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문서: 롯데백화점/점포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점포 | ||
본점 에비뉴엘 | 잠실점 에비뉴엘 캐슬플라자 | 부산본점 에비뉴엘 | |
강남점 | 건대스타시티점 | 관악점 | |
김포공항점 | 노원점 | 미아점 | |
영등포점 | 청량리점 | 인천점 | |
동탄점 | 구리점 | 분당점 | |
안산점 | 일산점 | 중동점 | |
평촌점 | 광복점 | 광주점 | |
대구점 | 대전점 | 동래점 | |
상인점 | 센텀시티점 | 울산점 | |
전주점 | 창원점 | 포항점 | |
개별 문서가 있는 폐점된 점포 | |||
구 인천점 | 마산점 | ||
개점 준비 중인 점포 | |||
롯데백화점 상암DMC | |||
관련 문서 | |||
Song for you project | 오떼르 | 황범석 |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E5007F> | }}} | |
{{{#!wiki style="color: #000,#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부산광역시 소재 백화점 | ||
롯데백화점 | 부산본점 (에비뉴엘 부산본점) · 광복점 · 동래점 · 센텀시티점 | ||
신세계백화점 | 센텀시티점 | ||
현대백화점 | 커넥트현대 부산 · | ||
NC백화점 | 부산대점 · 해운대점 · | ||
갤러리아백화점 | | ||
AK플라자 | | ||
파라디아 | | ||
부산광역시 소재 면세점 | |||
롯데면세점 | 부산점 · 김해공항점(출국장) | ||
신세계면세점 | 부산점 · | ||
부산면세점 | 용두산점 · 부산항점 | ||
경복궁면세점 | 김해국제공항점(입국장) | ||
듀프리토마스쥴리 면세점 | | ||
파라다이스 면세점 | | ||
부산광역시 소재 아울렛 | |||
롯데프리미엄아울렛 | 동부산점 | ||
롯데팩토리아울렛 | | ||
신세계프리미엄아울렛 | 부산점 | ||
신세계팩토리스토어 | 기장점 · 센텀점 | ||
현대프리미엄아울렛 | | ||
뉴코아아울렛 | 괴정점 · 덕천점 | ||
세이브존 | 해운대점 | ||
세정아울렛 | 부산점 | ||
대동아울렛 | | ||
애플아울렛 | 애플아울렛 | ||
기타 | 힐탑프리미엄아울렛 · 해운대로데오아울렛 | ||
부산광역시 소재 복합쇼핑몰 | |||
롯데몰 | 광복점 · 동부산 (메종 동부산) | ||
타임빌라스 | | ||
신세계몰 | 신세계 센텀시티 몰 | ||
스타필드시티 | 명지 · | ||
엔터식스 | | ||
밀리오레 | | ||
KT&G 상상마당 | 부산(문화) | ||
와이즈파크 | 광복점 | ||
아트몰링 | 하단점 | ||
부산국제금융센터 복합쇼핑몰 | BIFC 몰 | ||
IFC 부산(문화) | |||
| |||
기타 주요 복합쇼핑몰 | 쥬디스태화 (쥬디스패션몰) | ||
삼정타워(문화) | |||
르네시떼 | |||
더 세븐 | |||
기타 폐점한 복합쇼핑몰 | | ||
부산광역시 소재 주상복합 쇼핑몰(총면적 20000㎡ 이상) | |||
W스퀘어 | 용호동 W스퀘어 | ||
엘시티 더 몰 | 해운대 엘시티 더 몰 | ||
더샵 센트럴스퀘어 | 서면 더샵 센트럴스퀘어 | ||
