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13 23:19:42

제22대 대통령 선거/대권주자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제22대 대통령 선거



1. 개요

2030년 3월 27일에 치러질 대한민국제22대 대통령 선거의 예상 대권주자 후보군을 다룬 문서.

2. 원내정당

2.1. 더불어민주당

2.1.1. 김경수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김경수/대권주자로서의 장단점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colbgcolor=#152484>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2(2024~).svg 김경수 (金慶洙)
파일:김경수 선관위 프로필.jpg
출생 1967년 12월 1일, 경상남도 고성군
현직 제2대 지방시대위원회 위원장
21대 대선 더불어민주당 경선 3위

만일 김경수 지방시대위원장이 22대 대통령으로 당선될 시 다음과 같은 타이틀을 얻게 된다.

2.1.2. 김동연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김동연/대권주자로서의 장단점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colbgcolor=#152484>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2(2024~).svg 김동연 (金東兗)
파일:기호3번_김동연_공보물_page0_image.png
출생 1957년 1월 28일, 충청북도 음성군
현직 제36대 경기도지사
20대 대선 사퇴 (새로운물결)[1]
21대 대선 더불어민주당 경선 2위

만일 김동연 경기지사가 22대 대통령으로 당선될 시 다음과 같은 타이틀을 얻게 된다.
  • 대통령 중심제에서의 최초의 충청도 출생 대통령
  • 이재명에 이은 두 번째 경기지사 출신 대통령
  • 이명박, 이재명에 이은 역대 3번째 민선 광역자치단체장 출신 대통령
  • 최초의 서경대학교 출신 대통령
  • 역대 4번째로 전임 대통령보다 나이가 많은 대통령[2]
  • 김대중, 김영삼 대통령에 이은 세번째 김씨 대통령

2.1.3. 김민석

<colbgcolor=#152484>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2(2024~).svg 김민석 (金民錫)
파일:100152475.jpg
출생 1964년 5월 29일,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현직 제49대 국무총리
17대 대선 민주당 경선 2위

민주당의 수석최고위원으로서 브레인 이미지로 민주당 지지층과 민주당원들의 큰 주목을 받았으며, 정권교체 후 이재명 정부의 초대 국무총리로 임명되었다. 임기 내에 심각한 사건사고가 일어나지 않는 이상 민주당 친명계 지지층의 유력한 대권주자가 될 가능성이 높다.

만일 김민석 국무총리가 22대 대통령으로 당선될 시 다음과 같은 타이틀을 얻게 된다.

2.1.4. 박용진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박용진/대권주자로서의 장단점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colbgcolor=#152484>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2(2024~).svg 박용진 (朴用鎭)
파일:박용진(더불어민주당).jpg
출생 1971년 4월 17일, 전라북도 장수군
현직 더불어민주당 당원
20대 대선 더불어민주당 경선 4위

만일 박용진 전 의원이 22대 대통령으로 당선될 시 다음과 같은 타이틀을 얻게 된다.
  • 최초의 전북특별자치도 출생 대통령
  • 최초의 1970년대생 대통령
  • 3번째 박씨 대통령[6]
  • 최초의 성균관대학교 출신 대통령

2.1.5. 이광재

<colbgcolor=#152484>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2(2024~).svg 이광재 (李光宰)
파일:100152869.jpg
출생 1965년 2월 28일, 강원도 평창군
현직 사람사는세상 노무현재단 이사
20대 대선 더불어민주당 경선 중도 사퇴

만일 이광재 전 강원지사가 22대 대통령으로 당선될 시 다음과 같은 타이틀을 얻게 된다.
  • 최초의 강원특별자치도지사 출신 대통령
  • 이명박, 이재명에 이은 역대 3번째 민선 광역자치단체장 출신 대통령
  • 최초의 연세대학교 출신 대통령
  • 네번째 이씨 대통령[7]

2.1.6. 정동영

<colbgcolor=#152484>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2(2024~).svg 정동영 (金慶洙)
파일:정동영 국회의원.png
출생 1953년 7월 27일, 전라북도 순창군
현직 제22대 통일부장관
17대 대선 본선 2위 (대통합민주신당)

만일 정동영 장관이 22대 대통령으로 당선될 시 다음과 같은 타이틀을 얻게 된다.
  • 최초의 정씨 대통령
  • 최초의 통일부장관 출신 대통령
  • 최초의 언론인 출신 대통령
  • 역대 4번째로 전임 대통령보다 나이가 많은 대통령[8]
  • 문재인, 이재명에 이어 두번째 대선 도전에 당선된 대통령
  • 역대 5번째로 대선에 재도전하여 당선된 대통령[9]
  • 대한민국의 최고령 대통령

