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9 18:39:09

박명근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이인인 국회의원에 대한 내용은 박명근(정치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c30452>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LG 트윈스
2024 시즌 투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군
0 김유영 · 1 임찬규 · 3 켈리 · 12 김대현
· 13 최동환 · 20 최원태 · 21 이우찬 · 29 손주영
· 34 엔스 · 39 박명근 · 40 이종준 · 54 유영찬
· 58 성동현 · 61 우강훈
2군
11 함덕주 파일:부상 아이콘.svg · 16 정우영 · 18 백승현 · 25 배재준
· 26 이상영 · 28 윤호솔 · 35 김영준 · 37 이믿음
· 42 김진성 · 45 김진수 · 46 강효종 · 47 김윤식
· 48 진우영 · 49 정지헌 · 50 이지강 · 100 강민
· 101 조건희 · 103 김종우 · 104 강석현 · 105 오승윤
· 109 김단우 · 111 허용주 · 114 백선기 · 115 김의준
· 119 하영진 · # 이지훈
2024년 4월 19일 경기 기준
프런트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군 입대 선수등록 선수
다른 KBO 리그 팀 명단 보기 }}}}}}}}}
박명근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LG 트윈스 등번호 39번
이찬혁
(2021~2022)
박명근
(2023~)
현역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333>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 2.svg2024 서울 시리즈
류중일호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ff,#333><colcolor=#00022E,#ddd> 투수 1 문동주 · 4 박명근 · 11 [조병현|조병현]] · 15 황준서
18 원태인 · 21 이병헌 · 29 오원석 · 39 최지민
41 손동현 · 47 이의리 · 48 곽빈 · 53 신민혁
56 최준용 · 60 박영현 · 62 정해영 · 63 김택연
92 이로운
포수 22 김동헌 · 25 김형준 · 28 손성빈
내야수 2 문보경 · 3 김혜성 [[주장|
C
]] · 6 박성한 · 7 김주원
8 노시환 · 12 문현빈 · 13 이유찬 · 23 한태양
41 나승엽
외야수 9 김성윤 · 17 조세진 · 36 추재현 · 50 강백호
54 최지훈 · 91 윤동희
'''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5''' 류중일
수석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6 류지현
타격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5 장종훈
투수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3 최일언
배터리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0 강성우
QC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6 윤진호
불펜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4 정민철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역대 로스터 }}}}}}}}}

}}} ||
파일:23LG 박명근.png
<colbgcolor=#c30452><colcolor=#fff> LG 트윈스 No.39
박명근
Park Myeong-Geun
출생 2004년 3월 27일 ([age(2004-03-27)]세)
경기도 구리시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수택초(구리리틀) - 구리인창중 - 라온고
신체 174cm[1], 75kg
포지션 중간 계투
투타 우사우타
프로 입단 2023년 3라운드 (전체 27번, LG)
소속팀 LG 트윈스 (2023~)
연봉 2024 / 6,500만 원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fff"
등장곡 트래비스 스캇 - 《Fe!n》[2]
{{{-2 {{{#!folding [ 이전 등장곡 보기 ]
가족 부모님, 여동생
MBTI ENFP[3]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연도별 주요 성적5. 여담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LG 트윈스 소속 우완 사이드암 투수.

2.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박명근/선수 경력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2023년 2024년
아마추어 시절

3. 플레이 스타일

파일:박명근145.gif
145km/h 패스트볼

고3 시절 포심 패스트볼 평균 구속 143.8km/h, 공식 최고 구속 150km/h, 비공식 최고 구속 153km/h[4]를 던진 사이드암 강속구 투수이다. 또한 분당 회전수가 2,463회로 김서현, 심준석 등을 포함한 동해 모든 고교 투수 중 회전수 1위를 기록했다.[5] 제구력도 준수한 편이며 유연성과 가진 힘을 활용하는 능력이 고교 레벨 최상급이다.

구종으로는 포심, 슬라이더, 커터, 커브, 체인지업 등을 던지며, 우타자 상대로는 슬라이더와 커터를, 좌타자 상대로는 체인지업을 많이 구사한다. 포심은 사이드암 투수들이 으레 그러하듯 슈트 회전[6]을 가졌고, 슬라이더는 좌타자를 상대로 풋백 슬라이더[7]도 구사할 정도로 배짱과 제구력이 좋다.

특히, 팔스윙이 간결하고 슬라이드 스텝이 엄청나게 빠른 것으로 화제를 모았다. 그래서 사이드암임에도 도루를 저지하는데 용이하며, 디셉션도 더해져 타자들이 타이밍을 쉽게 잡기 힘들다는 특징도 존재한다.[8]

다만 투수라기엔 작은 키(174cm)에 대한 문제와 우려가 꾸준히 따라다니는 투수이다. 물론 키가 작아도 두꺼운 몸통과 넓은 어깨를 바탕으로 95마일 이상 강속구를 뿌렸던 오승환(프로필상 178cm/실제 추정 176cm)[9], 고우석(프로필상 182cm/실제 추정 178cm)의 예가 있고 박명근도 그들과 비슷한 체격을 가졌다.

미국의 마커스 스트로먼(168cm/최고구속 157km), 일본의 야마모토 타쿠미(167cm/최고구속 154km) 등을 보아도 반드시 키가 작아서 빠른 공을 던지는 데 불리하다고는 할 수 없다는 의견도 있다. 실제로 박명근은 2023년 프로에 들어와 1이닝 불펜으로는 안정적으로 145~149km/h 사이를 매경기 기록하고 있다.

