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23 01:46:19

김영준(야구선수)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41e42>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롯데 자이언츠
2026 시즌 투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 한현희 · 15 김진욱 · 17 현도훈 · 18 정성종
· 19 김강현 · 21 박세웅 · 22 구승민 · 23 심재민
· 24 김상수 · 25 박시영 · 32 감보아 · 34 김원중
· 37 이민석 · 38 홍민기 · 41 박세진 · 43 나균안
· 44 박진 · 45 이병준 · 46 정우준 · 47 이승헌
· 49 최이준 · 55 윤성빈 · 56 최준용 · 57 정현수
· 58 박준우 · 59 송재영 · 65 정철원 · 66 김태현
· 67 이영재 · 68 박세현 · 101 김현우 · 104 조영우
· 107 김태균 · 115 정선우 · 117 박로건 · 118 하혜성
· 124 김도규 · 125 김기준 · 128 조경민 · 131 장세진
· 132 김창훈 · 133 석상호 · # 신동건 · # 박정민
· # 김화중 · # 김한결 · # 이준서 · # 남해담
· # 김현수 · # 김주완 · # 김영준 · # 최충연
최종 편집: 2025년 11월 19일
프런트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군 입대 선수등록 선수육성선수응원단
다른 KBO 리그 팀별 명단 둘러보기
}}}}}}}}} ||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번
김영준
(2026~)
현역
파일:김영준20250108 --004[20250203114512920].png
<colbgcolor=#041e42><colcolor=#fff> 롯데 자이언츠 No.
김영준
金榮準 | Kim Young-Jun
출생 1999년 1월 12일 ([age(1999-01-12)]세)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학력 인천연학초(인천남구리틀) - 선린중[1] - 선린인터넷고
신체 185cm | 90kg
포지션 중간 계투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2018년 1차 지명 (LG)
소속팀 LG 트윈스 (2018~2025)
롯데 자이언츠 (2026~)
병역 대한민국 육군 제17보병사단 상근예비역 병장 만기전역
(2019년 11월 11일~2021년 5월 27일)
연봉 2025 / 4,200만 원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fff"
등장곡 이영지 - 〈Small girl (feat. 도경수 (D.O.))〉
소속사 브리온컴퍼니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연도별 주요 성적5. 여담6. 관련 문서7. 둘러보기

1. 개요

롯데 자이언츠 소속 우완 투수.

2.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김영준(야구선수)/선수 경력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2018년 2019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아마추어 시절

3. 플레이 스타일

파일:김영준 투구폼.gif

포심과 투심을 던질 줄 아는 투수이며 데뷔 시즌에는 포심, 슬라이더, 커브, 포크볼 4구종을 던지다가 군 복무 이후 투심과 커터, 체인지업까지 습득한 팔색조 투수가 되었다.

그러나 신인 시절 148km를 던지던 강속구 투수가 군 전역 이후 구속이 무려 10km나 하락해 140km/h을 던지기가 쉽지 않은 수준이 되어 버렸다. 심지어 불안한 제구는 여전하다.[2]

다행히 2024년 6월 16일 롯데전에 구원등판해 최항을 상대로 최대 146km 포심을 던지며 3이닝을 무실점으로 막는 모습을 보여주며 살아나는 모습을 보였다. 현재 LG 불펜진이 김진성유영찬을 제외하면 부상이나 부진 등으로 1군에서 이탈한 상황이라 1군에서 더 지켜볼 가치도 남아있다. 하지만 이듬해에는 1군에서 자취를 감추며 결국 롯데로 이적했다.

4. 연도별 주요 성적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김영준의 역대 KBO 기록
<rowcolor=#ffffff> 년도 소속팀 경기 세이브 홀드 이닝 ERA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WHIP ERA- sWAR
2018 LG 14 2 1 0 0 20⅔ 4.35 19 3 15 3 16 1.65 88.84 0.25
2019 1군 기록 없음
2020 군 복무
2021
2022 2 0 0 0 0 9⅔ 1.86 8 1 4 3 7 1.24 48.11 0.46
2023 1 1 0 0 0 27.00 1 0 1 0 0 6.00 678.42 -0.01
2024 14 1 1 0 0 15⅓ 8.22 21 2 9 0 11 1.96 172.41 -0.23
2025 1군 기록 없음
KBO 통산
(4시즌)
31 4 2 0 0 46 5.28 49 6 29 6 34 1.70 112.41 0.47

