 입주 · 
일옹미사타워
민간임대
110세대 · 2021년 8월 입주 · 
미사역 마이움 푸르지오시티
1,090세대 · 2020년 7월 입주 · 
더 오페라1
125세대 · 2019년 7월 입주 · 
미사강변 오벨리스크
893세대 · 2020년 11월 입주 · 
미사 디바인 포레
144세대 · 2024년 8월 입주 · 
하남미사 롯데캐슬 헤븐시티 Ⅰ
439세대 · 2020년 1월 입주 · 
힐스테이트에코미사강변
510세대 · 2019년 3월 입주 · 
하남미사 롯데캐슬 헤븐시티 Ⅱ
647세대 · 2020년 1월 입주 · 
미사 헤리움 애비뉴어 2차
137세대 · 2023년 11월 입주 · 
미사강변 유림 노르웨이숲
황산사거리
633세대 · 2019년 11월 입주 · 
인스타시티
황산사거리
657세대 · 2019년 11월 입주 · 
마이움트라이스타
황산사거리
349세대 · 2019년 2월 입주 · 
}}}

36개 아파트 단지와 6개 단독주택 단지, 36개 오피스텔이 위치하고 있다.

5. 교통

5.1. 지하철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5F5F5,#F5F5F5><nopad>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

노선
역명
### line 2 ###
### line 3 ###
  • 미사역 : 미사강변도시 조성 당시 광역교통개선대책으로 서울 지하철 5호선연장되어 중심상업지구 내에 역사가 위치하고 있다.
    • 역사 내에 자전거 주차장[15]자전거 전용 출구(3번/8번 출구)[16]가 있다.[17]

5.2. 도로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5F5F5,#F5F5F5><nopad>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

노선
구분
### line 2 ###
### line 2 ###
### line 2 ###
### line 3 ###

5.3. 버스

파일:1px 투명.svg파일:1px 투명.svg 전체 노선이 아닌 주요 노선만 서술되어 있음
파일:1px 투명.svg파일:1px 투명.svg 경기버스정보 앱으로 과거 버스 도착시간과 대략적인 배차간격을 확인할 수 있음

5.3.1. 광역버스

### line 1 ###
노선
배차 간격
### line 2 ###
[[하남 버스 3000|
3000
]]
평일 00 ~ 00분 / 주말 00 ~ 00분
### line 2 ###
[[하남 버스 9301|
9301
]]
평일 00 ~ 00분 / 주말 00 ~ 00분
### line 2 ###
[[하남 버스 9302|
9302
]]
평일 00 ~ 00분 / 주말 00 ~ 00분
### line 2 ###
[[하남 버스 9302-1|
9302-1
]]
평일 00 ~ 00분 / 주말 00 ~ 00분
### line 2 ###
[[하남 버스 9303|
9303
]]
평일 00 ~ 00분 / 주말 00 ~ 00분
### line 2 ###
[[하남 버스 9303-1|
9303-1
]]
평일 00 ~ 00분 / 주말 00 ~ 00분
### line 2 ###
[[하남 버스 9304|
9304
]]
평일 00 ~ 00분 / 주말 00 ~ 00분

회색 글씨는 정차하지 않는 경유지임

성남 판교테크노벨리로 운행하는 3000번, 천호대로·종로를 거쳐 서울역으로 운행하는 9301번, 잠실역으로 운행하는 9302번·9302-1번·9303-1번, 잠실을 거쳐 강남으로 운행하는 9303번, 강변역으로 운행하는 9304번 노선이 통과한다.

9301번 노선은 기존부터 운행하던 노선이며[26], 나머지 노선은 미사강변도시 개발 당시 광역교통개선대책으로 신설된 노선이다.[27]

5.3.2. 일반·마을버스

### line 1 ###
노선
배차 간격
### line 2 ###
[[하남 버스 87|
87
]]
평일 00 ~ 00분 / 주말 00 ~ 00분
### line 2 ###
[[하남 버스 89|
89
]]
평일 00 ~ 00분 / 주말 00 ~ 00분
### line 2 ###
[[서울 버스 3413|
3413
]][28]
평일 00 ~ 00분 / 주말 00 ~ 00분
### line 2 ###
[[하남 버스 50|
50
]]
평일 00 ~ 00분 / 주말 00 ~ 00분
### line 2 ###
[[하남 버스 미사-01|
미사-01
]]
평일 00 ~ 00분 / 주말 00 ~ 00분
미사강변도시 내부 순환[참고]

중앙보훈병원역을 거쳐 수서역으로 운행하는 87번, 중앙보훈병원역으로 운행하는 89번, 강일역을 거쳐 강동·송파 지역으로 운행하는 서울시 지선버스인 3413번, 하남시 내부로 운행하는 50번, 미사강변도시 내부를 순환하는 미사-01번 노선이 통과한다.

