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17 13:23:43

미래로보 달타니어스

미래로보 달타니어스 (1979~1980)
未来ロボ ダルタニアス
<nopad> 파일:external/img3.douban.com/s3687763.jpg
{{{#212529,#e0e0e0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dddddd,#2d2f34><colcolor=#212529,#e0e0e0> 장르 거대로봇
원작 야츠데 사부로
총연출 나가하마 다다오[1]
감독 사사키 카츠토시(佐々木勝利)
캐릭터 디자인 원안 히지리 유키
카나야마 아키히로
총 작화감독 카나야마 아키히로
메카닉 설계 서브마린(サブマリン)
무라카미 카츠시
디자인 협력 이즈부치 유타카
미술 감독 우치다 타케히코(内田建彦)
편집 이노우에 카즈오(井上和夫)
小長谷八郎
코마츠 미도리(小松みどり)
음향 연출 나가하마 다다오
치바 코이치
음악 츠츠이 히로시(筒井広志)
프로듀서 에즈 하마타(江津兵太)도쿄 12 채널
이이지마 타카시(飯島 敬)
스즈키 타케유키토에이
애니메이션 제작 일본 선라이즈
제작 도쿄 12 채널
토에이
토에이 에이전시
방영 기간 1979. 03. 21. ~ 1980. 03. 05.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도쿄 12 채널 / (수) 19:30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47화
시청 등급 정보 없음
}}}}}}}}}}}} ||

1. 개요2. 줄거리3. 특징4. 등장인물
4.1. 주인공 측4.2. 자르성간 제국군
5. 등장메카6. 주제가
6.1. OP6.2. ED
7. 회차 목록8. 평가9. 미디어 믹스10. 기타

1. 개요



1979년 3월 21일부터 1980년 3월 5일에 걸쳐 47화로 완결된 로봇 애니메이션. 감독은 나가하마 다다오 → 사사키 카츠토시.

2. 줄거리

1995년 지구는 갑자기 나타난 우주의 침략자 자르성간 제국군의 침략을 받아 정복당해 비참한 상태를 맞이한다. 그런 와중에 전쟁 고아들과 같이 살고있던 소년 타테 켄토는 어느날, 에리오스별의 과학자 '아루'와 만나 자신이 과거 자루별의 침략으로 멸망한 에리오스 제국의 왕자라는 사실을 알게된다.

그리고 에리오스의 재건을 꿈꾸던 아루가 제작한 아틀라우스, 건퍼를 받게되나, 달타니어스로 합체하려면 자의식을 가진 사자 로봇 베라리오스와 합체할 필요가 있었다. 때문에 베라리오스를 찾기 시작한 켄토. 그리고 마침내 찾아내 달타니어스로 합체에 성공한다. 켄토는 지구를 구하기 위해 달타니어스로 자루제국과 긴 싸움을 시작하게 되고 싸움 속에서 자루 제국의 내부에도 이변이 일어나기 시작한다. 또한 이 싸움의 진실도 밝혀지게 되는데…

3. 특징

원청 제작사는 토에이 애니메이션인데 실제 각본, 연출, 작화는 하청사인 선라이즈에서 담당했다. 돈을 투자한 게 토에이라 저작권은 토에이가 가지고 있다. 토에이가 별로 손댄 것이 없는 나가하마 낭만 로봇 시리즈 3부작과 달리 이 작품은 그래도 토에이가 관여를 좀 했다. 나가하마 다다오 감독이 하차한 뒤 스토리를 구상하고 주도한 사람이 토에이의 프로듀서 스즈키 타케유키라서 토에이도 작품 제작에 꽤 지분이 있다.

