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5 00:18:48

비디오물

홈비디오에서 넘어옴
1. 개요2. 역사
2.1. 세계2.2. 대한민국
3. 작품 목록
3.1. 비디오 더빙작3.2. 비디오 선행 발매작3.3. 베이퍼웨어
4. 홈비디오 배급사
4.1. 대한민국4.2. 미국4.3. 영국4.4. 일본
5. 참고 자료6. 관련 문서

1. 개요

비디오테이프레이저디스크, VCD, DVD, 블루레이, OTT(=VOD) 온라인 영상작품 등을 통칭하는 전문 용어로, <영화 및 비디오물의 진흥에 관한 법률> 제2조 12항에선 "연속적인 영상이 테이프 또는 디스크 등의 디지털 매체나 장치에 담긴 저작물로서 기계ㆍ전기ㆍ전자 또는 통신장치에 의하여 재생되어 볼 수 있거나 보고 들을 수 있도록 제작된 것"이라고 정의된다.

2. 역사

2.1. 세계

비디오물을 처음 상품화한 건 미국인데, 베타맥스가 미국에 들어온 이듬해인 1976년에 20세기 폭스컬럼비아 픽처스, 파라마운트 픽처스 등 영화사들을 중심으로 베타맥스 기반 비디오물을 출시했다. 그해 일본 소니VHS를 개발한 후 1970년대 후반 들어 VHS도 상품화되기 시작했고, 방송사들도 PBS 엔터프라이즈 같은 자회사를 세워 2인치 비디오테이프와 필름 등으로 만들어진 영상물을 VHS 등으로 포맷해 팔기 시작했다. 1980년대 중반 들어서 VHS가 베타맥스를 밀어내고 주류가 되기 시작했고, 같은 시기 일본에선 미국처럼 토에이비디오, 도호, 쇼치쿠, 포니캐년 등 영화나 음반업체들을 중심으로 사업을 해왔으며 비디오테이프 매체의 대중화로 TVA, 애니메이션 영화의 뒤를 이은 제3의 매체 'OVA'라는 신종 장르가 나오기도 했다.

1996년 도시바가 DVD 플레이어를 개발한 후 2000년대 초반 들어 DVD 매체에 자리를 내줬고, 2000년대 후반엔 블루레이가 주류를 차지했으나 같은 시기 인터넷 다운로드의 활성화로 사업 부진이 이어져 워너 홈 엔터테인먼트 등 비디오물 공급/배급사들은 2차 매체보다 콘텐츠 공급에 더 열을 올리고 있다.

2.2. 대한민국

한국에선 1970년대 후반에 미군 PX나 해외 여행자들을 통해 밀반입을 하거나 미국, 일본의 TV 프로그램을 무단 녹화한 테이프를 밀매했지만, 1981년 '음반에 관한 법률' 개정에 따라 합법적인 비디오물 시장이 형성됐다. 1980년대 보급 초기에는 삼화비디오프로덕숀삼부프로덕숀, 서진프로덕션 등 영세 제작사들이 중심이 되어 판권료가 값싼 영화나 중국 무술영화, 에로물 등을 주로 팔았고, 이에 따른 수입은 브로커들이 판권을 사서 제작사에 되팔은 걸로 충당했다.

다른 한편 1981년에 한국방송공사가 자회사 '한국방송사업단'을 세워 방송사 중에서 처음으로 TV 프로그램을 비디오테이프로 복사해서 판매하기 시작했고, 1984년에 삼성전자금성사, 대우전자 등 3대 가전업체들이 VCR을 널리 판매할 목적으로 비디오 배급사업을 시작했다.

1986년 한미통상협정 체결과 1987년 국제저작권협약(UCC) 가입, 저작권법 개정을 계기로 미국영화 시장을 개방할 준비를 함으로써 대우전자, 삼성전자 등이 CBS/FOX, RCA/컬럼비아 홈 비디오 등과 계약을 맺어 외국영화 비디오를 출시하는 한편, 비디오 시장을 본격적으로 휩쓸기 시작해 비디오 사업도 대기업을 중심으로 확고히 굳혀나갔고, 중소 프로덕션들은 대기업의 하청을 받거나 판권계약을 맺어 복제만 담당했다. 1992년 들어 VCR 보급률이 57%가 되면서 비디오 시장은 대중화 단계에 들어갔고, 소비자들의 취향도 다양화/전문화되기 시작했다. 같은 해에 문화부가 외국인들의 음반/비디오 제작업 참여를 허용하면서 미국 UIP-CIC의 한국법인 'UIP코리아'를 통해 처음으로 비디오 직배를 개시했다.[1]