이진베이시티 스퀘어 | 송도 이진베이시티 스퀘어 | ||
제니스 스퀘어 | 해운대 두산 제니스 스퀘어 | ||
기타 | 삼한골든뷰 센트럴파크 스퀘어 · 해운대 아이파크 상가 · 동일타워 상가 · | ||
부산광역시 소재 전문쇼핑몰 | |||
이케아 | 동부산점 | ||
올랜드아울렛 | | ||
기타 | 모두팡아울렛(가전가구) · 원파크(자동차) | ||
부산광역시 소재 창고형 대형 할인점 | |||
코스트코 | 부산점 | ||
트레이더스 홀세일 클럽 | 서면점 · 명지점 · 연산점 | ||
부산광역시 소재 대형 할인점 | |||
이마트 | 금정점 · 문현점 · 사상점 · | ||
홈플러스 | | ||
롯데마트 | 광복점 · | ||
메가마트 | 기장점 · | ||
탑마트 | 신평점 | ||
하나로마트 | 부산점 · 부전점 · 자갈치점 | ||
부산광역시 소재 지하상가 | |||
부산시설공단 지하상가 | 서면지하도상가(서면몰·부전몰·중앙몰) · 부산역지하쇼핑센터 · 남포지하쇼핑센터 · 광복지하쇼핑센터 · 국제지하쇼핑센터 | ||
기타 지하상가 | 덕천지하상가 · 수영지하상가(하우위몰) · 씨라이프 부산 아쿠아리움 지하상가 | ||
(폐): 폐점된 점포 | (재): 폐점되었으나 추후 재입점 예정인 점포 | (예): 폐점 예정인 점포 | (상): 쇼핑 시설의 기능이 상실된 점포 | (무산): 입점 계획이 취소되거나 개점이 무산된 점포 | (문화): 문화시설을 겸하는 점포 | (20XX): 해당연도에 개점 예정인 점포 |
<colbgcolor=#877669><colcolor=#fff> 롯데백화점 부산본점 (1995) | |
연계역 | 서면역 |
개점일 | 1995년 12월 18일[1] |
휴무일 | 설, 추석 당일 |
영업 시간 | 정상영업(월~목) - 10:30 ~ 20:00 연장영업(금~일, 공휴일) - 10:30 ~ 20:30 식당가영업 - 10:30 ~ 20:30 (연장시 ~21:00) |
시공 | 롯데건설 |
소유 | 롯데쇼핑 |
지점장 | 김상우 |
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가야대로 772 (부전동) |
링크 | |
[문화][A][W][M] |
[clearfix]
1. 개요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에 위치한 롯데백화점의 지점.[6]2. 상세
부산 중심 번화가이자 1호선과 2호선의 환승역인 서면역 인근에 위치하여 유동 인구도 많다. 심지어 1996년부터 1999년까지는 부산 롯데월드 스카이프라자라는 놀이공원도 운영했다.[7] 매출도 한국 백화점 매출 순위 10위권에 항상 들어갈 정도로 높다. 롯데백화점이 업계에서 독보적 아성을 갖고 있던 2005년에는 본점, 잠실점에 이어 전국 매출 3위, 한때는 전국 매출 2위까지 올라갔던 적도 있었다. 대규모 리모델링 및 증축 이후 규모도 커져서 2021년 8월 기준 전국에서 여덟 번째로 큰 대형 백화점이다.부산광역시, 더 나아가 비수도권 최대 번화가인 서면 일대를 꽉 잡고 있는 고급 백화점이며[8] 대규모 주거지가 많은 부산진구에 위치하고 있고 남구, 동구, 수영구, 연제구, 동래구 등과도 가깝고 사상구, 사하구, 북구, 강서구 등 서부산권이나 김해, 창원, 양산 등 일부 경남권 명품 수요를 담당하고 있어서[9] 여전히 매출은 전국 10위권에 속할 정도로 잘 나온다.