당초 나가하마 다다오 감독의 작품이었으나 나가하마 낭만 로봇 시리즈와 달리 방송국이 TV아사히가 아닌 TV도쿄로 달랐으며 나가하마 감독이 베르사이유의 장미 (1979) 감독을 꼭 해보고 싶다며 중간에 그만두었기 때문에 낭만 로봇 시리즈로 보지 않는 것이 팬들의 입장. 신감독은 투장 다이모스에서 나가하마와 같이 일했던 사사키 카츠토시이며 사사키 카츠토시는 이후 무적로보 트라이더 G7, 최강로보 다이오쟈 등 선라이즈의 슈퍼로봇 작품군을 책임진다.

하지만 스즈키 타케유키, 히지리 유키, 카나야마 아키히로, 사사카도 노부요시,스즈키 요시타케, 타카하시 모토스케, 시오야마 노리오 같은 나가하마 사단 멤버의 일부는 나가하마가 떠난 뒤로도 그대로 참여하여 나가하마의 전작들과 크게 연출이 다르지 않았다. 스즈키 타케유키 프로듀서도 늘 "나가하마 씨라면 이랬겠지." 라고 상상하면서 열심히 만들었다고 한다. 토미노 요시유키기동전사 건담을 만들 때 자신이 원하던 일급 애니메이터들이 전부 이 작품으로 가서 크게 아쉬워했다고 한다.

하세가와 유이치의 경우는 낭만 로봇을 소재로 한 만화를 그리면서 본 작품을 끼워넣은 적이 있고, 나가하마 3부작의 상품이 나올 때 이 작품도 같이 나오는 등, 판권 전개 때는 다른 나가하마의 작품과 동일선상에 놓이는 경우가 꽤 있다.

작품의 모티브는 알렉산드로 뒤마의 소설 삼총사이다. 그리고 가슴에 사자 머리가 달린 로봇의 시조격인 작품으로 주역로봇 중에선 달타니어스가 최초. 가슴의 사자는 훗날 여러 슈퍼로봇들의 디자인에 오마쥬된다.

