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05 12:25:58

기아 세레스

파일:기아 로고(2012-2021).svg
파일:기아 세레스_중기형.jpg
CERES[1]

1. 개요2. 농촌 슈퍼카3. 자세한 설명
3.1. 라인업
4. 기타5. 미디어6. 둘러보기

1. 개요

기아자동차에서 생산, 판매했던 농·임업용 적재중량 0.8톤의 고상형 4륜구동 트럭. 1983년에 출시해 1999년까지 생산했다. 현역 시절에는 4WD의 대명사이기도 했으며, 아직까지도 농촌에서는 농업용 트럭의 대명사로 불린다. 세레스는 단종된 지 오래 됐지만, 시골에선 아직도 세레스와 같은 형태의 고상형 4륜구동 트럭을 그냥 세레스라고 칭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름인 세레스농업의 여신 데메테르[2] 영어식으로 읽은 것인데, 아래 서술대로 농업에 특화된 차량이라 이름부터 이렇게 지은 것으로 보인다.

이전에 출시된 봉고에도 고상형이 있었지만, 1983년에 세레스로 분리된 것[3]이다. 사실상 마쓰다 봉고 2세대 트럭 모델이 올드 트럭으로서 오래 살아남은 셈이다. 봉고를 베이스로[4] 험준한 지형에서도 기동이 가능하도록 마력을 10마력 낮춘 대신 엔진의 토크를 올리고 파트타임식 4륜구동 장치를 장착했으며, PTO(Power Take-Off, 동력인출장치)가 장착되어 양수기, 탈곡기 등 각종 농기계를 구동할 수 있는 트럭이었다. 적재함 기둥에 높이 달린 것은 야간 작업용 조명이다.

실제 영농업이나 임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 많이 팔렸기 때문에 농촌 지역이 아니면 보기가 대단히 힘든 트럭이지만[5], 나름대로 소리소문없이 인기가 있었던 트럭이었다.

제주도에 가면 유달리 이 트럭이 정말 지겹도록 많이 보인다. 강원도, 경상북도, 충청북도 등 내륙 지방에서도 심심찮게 볼 수 있는 트럭이지만, 제주도에서 두드러지게 많이 볼 수 있다. 과장을 더하자면, 2000년대까지 제주도 내에서는 굴러다니는 트럭들의 절반이 세레스였다. 이유는 제주도의 지형상 경사가 심해서 4륜구동이 아니면 차량이 들어가는 것조차 곤란한 밭이나 과수원이 많기 때문이다.[6] 현재 판매하는 포터봉고4륜구동 모델을 써도 되겠지만, 세레스보다 좀 더 큰 덩치 덕에 제주도의 과수원 지형에 잘 맞지 않아 지금도 많은 농민이 세레스를 찾는다.

구매 부담을 덜기 위해 원가 절감을 해서[7] 차내 편의장비가 거의 없었으며,[8] 기본 조작 장비도 단순하고 저렴한 구성의 장비[9]를 많이 쓴 것이 특징이다. 전자 장비는 라이트와 라디오가 전부일 정도인 전기-기계식 구조라 고장이 상당히 적고, 관리가 쉽다는 점이 장점으로 꼽히는 차이기도 하다.

윗동네 러시아에도 우아즈 부한카라는 세레스와 거의 일맥상통하는 차가 있다. 다만 이쪽은 세레스와 달리 승합형이 주류며, 현재까지도 생산 중이다.
세레스의 역사[10]

2. 농촌 슈퍼카

파일:1635453734088-0.jpg
거의 깡통 수준의 사양이었지만, 농촌에서는 세레스가 드림카 취급을 받던 시절이 있었을 정도로 농업인들의 많은 사랑을 받은 트럭이었다.[11][12] 초기 출시 모델은 2륜(FR) 모델만 판매됐으나, 1988년에 파트타임 4WD 모델이 출시되면서 본격적으로 판매량이 늘어나게 됐고, 특장차 중 덤프 모델도 출시되면서 건설 현장용으로도 판매됐다. 세레스에 달린 덤프는 초창기에는 뒤쪽으로 기울이는 방식만 나오다가 후기형에는 옆쪽으로 적재함을 기울이는 방식의 라인업[13]이 추가되어 병행 판매됐다. 양수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PTO(동력인출장치)가 달려있는 것도 특징이었다.

