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03:32:15

유영찬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군인에 대한 내용은 유영찬(군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군인:
유영찬(군인)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파일:한시적 넘겨주기 아이콘.svg   유영찬의 2024 시즌에 대한 내용은 유영찬/선수 경력/2024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c30452>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LG 트윈스
2025 시즌 투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0 김유영 · 1 임찬규 · 11 함덕주 · 12 김대현
· 13 송승기 · 18 정우영 · 20 우강훈 · 21 이우찬
· 25 배재준 · 28 심창민 · 29 손주영 · 30 에르난데스
· 32 이지강 · 34 성동현 · 35 김영준 · 37 김강률
· 39 박명근 · 40 이종준 · 42 김진성 · 43 허용주
· 45 김진수 · 46 치리노스 · 48 진우영 · 49 정지헌
· 50 장현식 · 54 유영찬 · 56 최채흥 · 57 김주온
· 58 허준혁 · 59 임준형 · 61 백승현 · 63 추세현
· 67 김영우 · 100 강민 · 101 조건희 · 102 김형욱
· 105 이믿음 · 109 안시후 · 111 전준호 · 112 최용하
· 114 백선기 · 115 김의준 · 116 고영웅 · 118 성준서
· 119 하영진· 120 김지용 · 121 박시원 · 122 김종운
· 129 김웅 · # 이상영(1)
최종 편집: 2025년 1월 24일
(1) 음주운전으로 인한 1년 실격 처분
프런트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군 입대 선수등록 선수육성선수
다른 KBO 리그 팀 명단 보기 }}}}}}}}}
유영찬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유영찬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LG 트윈스 우승 엠블럼 V3.svg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2023

LG 트윈스 등번호 106번
이재원
(2018~2019)
<colbgcolor=#000><colcolor=#fff> 유영찬
(2020)
김유민
(2021~2022)
LG 트윈스 등번호 119번
허준혁
(2022~2022.5.2.)
유영찬
(2022.7.9.~2022)
하영진
(2023~)
LG 트윈스 등번호 54번
이주헌
(2022)
유영찬
(2023~)
현역
}}} ||
A대표팀 참가 경력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333>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 2.svg2024 프리미어 12
류중일호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ff,#333><colcolor=#00022E,#ddd> 투수 0 곽도규 · 1 고영표 · 19 조병현 · 28 최승용
29 임찬규 · 30 소형준 · 39 최지민 · 44 김서현
47 곽빈 · 50 이영하 · 54 유영찬 · 60 박영현
62 정해영 · 63 김택연
포수 25 김형준 · 27 박동원
내야수 2 박성한 · 4 신민재 · 5 김도영 · 7 김주원
10 문보경 · 17 나승엽 · 24 송성문 [[주장|
C
]] · 33 김휘집
외야수 16 최원준 · 41 이주형 · 51 홍창기 · 91 윤동희
'''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5''' 류중일
수석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6 류지현
타격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8 장종훈
주루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2 김재걸
투수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3 최일언
배터리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2 최기문
QC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5 이진영
불펜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4 김현욱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역대 로스터 }}}}}}}}}
}}} ||
파일:유영찬 2025 프로필.png
<colbgcolor=#c30452><colcolor=#fff> LG 트윈스 No.54
유영찬
劉泳澯 / You Young-Chan
출생 1997년 3월 7일 ([age(1997-03-07)]세)
경기도 안산시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덕성초 (안산리틀) - 배명중 - 배명고 - 건국대[1]
신체 185cm | 90kg
포지션 중간 계투[2]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2020년 2차 5라운드 (전체 43번, LG)
소속팀 LG 트윈스 (2020~)
국가대표
[ 펼치기 · 접기 ]
WBSC 프리미어 12 1회 (2024)
병역 사회복무요원 (2020~2022)
연봉 2025 / 2억 1,000만 원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fff"
등장곡 샤이니 - 〈Sherlock.셜록 (Clue+Note)[3]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c30452><colcolor=#fff> 소속사 스포네이션
가족 어머니[4], 형
배우자 강혜린 , 아들 유이안(2023년 10월 17일생) }}}}}}}}}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연도별 주요 성적5. 여담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LG 트윈스 소속 우완 투수.

2. 선수 경력

유영찬의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유영찬/선수 경력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2020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화이트 모자 로고 3.svg
2024년 프리미어 12
아마추어 시절

3. 플레이 스타일

파일:유영찬포심.gif
150.2km/h 포심 패스트볼
파일:유영찬슬라이더.gif
136.6km/h 슬라이더

부드러운 투구폼으로 평균 시속 147.4km/h, 최고 155km/h[5]의 포심 패스트볼을 던지는 우완 정통파 투수로, 속구의 구사율이 50% 를 넘는다. 변화구로는 같은손 타자에게는 슬라이더[6]를, 다른손 타자에게는 스플리터를 주로 던진다. 우타에게 속구+슬라이더, 좌타에게 속구+스플리터의 비율이 각각 90%가 넘는, 상대 타자에 따른 변화구 분리가 확실한 투수라 할 수 있다.

단점은 제구가 안 되는 날엔 아예 안된다는 것이다. 멘탈 문제 등의 내적 문제나 경기 상황에 상관없이 그냥 되는 날과 안 되는 날이 나뉜다. 이건 반대로 장점이기도 한데, 타이트한 상황에 나가도 신경 쓰지 않고 자기 공을 던진다. 이게 긍정적으로 작용한 게 바로 2023년 한국시리즈. 생애 첫 한국시리즈임에도 불구하고 네 경기에 나와 6이닝을 던지는 동안 1실점만을 기록하며 멘탈왕임을 증명했다. 다행스러운 점이라면 되는 날이 안 되는 날보다 훨씬 많다는 점이다.