4. 등장인물

4.1. 주인공 측

  • 타테 켄토
  • 히이라기 단지
  • 시라토리 사나에
    성우는 한 케이코. 본 작의 히로인이며 고아 집단의 어머니적인 존재. 나이는 16세. 켄토 일행과 같이 다니는 소녀이며 심지가 강한 미소녀이기도 하다. 죽은 부모가 의사였기 때문에 동료들이 부상당하면은 치료를 할수가 있다. 또 어떤 에피소드에서 비키니 수영복 차림을 선보이기도 했다.
  • 아루 박사
    성우는 스기타 토시야.[2] 에리오스 제국 원로원 의원이자 달타니어스를 만든 과학자. 에리오스 왕가의 피를 이은 하린 왕자를 찾으러 왔다가 켄토를 발견하고 그를 옹립해 에리오스를 재건하려 하지만[3] 켄토 본인에게 그럴 의지가 없어 매번 헛수고로 끝난다. 처음에는 지구가 어떻게 되든 별로 신경쓰지 않았으나 지구인과 교류하면서 점차 변했다. 달타니어스 메카를 격납하는 아달루스 기지를 세우고 늘 자르성간 제국군의 동향을 감시하고 있다.
  • 오오쿠마 토라고로
    성우는 이이즈카 쇼조. 2화에서 첫 등장. 암시장을 운영하는 인물로 종종 암시장에서 도둑질을 하던 켄토 일행들을 호통치는 반면에 안타까운 사연을 듣고서는 정을 갖기도 한다. 3화에서 켄토의 달타니어스가 적의 감시로봇을 격퇴한 것을 듣고는 좋은 협력자가 됐다. 이 사람 역시 자루성간 제국군의 침략으로 아내를 잃었다. 암시장의 거주자로써는 유일하게 최종 결전 당시에 우주까지 동행하였다. 켄토 일행의 협력자가 된 이후 아루 박사와는 보케와 츳코미 사이로 발전한다.
  • 전쟁 고아들
    • 하타 타노스케 - 성우는 니시무라 토모미치. 켄토를 형님처럼 동경하는 야마무라 출신의 12살 소년. 몸집이 크고 힘센 먹보. 그 식욕 때문에 16회에서는 적의 함정으로 꽂힌 독이 든 사과를 먹어치워 하마터면 아달루스 기지를 파괴하기도 했다. 또 여자아이에 얽힌 이야기도 많다.
    • 카루이 마나부 - 성우는 이노우에 요우. 12살의 수재 소년. 아루 박사의 조수로서 메카의 정비나 아달루스 기지의 컴퓨터 조작을 실시한다. 달타니아스의 신무장인 캐논 큐빅이나 체인 슬라이서 등의 개발이나 풍차 발전소를 개설해 거리에 불을 밝히는 등의 부흥 및 공헌 등 수많은 활약을 보이지만 아이다운 천진함도 갖추고 있어 제1화에서 아달루스 기지를 발견한 장본인이기도 하다.
    • 코마루 지로 - 성우는 사와다 카즈코. 9살의 소년으로 일찍 고아가 되어 암시장에서 소매치기를 하고 있었다. 이쪽는 히이라기 단지를 친형처럼 따른다. 애완 돼지인 톤스케와는 아르바이트를 하던 단골 죽 집에서 데려온 사이이다. 부모님의 경우 생전에 자동차 수리 공장을 운영했었는데 거기서 익힌 지식이나 기량을 가멜롯의 조종에 활용했다.
    • 톤스케 - 성우는 오가타 켄이치. 코마루 지로의 애완 돼지. 지로가 일하던 죽집에서 잡아먹기 위해서 키우다가 정이 든 지로가 톤스케를 데리고 탈주하여 그대로 키우게 됐다.[4] 14화에서는 적에게 붙잡혀 사이보그로 개조되어 아달루스 기지로 돌려보내져 파괴 활동을 하게 된다. 하지만, 지로의 설득에 의해 뇌파 컨트롤이 흐트러져 제정신으로 돌아왔고, 그 후 아루 박사에 의해 원래대로 돌려졌다. 성우가 배정되었으나 사람처럼 말하는 것은 아니고 오가타가 울음소리를 내면서 연기했다.
    • 오챠메 - 성우는 미타 유코. 켄토를 좋아하고 시라토리 사나에를 친언니처럼 따르는 여섯 살짜리 소녀. 자르성간 제국군의 침략으로 인해서 가족을 잃었다. 이로 인해서 기억상실증에 걸렸으나 어느 정도 기억이 남아 있는지는 확실치 않다. 자신의 이름도 기억하지 못한 채 켄토에 의해서 장난꾸러기라는 뜻의 오챠메 라고 불린다. 꼬마이기 때문에 ~데슈라고 하는 다소 혀 짧은 소리가 특징이며 너무 어린 나머지 부모에 대한 사모가 강하거나 학교에 가는 것을 동경하거나 했다.

