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6 17:00:25

교산신도시

파일:LH 심볼.svg 대한민국 정부의 신도시 계획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a3cd39> 1기 [[분당신도시|
분당신도시
경기 성남시
]] | [[일산신도시|
일산신도시
경기 고양시
]] | [[중동신도시|
중동신도시
경기 부천시
]] | [[평촌신도시|
평촌신도시
경기 안양시
]] | [[산본신도시|
산본신도시
경기 군포시
]]
2기 [[광교신도시|
광교신도시
경기 수원시·용인시
]] | [[판교신도시|
판교신도시
경기 성남시
]] | [[운정신도시|
운정신도시
경기 파주시
]] | [[양주신도시|
양주신도시
경기 양주시
]] | [[한강신도시|
한강신도시
경기 김포시
]] | [[위례신도시|
위례신도시
서울 송파구·경기 하남시·성남시
]] | [[아산신도시|
아산신도시
충남 아산시·천안시
]] | [[동탄1신도시|
동탄1신도시
경기 화성시
]] | [[동탄2신도시|
동탄2신도시
경기 화성시
]] | [[검단신도시|
검단신도시
인천 서구
]] | [[도안신도시|
도안신도시
대전 서구·유성구
]] | [[고덕국제신도시|
고덕국제신도시
경기 평택시
]]
3기 [[왕숙신도시|
왕숙신도시
경기 남양주시
]] | [[교산신도시|
교산신도시
경기 하남시
]] | [[계양신도시|
계양신도시
인천 계양구
]] | [[창릉신도시|
창릉신도시
경기 고양시
]] | [[대장신도시|
대장신도시
경기 부천시
]]
대한민국 정부(국토교통부) 관장 신도시만 기재. 참고: 국토교통부 신도시 정책자료
}}}}}}}}} ||


{{{#!wiki style="margin:-12px -0px; padding: 5px 0;"<tablebordercolor=#3a5fac>
파일:하남시 상징로고_어두운 배경.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3a5fac> 신도시 위례신도시 파일:1px 투명.svg·파일:1px 투명.svg 교산신도시
공공주택지구
시범지구
미사강변도시 파일:1px 투명.svg·파일:1px 투명.svg
3차지구
감일지구
택지개발지구 신장지구 파일:1px 투명.svg·파일:1px 투명.svg 신장2지구 파일:1px 투명.svg·파일:1px 투명.svg 풍산지구
도시개발구역 지역현안사업 2지구 파일:1px 투명.svg·파일:1px 투명.svg 지역현안사업 1지구 파일:1px 투명.svg·파일:1px 투명.svg 첨단문화복합단지(H2 프로젝트)예정
국토교통부 지정 신도시는 별도로 표기 파일:1px 투명.svg/파일:1px 투명.svg ★은 면적이 5㎢ 이상인 공공택지임을, ☆은 면적이 1㎢ 이상인 공공택지임을 뜻함

}}}}}}}}}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틀:하남시의 법정동, version=52, uuid=1a169051-f5c3-4d76-a455-994550133af7, title2=틀:서울특별시 미경유 직행좌석버스, version2=52, uuid2=029430ad-2812-4733-96c3-f732ec26854c, title3=
틀:경기도의 기초자치단체, version3=379, uuid3=4a21530f-3e11-414e-960c-d4d21adb30e7)]
파일:Gyosan map.jpg
파일:교산신도시 토지이용 계획도.jpg
<colcolor=#fff> 조성계획도 <colcolor=#fff> 토지이용계획도
교산신도시
Gyosan New Town | 校山新都市
<colbgcolor=#a3cd39><colcolor=#fff> 위치 경기도 하남시 천현동, 항동, 하사창동, 교산동, 상사창동, 춘궁동, 덕풍동, 창우동, 상산곡동, 광암동 일원
사업 면적 6,858,234㎡
사업기간 2019년~2028년
인구수 87,258명
주택수 36,697호
사업시행자 경기도, 한국토지주택공사, 경기주택도시공사, 하남도시공사
주무부처 국토교통부
1. 개요
1.1. 문제점
2. 지구
2.1. 주거지구2.2. 교육 2.3. 특별계획구역
2.3.1. 도시고원
3. 교통
3.1. 철도 교통3.2. 버스 교통3.3. 도로 교통
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colcolor=#fff> 교산신도시
경기도 하남시에 예정된 수도권 지역 신도시. 경기도 하남시 천현동, 교산동, 춘궁동, 상사창동, 하사창동 일원에 지어질 신도시이다. 수용호수는 32,000세대로 예정되어 있다.