에비뉴엘이 정식으로 입점하면서 명품 및 해외 패션 브랜드 라인업도 강화했다. 현대백화점그룹 계열사 한섬에서 판권을 갖고 있는 랑방, 신세계인터내셔날에서 전개하는 끌로에, 메종 마르지엘라, 산타 마리아 노벨라, 딥티크, 브루넬로 쿠치넬리 등을 비롯하여 알렉산더 맥퀸, 토즈, 지미 추, 리모와 등 여러 브랜드들의 유치에 성공했다.[10] 이외에도 사실상 1층에 해당하는 M1층 일부를 남성 명품관으로 조성했는데 이때 휴고 보스, 에르메네질도 제냐 등 남성 명품 브랜드가 입점했다. 이후 부산광역시는 물론 지방 최초로 벨루티, 구찌와 루이 비통의 남성 단독 매장을 유치하는 데 성공했으며 대한민국에서 유일한 로에베 남성 RTW(기성복) 판매 매장도 입점했다. 2019년에는 에르메스 퍼퓸 부티크가 입점했다.[11] 2020년에는 신세계백화점 센텀시티점에서 철수한 피아제를 유치하는데 성공했다. 구찌와 크리스챤 디올의 경우 매장 리뉴얼로 여성 RTW(기성복)까지 전개하기 시작했다. 2021년에는 프라다 남성 단독 매장을 지방 최초로 유치하고[12], 신세계인터네셔널이 수입하는 아미와 메종키츠네의 유치에도 성공했다.
3. 역사
부산본점[13]이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롯데백화점의 첫 비수도권 점포로 엄청난 공을 들인 백화점이다. 실질적인 출점 계획은 내부적으로는 1979년 12월 서울 본점이 개점한 직후 바로 세워졌고 1985년 중 개점을 목표로 하고 있었다. 1980년 9월 부지 조사 결과 중구 중앙동 남포역 근처에 있던 옛 부산시청사[14] 그리고 서면에 있던 옛 부산상고 부지가 후보군으로 선정되었고 1982년 3월 출점 계획이 외부에 알려진 후 1984년 6월 호텔롯데가 관광호텔 건설을 위한 외자도입 허가를 받은 후 동년 11월 옛 부산상고 자리에 부지 매매계약을 체결하였으나[15] 부산상고 이전이 예정보다 훨씬 늦어지는 바람에 본격적인 공사는 1992년 7월에 시작했고 3년 5개월만인 1995년 12월에 개점했다. 사실상 개점하기까지 16년이 걸린 셈이다.[16]리모델링 이전의 롯데백화점 부산본점 |
심지어 1996년부터 1999년까지는 부산 롯데월드 스카이프라자라는 놀이공원도 운영했지만 안전 문제로 인해 철거되고 현재는 롯데시네마가 입점했다.
2014년에는 현재는 에비뉴엘관 지하1층인 롯데호텔 부산 쪽 아케이드를 명품관과 식품관 등 매장으로 확장했지만 큰 매출 반등이 없자 분수효과로 매출을 증대시키기 위해 필사적인 매장 동선을 만들었다.[17] 지하상가는 서면역 근처에 위치한 지하상가로 1997년 12월 개장했다. 부산 도시철도 2호선 2단계 공사 착공에 맞추어 롯데쇼핑에서 건설하여 부산에 기부 채납 계약 후 임대를 받아 개장했다. 2017년 운영권을 부산이 넘겨받아 '서면지하도상가 중앙몰'로 명칭이 개칭되었다. 기존 입주자를 내보내고 유니클로와 크리스피 크림 도넛 등 자사와 연계된 브랜드를 많이 입점시켰는데, 식당가도 스타벅스, 던킨도너츠, 배스킨라빈스 등을 다 몰아내고 자사의 미투 브랜드(엔제리너스, 나뚜루, 크리스피 크림 도넛, TGI프라이데이)로 점령했다. 롯데 독과점 체제 때는 사은품 안 주려는 잦은 합산군 꼼수와 지역 사회 환원, 지방세 문제 등으로 안티가 늘어났다고 한다.