황산사거리나 강일동과 가까운 단지의 경우 도보로 이동하여 각각 황산사거리에 정차하는 하남 원도심발 버스와 강동공영차고지에서 출발하는 서울시 버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5.3.3. 공항버스

파일:1px 투명.svg파일:1px 투명.svg 아래 정보는 2025년 11월 1일 기준

### line 1 ###
노선
배차 간격
### line 2 ###
[[서울 버스 6200|
6200
]]
20 ~ 50분 (일 38회) 시간표
인천국제공항까지 약 ~시간 ~분 소요
### line 2 ###
[[서울 버스 6300|
6300
]]
15 ~ 60분 (일 42회) 시간표
인천국제공항까지 약 ~시간 ~분 소요
### line 2 ###
[[공항버스 8849|
8849
]]
90 ~ 210분 (일 6회) 시간표
인천국제공항까지 약 ~시간 ~분 소요

회색 글씨는 정차하지 않는 경유지임
6200번 : 17,000원 (어린이 11,000원)
6300번 : 17,000원 (어린이 11,000원)
## 밑줄의 zero width space unicode는 디자인상 필요합니다
8849번 : ​
김포국제공항
8,100원 (중고생 5,700원/아동 4,100원)
인천국제공항
14,800원 (중고생 10,400원/아동 7,400원)

6200번6300번 노선은 올림픽대로를 이용하여 인천국제공항 제1·2여객터미널로만 운행하며, 승차권 예매는 현장에서만 가능하다.[35]

8849번 노선은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를 이용하여 김포국제공항 국제선·국내선 터미널을 거쳐 인천국제공항 제1·2여객터미널로 운행하며, 승차권 예매는 버스타고 앱이나 티머니GO 앱에서 가능하다.[36]

6. 교육

6.1. 학교

11개 공립유치원과 7개 초등학교, 4개 중학교[37], 3개 고등학교[38]가 위치하고 있다.

미사강변도시 계획 당시 학생수 예측이 크게 빗나가면서 과밀이 심각한 수준으로, 과밀학급 해소를 위해 대다수의 초·중학교가 증축되었고 중학교와 고등학교 각각 1개교가 신설될 예정이다.(건설중)

6.1.1. 유치원

파일:1px 투명.svg파일:1px 투명.svg 표에는 공립 유치원만 서술함

### line 1 ###
원명
개원일
 
### line 2 ###
파일:미사랑유치원 교기.jpg
미사랑유치원
단설
2017년 9월 1일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line 2 ###
파일:미담유치원 교기1.jpg
미담유치원
단설
2017년 3월 27일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line 2 ###
파일:구산유치원 교기.jpg
구산유치원
단설
2015년 3월 9일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line 2 ###
파일:달봄유치원 교기.jpg
달봄유치원
단설
2017년 9월 1일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line 2 ###
파일:망월초등학교 교기.jpg
망월초등학교 병설유치원
병설
1981년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line 2 ###
파일:미사초 교기.jpg
미사초등학교 병설유치원
병설
2014년 7월 1일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line 2 ###
파일:미강초 교기.jpg
미사강변초등학교 병설유치원
병설
2014년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line 2 ###
파일:미중초 교기.jpg
미사중앙초등학교 병설유치원
병설
2015년 3월 1일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line 2 ###
파일:한홀초 교기1.jpg
한홀초등학교 병설유치원
병설
2016년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line 2 ###
파일:윤슬초등학교 교표.gif
윤슬초등학교 병설유치원
병설
2016년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line 2 ###
파일:청아초 교기.jpg
청아초등학교 병설유치원(현재 휴원)
병설
2016년 10월 4일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이외에 향기로운유치원이 미사강변도시 내에서 유일한 사립 단설유치원이다.(아파트 내 유치원 제외)

6.1.2. 초등학교

### line 1 ###
교명
개교일
 
### line 2 ###
파일:망월초등학교 교기.jpg
1960년 4월 1일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line 2 ###
파일:미사초 교기.jpg
2014년 7월 1일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line 2 ###
파일:미강초 교기.jpg
2014년 9월 1일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line 2 ###
파일:미중초 교기.jpg
2015년 3월 1일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line 2 ###
파일:한홀초 교기1.jpg
2016년 4월 1일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line 2 ###
파일:윤슬초등학교 교표.gif
2016년 4월 22일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line 2 ###
파일:청아초 교기.jpg
2016년 10월 4일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6.1.3. 중학교

### line 1 ###
교명
개교일
 
### line 2 ###
파일:미사강변중 교기.png
2014년 7월 1일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line 2 ###
파일:Screenshot 2023-03-25 at 14.04.17.jpg
2015년 3월 1일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line 2 ###
파일:eungaramlogo2.svg
2015년 5월 27일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line 2 ###
파일:윤슬중 교표.png
2016년 4월 22일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line 2 ###
파일:로고.svg
한홀중학교
31학급
2026년 3월 1일 예정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6.1.4. 고등학교

### line 1 ###
교명
개교일
 
### line 2 ###
파일:하남고 교표.jpg
하남고등학교
사립
30학급
1970년 3월 18일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line 2 ###
파일:미사고 교기.jpg
2015년 3월 1일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line 2 ###
파일:미사강변고 교기.jpg
2016년 3월 1일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line 2 ###
파일:로고.svg
미사4고(가칭 청아고등학교)
31학급
2027년 3월 1일 예정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7. 공원


지구 중앙에 하남 종합운동장이 있다. 400미터 규모의 국제 규격 트랙을 비롯하여 테니스장, 수영장, 헬스장 등 기본적인 시설을 충실히 갖추고 있으며 자체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재정자립도가 높은 덕에 하남시민들은 저렴한 비용으로 이용가능하다.운동장 등 기본 시설 이용은 무료. 가장 핵심 지역에 위치하여 지구 계획 설립과 연계되어 개장한 시설로 생각할 수 있으나 2007년 경, 미사강변도시 조성과는 아무런 상관 없이 허허벌판에 달랑 만들어졌다. 얼떨결에 신박한 위치에 자리잡은 것이다.