2.1.7. 정청래

<colbgcolor=#152484>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2(2024~).svg 정청래 (鄭淸來)
파일:100152897.jpg
출생 1965년 5월 18일, 충청남도 금산군 진산면
현직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만일 정청래 대표가 22대 대통령으로 당선될 시 다음과 같은 타이틀을 얻게 된다.
  • 2번째 충청도 출생 대통령[10]
  • 문재인, 이재명에 이은 3번째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출신 대통령
  • 최초의 정씨 대통령
  • 최초의 건국대학교 출신 대통령
  • 최초의 법사위 출신 대통령

2.1.8. 추미애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추미애/대권주자로서의 장단점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colbgcolor=#152484>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2(2024~).svg 추미애 (秋美愛)
파일:추미애22대국회.jpg
출생 1958년 10월 23일, 경상북도 달성군[11]
현직 제22대 국회의원 (경기 하남 갑)
17대 대선 대통합민주신당 예비경선 컷오프
20대 대선 더불어민주당 경선 3위

만일 추미애 의원이 22대 대통령으로 당선될 시 다음과 같은 타이틀을 얻게 된다.
  • 민주당계 정당 최초의 여성 대통령[12]
  • 최초의 대통령 부군(서성환)의 탄생
  • 최초의 한양대학교 출신 대통령
  • 역대 두번째 TK 출신(대구 달성군) 민주당 대통령[13]
  • 문재인, 이재명에 이은 3번째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출신 대통령
  • 최초의 추씨 대통령
  • 역대 4번째로 전임 대통령보다 나이가 많은 대통령[14]
  • 최초의 법사위 출신 대통령

2.2. 국민의힘

2.2.1. 김문수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김문수/대권주자로서의 장단점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colbgcolor=#E61E2B> 파일:국민의힘 아이콘.svg 김문수 (金文洙)
파일:김문수_본후보프로필.jpg
출생 1951년 9월 27일, 경상북도 영천군 임고면[15]
현직 국민의힘 당원
18대 대선 새누리당 경선 2위
21대 대선 본선 2위 (41.15%, 국민의힘)

만일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장관이 22대 대통령으로 당선될 시 다음과 같은 타이틀을 얻게 된다.
  • 대한민국 최고령 대통령[16]
  • 이재명에 이은 역대 두 번째 경기지사 출신 대통령
  • 이명박, 이재명에 이은 역대 3번째 민선 광역자치단체장 출신 대통령
  • 보수정당 대선 후보들 중 대선 낙선 경험이 있는 상태로 재도전해서 당선된 최초의 대통령[17]
  • 역대 4번째로 전임 대통령보다 나이가 많은 대통령[18]
  • 김대중, 김영삼에 이은 세번째 김씨 대통령

2.2.2. 나경원

<colbgcolor=#E61E2B> 파일:국민의힘 아이콘.svg 나경원 (羅景垣)
파일:나경원2024전당대회.png
출생 1963년 12월 6일, 서울특별시 동작구
현직 제22대 국회의원 (서울 동작구 을)
21대 대선 국민의힘 1차 경선 탈락

만일 나경원 의원이 22대 대통령으로 당선될 시 다음과 같은 타이틀을 얻게 된다.
  • 최초의 나씨 대통령
  • 역대 4번째로 전임 대통령보다 나이가 많은 대통령[19][20]
  • 두번째 여성대통령[21]
  • 역대 두번째 판사 출신 대통령

2.2.3. 안철수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안철수/대권주자로서의 장단점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colbgcolor=#E61E2B> 파일:국민의힘 아이콘.svg 안철수 (安哲秀)
파일:안철수 공식 프로필.jpg
출생 1962년 2월 26일, 경상남도 부산시 부산진구[22]
현직 제22대 국회의원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갑)
18대 대선 최종 미등록 예비후보 (무소속)[23]
19대 대선 본선 3위 (21.41%, 국민의당)
20대 대선 사퇴 (국민의당)[24]
21대 대선 국민의힘 2차 경선 탈락

만일 안철수 의원이 22대 대통령으로 당선될 시 다음과 같은 타이틀을 얻게 된다.
  • 최초의 부산광역시 출생 대통령[25]
  • 최초의 안씨 대통령
  • 역대 4번째로 전임 대통령보다 나이가 많은 대통령[26]
  • 최초의 의료인 출신 대통령
  • 역대 5번째로 대선에 재도전하여 당선된 대통령[27]