토지보상이 어느 정도 마무리 되어 곧 첫 삽을 팔 예정이다.

1.1. 문제점

풍납토성처럼 문화재 파괴의 사례가 될것이라는 고고학, 역사학 관련 학자들의 반발이 있다. 여기도 위례성으로 추측되는 후보군 중 하나이기 때문. 조선 후기에 남한산성으로 광주유수부의 관청들이 이전하기 전까지는 교산에 관청들이 몰려있었다.

실제로 구석기 시대부터 청동기 시대, 통일신라, 조선 시대까지의 다양한 유물이 대거 확인되었다. 이 일대는 매장문화재 유존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어 개발사업을 하려면 미리 문화재청과 협의해야 하지만 3기 신도시 발표 당시 국토교통부는 협의 없이 독단적으로 진행했다. 매장된 문화재의 규모가 워낙 커 계획했던 2022년 착공은 어려운 상황이다. 또한 장릉 검단신도시 아파트 불법건축 논란이 터졌기 때문에 더욱 민감한 부분이 될 수 있다.

2. 지구

2.1. 주거지구

2027년 3월 교산A2 블럭을 시작으로 입주가 시작된다.
제 3차 지구단위계획 기준 A1~A21, B1~B3, B5, C1~C3, D1, S1~S2, S4-S11 총 39단지가 계획돼있다.
<rowcolor=#fff> 블럭 단지명 유형 세대수 입주 (예정) 건설사
A1 - 통합공공임대 723 - -
A2 - 공공분양 1,115 2027년 3월 대우건설, 동부건설, 계룡건설
A3 - 통합공공임대[A] 1,100 - -
A4 - 통합공공임대 1,720 - -
A5 - 공공분양 492 2030년 1월 -
A6 - 공공분양 268 - -
A7 - 민간임대 208 - -
A8 - 통합공공임대 / 공공분양 763 - -
A9 - 공공분양 244 - -
A10 - 통합공공임대[A] 707 - -
A11 - 공공분양 511 - -
A12 - 통합공공임대[B] 788 2031년 9월 -
A13 - 공공분양 622 - -
A14 - 공공분양 1,459 2036년 2월 -
A15 - 통합공공임대 915 2031년 9월 -
A16 - 통합공공임대[C] 1,146 2034년 8월 -
A17 - 통합공공임대 / 공공분양 398 - -
A18 - 공공분양 664 2031년 3월 -
A19 - 공공분양 543 2031년 1월 -
A20 - 공공분양 249 - -
A21 - 공공분양 347 - -
B1 - 통합공공임대 / 공공분양 693 - -
B2 - 민간분양 281 - -
B3 - 공공분양 851 2033년 11월 -
B5 - 공공분양 457 2033년 12월 -
C1 - 민간분양 605 - -
C2 - 민간분양 786 - -
C3 - 민간임대 444 - -
D1 - 민간분양 106 - -
S1 - 공공분양 705 - -
S2 - 분양전환공공임대 414 - -
S4 - 분양전환공공임대 1,034 2035년 3월 -
S5 - 통합공공임대 / 민간분양[D] 1,033 - -
S6 - 통합공공임대 / 민간분양[D] 1,112 - -
S7 - 분양전환공공임대 603 - -
S8 - 통합공공임대 / 민간분양[D] 816 - -
S9 - 공공분양 1,722 2032년 12월 -
S10 - 분양전환공공임대 541 2031년 6월 -
S11 - 공공분양 1,198 2031년 3월 -