주말이나 휴일에는 행사가 열려 시끌벅적할 때가 많다.


경기도 하남시 미사동에 위치한 조정 경기장이다. 1988 서울 올림픽 종목 중 조정 경기를 위해 세워졌으며 1984년 9월 5일에 착공하여 1986년 6월 10일에 완공되었다.


잘 꾸며진 자전거 코스로도 유명하다. 그러나 한강이 지구에 맞닿지는 않아 도보권역은 아니며, 자동차나 자전거로 접근해야한다. 자전거로 갈 때는 올림픽대로 선동교차로 아래로 가야한다.

한강변에 미사경정공원이 운영중이며 운영이 없는 평소에는 한적한지라 머리 식히며 산책하기 좋다.

미사역1·4·5·8번 출구 방향으로 미사 아케이드거리가 조성되어 있다. 하남시 청소년수련관이 2020년 4월 개관하였다.

미사리 조정경기장 방향 길을 통해서는 한강 방향으로 접근하기 어려우니 주의. 자전거 도로를 타기위해 서울 방향 및 남양주 방향으로 가장 쉽게 접근하는 방법은 미사 북측단지 기준 선동교차로로 진입해야하며 서쪽은 상일동역 방향으로 진입 후 고덕천 자전거길을 이용해야한다. 동쪽은 조정경기장쪽으로 향하면 진입이 어려우며, 나무고아원 입구 쪽으로 진입하면 한강 자전거도로로 쉽게 진입가능하니 참고하자. 만약 남양주방향으로 결정했다면 하남 유니온타워 아래 길로 진입하여 팔당대교를 건너면 된다.

7.1. 미사호수공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사호수공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미사호수공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미사호수공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상업

2024년 현재, 미사강변도시 내에서의 자족생활은 상당히 활성화되어있다. 특히, 신도시 젊은 부부들이 가장 선호하는 요소들을 많이 갖추고 있어 3, 40대 부모들과 어린 아기들이 있는 세대가 많은 편이다. 미사 전 지역에서 도보로 식당, 키즈카페, 소아과, 마트, 극장, 공원 등의 이용이 가능하며 미사강변도시 자체가 100% 평지이다. 최초의 상권이었던 스타힐스(8단지) 주변 상업지구(일명 북측 근린상가)와 센트럴자이(21단지) 주변 상업지구(일명 남측 근린상가)는 주로 학원가가 몰려있으며 뒤이어 의원, 중형마트, 카페 등이 성업 중이다.

미사역 근처는 미사강변도시에서 가장 발전된 중심상업지구로, 메이저 패스트푸드 프랜차이즈[47]맥도날드[48] 빼고 다 있으며, 은행이나 병원 등이 대부분 이 곳에 몰려 있고, 외식, 문화, 유흥 등이 발달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가의 공급 과잉으로 인해 공실이 꽤 보이는 실정이다.

최초의 극장은 메가박스 미사강변이며 2018년 5월 개관했다. 이어 2020년 8월에는 CGV 하남미사, 2021년 8월에는 롯데시네마 하남미사가 개관함으로써 3개의 영화관 브랜드가 모두 미사에 위치하게 되었다.

대형마트로는 지구 최남단 부근에 2019년 4월에 개점한 코스트코 하남점이 있다. 그리고, 미사 중심지 종합운동장 부근에 하남농협 하나로마트가 있기에 그쪽도 자주 이용하는 편

하남시에서 분만이 가능한 유일한 곳이기도 하다. 두 곳의 산부인과 전문병원이 외래진료와 더불어 분만과 산후조리원까지 갖추고 있어 인근 지역에서도 원정을 오는 이용객들이 많다.

쇼핑 기능은 아쉽다. 원래 그랑파사쥬가 쇼핑몰로서의 기능을 할 것이 예정되었으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 공급 폭탄 + 과도한 임대료로 인해 공실이 많은 상태. 제대로 비교해가면서 옷이나 잡화를 사려면 스타필드 하남으로 가야 한다.