2.2.4. 오세훈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오세훈/대권주자로서의 장단점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colbgcolor=#E61E2B> 파일:국민의힘 아이콘.svg 오세훈 (吳世勳)
파일:제39대 서울특별시장 오세훈.png
출생 1961년 1월 4일, 서울특별시 성동구 성수동
현직 서울특별시장

만일 오세훈 시장이 22대 대통령으로 당선될 시 다음과 같은 타이틀을 얻게 된다.
  • 이명박, 이재명에 이은 역대 3번째 민선 광역자치단체장 출신 대통령
  • 이명박, 윤보선에 이은 세번째 서울시장 출신 대통령
  • 이명박에 이은 두번째 고려대학교 출신 대통령
  • 최초의 오씨 대통령
  • 역대 4번째로 전임 대통령보다 나이가 많은 대통령[28]
  • 역대 대한민국 대통령 중 두 번째 서울 태생 대통령[29]
  • 최초의 학사장교 출신 대통령
  • 역대 대한민국 대통령 중 최장신인 대통령
  • 민주화 이후 대선에서 경선,본선을 포함하여 첫도전에서 바로 당선된 5번째 대통령[30]

2.2.5. 원희룡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원희룡/대권주자로서의 장단점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colbgcolor=#E61E2B> 파일:국민의힘 아이콘.svg 원희룡 (元喜龍)
파일:원희룡4차전대.png
출생 1964년 2월 14일, 제주도 남제주군[31]
현직 국민의힘 계양구 을 당협위원장
17대 대선 한나라당 경선 3위
20대 대선 국민의힘 경선 4위

만일 원희룡 전 제주지사가 22대 대통령으로 당선될 시 다음과 같은 타이틀을 얻게 된다.
  • 최초의 제주특별자치도 출생 대통령
  • 최초의 제주특별자치도지사 출신 대통령
  • 이명박, 이재명에 이은 역대 3번째 민선 광역자치단체장 출신 대통령
  • 최초의 원씨 대통령
  • 역대 두번째 검사 출신 대통령[32]
  • 윤석열에 이은 두번째 서울대 법대 출신 대통령

2.2.6. 유승민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유승민/대권주자로서의 장단점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colbgcolor=#E61E2B> 파일:국민의힘 아이콘.svg 유승민 (劉承旼)
파일:1614148006.jpg
출생 1958년 1월 7일, 경상북도 대구시[33]
현직 국민의힘 당원
19대 대선 본선 4위 (6.76%, 바른정당)
20대 대선 국민의힘 경선 3위

만일 유승민 전 의원이 22대 대통령으로 당선될 시 다음과 같은 타이틀을 얻게 된다.
  • 최초의 유씨 대통령
  • 역대 4번째로 전임 대통령보다 나이가 많은 대통령[34]

2.2.7. 장동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장동혁/대권주자로서의 장단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장동혁/대권주자로서의 장단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장동혁/대권주자로서의 장단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olbgcolor=#E61E2B> 파일:국민의힘 아이콘.svg 장동혁 (張東赫)
파일:장동혁22대국회.png
출생 1969년 6월 2일, 충청남도 보령군 웅천면 대창리
현직 국민의힘 당대표

만일 장동혁 당대표가 22대 대통령으로 당선될 시 다음과 같은 타이틀을 얻게 된다.
  • 윤보선 이후 두번째 충청도 출신 대통령
  • 박근혜 전 대통령에 이은 2번째 보수정당 당대표 출신 대통령[35]
  • 최초의 장씨 대통령
  • 노무현에 이은 두번째 판사 출신 대통령
  • 사법고시, 5급 행정고시, 재선 국회의원 출신으로 입법, 행정, 사법에서 모두 활동한 경력이 있는 대통령.
  • 윤보선, 김대중에 이어 세번째 유럽 대학원 출신 대통령[36]
  • 21세기 최초의 군인 출신 대통령이자 민주화 이후 두번째 군인 출신 대통령[37]

2.2.8. 한동훈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한동훈/대권주자로서의 장단점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colbgcolor=#E61E2B> 파일:국민의힘 아이콘.svg 한동훈(韓東勳)
파일:한동훈 프로필.png
출생 1973년 4월 9일, 서울특별시[38]
현직 국민의힘 당원
21대 대선 국민의힘 경선 2위 (43%)