2.2. 교육

  • 유치원
    • 교산 제1유치원가칭
    • 교산 제2유치원가칭
    • 교산 제3유치원가칭
    • 교산 제4유치원가칭
    • 교산 제5유치원가칭
    • 교산 제6유치원가칭
    • 교산 제7유치원가칭
    • 교산 제8유치원가칭, 사립
  • 초등학교
    • 고골초등학교이전예정
    • 교산 제1초등학교가칭
    • 교산 제2초등학교가칭
    • 교산 제3초등학교가칭
    • 교산 제4초등학교가칭
    • 교산 제5초등학교가칭
    • 교산 제6초등학교가칭
  • 중학교
    • 교산 제1중학교가칭
    • 교산 제2중학교가칭
    • 교산 제3중학교가칭
    • 교산 제4중학교가칭
  • 고등학교
    • 남한고등학교이전예정
    • 교산 제1고등학교가칭
    • 교산 제2고등학교가칭
    • 교산 제3고등학교가칭

인근에 비슷한 규모로 지어진 미사강변도시보다 유치원은 3개 더 많고 중학교는 1곳 적게 계획되었다. 하남 원도심과 가까운 위치에 조성되는 신도시로 지구 내 계획된 학교들의 완공 전까지는 원도심으로 통학하는 경우가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미 원도심 내 기존 학교들도 정원을 채우고 있는 상황이라 과밀 학급이 발생할 가능성도 적지 않다.

2.3. 특별계획구역

2.3.1. 도시고원

파일:교산신도시 도시고원.jpg
파일:교산신도시 도시고원1.jpg
<colcolor=#fff> 도시고원 계획도
중부고속도로로 인해 끊겨 있는 북교산과 남교산을 이어주는 공원 및 상업단지. 대규모 상업단지이며 교산역이 들어설 가능성이 있는 위치이기도 하다. 40층 이상 규모의 랜드마크 타워가 계획 중이며 만약 지어진다면 하남시 최고층 마천루가 될 예정이다.

3. 교통

3.1. 철도 교통

2018년 12월 19일에 발표된 수도권 광역교통망 개선방안에 의거하여, 수도권 전철 3호선오금역에서 감일역춘궁역, 교산역, 신덕풍역을 거쳐, 수도권 전철 5호선(하남선)의 하남시청역까지 연장할 것으로 보인다.

2020년 5월 국토부에서 3호선 연장안을 대신한 송파 하남 도시철도를 대안 노선으로 제시하였으나, 이후 3기 신도시 교통분담금으로 사업비를 전액 분담하는 하남시의 강력한 요구로 인해 3호선 원안이 그대로 추진되는 것으로 현재 가닥이 잡혀가고 있다.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송파하남선으로 반영되었으며, 하남 감일 교산신도시 방향으로의 3호선 연장이 최종 확정되었다.

3.2. 버스 교통

하남시가지에서 송파구로 진출하는 길목에 있기 때문에 교산신도시 조성 전 시점임에도 예정지를 지나다니는 버스노선이 있다. 따라서 처음부터 버스 노선을 신설하거나 다른 곳을 경유하는 버스노선을 끌어와야했던 다른 신도시나 택지지구보다는 버스 교통이 양호할 전망. 잠실 방면으로는 30-5번, 위례 및 강남 방면으로는 9202번, 둔촌동 방면으로는 1번, 스타필드 방면으로는 100번을 이용하면 된다.

3.3. 도로 교통

4. 관련 문서


[A] 고령자 복지주택 (100호) 포함[A] [B] 학령자녀형[C] 역세권형[D] 민간 건설사가 주택을 건설하며 주택의 일부(조서상의 임대주택 호수 이상)를 공동 주택 사업자에게 매각하고, 공동주택 사업자는 해당주택을 공공임대주택으로 활용하는 민간분양 공공택지[D] [D] [백지화] 서울양평고속도로 사업 백지화로 인한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