현재의 롯데백화점 부산본점 |
게다가 2017년 9월에 대규모 증축 및 리뉴얼 작업을 마치고 정식 재개장했다. 그간 서울에만 있던 롯데백화점의 명품 특화 점포인 에비뉴엘을 정식으로 입점시켰다.[18] 지상 주차장 부지에 건물을 증축하여 매장을 확장했고 건물 외부도 새롭게 리모델링했다. 이 리뉴얼 덕분에 그동안 비판받았던 롯데백화점 특유의 빡빡한 매장 구성과 동선, 답답한 분위기 등의 문제점을 해결했다. 신축한 공간에 휴게 문화 공간을 조성했고, 지하 식품관을 '푸드 에비뉴'로 고급스럽게 리뉴얼했다. 에비츄 카페, 레고 스토어, 미니소를 비롯하여 7층에는 체험형 스트리트 매장 빌리지 세븐[19]을 조성하여 푸드트럭 컨셉의 음식점, 공방, 소품 판매점 등 젊은 소비자들도 유치하기 위해 노력했다.[20]
2024년 8월 이후로 기존 브랜드들의 배치를 바꾸는 대규모 리뉴얼 작업에 들어갔는데, 5층 스포츠 브랜드 층에 위치해있던 골프웨어를 4층 남성관으로 옮기는 층간 이동을 가장 먼저 시작하였다.
4. 매출
<rowcolor=#fff> 연도 | 순위 | 연 매출 | 신장률 |
<colbgcolor=#877669><colcolor=#fff> 2016년 | 5위 | 8,996억원 | -0.6% |
2017년 | 5위 | 8,981억원 | -0.2% |
2018년 | 5위 | 9,592억원 | 6.8% |
2019년 | 5위 | 1조 73억원 | 5.5% |
2020년 | 6위 | 9,283억원 | -7.8% |
2021년 | 9위 | 1조 725억원 | 15.5% |
2022년 | 10위 | 1조 2,214억원 | 13.9% |
2023년 | 8위 | 1조 2,091억원 | -1.0% |
2009년에 신세계백화점 센텀시티점이 개점하면서 매출 순위는 조금씩 하락했지만 2019년에는 개점 이후 처음으로 연 매출 1조 원을 돌파했다. 때문에 롯데쇼핑 측에서도 본점, 잠실점과 함께 1급 점포로 관리하는 롯데백화점의 핵심 점포 중 하나이며, 신세계백화점 센텀시티점의 직접적인 경쟁 상대다.
2018년에는 대규모 확장 리뉴얼과 명품 브랜드 보강으로 인해 매출 반등에 성공하며, 9,592억 원의 연 매출을 올렸다. 2019년에는 드디어 연 매출 1조 원을 기록하는데 성공했다. 서울특별시 이외의 지역에서는 신세계백화점 센텀시티점에 이어 2번째로 연 매출 1조 원을 돌파했으며, 전국에서는 5번째로 연 매출 1조 원을 기록한 백화점이 되었다.
2020년에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대유행으로 서면의 외국인 관광객 및 유동 인구가 감소하면서 -7.8% 역신장을 기록한 연 매출 9,283억 원을 올렸지만 2021년에 곧바로 명품 브랜드 추가 유치 및 보복 소비 트렌드로 12월 9일에 다시 연 매출 1조 원을 돌파했다.
5. 입점 브랜드
5.1. 본관
||<table align=center><tablewidth=700><table bordercolor=#877669><table bgcolor=#fff,#1f2023><colbgcolor=#877669><colcolor=#fff><width=20%> 11F || 문화센터 | 샤롯데가든 ||
10F | 롯데시네마 | 샤롯데가든 |
9F | 식당가 | 삼성 | 애플, 앙츠 | 엘아레나 | 롯데카드 |
8F | 면세점 |
7F | 영스트릿 | 사은행사장 |
6F | 가정용품 | 가전 | 아동·유아 |
5F | 아웃도어 | 골프 | 스포츠 |
4F | 남성패션 |
3F | 여성패션 | 구두 |
2F | 여성캐주얼 | 란제리 |
1F | 화장품 | 해외패션 |
B1 | 델리 | 패션잡화 | 핸드백 | 점행사장 | el SCALA |
B2 | 식품관 | 푸드에비뉴 |
B3 | 주차장 |
B4 | 주차장 |
B5 | 주차장 |
본관의 지하 2층은 푸드 마켓과 팝업 형식으로 간단한 베이커리나 분식 등을 판매하고 있는 매장이 중심에 있고 식당가와 함께 음식을 먹을수 있는 공간인 el SCALA가 위치하고 있다. 지하1층까지 식당가가 연결되어 있는데 지하1층은 면적이 상당히 넓으며, 식당가와 잡화류, 이벤트홀, 주얼리 판매 매장이 모두 지하1층에 모여있는 구성이다.