5. 여담

  • 인스타그램에 LG에 뼈를 겠습니다라고 쓰는 바람에 별명이 뭍영준이 되었다. 그러나 2025시즌 이후 롯데로 이적하며 이 말은 이뤄지지 못했다.
  • 1차지명을 앞둔 당시 시점에서 팬들 사이에서는 양창섭의 평가나 네임밸류가 워낙 높았던 탓에, LG가 김영준을 지명하자 김영준을 뽑았다는 것보다 양창섭을 걸렀다는 사실이 더 주목을 받았다. 기자들은 툭하면 양창섭을 거론하고 양창섭의 사진을 내걸면서 둘을 비교했고, 팬들도 김영준에 대한 언급보다는 양창섭에 대한 언급이 훨씬 더 많았다. 본인도 이 부분은 약간 서운함을 느낀 듯하다. 물론 이후 양창섭은 1군에서 롱릴리프로 뒤늦게나마 자리를 잡은 반면 김영준은 별다른 활약 없이 이적하여 지명 당시의 평가는 틀리지 않았음을 증명했다.
  • 걸그룹 마마무를 좋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 2017년 9월 29일 잠실구장에서 시구를 하였는데, 보통의 시구와는 달리 투수판을 밟고 정상적으로 투구하였다.
  • 2021년 6월 8일 인스타그램 계정을 통해 전역 후 49번 유니폼을 지급받은 사진을 업로드하였다. 본인이 가장 선호하는 등번호는 29번으로, 학창시절부터 가장 오래 사용했기 때문이라고 밝힌 바 있으며, 입단 2년차에 달았으나 2021 시즌은 1년 선배 손주영에게 배정되었다.
  • 머리가 자연갈색, 원래 반곱슬이었다고 엘튜브에서 밝혔다. #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c30452>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LG 트윈스
역대 1차 지명 선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983년 1984년 1985년 1986년 1987년
{{{#!folding (12명) {{{#!folding (8명) {{{#!folding (9명) {{{#!folding (7명) 노찬엽
정태관
김영직
1988년 1989년 1990년 1991년 1992년
이국성
이용철
김상호
김기범
최훈재
나웅
김동수
이병훈
송구홍 임선동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1997년
이상훈 유지현 심재학 이정길
{{{#!folding (고졸)
이병규
{{{#!folding (고졸)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조인성
{{{#!folding (고졸)
김상태
{{{#!folding (고졸)
최경환 이동현 김광희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박경수 장진용 박병호 김기표 봉중근
김유선
2008년 2009년 2014년 2015년 2016년
이형종 오지환 임지섭 김재성 김대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고우석 김영준 이정용 이민호 강효종
2022년 1차 지명 폐지
조원태
(1) 지명 후 미입단 }}}}}}}}}
김영준의 이전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LG 트윈스 등번호 30번
장준원
(2017)
<colbgcolor=#000><colcolor=#fff> 김영준
(2018)
장원삼
(2019)
LG 트윈스 등번호 29번
윤지웅
(2017~2018)
김영준
(2019)
이진석
(2020)
LG 트윈스 등번호 49번
정용운
(2019~2020)
김영준
(2021)
조원태
(2022~2023)
LG 트윈스 등번호 101번
이믿음
(2021)
김영준
(2022)
이상규
(2023~2023.5.19.)
LG 트윈스 등번호 24번
박재욱
(2022~2022.7.14.)
김영준
(2022.7.27.~2022)
손호영
(2023)
LG 트윈스 등번호 35번
문보경
(2021. 5. 1.~2022)
김영준
(2023~2025)
결번
}}} ||
파일:브리온컴퍼니 로고(투명,화이트).png
브리온컴퍼니 소속 운동선수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문도엽 안나린 박도은 한빛나 홍지원 이승민
문동현 홍수민 김수지 진종오 나아름 이채운
곽윤기 김아랑 신동민 이유빈 임효준 이호준
정재원 정찬헌 최주환 이형종 김재웅 이강준
윤동희 김민성 이호준 한유섬 박민호 이원준
하주석 이태양 이창진 오선우 김태군 김사윤
송찬의 이정용 김영준 이보근 오원석 김성욱
최정원 김민혁 이종욱 강한울 이병헌 이찬솔
박민서 김라경 김민종 이현정 백승호 도경동
구본길 오상욱 김정환 유영 박태준 서건우
}}}}}}}}} ||

[1] 본래 인천에 있는 중학교에 진학하려 했으나 여의치 않아 고민하고 있던 중 선린중학교 야구부 감독이 스카웃했다고 한다.[2] 젊은 투수가 이렇게 급격히 구속이 줄어든 데에는 세 가지 정도의 이유로 추정 가능한데, 1. 부상 2. 훈련부족 3. 폼을 잃어버려 붕괴된 밸런스 등의 이유가 있을 수 있으며 이 중 복수 이유일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