이후 1996년에 페이스리프트를 거쳐 유로 2 배기가스 규제 기준에 맞춰 엔진이 파워 봉고, 와이드 봉고 초기형에 사용됐던 일본 마쓰다 제조 SF 엔진으로 교체되며(배기량 2.4L, 80마력) 꾸준히 판매되다가, 유로 3 배기가스 규제 미달로 1999년에 완전히 단종됐다. 세레스가 단종된 후 기아에서는 봉고 프런티어의 4WD 모델을 출시해 세레스의 자리를 대체했으며, 세레스에게 고상형을 내주었던 봉고는 4WD 모델이 나오면서 사실상 고상형이 부활하게 됐다.

3. 자세한 설명

1983년에 처음 출시된 모델은 소프트탑[14]이었고 적재함 캡 바로 뒷부분에 나무로 된 보조 좌석[15]이 있어 3명을 추가로 탈 수 있게 했다. 그래서 3 ~ 6인승[16]. 엔진은 초대 봉고에 사용된 S2 엔진(배기량 2.2L, 60마력)을 디튠하여 사용했으며 미션은 4단 수동변속기를 사용했는데 컬럼식이었다.
파일:attachment/IMG_1988_01.jpg 파일:attachment/IMG_1988_02.jpg

1988년 모델은 캡이 하드탑으로 바뀌었다. 적재함 보조좌석은 유지됐다. 미션은 일반적인 플로어체인지식 5단 수동변속기로 변경됐다. 파트타임 4WD가 달리면서 자연히 수동변속기 옆에 트랜스퍼 레버도 추가됐다. 핸들과 변속기가 엄청 뻑뻑해서 방향 전환 및 변속할 때마다 있는 힘껏 돌리고 밀어야 한다. 썬바이저와 외부 탈착식 야간 조명이 추가됐다.

1992년에 처음으로 페이스리프트했는데, 봉고처럼 사각형 헤드램프로 변경됐다.
파일:기아 세레스_후기형.jpg
1996년형 모델[17]
1996년에 등장한 마지막 페이스리프트 모델부터는 안전 문제로 인해 적재함 보조좌석이 폐지됐다.[18] 편의장비도 개선되어 파워핸들, 에어컨(!)[19] 등 편의장비가 추가되어 출시됐다. 그와 동시에 엔진도 파워봉고 및 와이드 봉고 초기형에 들어가던 것과 같은 배기량의 60마력 2.4L SC 엔진으로 바뀌었다.
파일:기아 세레스_계기판.jpg

보다시피 계기판에 RPM 게이지가 없다. 미등이나 헤드라이트, 히터는 계기판 옆에 달린 스위치로 켜고 끈다. 사실 RPM 게이지는 센터페시아에서 볼 수 없고, 좌측 가장자리에 에어컨 루버가 있어야 할 곳에 있다.

핸들의 경우 봉고(초기형), 타이탄, 콤비(1990년식 이전 모델), 복사, 아시아 미니버스, 아시아 라이트버스같은 1980년대 기아 상용차량에 사용된 핸들과 같은 핸들을 사용하며, 일부 리스토어 업체의 경우 세레스의 핸들을 올드카 복원[20]에 사용하여 제법 클래식한 느낌을 살리고 있다.[21]

좁은 전폭에 짧은 축거[22]로 무게중심이 높으며, 차량의 중량은 2,635kg으로 가볍지 않으며, 횡방향 안정성도 그다지 좋은 편이 아니기에 주행할 때 주의를 요구하는 트럭이기도 하다. 현가장치가 전후륜 전부 판스프링이라 승차감이 매우 나쁘며, 캡이 달랑 철판 한 장으로 만들어져 있어서 안전에 매우 취약할 뿐만 아니라 주행 소음도 상당히 심하다.

소방차로도 쓰이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단종된 후 후속 모델이라고 할 수 있는 봉고 프런티어 4WD 모델을 거쳐 봉고3의 4WD 모델이 세레스의 포지션을 이어받아 판매한다. 이후 포터도 뒤늦게 4WD 모델을 내놓았다.