하지만 통계적으로 강속구 유형에는 평균 이상의 신체 사이즈를 가진 투수가 주를 이루며 위에 거론된 투수들은 소수의 아웃라이어에 가깝지 일반론으로 보긴 힘들다. 실제로 박명근도 멀티 이닝 소화시에는 140km/h대 초반까지 구속이 내려간다. 여기에 사이드암으로서 구속에 대한 불리함 또한 갖고 있다. '오버냐 사이드냐의 차이는 릴리스 포인트와 무브먼트의 차이일 뿐이고 투구 유형과는 상관이 없다'는 의견이 있지만, 이 역시 한국과 일본의 통계적으로 누적된 사이드암 구속, 오버핸드/쓰리쿼터 구속 간의 비교만 해봐도 쉽게 타파되는 논리이다. 애초에 사람의 신체 구조상 옆으로 던지는 투수는 회전력과 반동을 많이 얻기 힘든 구조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박명근은 구속이 아니더라도 무난한 제구력과 타자들이 까다로워하는 슈트 회전의 패스트볼을 가졌기 때문에, 꼭 강속구 타이틀에 집착하지 않으면서 불펜으로서의 성공 가능성을 가늠해볼만한 재능은 충분하다는 의견이다.

4. 연도별 주요 성적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박명근의 역대 KBO 기록
<rowcolor=#ffffff> 연도 소속팀 경기 세이브 홀드 이닝 ERA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WHIP ERA+ sWAR
2023 LG 57 4 3 5 9 51⅓ 5.08 49 4 28 6 40 1.50 80.3 -0.09
KBO 통산
(1시즌)
57 4 3 5 9 51⅓ 5.08 49 4 28 6 40 1.50 80.3 -0.09

5. 여담

  • 롤모델은 맥스 슈어저에드윈 디아즈라고 한다. 팔 각도가 자신과 비슷한 데다 강속구는 물론, 슬라이더와 체인지업 등 좌우 타자를 모두 상대할 수 있는 구종을 갖춰 롤모델로 삼고 있다고 한다.#
  • LG 트윈스의 2023년 신인드래프트가 씨름부 소리를 들을 정도로 하드웨어가 상당한 신인들이 많은 걸 생각한다면 유일한 언더 사이즈인 셈.
  • 최강야구 국가대표 대항전에 나와서 5타자를 상대하며 무안타 4삼진의 완벽한 피칭으로 몬스터즈 선수들과 관객을 경악하게 만들었다.# 빠른 타이밍과 공 끝이 더러운 무브먼트에 많은 타자들이 배트에 맞추는 것도 힘겨워하는 모습.
  • 입단 전에는 두산 베어스 팬이었다고 한다. 두산 팬이었던 부모님을 따라 야구장을 가다보니 그렇게 되었다고.
  • 2023년 kt wiz를 상대로 8경기 나와서 5이닝 ERA 10.80에 WHIP 3.00, 피안타율 0.400로 매우 약했고 롯데 자이언츠를 상대로도 5경기 나와서 5⅓이닝 ERA 13.50에 WHIP 2.06, 피안타율 0.385로 매우 약했는데 데뷔 첫 시즌인 만큼 앞으로의 성적에 따라 극복할 여지는 있다.
  • LG 트윈스 갤러리에서의 별명은 띵근이, 맹근이, 근명박, 명박근, 묭그이 등이 있다.
  • 배드민턴 선수 안세영과 살짝 닮았다.
  • 고등학교 3년 선배인 삼성 라이온즈 김지찬과 더불어 단신이기 때문에 라온고등학교는 단신 선수만 있냐는 드립도 있다.

6. 관련 문서


[1] 프로필상은 174이지만 엘튜브에서 172cm인 문성주보다 살짝 작은 모습으로 나와 171 정도일 거라는 자막이 나왔으나 스파이크 때문인 것으로 밝혀져 두 번째 측정에서는 둘이 같은 키로 나옴, 추정 172cm[2] 평소에 외국 힙합을 자주 듣는다고 하는데 이가 반영된 등장곡으로 보인다.[3] LG 트윈스 유튜브에서 밝혔다.[4] 주말리그 안산공고전. 안산공고 스피드건으로 기록[5] 2위는 KIA 지명의 안산공고 박일훈이 2,435회, 3위는 두산 지명의 유신고 류건우가 2,404회.[6] 우투수 기준 우타자 몸쪽으로 휘어 들어가는 공, 미국에서는 Running Fast Ball이라고 한다. 투심과의 차이는 투심은 (우투수기준) 우타자 45도 하단으로 꺾여 가라앉는데 반해 슈트는 떨어지지 않고 안으로 말려들어간다. 간혹 구종을 잘 모르는 해설자들이 슈트를 변화구라고 칭하지만 슈트는 커터의 데칼코마니 형태인 빠른 볼이다.[7] 타자의 발이 뒤로 빠질 정도로 깊숙이 들어가는 인코스 슬라이더.[8] 최강야구에서 자세히 비교를 했는데 다른 투수의 ½ 수준으로 빨라 레그킥을 하는 선수들은 타이밍 맞히기가 거의 어렵다는 설명이 있었다.#[9] 오승환도 전성기에는 최고 156km/h를 뿌렸으며 일본 시절까지 150을 쉽게 뿌렸고 41세 시즌에도 최고 150~151을 뿌린 바 있다.[10] 심지어 둘 다 단신에다가 등번호도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