본관 1층은 여러 명품 브랜드들과 고급 화장품 브랜드들이 입점되어 있다.
3대 명품 브랜드 중 하나인 루이 비통을 비롯하여[21] 크리스챤 디올[22], 프라다, 몽클레르, 구찌, 생 로랑[23], 버버리, 토즈, 페라가모, 미우미우, 발렌티노, 생 로랑, 토리버치, TUMI 등의 명품 패션 브랜드가 본관에 입점했다. MCM도 입점되어 있기는 하지만 백화점 밖도 아닌 안도 아닌 애매한곳에 위치해 있는데, 백화점 정문쪽 매장 문 밖 로비에 있는 엘리베이터 홀에 MCM 매장이 있다. 이외에도 입점 기준이 까다로운 롤렉스가 입점되어 있고 티파니앤코, 피아제[24], 몽블랑, IWC, 오메가, 예거 르쿨트르, 파네라이, 까르띠에[25] 등 고급 귀금속 및 시계 브랜드가 입점되어 있다.
화장품 브랜드 역시 수준급의 구성을 보여준다. 주요 브랜드로는 톰포드 뷰티, 지방시 뷰티, 에르메스 뷰티, 샤넬, 디올, 생 로랑, 구찌 뷰티, BYREDO, 조 말론, 아쿠아 디 파르마, 딥티크, 트루동, 겔랑, 에스티로더, 록시땅, 키엘, 시슬리, SK-II, 바비브라운, 라메르, 시세이도, 아워글래스 등 여러 유명 브랜드 및 니치 향수 브랜드가 입점했다.
8층에는 롯데면세점 부산점이 위치해 있으며, 9층에는 식당가와 함께 대형 휴게 공간인 el 아레나가 위치하고 있다.
본관에 운영 중인 VIP 라운지는 2곳이 있는데 2층에 에비뉴엘 에메랄드(구 LENITH) 등급의 라운지가 있고, 3층에 에비뉴엘 오렌지(구 MVG A) 등급의 라운지가 있다. 에비뉴엘 그린(구 VIP/VIP+) 등급이 이용 가능한 에비뉴엘 바가 4층에 위치해 있고 4층 에비뉴엘 바의 옆쪽 공간으로는 음료를 마실 수 있는 테이블이 있다. 2024년에는 VIP 고객 수가 워낙 많아서 그런지 본관 3층에도 있었던 에비뉴엘 바를 없애고 6월부터 에비뉴엘 에메랄드 라운지를 추가로 신설하고 있다.
5.2. 에비뉴엘
||<table align=center><tablewidth=700><table bordercolor=#877669><table bgcolor=#fff,#1f2023><colbgcolor=#877669><colcolor=#fff><width=20%> M3 || 주차장 ||
2F | 해외슈즈ㆍ패션 |
1F | 해외시계ㆍ보석 |
MF | 해외명품 |
GF | 무인양품 | 플레이타임 챔피언 |
롯데백화점의 명품 특화 점포인 에비뉴엘이 정식으로 입점하면서, 전국적으로 손꼽히는 고급 백화점으로 성장했다.