1997년 외환 위기 후 대기업들이 점차 비디오물 사업에서 손을 떼기 시작했고, 2000년대 초반부터 DVD 같은 디지털 광매체의 활성화로 VHS 대신 DVD를 파는 데 주력했지만 인터넷 다운로드의 활성화로 엔터원, 씨넥서스, 스타맥스 등 토종 제작사들이 적자를 면치 못하고 파산하거나 다른 업종으로 갈아탔다. 이후 방송사 자회사나 외국계 기업을 중심으로 버티다 2009년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 등이 DVD 배급업에서 손을 떼고 콘텐츠 공급에 주력하게 됐다.

참고로 1980년대 당시 제작사들의 로고 시그널 파트에 사용된 영상들은 상당수가 자체제작이 아닌 외국에서 발매된 스캐니메이트 영상물을 무단으로 가져다가 편집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가장 많이 도용당한 대표적 작품은 레이저디스크로 발매된 론 헤이즈(Ron Hays, 1945-1991)의 오디세이란 작품[2]. 이것 말고도 여타 레이저디스크로 발매된 작품[3] 내지 일본 프로그램의 CG를 무단으로 사용한 곳[4]도 있었으며, 다른 비디오 제조사의 것을 무단으로 쓴 사례[5]도 있다. 물론 한국만 저렇게 스캐니메이트를 마구 쓴 건 아니고 해외에서도 많이 썼는데, 가장 많이 쓰인 것이 CASCOM[6]이란 회사에서 만든 SELECT EFFECT 셀렉션. 실제로 광영물산이란 회사의 경우는 아예 미국 오라이언 영화사의 오프닝을 그대로 빼꼈다.