원래는 그랑파사쥬가 미사역과 연결된 층당 90~130호 정도의 규모의 대형 쇼핑몰로 계획되어 있었기 때문에 당시 입점 명단에만해도 롯데마트, 유니클로, 무인양품, Apple 리셀러 매장[49]등 여러 업체가 들어올 예정이였고 당시 부동산들도 이를 두고두고 홍보하며 자랑했지만 삽을 뜨고 건설을 시작한지 얼마 되지 않아 어째서인지 롯데마트 입점은 무산되었고 이어 코로나 사태가 터지고 장기화되자 앞서 언급된 유니클로와 무인양품은 물론 본래 입점하기로 한 다른 매장들도 입점이 속속 무산되었다. 계획 당시 나름 신도시 중앙이라 많은 수요를 예측했지만 정작 짓고보니 입지가 코엑스 급인 것도 아니요, 롯데마트가 들어오기로 한 지하에는 결국 중소형 동네 마트가 들어왔고[50] 집객요소인 반디앤루니스는 부도나서 결국 폐점하고, 계획당초부터 입점예정이였던 CGV 하남미사만이 유일하게 현재까지 남아있다. 다만 CGV 하남미사는 위탁점인데다가 특별관이 있는 것도 아니다. 게다가 당시 입점을 예정해있었던 가게들보다는 소상공인 및 부동산 위주로 입점한 소규모 쇼핑몰로 전락하고 말았다. 거기다 건물의 절반 가까이는 병원이라 원래 계획했던 대규모 쇼핑몰의 기능을 상실하였다.

현재 그랑파사쥬에 가보면 소형 쇼핑몰과는 어울리지 않는 거대한 미디어 파사드와 웅장한 광장이 대규모 쇼핑몰로 계획되었었다는 것을 증명해준다.

9. 공공 시설

파일:1px 투명.svg파일:1px 투명.svg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에 따른 법정공휴일은 운영 시간과 관계없이 정기 휴관일임(소방·경찰 제외, 시설에 따라 부분 운영할 수 있음)

9.1. 소방·경찰

### line 1 ###
명칭
운영 시간
### line 2 ###
하남소방서 미사119안전센터
소방
연중 무휴 24시간
### line 2 ###
하남경찰서 미사지구대
경찰
연중 무휴 24시간
### line 3 ###
하남경찰서 미사2파출소 (예정)
경찰
연중 무휴 24시간

미사강변도시 내 일부 교차로에 긴급차량 우선신호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다. 소방차량 긴급 출동 시 사용된다.[54]

9.2. 보건

### line 1 ###
명칭
운영 시간
### line 2 ###
하남시 미사보건센터
평일 09:00 - 18:00

9.3. 도서관

### line 1 ###
명칭
운영 시간
### line 2 ###
 
하남시 미사도서관
 
평일 09:00 - 22:00 [55]
주말 09:00 - 18:00 [56]
매주 화요일 휴관
### line 2 ###
 
하남시 어린이도서관 (2026년 예정)
 
 
 
 
어린이 영어특화 도서관
### line 2 ###
 
하남시 디지털도서관
 
평일 08:00 - 23:00 [57]
주말 08:00 - 23:00 [58]
매주 금요일 휴관
하이브리드 도서관[59]
### line 2 ###
 
하남시 일가도서관
 
평일 09:00 - 18:00
주말 09:00 - 18:00
매주 일요일 휴관

미사강변도시 내에서는 미사도서관이 도시 규모에 맞는 수준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9.4. 우체국

### line 1 ###
명칭
운영 시간
### line 2 ###
하남미사우체국
평일 09:00 - 18:00
오늘출발 우편물 접수마감시간 : 오후 5시 20분
점심 휴무시간 없음
### line 2 ###
하남미사2동우편취급국[60]
평일 09:00 - 18:00
오늘출발 우편물 접수마감시간 : 오후 5시 30분
점심 휴무시간 : 12:00 - 13:00
### line 3 ###
미사역 무인우편접수기
평일/주말 08:00 - 22:00 (연중 무휴)
수거시간 : 평일 오후 3시 (1일 1회)
접수 가능 우편물 : 우편(일반, 등기)·택배(3호까지)·국제일반(항공, 선편)

9.5. 어린이·청소년

### line 1 ###
명칭
운영 시간
### line 2 ###
하남시 어린이회관 (2026년 예정)
 
### line 2 ###
 
하남시 청소년수련관
 
평일 09:00 - 22:00
주말 09:00 - 21:00
매월 둘째, 넷째주 일요일 휴관

9.6. 노인

### line 1 ###
명칭
운영 시간
### line 2 ###
하남시 미사노인복지관
평일 10:00 - 17:00

9.7. 장애인

### line 1 ###
명칭
운영 시간
### line 2 ###
하남시 장애인복지관
평일 09:00 - 18:00

9.8. 기타

### line 1 ###
명칭
운영 시간
### line 2 ###
미사1동 행정복지센터
평일 09:00 - 18:00
### line 2 ###
미사2동 행정복지센터
평일 09:00 - 18:00
### line 3 ###
미사3동 행정복지센터
평일 09:00 - 18:00