루이 비통 맨즈[26]와 구찌 맨즈, 지방시 맨즈, 프라다 워모[27], 버버리 맨즈, 벨루티, 제냐, 톰 브라운, 듀퐁, 아메데오 테스토니 등 남성 명품관이 에비뉴엘 지하 1층에 있다. 루이 비통 맨즈나 구찌 맨즈, 벨루티, 프라다 워모 등은 경쟁 점포인 신세계 센텀시티점보다 먼저 입점시키면서 한때 남성 럭셔리 부분에서는 신세계 센텀시티점을 앞서나가기도 했다.
이외에도 에비뉴엘관 지하 1층에 다수의 명품 브랜드들이 있는데, 원래 본관에 있었던 펜디와 보테가 베네타가 에비뉴엘관 B1으로 이동했고 로로피아나[28], 브루넬로 쿠치넬리, 발렌시아가, 발망, 캐나다구스, 로에베, 롱샴, 베르사체, 에트로, 돌체 앤 가바나, 막스 마라, 리모와, 이세이 미야케, 비비안 웨스트우드, 플리츠 플리즈, 휴고 보스, 에르마노 설비노 등의 명품 브랜드가 입점되어 있고 2024년 11월 말부터 오프 화이트[29] 임시 매장이 입점되어 있다.
이외에도 스톤 아일랜드, 골든구스, 닐 바렛, 꼼데가르송 포켓, 아미 등 컨템포러리 패션 브랜드들도 에비뉴엘 B1에 입점되어 있다.
럭셔리 주얼리/워치 브랜드들은 에비뉴엘관 1층에 모여 있는데, 불가리, 타사키, 태그호이어, 위블로, 튜더, 브라이틀링, 쇼파드, 론진, 브레게 등이 입점되어 있다. 2020년 7월에는 명품 주얼리 브랜드인 다미아니를 에비뉴엘 1층에 부산 지역 최초로 입점시켰다. 1층에는 주얼리 브랜드 외에도 콜롬보[30], 끌로에, 멀버리, CH캐롤리나 헤레라, 파비아나 필리피, 알렉산더 왕, 겐조와 네스프레소 부티끄가 입점되어 있다.
2층은 디자이너 패션 브랜드들과 고급 패딩 브랜드들이 주로 입점되어 있다. 릭오웬스, 마놀로 블라닉, 배리, 헬렌 카민스키, 오일릴리, 로레나 안토니아찌, 마크 제이콥스, 모스키노 등과 노비스, 듀베티카, 파라점퍼스, 맥케이지 등 패딩 브랜드들의 매장이 있다.
발렉스트라[31], 코치, 조르지오 아르마니, 엠포리오 아르마니, 부쉐론, 알렉산더 맥퀸, 던힐, 라르디니, 스텔라 맥카트니, 드리스 반 노튼, 아이그너, 랑방, 메종 마르지엘라, MSGM, N˚21, 지미 추, 레오나드[32], 발리 등도 있었으나 대부분 매출 부진으로 철수했다.
3대 명품 브랜드 중 나머지 두 브랜드인 샤넬과 에르메스가 입점하지 않은 점은 신세계백화점 센텀시티점과 비교했을 때 가장 아쉬운 부분이다. 다만 지금의 명품 라인업도 충분히 상급 점포에 속하고 마놀로 블라닉, 베르사체, 쇼파드, 론진 등 롯데백화점 부산본점에만 입점한 명품 브랜드들도 있다. 그리고 롯데백화점 부산본점의 매출과 매장 면적은 향후 샤넬과 에르메스의 유치 가능성이 있는 정도이기도 하다.
에비뉴엘관은 지하1층의 경우 무인양풍과 실내 놀이터로 영업 중이라 장기적으로 보면 실내 놀이터와 무인양풍은 윗층으로 보낸 후 지하1층에 명품 브랜드를 추가로 입점시킬수도 있으며, 팝업 형태의 매장도 꽤 있고 지금 당장 퇴점해도 이상하지 않을 정도로 수요가 저조한 브랜드들도 구석구석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향후 새로운 브랜드의 입점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틀린 말은 아닌 것이 실제로 몽클레르, 구찌, 크리스챤 디올과 인접해있는 꽤나 좋은 위치에 매장이 있던 코치가 퇴점하고 그 자리를 구찌 여성 RTW 매장을 입점시켰다. 2020년에는 페라가모의 매장을 이전하고, 그 자리에 크리스챤 디올의 여성 RTW 매장이 입점했다. 2021년 4월에는 조르지오 아르마니와 엠포리오 아르마니를 퇴점시키고 생 로랑의 복합 매장과 톰 브라운의 남성 매장이 입점했다.