3. 작품 목록

3.1. 비디오 더빙작

※ 無印: 일본작, ☆: OVA, ★: 일본작 이외의 해외작, ◎ : 극장판

3.2. 비디오 선행 발매작

3.3. 베이퍼웨어

4. 홈비디오 배급사

4.1. 대한민국

토종
  • 대우그룹
    • 씨넥서스: 구 대우전자/(주)대우 무역부문 영상사업본부-세음미디어. 1984년 사업 개시 이래 '대우 비디오 클럽', '대우 붐붐 비디오' 등의 레이블로 RCA/콜럼비아, CBS/FOX, AVCO 앰바시 필름즈 등의 비디오를 수입판매했고, 1986년에 삼성전자금성사 등과 달리 비디오 광고사업까지 개시했다. 1980년대 후반부터 비디오 배급을 우일영상 등에 맡기고 공급만 맡다가 1999년에 자산 등을 세음미디어로 넘겼고, 2000년에는 '씨넥서스'로 또 분할됐다. 2000년대 초반경부터 케이블 방송 채널 'DCN' 사업에 전념코자 비디오 사업을 접었다.
    • 우일영상: (주)대우 무역부문 영상사업본부의 협력사. 주로 20세기 폭스컬럼비아 픽처스, 뉴라인 시네마 등의 영화들을 비디오로 냈으며, 애니 중엔 X맨, 태풍의 그라운드, 팬텀 2040을, 국산 드라마는 모래시계가 있다.
    • 동우영상: 이하 동일.
  • 엔터원 계열
    • 엔터원: 구 디지탈임팩트. 2000년 새한으로부터 DMV 브랜드를 인수하여 홈비디오 사업에도 손을 뻗었다.
    • 엔터원알에스에스: 1993년 세음미디어로 설립된 이래 대우전자의 지원을 받으며 '시네마트' 브랜드를 사용했고 1998년엔 우일영상의 유통사업까지 흡수한 후 이듬해 (주)대우 영상사업본부 인력 및 자산까지 양수했다가, 2000년에 디지탈임팩트로 매각되어 엠브이넷을 거쳐 이듬해 브랜드 단일화로 '엔터원알에스에스'까지 됐다가 2003년 문을 닫았다. (대표작: 꾸러기 수비대, 프라레스 산시로, 부메랑파이터, 짱구는 못말려 극장판 1~2, 4기, 방가방가 햄토리)
  • 영유통: 1999년부터 '크림비디오' 브랜드를 런칭하며 월트 디즈니 컴퍼니, 파라마운트 픽처스, CJ엔터테인먼트 배급작을 비디오로 냈고, 2000년에는 음반(크림레코드) 및 애니메이션 사업을 '크림엔터테인먼트'[8]로 분사시키고 2002년 '크림DVD' 레이블로 DVD도 냈으나 동년 10월 사업 중단.(대표작: 배틀로얄, 킬리만자로, 글루미 선데이, 원초적 본능, 쇼걸, 지옥의 묵시록, 호타루 등)
  • 아가월드 (대표작: 빙뱅붐 클럽, 보조개 왕자)
  • KBS 미디어: 구 KBS 문화사업단 프로그램판매부-KBS 영상사업단. 과거 '케이맨' 브랜드도 보유했다.
  • MBC C&I: 구 문화방송 사업국[9]/광고국[10] 프로그램판매부-MBC프로덕션.
  • 비엠코리아: 1990년대 초반과 후반에 WWF 프로레슬링 비디오들과 이탈리아 클레이 애니메이션 Mio Mao를 국내에 수입판매했으며 2000년대에는 생활체육 및 교양물을 자체 제작하기도 했다.
  • 엘라이트프로덕션: 오스카 음악대, 패트와 매트 수입으로 유명함.
  • 유니콘비디오
  • 럭키상사
  • 광영물산: 욱일기 또는 낙일기 로고가 특의. 거기다가 당시 비디오 프로덕션들 태반이 그랬듯이 오라이언의 영상을 대놓고 베꼈다.
  • 산일무비
  • 서울프로덕션: '무빅스(Movix)' 레이블 보유. 현대그룹 산하의 비디오물 수입사였다.[11] 업계 최초로 러시아 영화를 수입했으며 1995년 현대방송이 개국하면서 비디오 사업에서 철수했고 이 레이블에서 수입된 일부 작품들은 현대방송을 통해 방영되었다.
  • 시네타운프로덕션: 1990년대 대만 CTS의 예능 프로그램 '금곡용호방(金曲龍虎榜)'을 수입판매했다.
  • 신한프로덕션: 1992년 부도 후 1994년 한국슈페리어로 합쳐짐. 과거 삼성물산으로부터 드림박스 홈비디오 브랜드 영상물을 하청 제작했다.(대표작: 디어 브라더)
  • 뉴비디오프로덕션
  • 현대영상제작공사
  • 오아시스비디오프로덕션 → 고려프로덕션 (대표작: 볼트론)
  • 벧엘프로그램
  • 남도영상산업
  • 아주비디오
  • 한양비디오프로덕션
  • 한국미디어주식회사
  • 일진프로덕션 (1990년 도산) (대표작: 뽀빠이)
  • 혜천교육센타 / 제일비디오
  • 에로클릭
  • 서울미디어
  • 미디어뱅크
  • 대한영상(대표작: 꼬마공룡 딩크)
  • 새롬엔터테인먼트
  • 에스씨엠: 구 서울애니메이션. 손오공 관계사.
  • 동양영상프로덕션: 옛날 어린이들은 문서에서 호환마마랑 꽃가족이 1세트로 들어있는 회사. 위의 동양비디오와는 완전히 다른 회사이다.(대표작: 돌연변이 닌자거북. 금성사와 공동으로 출시)
  • 문화프로덕션
  • 아진프로덕션
  • 영진프로덕션
  • 비젼비디오프로덕션
  • 안성문화영상
  • 한시네마타운
  • 홈게임
  • 홍당무 엔터테인먼트: 아동용 애니메이션을 수입한 것으로 유명했으며 2003년 배우 노현희가 MC를 맡은 <댄싱 다이어트>를 자체 제작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 BUM영화제작소
  • 리스시네마
  • 한덕엔터테인먼트
  • 대성프로덕션: 한국 영화와 중화권 영화를 수입한 회사로 애니메이션은 '보물섬 홈비디오' 브랜드를 보유했으며 일본 애니메이션을 주로 수입했다. 브랜드명은 박근혜 전 대통령이 대표이사였던 육영재단의 만화잡지 '보물섬'에서 유래되었다. 1996년 비디오 시장에서 철수했고 이 회사도 이듬해 즈음에 문을 닫았다.(대표작: 마물헌터 요코, 아이시티, 라모네기사 등)
  • 코리아프로덕션: 중화권 영화를 주로 수입한 회사. 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지만 대구광역시향토기업이다.
  • 월드프로덕션: 협력관계인지는 알 수 없으나 과거 삼부프로덕숀의 비디오물을 제작했다.