### line 1 ###
명칭
운영 시간
### line 2 ###
하남 고용복지플러스센터
평일 09:00 - 18:00

10. 여담

  • 환경부 산하 한강유역환경청 청사가 미사강변도시 내에 위치하고 있다. 업무 특성상 직원들이 서울과 한강 상류를 동시에 왕래하여야 하는데, 양 지역으로의 접근성이 모두 높은 곳이기 때문이다.
  • 구산성당은 건축 60년[61]이 넘은 근대건축유산으로, 미사강변도시 개발 과정에서 철거될 상황에 놓였으나 성당을 보전하여야 한다는 신도들의 청원으로 건물을 통째로 들어 하루에 15m씩 약 200m 떨어진 곳으로 이전하게 되었다. # 이는 건물을 온전히 보존하면서 통째로 이동시킨 국내 첫 사례이다. 이후 미사강변도시의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더 많은 신도들을 수용하기 위해 옆 부지에 새 성전을 지어 2019년에 완공되었다.
  • 미사리 부근에서 서식하는 야생 고라니가 가끔씩 출몰하기도 한다. 요즘은 망월천에서 백로가 자주 목격된다고 한다.#
  • 미사강변도시 서쪽 인근으로 왕숙천단층(남양주 진접)과 신갈단층(서울 송파)이 지나간다. 만약 두 단층에서 지진이 발생할 경우 수도권 동부에 속하는 이곳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이와는 별개로 미사강변도시 내 공동주택들은 건축법에 따라 내진 설계가 적용되어 있다.#
  • 행정구역이 서울특별시가 아니나, SKT 망에서 서울시 재난문자가 수신되는 지역이 있다. 이는 재난문자를 발송할 대상 지역을 기지국의 위치로 구분하고, 해당 기지국에 연결된 모든 휴대전화에 (위치 상관없이) 재난문자가 전파되기 때문이다.[62] 동일하게 KT 망에서는 하남 원도심의 재난문자가 수신되기도 한다.

  • 미사강변도시 지역은 기존에 초이/풍산예비군동대에서 예비군 업무를 담당하였으나, 2017년 7월 1일부로 미사2동예비군동대가 분리 창설되어 미사1동(아리수로 남측방향)은 초이/풍산/미사1동예비군동대에서, 미사2동(아리수로 북측 방향 / 1~16단지, R1~4)은 미사2동예비군동대에서 예비군 업무를 담당한다.

11. 둘러보기



파일:하남시 상징로고_어두운 배경.svg

## 내부 표 시작 ##

신도시
## 내부 칸 시작 ##
5㎢ 이상
위례신도시 파일:1px 투명.svg·파일:1px 투명.svg
5㎢ 이상
교산신도시
공공주택지구
## 내부 칸 시작 ##
5㎢ 이상
미사강변도시 파일:1px 투명.svg·파일:1px 투명.svg
1㎢ 이상
감일지구
택지개발지구
## 내부 칸 시작 ##
신장지구 파일:1px 투명.svg·파일:1px 투명.svg 신장2지구 파일:1px 투명.svg·파일:1px 투명.svg
1㎢ 이상
풍산지구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
틀:경기도의 기초자치단체, version=379, uuid=4a21530f-3e11-414e-960c-d4d21adb30e7)]