여담으로 샤넬과 에르메스가 롯데백화점 부산본점에 입점했을 뻔한 기회가 있었다. 원래는 파라다이스 호텔에서 운영하던 명품관 파라디아에 이들 브랜드들의 부티크가 있었다. 이후 파라디아 명품관이 폐점하면서 롯데백화점 부산본점에 입점하려고 했으나 현대백화점 부산점이 인테리어 비용을 전액 부담하는 조건을 제시하면서 무산되었다.
에비뉴엘관에는 VIP 라운지도 4곳이 운영 중인데 지하 1층에 에비뉴엘 오렌지(구 MVG A), 구매실적 7,000만원 이상 에비뉴엘 퍼플(구 MVG P), 에비뉴엘 블랙(구 AVENUEL) 등급의 라운지가 있고, 2층에는 구매실적 5,000만원 이상 에비뉴엘 퍼플(구 MVG C) 라운지가 있다.
6. 여담
- 롯데백화점 부산본점 발렛파킹 구역 바로 뒤쪽에는 포장마차들이 들어서 있는데 개점 초기부터 존재했다고 한다.
- 건물 바로 앞에 스웨덴 참전 기념비가 있다.
- 서면역과 지하상가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지하상가는 롯데에서 운영하였으나 현재는 기간이 만료되어 부산시설공단에서 운영하고 있다. 롯데에서 운영하던 시절에는 백화점에 자리가 없어 튕겨져 나간 유니클로나 크리스피 크림 도넛, 부산은행 등이 입점해 있었으나 크리스피 크림 도넛은 현재 퇴점하였다.
- 증축 공사 전에는 에비뉴엘(구 MVG) 고객들이 주차장으로 진입해서 발렛파킹을 맡기는 장소가 천장이 없는 지상 주차장이라 비가 오거나 할 때 상당히 불편했고 분위기도 에비뉴엘 고객들을 위한 장소라는 느낌이 전혀 없었으나 발렛파킹 구역과 백화점 주차장 진입로를 리모델링하면서 소공동 본점과 동일하게 천장이 생기고 훨씬 고급스럽게 리모델링되었으며 항상 만차였던 지하 주차 공간도 대폭 늘어나서 편리해졌다.
아래 사진은 백화점 1층 후문쪽 발렛 구역으로 오렌지 등급 이상부터 이용 가능하며 에비뉴엘관 2층에도 발렛 구역이 있는데 5,000만원 이상 퍼플 등급부터 이용이 가능하다.