하지만 이들은 크기가 커진 만큼 전폭이 커서, 좁은 시골길이나 오프로드를 달릴 때 세레스보다 불편할 때가 있다.[23] 그래서인지 지금까지도 세레스의 수요는 제법 있는 편. 당장 고랭지밭에만 가 봐도 수확철에 다니는 1톤급 화물차는 결국 세레스가 여전히 다수다. 봉고나 포터는 4WD임에도 지상고가 세레스보다 낮아 수확물을 싣고 나오지 못해 트랙터나 굴삭기한테 구조를 받아야 한다.[24] 때문에 아예 완전 오버홀 수준으로 분해해 녹을 전부 제거하고 새 부품으로 갈아치운 다음, 언더코팅까지 해서 세레스를 유지하는 오너들도 소수 있다.

물론 배출가스 5등급이라 운행에 제약이 있긴 하나, 의외로 끈질기게 생명을 이어간다. 차량 특성상 도시에서 업무 및 출퇴근용으로 쓰는 경우는 사실상 없다시피 하며, 아직 저감장치 장착불가 차량에 대해 과태료 부과를 유예하는 지자체도 있는데다가 시골길 구석구석까지 단속 카메라를 설치한 건 아니기에, 종전처럼 경운기 비슷한 용도로 쓰기에는 큰 문제가 없다.[25] 애초에 시골에는 노인들의 오토바이 무면허 운전도 흔해서 이런 사소한 것까지 잡을 여력이 없다.

3.1. 라인업

  • 일반(5,471,000원)
  • 4륜구동(6,446,000원)

4. 기타

캡의 형태는 초대 봉고의 캡을 단종시까지 오래 유지했으며(큰 차이점은 안전창 유무이다.), 현역으로 있던 시절 일부 차량은 앞바퀴와 같은 크기의 복륜식 뒷바퀴를 달기도 했다. 물론 출고 이후 개조업체를 통해 개조한 것이 대부분이다. 그리고 휠의 형태는 타이탄 1.4톤(싱글 캡 저상형 모델은 앞바퀴만 해당)과 AC버스, 봉고 프런티어 4륜구동과 비슷했지만, 세레스는 14인치에 5홀이었다.

해외 특히 호주에 수출된 적이 있다. 이를 어떤 호주인이 찍었다.

앞서 언급됐듯이 호주, 터키, 라틴아메리카, 필리핀, 파키스탄 등지에 수출됐으며 수출형에는 후륜구동 사양과 더블캡 사양도 있었다.

재미있는 것은 세레스의 원판인 마쓰다의 2세대 봉고는 4륜구동 모델이 없고 3세대 모델[26]부터 옵션으로 적용했는데, 정작 기아는 봉고 2세대 기반의 세레스에 4륜구동을 적용하고 3세대 기반인 와이드봉고에는 적용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한국철도공사에서는 세레스의 휠을 철 차륜으로 바꾸어 철로에서 달릴 수 있게 개조해서 각종 공사에 투입하기도 했다. 메르세데스-벤츠 유니목 등이 보조 철륜을 달아서 구난차량이나 입환기 등으로 쓰인 경우는 세계적으로도 흔한 일이지만, 일반 트럭을 이렇게 쓰는 건 드물었다. 그러나 안전상에 문제가 있었고, 2012년 8월 20일 경의중앙선 직결을 위한 용산선-경의선 직결 공사 당시 지하 가좌역 공사장에서 이 트럭을 이용하다가 작업차량끼리 추돌, 인부가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여 결국 철로용 세레스는 사라졌다.

서울시메트로9호선에서도 개통 초기 김포차량사업소에서 구내용 차량으로서 잠시 운용했다. 마찬가지로 현재는 여러가지 이유로 사용하지 않게 되어 퇴역했다.

1980년대에 기아 세레스가 경량 펌프차로 충남소방, 대구소방, 울산소방과 대흥사 의용소방대 등에서 운영됐었다. # 이중 울산에서 운영된 차량은 울산안전체험관에 전시됐다.