## 레벨 2 ##
파일:미사강변도시 로고_white.svg

[ 공동주택 ]
## 레벨 4 (내부 표) ##
||<width=1000px><height=25px><tablebordercolor=white,white><bgcolor=white,white>||
이 맨 앞에 있어야함) ##################
555세대 · 2017년 8월 입주 · GS건설
615세대 · 2015년 5월 입주 · 한일건설
550세대 · 2018년 5월 입주 · 대원 | 자영
미사강변 리슈빌
A4
10년 분양전환 공공임대리츠(NHF)
996세대 · 2018년 1월 입주 · 계룡건설산업
1,164세대 · 2015년 10월 입주 · STX
미사강변 2차 푸르지오
A6
민간분양
1,066세대 · 2016년 9월 입주 · 대우건설
미사강변 센트리버
A7
공공분양
1,145세대 · 2016년 9월 입주 · 삼호
미사강변 스타힐스
A8
공공분양
1,389세대 · 2016년 12월 입주 · 서희건설
712세대 · 2014년 8월 입주 · 대우건설
875세대 · 2016년 7월 입주 · 포스코건설
763세대 · 2015년 2월 입주 · 한신공영
미사강변 파크뷰
A12
10년 분납임대(조기분양)
664세대 · 2015년 7월 입주 · 태평양개발 | 일신건영
미사강변도시 13단지
A13
영구임대 | 국민임대
2,742세대 · 2015년 12월 입주 · 이수건설
1,632세대 · 2018년 8월 입주 · 이수건설
미사강변 파밀리에
A15
공공분양
976세대 · 2014년 4월 입주 · 신동아건설
미사강변 트래지안
A16
10년 분납임대(조기분양)
620세대 · 2015년 10월 입주 · 서한
미사강변도시 17단지
A17
국민임대
2,180세대 · 2016년 7월 입주 · 한국토지주택공사
미사강변 센텀팰리스
A18
공공분양
1,455세대 · 2016년 8월 입주 · 대우건설
821세대 · 2016년 6월 입주 · 대보건설
미사강변 동일하이빌
A20
공공분양
821세대 · 2016년 6월 입주 · 동일토건
1,222세대 · 2017년 3월 입주 · GS건설
미사강변 동원로얄듀크
A22
민간분양
808세대 · 2016년 4월 입주 · 동원개발
미사강변 더샵 센트럴포레
A23
민간분양
487세대 · 2017년 11월 입주 · 포스코건설
미사강변 브라운스톤
A24
10년 분양전환 공공임대리츠(NHF)
871세대 · 2018년 11월 입주 · 이수건설
미사강변 아란티움
A25
10년 분양전환 공공임대리츠(NHF)
688세대 · 2018년 10월 입주 · 금호산업
미사강변도시 26단지
A26
장기전세
588세대 · 2016년 9월 입주 · 현대산업개발
e편한세상 미사
A27
민관합동 공공분양
652세대 · 2018년 7월 입주 · 대림산업
미사강변 골든센트로
A28
공공분양
1,541세대 · 2014년 12월 입주 · 대우건설
미사강변 효성해링턴플레이스
A29
10년 분양전환 공공임대리츠(NHF)
1,401세대 · 2017년 9월 입주 · 효성중공업
미사강변 푸르지오
A30
민간분양
1,188세대 · 2016년 4월 입주 · 대우건설
미사 레스티아
A31
5년 공공임대(조기분양)
1,104세대 · 2017년 11월 입주 · 부영주택
미사강변 신안인스빌
A32
민간분양
734세대 · 2019년 1월 입주 · 신안종합건설
726세대 · 2019년 1월 입주 · 제일건설
미사역 파라곤
C1
민간분양
주상복합 | 미사역 연결(상가 경유, 실외 도보구간 있음)
925세대 · 2021년 7월 입주 · 동양건설산업 | 라인건설
미사역 호반써밋
C2
민간분양
주상복합
846세대 · 2019년 6월 입주 · 호반건설
미사강변도시 C3단지
C3
행복주택
주상복합
1,492세대 · 2018년 11월 입주 · 한일건설
[ 단독주택 ]
## 레벨 4 (내부 표) ##
||<width=1000px><height=25px><tablebordercolor=white,white><bgcolor=white,white>||
금빛마을
R1
획지 · 세대
구산문화마을
R2 | R3
획지 · 세대
미사가람마을
R4
획지 · 세대
강변마을
R5
획지 · 세대
미사수변마을
R6
획지 · 세대
[ 오피스텔 ]
## 레벨 4 (내부 표) ##
||<width=1000px><height=25px><tablebordercolor=white,white><bgcolor=white,white>||
우성르보아파크
727세대 · 2018년 5월 입주 · 우성건영
미사역 효성해링턴타워 더퍼스트
건물명 : 효성헤링턴타워더퍼스트
1,420세대 · 2018년 9월 입주 · 
성산타워
230세대 · 2018년 5월 입주 · 
미사푸르지오시티 A동
546세대 · 2018년 8월 입주 · 
마들렌
151세대 · 2018년 4월 입주 · 
미사엘큐브
220세대 · 2019년 6월 입주 · 
더랜드시티
333세대 · 2019년 8월 입주 · 
e편한세상 시티 미사
546세대 · 2019년 4월 입주 · 
미사 마이움 센트럴 아케이드
322세대 · 2018년 8월 입주 · 
미사푸르지오시티 B동
269세대 · 2018년 8월 입주 · 
우성르보아리버
336세대 · 2018년 1월 입주 · 
하남미사 롯데캐슬 스타
984세대 · 2019년 12월 입주 · 
1,344세대 · 2020년 7월 입주 · 현대엔지니어링
680세대 · 2020년 7월 입주 · 현대엔지니어링
해링턴타워 레이크파크
527세대 · 2019년 2월 입주 · 
힐스테이트 에코 미사
650세대 · 2018년 10월 입주 · 
스타파크
141세대 · 2018년 8월 입주 · 
르보아파크 Ⅱ
480세대 · 2019년 7월 입주 · 
더 오페라2
420세대 · 2018년 8월 입주 · 
미사랑데르Ⅲ
46세대 · 2018년 5월 입주 · 
미사 아넬로 스위첸
449세대 · 2025년 11월 입주 예정(건설중) · KCC건설
미사역 헤리움 애비뉴어
684세대 · 2020년 10월 입주 · 
서건 미사 메트로타워
103세대 · 2019년 1월 입주 · 
퀸즈파크 미사1차
750세대 · 2019년 2월 입주 · 
퀸즈파크 미사2차
593세대 · 2019년 7월 입주 · 
일옹미사타워
민간임대
110세대 · 2021년 8월 입주 · 
미사역 마이움 푸르지오시티
1,090세대 · 2020년 7월 입주 · 
더 오페라1
125세대 · 2019년 7월 입주 · 
미사강변 오벨리스크
893세대 · 2020년 11월 입주 · 
미사 디바인 포레
144세대 · 2024년 8월 입주 · 
하남미사 롯데캐슬 헤븐시티 Ⅰ
439세대 · 2020년 1월 입주 · 
힐스테이트에코미사강변
510세대 · 2019년 3월 입주 · 
하남미사 롯데캐슬 헤븐시티 Ⅱ
647세대 · 2020년 1월 입주 · 
미사 헤리움 애비뉴어 2차
137세대 · 2023년 11월 입주 · 
미사강변 유림 노르웨이숲
황산사거리
633세대 · 2019년 11월 입주 · 
인스타시티
황산사거리
657세대 · 2019년 11월 입주 · 
마이움트라이스타
황산사거리
349세대 · 2019년 2월 입주 · 
}}}