만일 한동훈 전 대표가 22대 대통령으로 당선될 시 다음과 같은 타이틀을 얻게 된다.
  • 최초의 1970년대생 대통령
  • 박근혜 전 대통령에 이은 2번째 보수정당 당대표 출신 대통령[39]
  • 최초의 한씨 대통령
  • 최초의 법무부장관 출신 대통령
  • 역대 대한민국 대통령 중 두 번째 서울 태생 대통령[40]
  • 윤석열에 이은 두번째 검사 출신 대통령
  • 21세기 최초의 군인 출신 대통령이자 민주화 이후 두번째 군인 출신 대통령

2.3. 조국혁신당

2.3.1. 조국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조국/대권주자로서의 장단점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colbgcolor=#0073CF> 파일:조국혁신당 로고.svg 조국 (曺國)
파일:조국대표.jpg
출생 1965년 4월 6일, 부산직할시 서구 동대신동[41]
현직 조국혁신당 혁신정책연구원장

만일 조국 전 대표가 22대 대통령으로 당선될 시 다음과 같은 타이틀을 얻게 된다.
  • 최초의 부산광역시 출생 대통령
  • 최초의 조씨 대통령
  • 최초로 이름이 외자인 대통령
  • 최초의 법무부장관 출신 대통령
  • 역대 대한민국 대통령 중 최장신인 대통령[42]

2.4. 개혁신당

2.4.1. 이준석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이준석/대권주자로서의 장단점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colbgcolor=#ff7210> 파일:개혁신당 심볼(수정).svg 이준석 (李俊錫)
파일:이준석새프로필.jpg
출생 1985년 3월 31일, 서울특별시 성동구 성수동
현직 개혁신당 당대표
21대 대선 본선 3위 (8.34%, 개혁신당)

만일 이준석 당대표가 22대 대통령으로 당선될 시 다음과 같은 타이틀을 얻게 된다.
  • 최초의 1980년대생 대통령
  • 역대 대한민국 대통령 중 두 번째 서울 태생 대통령[43]
  • 역대 5번째로 대선에 재도전하여 당선된 대통령[44]
  • 대한민국 최연소 대통령[45]
  • 박근혜 대통령에 이은 두번째 보수정당 당대표 출신 대통령
  • 역대 대한민국 대통령 중 최초의 과학고 출신 대통령
  • 역대 대한민국 대통령 중 최초의 하버드 출신 대통령

3. 원외정당

3.1. 새미래민주당

3.1.1. 이낙연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이낙연/정치인으로서의 평가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colbgcolor=#51BDC5> 파일:새미래 민주당 로고.png 이낙연 (李洛淵)
파일:이낙연22대총선.jpg
출생 1952년 12월 20일, 전라남도 영광군
현직 새미래민주당 상임고문
20대 대선 더불어민주당 경선 2위
21대 대선 출마철회 (새미래민주당)[A]
만일 이낙연 전 총리가 22대 대통령으로 당선될 시 다음과 같은 타이틀을 얻게 된다.
  • 최초의 전라남도지사 출신 대통령
  • 이명박, 이재명에 이은 역대 3번째 민선 광역자치단체장 출신 대통령
  • 역대 4번째로 전임 대통령보다 나이가 많은 대통령[47]
  • 민주화 이후 최초의 국무총리 출신 대통령[48]
  • 세 번째 서울대학교 출신 대통령[49]
  • 문재인, 이재명에 이은 3번째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출신 대통령
  • 대한민국 최고령 대통령[50]

3.2. 자유와혁신

3.2.1. 황교안

<colbgcolor=#051c4c> 파일:자유와혁신 아이콘.jpg 황교안 (黃敎安)
파일:황교안2025.jpg
출생 1957년 4월 15일,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계동
현직 자유와혁신 당대표
20대 대선 국민의힘 경선 2차 컷오프
21대 대선 사퇴 (무소속)[A]

만일 황교안 전 총리가 22대 대통령으로 당선될 시 다음과 같은 타이틀을 얻게 된다.
  • 역대 대한민국 대통령 중 두 번째 서울 태생 대통령[52]
  • 역대 4번째로 전임 대통령보다 나이가 많은 대통령[53]
  • 박근혜 전 대통령에 이은 2번째 보수정당 당대표 출신 대통령[54]
  • 최초의 황씨 대통령
  • 최초의 성균관대학교 출신 대통령
  • 민주화 이후 최초의 국무총리 출신 대통령[55]
  • 최초의 극우정당 출신 대통령
  • 최초의 법무부장관 출신 대통령
  • 윤석열에 이은 두번째 검사 출신 대통령