과거 크로바완구에서 이 트럭의 초기형 모델을 완구로 제작해 판매했었다. 물론 지금은 돈 주고도 구하기 힘들다. 게다가 국산 미니카중엔 유일한 국산트럭 모형이기도 하다.[27][28]

5. 미디어

파일:external/image.chosun.com/2014122900806_0.jpg
  • KBS 1박 2일 시즌3에서 1992년식 세레스가 등장했다. 자세한 내용은 원팔이 문단 참고.

6. 둘러보기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5141f><tablebgcolor=#05141f><height=70><width=45%><nopad>
기아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30%"
{{{#!folding [ 연대별 구분 ]
{{{#!wiki style="color: #000; margin:-6px -1px -10px"
<colbgcolor=#05141f> 구분 승용차, SUV, RV, 승합 / 경상용차 버스 트럭 군용차
1960년대 피아트 124 - K-360, T-600, T-1500, T-2000 -
1970년대 브리사, 피아트 132, 푸조 604 아시아 P9AMC, 아시아 B버스, 아시아 AB버스, AM버스 타이탄, 복사, KB트럭, B-1000 K-111, K-511, K-711
1980년대 프라이드, 캐피탈, 콩코드, 세이블, 봉고(승합 모델),
베스타, AC버스, 토픽
콤비, 코스모스 봉고(트럭 모델), 세레스,
트레이드, 라이노,
AM트럭
K-311, K-811
1990년대 비스토, 아벨라, 리오, 세피아, 슈마,
크레도스, 포텐샤, 엔터프라이즈, 엘란,
스포티지, 록스타, 레토나, 카렌스, 카스타,
카니발, 프레지오, 타우너(승합 모델)
그랜버드 그랜토, 타우너(트럭 모델) K-131
2000년대 모닝, 스펙트라, 쎄라토, 씨드, 포르테,
엑스트렉, 옵티마, 로체, 앙트라지(카니발), K7, 오피러스,
쏘울, 쏘렌토, 모하비, 벤가, 트라벨로, 천리마
- 파맥스 K-911
2010년대 레이, K2, K3, K4(중국형), K5, K9,
KX3, KX5, KX7, 니로, 스팅어, 스토닉/KX1, 리오 X-라인,
페가스, 즈파오, 텔루라이드, 셀토스, 엑씨드
- - K-151, 중형표준차량
2020년대 쏘넷, EV6, K8, 니로 플러스, EV9, EV5, K3(소형차, 리오 후속),
K4, EV3, EV2예정, EV4예정, EV7예정, 타스만예정, PV1예정, PV5예정, PV7예정, AY예정,TV1예정
- - -
회색 글씨 - 단종 차량

}}}}}}}}}
[ 차급별 구분 ]
||<rowbgcolor=#05141f><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373a3c,#ddd> 차급 || 시판 차량 || 단종 차량 ||
<colbgcolor=#05141f> 경차 모닝 | 레이 <colbgcolor=#eee,#2d2f34> 비스토
소형차 K3(리오 후속) | 페가스 프라이드 | 아벨라 | 브리사 | 천리마 | K2 | 리오 | 피아트 124
준중형차 K4 | 씨드 캐피탈 | 세피아 | 슈마 | 스펙트라 | 쎄라토 | 포르테 | K3
중형차 K5 콩코드 | 크레도스 | 옵티마 | 로체 | 스팅어
준대형차 K8 세이블 | 포텐샤 | K7
대형차 K9 푸조 604 | 엔터프라이즈 | 오피러스
스포츠카 - 엘란
소형 SUV 스토닉 | 니로 | 셀토스 | 쏘울 | KX1 | 쏘넷 | EV3 아시아 록스타 | 레토나 | KX3 | 리오 X-라인 | 니로 플러스
준중형 SUV 스포티지 | EV5 | EV6 | 엑씨드 | 즈파오 KX5
중형 SUV 쏘렌토 KX7
준대형 SUV 텔루라이드 | EV9 모하비
소형 MPV - 벤가
준중형 MPV 카렌스 엑스트렉
중형 MPV - 카스타
대형 MPV 카니발 -
LCV - 봉고3 미니버스 | 베스타 | 타우너 | 토픽 | 프레지오 | 트라벨로
PBV PV1예정 | PV5예정 | PV7예정 -
픽업트럭 타스만예정 B-1000
경형 트럭 - T-1500 | T-2000 | 타우너
소형 트럭 봉고 세레스
준중형 트럭 - 파맥스 | 타이탄 | 트레이드
중형 트럭 - 복사 | 라이노 | 트레이드
대형 트럭 - AM트럭 | KB트럭 | 그랜토
준중형 버스 - 콤비
중형 버스 - 코스모스
준대형 버스 - 아시아 AB버스
대형 버스 그랜버드 아시아 B버스
군용차 K-151 | K-311 | K-711 | K-911 | 중형표준차량 K-111 | K-131 | K-511 | K-811
}}} ||