[*] 미사3동과 덕풍3동은 일부 구역만 해당[2] 법정동 기준으로는 망월동, 선동, 풍산동 일부, 덕풍동 일부. 이름과 달리 미사동은 구역에 포함되지 않는다.[3] 5,679,364.9㎡[4] 인구 통계가 동별로만 제공되고 있어 정확한 인구수는 알 수 없다.[5] 전반적인 사업은 모두 완료되었고, 마무리 단계이다.(2022년 10월 5일 1-6단계 준공 #)[6] 근래 개발되는 개발구역 중에서는 드물게 지구 전체가 해발고도 약 20m의 평탄한 완전 평지로 이루어져 있다.[7] 현재의 미사1동, 미사2동, 미사3동은 미사강변도시 입주에 따라 풍산동을 분동한 것이다.(풍산동이 미사1동, 미사2동, 풍산동으로 분동되었고 이후에 풍산동의 동명이 미사3동으로 변경되었다.)[8] 이명박 정부 시기이다.[9] LH의 정책실명제 자료 연혁에는 2011년 11월 23일로 표기되어 있으나, 토지보상 협의가 원할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2012년 3월 중으로 공사 시작이 미루어졌다는 기사 또한 있어 정확한 착공 일자는 확인이 필요하다.[10] 당시 커뮤니티에 올라온 글이 남아있어 하남고등학교가 과거에 공동묘지가 있던 자리라는 이야기로 간간이 회자되나, 사진상 위치를 보면 과거 학교 뒷산(현재 미사강변남로 부근) 정도의 위치인 것으로 보인다.[11] 전날인 8월 7일에는 개통 기념식을 열고 시승 열차가 운행되었다.# # 개통 시기는 최초 계획되었던 2015~16년에서 2018년으로 미루어지고, 또다시 2020년으로 미루어지게 되었다.[12] 현재는 빈 공터로 남아있거나 소규모 개발이 진행중인 필지만 남은 상태이다.[13] 황산교차로~상일교차로 간 지하차도 건설 계획은 서울시의 반대로 대폭 축소되어 건설되었다. 계획도에 나와있지 않은 내용으로는 9302/9303/3000번 버스노선 신설과 이후에 확정된 지하철 9호선 연장 계획 등이 있다.[14] 1단계 사업은 미사강변도시 조성 사업, 2단계 사업은 기업이전부지 조성 사업이다.[15] 800대 규모의 공간이며, 기계식 주차장이 아닌 대합실과 이어진 실내 공간에 자전거 거치대가 일렬로 설치되어 있어 자신이 사용할 거치대를 배정받아 사용하는 방식이다. 벽쪽에는 사물함 형태의 1인 전동차 다목적 보관함 또한 구비되어 있어 전동킥보드나 전동휠 등을 보관할 수 있다.[16] 일반 출구와 달리 경사가 15도로 매우 완만하고, 나갈 때에 자전거를 쉽게 끌고갈 수 있도록 자전거 이동레일(사용 방법)이 설치되어 있다. 자전거 주차장과 이어진다.[17] 개발 당시 자전거 중심의 녹색교통도시로 특성화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18] 선동IC부터 잠실까지는 차가 막히지 않을 경우에는 10분 정도, 출퇴근 시간 등에는 교통정체로 보통 50분 정도 소요된다.[19] 서울시 주간선도로로, 천호대교를 지나 사대문 방향으로 향하여 종로와 이어진다.[20] 입체교차로(미사대로 직진차량 지하차도 통과)로 구성되어 있다. 스타필드 하남을 지나 팔당대교45번 국도로 이어진다.[21] 차고지는 하남시 버스환승 공영차고지(하남BRT환승센터)이나 미사강변도시까지 공차회송한다.[환승정류장] 가천대 정류장(고속도로 환승정류장) 정차[23] 구산성지 앞 회전교차로에서 우회전하여 미사강변도시 북측 아파트 단지를 경유한다. 나머지 구간은 9302번과 노선이 동일하다.[24] 9302번과 달리 지상 정류장이므로 주의[25] 9303번과 노선이 동일하나 잠실역까지만 운행하고 회차한다.[26] 구 1007번 직행좌석버스의 후신으로, 황산사거리에서 천호대로를 경유하는 노선에서 미사강변대로를 경유하는 노선으로 변경되었다.[27] 초기 교통망 계획 상으로는 9302번(잠실역), 9303번(오리역), 9304번(서울역), 9305번(강남역) 노선이 신설될 예정이였으나, 9305번은 9303번으로 노선 번호를 변경하여 개통되었고, 9304번은 당초 구리암사대교 - 용마터널 - 청량리를 경유하는 M버스로 국토교통부 승인을 받았으나 수요 문제로 유찰되어 무산되고 강변역행 노선이 신설되어 해당 노선번호를 사용하게 되었다. 9303번은 당초 오리역행이이였으나, 판교역행 3000번 버스로 변경하여 개통하였다.