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6 17:24:50

부산잔교역

후산삼바시역에서 넘어옴

이곳은 폐쇄된 교통 시설입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교통 시설은 폐쇄되어 더 이상 운영하지 않습니다.
부산잔교역
(폐역)
역명 표기
경부선 부산잔교
Fusansambashi
釜山棧橋 / ふさんさんばし
부관연락선 후산산바시
Fusansambashi
釜山棧橋 / ふさんさんばし
부박연락선
주소
경상남도 부산부 중앙통4정목 90
(現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4가 90-1)
관리역 등급
폐역
(교통부 부산철도국)
개업일
경부선 1913년 4월 1일~1948년
부관연락선 1905년 9월 11일~1945년 6월
부박연락선 1943년~1945년 6월
철도거리표
경부선
부산잔교
(폐역)
종점
기점
부관연락선
후산산바시
(폐역)
부박연락선
후산산바시
(폐역)
파일:부산잔교역.jpg
파일:부산잔교역_1.jpg
부산잔교역사 (1912년 준공, 1961년 철거)

1. 개요2. 역 정보3.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경부선의 폐지된 철도역. 경상남도 부산부 중앙통4정목 소재.[1]

2. 역 정보

1913년 4월 1일 부관연락선과의 연계 목적으로 개업하였으며, 열차는 부산 ~ 시모노세키 부관연락선 시간표에 철저하게 맞춰져 있었다.[2]

잔교([ruby(桟橋,ruby=さんばし)]/[ruby(棧橋,ruby=サンバシ)], sambashi)는 일본식 한자어로 돌제부두(突堤埠頭, 해안선과 직각으로 세운 부두)라는 뜻이다. 출입국관리사무소 본소가 있는 부산항 제1부두부산항연안여객터미널 자리에 걸쳐 있었다. (#관련자료)

일부 열차가 시종착했으며 경부선 ~ 경의선 ~ 만주철도 급행열차 융희호, 히카리호, 노조미호는 기점으로 삼았다. 내부에 '부산잔교식당'이 있었으며, 초밥에키벤 등을 팔았다고 한다. 부산 안내도가 첨부된 식당 상표가 부산근대역사관에 전시되어 있다.

1943년엔 시모노세키항 처리 용량이 한계에 달해 부산 ~ 하카타 부박연락선이 생기기도 했다. 태평양 전쟁 말기였던 1945년 6월 경, 미군이 대한해협을 포함한 일본 해상을 봉쇄하면서 부관연락선이 운행 중단되었다.

해방이후 6.25 전쟁 기간 동안 많은 피란민들이 부산으로 와 판자촌 등이 형성되는 과정에서도 살아남아 있던 역 건물은 어시장 부지로 탈바꿈하기 위해 1961년 4월 17일 부로 대부분이 철거되었고 1965년에 한일 수교가 다시 이루어진 이후에도 역은 복구되지 않았다.[3]

역 터에 부산항 제1부두 자리에 철거 전 형태로 복원이 추진되고 있다. 건물의 옛 외형만이 복원될 예정이며 내부는 이벤트, 전시, 팝업스토어 등으로 사용될 계획이다.#

현재 대창동1가에 위치하고 있는 부산중부경찰서가 맞은편 일대(중앙동4가, 충장대로13번길 40)로 신축이전될 예정이다.

도보로 약 5분 거리에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중앙역이 있다.

3. 둘러보기

경부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파일:Seoulmetro1_icon.svg -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 -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1_icon.svg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파일:대경선-로고-simple-renew.svg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취소선: 폐역, †:여객영업 X,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만 정차, 파일:대경선-로고-simple-renew.svg: 대경선만 정차
}}}}}}}}}

[1] 지금의 부산 중구 중앙동4가.[2] 일제강점기 당시 경부선은 부관연락선을 통해 산요 본선도카이도 본선을 거쳐 도쿄역까지 이어지는 개념이었기 때문에 현재와는 정반대로 이 부산잔교역 방면이 상행이었고 경성역 방면이 하행이었다.[3] 석당논총 73집 - 부산항 제1부두의 건립과 변화과정에 관한 건축적 고찰 남윤순, 김기수 저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