[1] 차량의 이름은 로마 신화의 농업의 신인 케레스의 영어식 발음 '세레스'에서 유래됐다.[2] 정확히는 동일 신격인 로마신화에서의 케레스[3] 쉽게 말해서 봉고 고상형의 명칭을 세레스로 변경한 것이다.[4] 이 때문에 엔진도 초대 봉고에 쓰인 일본 마쓰다 제조 S2 엔진(배기량 2.2L, 60마력으로 디튠)을 채용했다.[5] 지상고가 높기 때문에 험지 주파력이 뛰어났지만, 차 전폭이 좁고 무게중심이 높아서 일반 도로에서 달리면 전복의 위험이 컸다.[6] 진짜 다른 차량들은 전부 통과 불과한 어지간히 좁은, 직각으로 꺾인 길도 세레스를 후진시키면 지나갈 수 있다.[7] 소 한 마리의 가격이 개발 당시 가격 기준이었다.[8] 아날로그 튜너가 달린 카세트 라디오, 히터로 끝. 파워 스티어링? 에어컨? CDP(주의표시 계기판)? 아예 옵션으로도 없었다. 1996년식부터 엔진이 교체되며 파워 스티어링, 에어컨이 추가된 게 전부다. 라디오도 초창기 모델은 아날로그 라디오와 스피커 하나만 장착되어 있었고, 카세트 라디오는 1988년식 모델부터 추가됐다.[9] 사이드 브레이크가 요즘 사용하는 지렛대 방식이 아니라 래칫이 달린 T자 막대형 레버를 쭉 당겨서 걸고, 풀 때는 살짝 당겨 90도 회전해서 집어넣는 옛날 방식인 케이블식이었다. 참고로 같은 기아그룹 아시아자동차대한민국 국군 K-111(군용 찝차)에도 똑같은 형태의 케이블식 주차 브레이크를 사용했다. 또한, 타이탄야무진에도 단종하기까지 이것을 사용했으며 당연히 구조가 간단해서 저렴한 것이 장점이 돼야 했고 지금까지도 장점이 되어 줘야 하겠지만 주차 브레이크삼성 야무진 문서에서도 이미 언급하고 있듯이 제대로 주차된 상태에서도 조금이라도 잘못하면 빠져버리는 결함이 있다는 큰 단점 때문에 마이티2 더블캡을 마지막으로 국내 어느 제조사들이건 간에 승용, 승합, 화물 등의 용도를 불문하고 주차 브레이크만큼은 케이블식이 적용된 차량을 생산 및 출시를 일절 하지 않고 있다.[10] 해당 부분만 재생된다.[11] 1993년 무렵에는 영운기가 약 150만원 내외로 제작할 수 있었는데(물론 경운기는 이보다도 쌌다.), 세레스는 500만원 남짓이어서 트럭치고는 상당히 저렴한 가격인 것도 한 몫했다.[12] 속도 역시 드림카 취급에 한 몫을 했다. 최고속도가 100㎞/h 가량으로 시골에 흔해빠진 경운기(20~30㎞/h)나 영운기(50~60㎞/h)보다 매우 빨랐다.[13] 이게 현재의 3방향 덤프인데, 봉고3에도 이 3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덤프를 지금도 판매한다.[14] 원가 절감을 위한 시도였지만 전복사고에 대비하여 견고한 직물을 사용해서 정작 자재비는 철판에 비해 그다지 저렴하지 않았다고 알려졌다. 거기에다 방음에 불리하고 관리가 어려운 소프트탑 고유의 단점은 극복하지 못했기에 결국 1988년형부터 하드탑 사양으로 변경됐다. 1985년 봉고 CF의 20초 경에 소프트탑 사양의 세레스가 배경에 등장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애당초에 소프트탑으로 출고된 이유는 과수원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였다. 