[28] 서울시 면허 시내버스, 하남시 구간 정류장에서도 기후동행카드 사용 가능[29] 팔당역이 노선의 시·종점이다.[참고] 미사-01번 버스의 경우 순환버스이나 미사역에서 운행을 시작하여 한바퀴 돈 후 해당 버스는 운행을 종료한다. 따라서 만약 해당 노선을 미사역을 지나 계속 이용하고자 한다면 미사역 정류장에서 내린 후 다음 버스가 올때까지 10여분 정도를 정류장에서 기다려야 하고, 동일 노선이기에 환승 할인이 적용되지 않는 불편함이 있다. 다만 미사역 정류장에는 많은 버스가 정차하기에 먼저 오는 다른 버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31] (공항 방향) 정류장명 : 황산 / 정류장 ID : 65111[32] (공항 방향) 정류장명 : 미사강변센텀팰리스·강일리버10단지 / 정류장 ID : 25200, 공항에서 오는 차량은 종점이 강일역으로 되어 있으나 미사강변 센텀펠리스 건너편 정류장까지 운행한다.[33] (공항 방향) 정류장명 : 미사역 / 정류장 ID : 28464[34] (공항 방향) 정류장명 : 미사강변2차푸르지오.센트리버 / 정류장 ID : 28309[35] 기존에는 티맵 공항버스 시스템으로 일부 좌석 예약이 가능하였으나, 2025년 9월 22일부로 예약 서비스를 종료하게 되었다.[36] 미사역 정류장이 아닌 미사강변2차푸르지오.센트리버 정류장에서 승차하면 요금이 400원 낮다.[37] 한홀중학교 2025년 3월 개교 예정[38] 가칭 청아고등학교 2027년 3월 개교 예정[39] 2017~2018년 17학급 증축[40] 2017~2018년 23학급 증축[41] 2018~2019년 16학급 증축[42] 2018~2019년 10학급 증축[43] 2018~2019년 9학급 증축[44] 2018~2019년, 2021년~2022년 17학급 증축[45] 2019~2020년 12학급 증축[46] 2019~2020년 12학급 증축, 2023~2025년 2학급 증축 예정[47] KFC와 비슷한 매장 규모의 패스트푸드 프랜차이즈를 포함한다면 노브랜드 버거도 포함.[48] 2025년 5월 16일 기준 맥딜리버리가 가능한 아파트단지가 적으며, 그마저도 기상 악화, 눈, 비가 오지 않는 날에만 가능하다. 하남시청DT점에서 가장 가까운 미사강변도시 아파트단지만 해도 3km를 넘겨버려서 배달이 불가능하며, 그마저도 가장 가까운 지점이 상일동점이다![49] KMUG 매장으로 당시엔 전국 여러곳에 리셀러 매장을 두고 있었지만 현재는 재정 악화로 수리 매장을 제외한 리셀러매장이 전부 문을 닫았다. 만약 입점에 성공했다 하더라도 얼마 뒤 문을 닫았을 가능성이 크다.[50] 원래 롯데마트로 계획되었을 당시에는 지하 1층을 거의 전부 사용하고 지하 2층까지 2층규모로 지어질 예정이였으나 건설도중 입점이 무산되어 지하 2층은 지하주차장으로 지어졌다.[51] 700석 규모 5개관[52] 7개관 규모[53] 1200석 규모[54] 2021년 경기도 보조금을 받아 설치되었다.[55] (1층) 유아자료실, 어린이자료실, 문화교실, 체험형동화구연실, 북카페 / (3층) 메이커스페이스 / (4층) 문화교실, 강당, 하늘정원은 09:00 - 18:00[56] 전체 자료실 운영시간 동일[57] (1·2층) 디지털라운지, 어린이가족실, 멀티미디어실, 디지털정보실은 09:00 - 18:00[58] (1·2층) 디지털라운지, 어린이가족실, 멀티미디어실, 디지털정보실은 09:00 - 18:00[59] 도서관의 물리적 공간을 기반으로 가상의 디지털 자원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하이브리드 도서관'을 표방하고 있다. 도서관 내에 실물 서적은 없으며, 구비된 전자책 단말기로 소장 중인 전자 서적 약 1만여 권을 읽을 수 있다. 꼭 도서관 현장에 가야하는 것은 아니고 온라인 상으로도 이용할 수 있다. #[60] 우편취급국이기에 금융 업무는 취급하지 않는다.[61] 근대 건축물로 개축된 것이 60여년 전이고, 전체 역사는 200여년 가까이 된다.[62] 즉, 서울에 있는 SKT 기지국의 전파가 이곳까지 도달하기 때문으로, 행정구역 경계와 인접한 지역에서 나타나는 정상적인 현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