또한 보크를 범하는 일도 잦은 편이다. 어느 투수에게나 치명적이지만 유영찬의 보직이 마무리 투수라는 점에서 반드시 보완해야 할 점이다.

평균자책점은 준수하지만 세부내용은 썩 좋다고 할 수는 없다. 피안타율이 꽤 높은 편이고 볼넷 허용이 많아 WHIP가 높다. 그에 따라 전체적인 경기 내용은 깔끔하지 못한 편이고 아슬아슬하게 경기를 마무리하는 경우가 많아 경기를 보는 팬들 입장은 편하지 못하다.

더 좋은 마무리 투수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경기별 기복을 줄임을 물론 제구력도 더 향상시켜야 한다.

4. 연도별 주요 성적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유영찬의 역대 KBO 기록
<rowcolor=#fff> 연도 소속팀 경기 세이브 홀드 이닝 ERA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WHIP ERA- sWAR
2020 LG 1군 기록 없음
2021 군복무(사회복무요원)
2022
2023 67 6 3 1 12 68 3.44 55 4 40 7 55 1.40 86.4 1.55
2024 62 7 5 26 1 63⅔ 2.97 61 2 30 3 77 1.43 62.2 1.06
KBO 통산
(2시즌)
129 13 8 27 13 131⅔ 3.21 116 6 70 10 132 1.41 74.7 2.61

5. 여담

  • 신인 드래프트에서 지명받을 당시 드래프트 중계진의 실수로 이름이 이영창으로 잘못 입력됐다가 뒤늦게 수정되는 촌극이 있었다.
  • 롤모델은 송은범. 표정 관리가 엄청나게 송은범과 닮았다.
  • 부모님이 김광현의 부모님과 서로 아는 사이인데 김광현의 어머니가 야구를 권유하여 야구를 시작하게 되었다.[8]
  • 팀의 동료 투수 유영과도 엮이며 함께 "김유영찬"이라고도 불린다.
  • 2020년 신인 드래프트에 지명받아 입단 계약금을 받았는데, 그 계약금의 일부인 300만 원을 모교인 건국대학교에 기부했다. 장학금이 어디에 쓰여지길 바라냐는 질문에 야구부 후배들이 사용할 야구용품에 쓰여지길 바란다고 대답, 선배의 훈훈한 후배 사랑을 보여주었다.
  • 결혼을 상당히 빨리 했다. 2023년 11월 8일 기준 아이가 생후 20일이 되었다.
  • 김진성 놀려먹는 재미로 사는 것 같다.[9] 참고로 띠동갑이다. 심지어 생일도 3월 7일로 똑같다. 김진성이 태어난 지 딱 12년 만에 유영찬이 태어난 것이다.
  • 심수창[10]과 더불어 몇 되지 않는 배명고 출신 LG 선수이다. 참고로 배명고는 서울 송파구에 있는 학교임에도 같은 지역인 LG와 유난히도 인연이 없다.[11]
  • KIA 상대로 굉장히 약하다. 2023시즌에도 KIA 상대 8경기 평균자책점 6.75, 피안타율 0.292를 기록하였고, 2024 시즌에는 6경기 평균자책점 8.10, 피안타율 0.400를 기록하며 LG가 KIA에게 압살당하는 데 큰 지분을 차지하였다. 반대로 SSG 랜더스삼성 라이온즈 상대로는 강한 편이다.

6. 관련 문서


[1] 체육교육과 16학번[2] 2023년까지는 중간 계투였으나, 고우석이 포스팅으로 MLB에 진출하자 2024년에는 마무리 투수로 나오고 있었다. 그러나 유영찬이 부상을 당하고 난 이후에는 FA로 영입된 장현식이 마무리로 가면서 다시 중간 계투로 돌아갔다.[3] 유영찬의 아내가 샤이니의 팬이라 추천해준 곡이다. 정작 유영찬 본인은 너무 많이 들어서 라디오에서 셜록이 나오기만 해도 채널을 돌려버린다고.[4] 아버지는 2024년 10월 3일 별세했다.[5] 2024년 6월 19일 챔피언스 필드 KIA와의 경기, PTS 153, 호크아이기준 155km/h 기록.[6] 2023년 슬라이더 기준 헛스윙률 2위를 기록한 슬라이더. 참고로 1위는 페디의 스위퍼.[7] 예전에는 토마스 기차와 닮았다는 얘기를 들었다고 한다. 본인은 양파쿵야가 좋다고 말했다.[8] 실제로 김광현과 유영찬은 동향으로, 두 사람 다 안산 출신으로 안산에서 성장했으며 안산덕성초 선후배 사이다.[9] 한국시리즈 우승 후 눈물을 흘리던 김진성에게 "형 울어요? 진상이다~"라고 했다고. 김진성은 유영찬에게 "쟤는 완전 개DO라이"라고 했다.[10] 포지션도 동일하다. 게다가 대학교를 졸업하고 입단한 것도 공통점.[11] 배명고는 LG와 키움보단 두산과 인연이 많은 학교로 알려져 있다. 홈런타자 김동주, 국가대표 강속구 투수 곽빈 등 두산에서 이름을 알린 국가대표 출신 선수 등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