4.2. 자르성간 제국군

  • 하린 왕자
    성우는 키요카와 모토무. 정체는 켄토의 아버지인 다테 하야토
  • 크롯펜
  • 돌멘
  • 가스콘
    성우는 코바야시 오사무. 23화부터 등장한 에리오스 제국의 역전의 전사. 호방한 성격으로 '은하의 호랑이'라는 별명을 갖고 있다. 켄토의 정체를 알고 100만 군사를 데리고 자르성간 제국에 반기를 들어 호랑이형 메카의 등에 인형 상반신이 얹힌 형태의 전용 메카를 몰고[5] 자르군단과 싸우지만 35화에서 전사한다.
  • 커맨더 프로잘스
    성우는 이이즈카 쇼조. 자르성간 제국의 지구침략부대의 6대 장군의 한명. 공룡(티라노사우루스)과 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 호전적인 성격에 휘하의 뱀보그도 강력한 능력을 갖추고 있다. 27화에서 달타니아스가 달 표면에 쳐들어왔을 때 이들을 맞이하여 달타니어스와의 전투에서 폭발한 뱀보그인 테라가메돈의 파편이 전함에 꽂히는 바람에 폭발하여 전사한다.
  • 커맨더 보이더
    성우는 니시무라 토모미치. 암석 같은 얼굴을 가진 광물 생명체로 성질이 급하고 화를 잘 내는 성격으로 승리를 위해 휘하의 뱀보그를 자폭시키기도 한다. 크롯펜이 실각한 후에는 네시아가 후임에 오른 것을 좋아하지 않고 그 자리를 빼앗으려고 계획하여 공을 다급하게 생각해 크롯펜과 켄토의 결투의 장소에 난입하여 클론임을 이유로 해임당한 크롯펜이 나타났을 때 말살하려다 역으로 반격을 당하여 죽임을 당했다.
  • 커맨더 미즈카
    성우는 오가타 켄이치. 수생 생물형 외계인으로 음습한 성격. 로봇 바디의 캡슐 형태로 된 머리 부분에 들어있는 해파리 같은 생명체가 본체. 본체의 머리 부분은 분리가 가능하다. 마지막은 자르성에 쳐들어 온 달타니어스에 대해 전함으로 출격하여 응전했지만 탑승함을 화염 십문자 베기로 베어져 폭사한다. 해파리 같은 외모대로 흐물흐물한 미덥지 못한 목소리가 특징. 다른 장군들에 비해 희로애락이 심하고 표정이 풍부하다.
  • 커맨더 네시아
  • 커맨더 카부토

5. 등장메카

  • 달타니어스
  • 가메봇: 고전 로봇애니 전통의 개그 메카. 마나부가 아루 박사 몰래 제작한 거북이형 메카. 전투에선 전혀 활약하지 못하지만 이동용이나 짐 운반, 인명 구조 등에서 활약한다.
  • 아틀라스: 아루 박사가 타고 온 우주선. 달타니어스의 기지 겸 모함 역할을 맡는다. 원래 민간용이라 무장은 별로 없지만 배리어 정도는 있다.
  • 벰보그: 자르성간 제국군의 초반 악역 메카.
  • 트윈보그: 자르성간 제국군의 후반 악역 메카.
  • 데스타크: 크롯펜의 전용기.

6. 주제가

6.1. OP

OP
ダルタニアスの歌
달타니어스의 노래
TV ver.
Live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2d2f34><colcolor=#212529,#e0e0e0> 노래 호리에 미츠코
코오로기'73(こおろぎ'73)
컬럼비아 요람회(コロムビアゆりかご会)
작사 야츠데 사부로
작곡 고바야시 아세이
편곡 타카다 히로시(高田 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2d2f34><colcolor=#212529,#e0e0e0>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총 작화감독 -
}}}}}}}}} ||

6.2. ED

ED
剣人・男意気
켄토 남자의 용기
파일:일본 국기.svg TV ver.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2d2f34><colcolor=#212529,#e0e0e0> 노래 코오로기'73(こおろぎ'73)
작사 아오이 아키라(あおいあきら)
작곡 고바야시 아세이
편곡 타카다 히로시(高田 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2d2f34><colcolor=#212529,#e0e0e0>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총 작화감독 -
}}}}}}}}} ||