증축 공사 전 발렛파킹 구역(좌측)과 증축 공사 후 발렛파킹 구역(우측) |
7. 관련 문서
[1] 원래는 1996년 6월에 개점할 계획이었다고 한다.[문화] 롯데문화센터 롯데백화점 문화센터[A] AVENUEL 롯데백화점의 해외명품 특화 점포[W] 웨딩센터 롯데백화점 직영 웨딩 플래닝 서비스 공간[M] 무인양품(MUJI) 롯데상사와 제휴하여 국내에 진출한 라이프스타일 전문매장[6] 옛 부산상업고등학교 부지였으며 현재 부산상업고등학교는 당감동으로 이전하였다.[7] 안전 문제로 인해 철거된 후 현재는 롯데시네마가 입점했다.[8] 그렇기 때문에 롯데백화점 부산본점 일대 상권을 아예 "서면롯백"으로 지칭하는 사람들도 많다.[9] 김해나 창원에도 신세계백화점 김해점이나 롯데백화점 창원점, 신세계백화점 마산점 등 백화점이 있긴 하지만 명품 브랜드 라인업이 상당히 부실하다. 또한 창원 중심부에 롯데백화점이 있다보니 창원에 거주하는 롯데 에비뉴엘 고객 중 실적은 명품이나 고가 브랜드가 많은 부산본점에서 쌓은 후 창원점에서 라운지나 발렛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도 많다.[10] 신세계인터내셔날 소속 브랜드도 제법 입점한 것을 고려하면, 신세계백화점도 서면과 센텀시티는 별개의 상권이라고 보고 있다.[11] 메르세데스-벤츠 팝업 스토어도 입점했으나 철수했다.[12] 이후 2022년 4월 27일에 정식 오픈.[13] 본래 지점 이름은 서면점이었지만 2010년대 중반에 부산본점으로 이름을 변경했다.[14] 현재 롯데백화점 광복점.[15] 출처 : 롯데쇼핑 사내보 "샤롯데" 1997년 1월호[16] 롯데백화점이 부산 출점을 준비하던 사이 부산에서는 첫 직영백화점인 유나백화점, 태화쇼핑 등이 출범했고 임대백화점이던 미화당백화점이 직영화로 전환하는 등 주로 향토백화점들이 대부분을 이뤘다가 서울 지역 백화점으로는 최초로 현대백화점 부산점이 가장 먼저 개점했다.[17] 예를 들면 1층에 있던 화장실을 없앴다. 2층부터는 남자/여자 화장실을 분리하거나 같은 층에 배치시키지 않았다.[18] 그간 기존 롯데호텔 부산 부분을 매장으로 확장시킨 곳을 에비뉴엘로 불렀지만 공식 에비뉴엘이 아니었다. 이후 증축 및 리뉴얼 작업으로 공식 에비뉴엘 매장으로 승격했다.[19] 현재는 싹 정리하고 영패션관 확장을 했다.[20] 카카오프렌즈 스토어와 건담베이스도 있었으나 철수했다.[21] 여성 RTW(기성복) 제품도 전개하는 복합 매장이다.[22] 기존 페라가모의 매장 자리를 확장 리뉴얼하여 여성 RTW(기성복) 제품도 전개하는 복합 매장이다.[23] 2021년 8월에 정식 입점했다. 2017년에 에비뉴엘이 입점하면서 생 로랑이 입점할 예정이었지만 롯데백화점에서 제시한 매장과 생 로랑이 원했던 매장의 위치가 달라서 입점이 무산되었다. 이후 조르지오 아르마니를 철수시킨 자리에 정식으로 입점하게 되었다.[24] 신세계백화점 센텀시티점에 지방 단독 매장을 운영했으나 철수 후 2020년에 이곳에 입점했다. 현재는 신세계백화점 센텀시티점에 재입점하여 복수 운영 중이다.[25] 시계만 취급하는 매장으로 정식 매장이 아니다.[26] 지방 최초 매장.[27] 2022년 4월에는 지방 백화점으로는 최초로 입점[28] 남녀 복합 매장이다.[29] 신세계 센텀시티점 2층에 매장을 운영하다 철수 후 24년 11월에 롯데 부산본점 발리가 있던자리에 임시 매장으로 입점했다.[30] 2024년 현대 부산점이 리뉴얼로 인해 매장 영업이 중단되었을 때 추가 입점하였다.[31] 발렉스트라는 부산광역시의 유일 매장이었지만, 한국 시장에서 매출 부진으로 인해 전면 철수하면서 철수한 사례이다. 삼성물산이 전개하던 시절 판권이 끝나면서 한국 시장에서 전면 철수했다가 현재는 코오롱FnC가 전개하며 재진출 후 갤러리아 명품관, 롯데백화점 본점, 현대백화점 판교점 3곳에 매장이 있다.[32] 2024년 8월까지 영업 하고 퇴점한 후 그 자리에는 4층에 있던 스톤 아일랜드가 이동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