3.3. 정의당

3.3.1. 권영국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권영국/대권주자로서의 장단점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colbgcolor=#FFED00> 파일:정의당 V 로고.png 권영국 (權英國)
파일:권영국후보공식.jpg
출생 1963년 8월 15일, 강원도 삼척군 장성읍[56]
현직 정의당 당대표
21대 대선 본선 4위 (0.98%, 민주노동당)

만일 권영국 대표가 22대 대통령으로 당선될 시 다음과 같은 타이틀을 얻게 된다.
  • 역대 4번째로 전임 대통령보다 나이가 많은 대통령[57]
  • 최초의 권씨 대통령
  • 최초의 진보정당 출신 대통령

3.4. 자유통일당

3.4.1. 구주와

<colbgcolor=#0958A7> 파일:자유통일당(2022년) 로고 심볼만.png 구주와 (丘주와)
파일:구주와2025.jpg
출생 1980년 1월 23일, 서울특별시
현직 자유통일당 최고위원
21대 대선 사퇴 (자유통일당)[A]
만일 구주와 최고위원이 22대 대통령으로 당선될 시 다음과 같은 타이틀을 얻게 된다.
  • 최초의 구씨 대통령
  • 최초의 80년대생 대통령
  • 최초의 극우 정당 출신 대통령