7. 회차 목록

<rowcolor=#373a3c,#dddddd> 회차 제목 각본 스토리보드 연출 작화감독 방영일
제1화 戦火の中に立ち上がれ!
전화 속에 서라!
고부 후유노리
(五武冬史)
타카하시 모토스케 카시마 노리오 카나야마 아키히로 1979.03.21.
제2화 謎の第三ロボット
수수께끼의 제3로봇
사사키 카츠토시
(佐々木勝利)
시오야마 노리오 1979.03.28.
제3화 目覚めよ 銀河の獅子
눈을 떠라 은하의 사자
키쿠치 카즈히토
(菊池一仁)
사사카도 노부요시 1979.04.04.
제4화 剣人は未来の皇帝陛下
켄토는 미래의 황제폐하
타카하시 모토스케 히로카와 카즈유키[6]
(広川和之)
카나야마 아키히로 1979.04.11.
제5화 七人の絆は固く
7명의 인연은 단단하다
사사키 카츠토시 사카모토 사부로 1979.04.18.
제6화 ガメロットここに登場
가멜롯 지금 등장
타구치 쇼이치
(田口章一)
타카하시 모토스케 카시마 노리오 타카하시 모토스케 1979.04.25.
제7화 剣人は自由に生きるんだ
켄토야 자유롭게 살렴
고부 후유노리 키쿠치 카즈히토 카나야마 아키히로 1979.05.02.
제8화 お母さんが欲しい
엄마를 원해
츠지 마사키 사사키 카츠토시 사사카도 노부요시 1979.05.09.
제9화 飛んで飛んでそして泣け
날아라 날아라 그리고 울어라
고부 후유노리 카시마 노리오 시오야마 노리오[1인원화] 1979.05.16.
제10화 怒りのつぶて戦法
분노의 돌멩이 전법
타구치 쇼이치 아오이 아키라
(あおいあきら)
히로카와 카즈유키 카나야마 아키히로 1979.05.23.
제11화 おいらは最後の江戸っ子だい
나는 최후의 에도 아이다
츠지 마사키 키쿠치 카즈히토 사카모토 사부로 1979.05.30.
제12화 お姉ちゃんを救え・恐怖の宇宙病
누나를 구해라, 공포의 우주병
고부 후유노리 사사키 카츠토시 사사카도 노부요시 1979.06.06.
제13화 男はらぺこ涙の戦い
남자 굶주림 눈물의 싸움
타카하시 모토스케 카시마 노리오 카나야마 아키히로 1979.06.13.
제14화 もう一匹の仲間
또 한 명의 동료
카네코 유타카
(金子 裕)
사사키 카츠토시 사카모토 사부로 1979.06.20.
제15화 祭太鼓だ宇宙の大将
마츠리다이코다 우주의 대장
고부 후유노리 키쿠치 카즈히토 시오야마 노리오[1인원화] 1979.06.27.
제16화 はねかえせ食いしん坊作戦
박차올라라 먹보 작전
타카하시 모토스케 카시마 노리오 타카하시 모토스케 1979.07.04.
제17화 学校には何がある
학교에는 무언가 있다
카네코 유타카 사사키 카츠토시 사사카도 노부요시 1979.07.11.
제18화 顔じゃないよ心だよ
얼굴이 아냐 마음이야
나카하라 아키라
(中原 朗)
키쿠치 카즈히토 카나야마 아키히로 1979.07.18.
제19화 宿題はベムボーグ採集
숙제는 벰보그 채집
츠지 마사키 카시마 노리오 사카모토 사부로 1979.07.25.
제20화 海中ハリケーン脱出不能
바닷속 허리케인 탈출불능
히라야마 키미오
(平山公夫)
타카하시 모토스케 히로카와 카즈유키 사사카도 노부요시 1979.08.01.
제21화 宇宙の戦士クレイタス
우주전사 클레이터스
카네코 유타카 사사키 카츠토시 카나야마 아키히로 1979.08.15.
제22화 特訓ロボ・涙の大変身
특훈 로봇 눈물의 대변신
고부 후유노리 키쿠치 카즈히토 시오야마 노리오[1인원화] 1979.08.22.
제23화 銀河の虎ガスコン
은하의 호랑이 카스콘
타카하시 모토스케 카시마 노리오 타카하시 모토스케 1979.08.29.