실제로 과수원이나 비닐하우스에서 사용되는 세레스는 지붕을 아예 잘라버리고 사용하는 경우도 종종 보인다. 물론 자동차 검사는 통과가 안 되며, 도로주행 시 매우 위험하다.[15] 군용 트럭 적재함 좌석과 동일한 구조다. 안전벨트와 비를 피할 수 있는 천막까지 달려 있었다.[16] 자동차 등록증 상의 승차정원은 3+3인으로 등록되어 있다.[17] 일반(2WD)사양이다.[18] 6인승은 봉고 프런티어 4WD 더블캡으로 부활됐다. 지금의 봉고 3 더블캡도 4WD 모델과 기존 2륜 모델을 병행 생산한다.[19] 조수석 글로브박스 하단에 카세트 형식으로 실내기가 장착된다.[20] 특히 갤로퍼같은 구형 SUV에 주로 쓰인다. 배우 안보현의 자가용 승용차인 1996년식 갤로퍼 리스토어 차량에도 해당 핸들이 장착되어 있다.[21] 다만, 에어백이 없기에 안전성은 매우 취약한 편이다. 물론 애초에 세레스 핸들 커스텀이 유행하는 차종들은 순정핸들도 극히 일부 사양을 제외하면 에어백이 없기에, 크게 의미는 없다. 게다가 똑같이 커스텀용으로 많이 장착하는 사제 핸들(특히 우드, 금속 재질)은 지나치게 단단한 만큼 안전 문제가 있어 정기검사 부적합 판정을 받기 십상이지만, 완성차 제작사 순정 핸들은 직경이 크게 바뀌는게 아닌 이상 어지간하면 지적하지 않는 편이기도 하다.[22] 장축형과 단축형이 있는데, 4WD는 단축형에만 있었다. 그래 봤자 세레스의 장축형도 다른 1톤 트럭에 비하면 짜리몽땅했다.[23] 특히 세레스는 후대의 1톤 4륜구동 트럭들과 다르게 전륜 축이 솔리드 액슬 방식이라 험지주파력이 더 뛰어날 수밖에 없다.[24] 과수원이나 비탈밭에서 특히나 애용하는데, SS기라고 농약분무 및 운반이 가능한 소형 동력차들이 있긴 하지만, 세레스는 한번에 실어서 바로 도로를 통해 출하가 가능한 장점 때문에 멱살잡고 굴리고 있는 실정이다.[25] 세레스 특성상 남아있는 차량 대수가 많지 않아 개발을 해도 수익을 챙기기 어려운데다, 엔진 출력도 굉장히 낮고, 차량 사이즈 자체가 매우 작아 DPF를 장착할 공간이 나오지 않는다.[26] 와이드봉고, 베스타의 원판.[27] 세창에서 그랜토 이름을 달고 나온 트럭도 있긴하나 그랜토의 금형이 아닌 삼성 SM트럭의 금형이다. 트라고, 마이티, 삼성트럭도 모형이 있긴 하지만 모터쇼에서만 판매하는 등 정식출시가 아니거나 완구가 아닌 수집용 모형 용도로 만들어졌다.[28] 다만 2020년경 미미월드월드카 파워키 시리즈로 '우편배달차'라는 이름으로 포터와 유사한 트럭 미니카가 나오긴 했으나 라이센스 문제인지 차명이 쓰이진 않았고 전면부 형태가 봉고와 섞여 있어 정식 출시라기엔 애매하다. 그러다 2023년에 현대 포터 2 탑차 사양이 아카데미과학을 통해 1:24 스케일 프라모델로 출시되었다. 그리고 2024년에 카고 사양이 추가되었다.

이 문서의 2015년 4월 17일 이전 저작자는 이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