외국계
  • 소니픽처스릴리징월트디즈니스튜디오스코리아: 콜럼비아트라이스타영화 및 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의 영화 및 비디오사업이 합쳐진 통합사로, 2015년 청산됨.
  • 유니버설픽처스인터내셔널코리아: 구 유니버설인터내셔널픽처스코리아, 통칭 UPI 코리아.

4.2. 미국

  • 워너미디어 계열
    • 워너 홈 엔터테인먼트
    • 터너 엔터테인먼트
  • 소니 계열
    • 소니 픽처스 홈 엔터테인먼트: 구 RCA/콜럼비아 픽처스 인터내셔널 비디오 - 콜럼비아 트라이스타 홈 엔터테인먼트.
  • 바이아컴CBS 계열
    • 파라마운트 홈 엔터테인먼트
    • CBS 비디오 엔터프라이즈
  • 월트 디즈니 컴퍼니 계열
    • 월트 디즈니 스튜디오 홈 엔터테인먼트: 구 브에나 비스타 홈 엔터테인먼트
    • 20세기 스튜디오 홈 엔터테인먼트: 구 20세기 폭스 홈 엔터테인먼트
  • CBS/FOX 컴퍼니: 20세기 폭스와 CBS가 출자한 조인트벤처로, 1999년까지 NBA 농구 비디오를 배급했다.
  • UIP: 바이아컴CBS와 NBC유니버설의 합작사로, 'CIC' 브랜드를 썼다.
  • 베텔스만 뮤직 그룹: 'BMG 비디오' 브랜드 보유.
  • PBS 디스트리뷰션: 구 PBS 홈비디오.
  • 폴리그램 필름드 엔터테인먼트: 옛 폴리그램의 자회사로, '폴리그램 비디오' 브랜드를 지녔으며 NFL 필름과 계약해 NFL 미식축구 비디오를 배급했다. 1998년 유니버설 픽처스로 넘어갔다가 이듬해 문을 닫았다.

4.3. 영국

  • BBC 엔터프라이즈: 'BBC 비디오' 브랜드 보유.
  • 크리설리스 홈 비디오
  • 칼튼 커뮤니케이션즈
  • 픽윅 비디오 그룹: 주로 유아용 애니를 비디오로 냈으며, 1992년 칼튼 커뮤니케이션에 인수합병됨.

4.4. 일본

5. 참고 자료

6. 관련 문서


[1] 다만 직접 비디오를 제조하고 판매한건 아니고 국내제작사와 계약을 맺고 판매하였다. UIP는 삼화프로덕션에서, 폭스는 대우 협력사인 우일영상 등지에서 제조, 판매하는 형식으로.[2] 동양→D&S→비드콤의 사례가 대표적이지만 여기 말고도 많은 영세 제작사들이 이 작품의 장면을 도용했다.[3] 대표적으로는 1983년에 미국의 Simutrek이란 회사에서 발매한 게임인 큐브 퀘스트와 일본의 후나이 전기 및 가쿠엔이란 곳에서 만든 인터스텔라 등이 있다.[4] 시네마뱅크, 고려프로덕션, 할렐루야프로덕션[5] 미국의 베스트론(Vestron)사의 징글을 도용한 한국미디어나 포니캐년의 징글을 쓴 상신 등[6] 미국-호주 합자 회사. 2000년대 초반에 파산.[7] 비디오 더빙 삭제판.[8] 조PD 1~3집을 낸 곳이 이곳이며, 2000년대 이후 '크림피앤에이'가 되었으나 2007년 폐업.[9] 1988년 조직개편 전까지는 '사업단'.[10] 1990년 이관.[11] 실제로 광고 또한 범현대가 계열의 광고를 시작 전에 송출했다.[12] 원래는 금성사의 VHS 총판 대리점 겸 선경화학(現 SKC)의 서울대리점인 선화양행의 계열사였으나 무리한 사업확장으로 인해 선화양행이 도산하면서 독립.[13] 대표작으론 목욕탕집 남자들, 왕초, 명성황후, 제빵왕 김탁구 등이 있다.[14] 원래 이름은 삼영프로덕션이었으나 1990년에 허승표가 인수하여 업체명을 미디아트로 변경, 이후 금성사의 비디오사업을 미디아트에 넘겼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3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3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