[1]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와 단일화[2] 첫번째는 전임 노태우 전 대통령보다 나이가 많은 후임 김영삼 전 대통령, 두번째는 전임 김영삼 전 대통령보다 나이가 많은 후임 김대중 전 대통령, 세번째는 전임 노무현 전 대통령보다 나이가 많은 후임 이명박 전 대통령이다.[3] 최초 서울 태생은 윤석열이다.[4] 김영삼, 윤석열에 이은 세 번째.[5] 민주화 이전까지 포함하면 최규하에 이어 두 번째.[6] 박정희, 박근혜[7] 이승만, 이명박, 이재명[8] 첫번째는 전임 노태우 전 대통령보다 나이가 많은 후임 김영삼 전 대통령, 두번째는 전임 김영삼 전 대통령보다 나이가 많은 후임 김대중 전 대통령, 세번째는 전임 노무현 전 대통령보다 나이가 많은 후임 이명박 전 대통령이다.[9] 김영삼, 김대중, 문재인, 이재명에 이은 기록.[10] 최초의 충청도 출신 대통령은 윤보선.[11] 현 대구광역시 달성군[12] 최초의 여성 대통령은 박근혜 전 대통령이다.[13] 최초는 이재명(경북 안동)[14] 첫번째는 전임 노태우 전 대통령보다 나이가 많은 후임 김영삼 전 대통령, 두번째는 전임 김영삼 전 대통령보다 나이가 많은 후임 김대중 전 대통령, 세번째는 전임 노무현 전 대통령보다 나이가 많은 후임 이명박 전 대통령이다.[15] 現 경상북도 영천시 임고면[16] 2030년 22대 대통령에 취임할 시 나이는 78세로 현재 최고령 대통령인 김대중 전 대통령(74세)의 기록을 뛰어넘는다.[17] 이회창은 15대 대선에서 낙선하고 16·17대 대선에 재도전해 모두 본선 낙선했으며, 홍준표는 19대 대선에서 낙선하고 20·21대 대선에 재도전해 모두 경선 낙선하였다.[18] 첫번째는 전임 노태우 전 대통령보다 나이가 많은 후임 김영삼 전 대통령, 두번째는 전임 김영삼 전 대통령보다 나이가 많은 후임 김대중 전 대통령, 세번째는 전임 노무현 전 대통령보다 나이가 많은 후임 이명박 전 대통령이다.[19] 첫번째는 전임 노태우 전 대통령보다 나이가 많은 후임 김영삼 전 대통령, 두번째는 전임 김영삼 전 대통령보다 나이가 많은 후임 김대중 전 대통령, 세번째는 전임 노무현 전 대통령보다 나이가 많은 후임 이명박 전 대통령이다.[20] 현직 대통령인 이재명의 생년월일은 1963년 12월 8일로 나경원이 2일 더 빠르게 태어났다.[21] 첫번째 여성 대통령은 박근혜이다.[22]부산광역시 부산진구[23]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와 단일화[24]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와 단일화[25] 다만, 안철수가 태어났을 때에는 부산시가 경상남도 소속이었다.[26] 첫번째는 전임 노태우 전 대통령보다 나이가 많은 후임 김영삼 전 대통령, 두번째는 전임 김영삼 전 대통령보다 나이가 많은 후임 김대중 전 대통령, 세번째는 전임 노무현 전 대통령보다 나이가 많은 후임 이명박 전 대통령이다.[27] 역대 대통령들 중 대선에 재도전하여 당선된 대통령은 김영삼,김대중,문재인,이재명이다. 이 중 김대중은 4수 끝에 당선되었다[28] 첫번째는 전임 노태우 전 대통령보다 나이가 많은 후임 김영삼 전 대통령, 두번째는 전임 김영삼 전 대통령보다 나이가 많은 후임 김대중 전 대통령, 세번째는 전임 노무현 전 대통령보다 나이가 많은 후임 이명박 전 대통령이다.[29] 최초 서울 태생은 윤석열이다.[30] 김영삼,문재인 전 대통령과 이재명 대통령은 대권 재수 끝에 당선, 김대중 전 대통령은 대권 4수 끝에 당선, 박근혜 전 대통령은 17대 대선에서 경선 탈락 하였다. 첫도전에 바로 당선된 대통령은 노태우,노무현,이명박,윤석열 전 대통령뿐이다.[31] 현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32] 최초의 검사 출신 대통령은 윤석열[33] 현 대구광역시 중구[34] 첫번째는 전임 노태우 전 대통령보다 나이가 많은 후임 김영삼 전 대통령, 두번째는 전임 김영삼 전 대통령보다 나이가 많은 후임 김대중 전 대통령, 세번째는 전임 노무현 전 대통령보다 나이가 많은 후임 이명박 전 대통령이다.[35] 박근혜 전 대통령은 한나라당에서 대표를 역임했었고 장동혁 대표는 국민의힘에서 대표를 역임중이다.[36] 윤보선은 스코틀랜드 에든버러 대학교, 김대중은 러시아 연방 외교 아카데미, 장동혁은 벨기에 루뱅 가톨릭 대학교.[37] 전두환, 박정희까지 포함할경우 네번째다.[38] 출처 #[39] 박근혜 전 대통령은 한나라당에서 대표를 역임했었고 한동훈 전 대표는 국민의힘에서 대표를 역임했었다.[40] 최초 서울 태생은 윤석열이다.[41]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동[42] 역대 대통령은 전부 180cm를 넘지 않았다. 역대 최단신은 156cm로 추정되는 박정희, 역대 최장신은 178cm의 최규하, 노태우, 윤석열.[43] 최초는 윤석열.[44] 김영삼, 김대중, 문재인, 이재명에 이은 기록.[45] 2030년에 당선될 시에 나이는 45세. 현재 최연소 대통령인 박정희의 5대 취임 당시 나이인 46세보다 적은 나이에 취임하게 된다.[A] 김문수 후보 지지선언[47] 첫번째는 전임 노태우 전 대통령보다 나이가 많은 후임 김영삼 전 대통령, 두번째는 전임 김영삼 전 대통령보다 나이가 많은 후임 김대중 전 대통령, 세번째는 전임 노무현 전 대통령보다 나이가 많은 후임 이명박 전 대통령이다.[48] 민주화를 제외하면 최규하에 이어 두번째[49] 김영삼, 윤석열에 이은 세 번째.[50] 2030년 22대 대통령에 취임할 시 나이는 77세로 현재 최고령 대통령인 김대중 전 대통령(74세)의 기록을 뛰어넘는다.[A] [52] 최초 서울 태생은 윤석열이다.[53] 첫번째는 전임 노태우 전 대통령보다 나이가 많은 후임 김영삼 전 대통령, 두번째는 전임 김영삼 전 대통령보다 나이가 많은 후임 김대중 전 대통령, 세번째는 전임 노무현 전 대통령보다 나이가 많은 후임 이명박 전 대통령이다.[54] 박근혜 전 대통령은 한나라당에서 대표를 역임했었고 황교안 전 총리는 미래통합당에서 대표를 역임했었다.[55] 민주화를 제외하면 최규하에 이어 두번째[56] 현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부친은 광부였다. 다만, 유년시기를 제외하고 실질적으로는 포항시-경주시에 적을 두고 있다.[57] 첫번째는 전임 노태우 전 대통령보다 나이가 많은 후임 김영삼 전 대통령, 두번째는 전임 김영삼 전 대통령보다 나이가 많은 후임 김대중 전 대통령, 세번째는 전임 노무현 전 대통령보다 나이가 많은 후임 이명박 전 대통령이다.[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