제24화 悲しきベラリオスの涙
슬픈 펠라리오스의 눈물
타카하마 치즈루
(高浜千鶴)
사사키 카츠토시 사카모토 사부로 1979.09.05.
제25화 弾児に涙は似合わない
전쟁아이에게 눈물은 어울리지 않아
나카하라 아키라 카시마 노리오 사사카도 노부요시 1979.09.12.
제26화 総司令官クロッペンの挑戦
총사령관 크롯펜의 도전
고부 후유노리 키쿠치 카즈히토 카나야마 아키히로 1979.09.19.
제27화 ダルタニアス決死圏突破
달타니어스 결사권 돌파
히라야마 키미오 오우라이 아키노리
(生頼昭憲)
카시마 노리오 사카모토 사부로 1979.09.26.
제28화 ザール月基地へ大攻撃開始
자루 달기지로 대공격개시
고부 후유노리 사사키 카츠토시 사사카도 노부요시 1979.10.10.
제29화 火炎剣大パワーアップ作戦
불꽃검 대파워업 작전
나카하라 아키라 카시마 노리오 시오야마 노리오 1979.10.17.
제30화 宇宙からの花嫁志願
우주로의 신부지원
고부 후유노리 카세 아츠코 토미자와 유조
(冨沢雄三)
1979.10.24.
제31화 地球へ向かう謎の奴隷船
지구로 향하는 수수께끼의 노예선
키쿠치 카즈히토 카나야마 아키히로 1979.10.31.
제32화 さすらいの父・隼人の秘密
자그마한 아버지, 하야토의 비밀
타카하시 모토스케 스즈키 이쿠 사카모토 사부로 1979.11.07.
제33화 謎のクロッペンの正体
베일에 싸인 크롯펜의 정체
나카하라 아키라 카시마 노리오 사사카도 노부요시 1979.11.14.
제34화 おれは人間、地球の剣人だ
내가 인간, 지구의 켄토다
고부 후유노리 카세 아츠코 카나야마 아키히로 1979.11.21.
제35화 誇り高き反逆者・アール博士
긍지높은 반역자 알 박사
키쿠치 카즈히토 사카모토 사부로 1979.11.28.
제36화 たった一人の反乱軍
단 한 명의 반란군
카네코 유타카 사사키 카츠토시 카시마 노리오 시오야마 노리오[1인원화] 1979.12.31.
제37화 パニックの港町
패닉의 항구 마을
고부 후유노리 스즈키 이쿠 카나야마 아키히로 1979.12.12.
제38화 危うしハーリン・孤島の対決
위기의 하린 외딴 섬의 대결
토미자와 유조 카세 아츠코 토미자와 유조 1979.12.19.
제39화 銀河に賭ける父・隼人
은하에 건 아버지, 하야토
키쿠치 카즈히토 사사카도 노부요시 1979.12.26.
제40화 あばかれたクローンの秘密
파헤쳐진 클론의 비밀
타카하시 모토스케 스즈키 이쿠 타카하시 모토스케 1980.01.03.
제41화 裏切りの移動要塞
배신의 이동요새
카시마 노리오 사카모토 사부로 1980.01.09.
제42화 人間クロッペン・新たなる戦い
인간 크롯펜 새로운 싸움
카세 아츠코 카나야마 아키히로 1980.01.23.
제43화 激闘・ダルタニアス対移動要塞
격투 달타니어스 대 이동요새
키쿠치 카즈히토 시오야마 노리오
사사카도 노부요시
1980.01.30.
제44화 出撃・アダルス基地
출격 아달스 기지
토미자와 유조 스즈키 이쿠 토미자와 유조 1980.02.13.
제45화 父よ、よみがえれ
아버지여 부활하라
카시마 노리오 진구 사토시
(神宮さとし)
1980.02.20.
제46화 嵐のザールへ、全艦発進せよ
폭풍의 자르로, 전함 발진하라
마츠우라 조헤이
(松浦錠平)
스즈키 이쿠 1980.02.27.
제47화 ドルメンの悲劇
돌멘의 비극
키쿠치 카즈히토 시오야마 노리오 1980.03.05.

8. 평가

시청률은 다른 로봇 애니에 비해 저조했으나, 완구는 상당히 많이 팔았다고 한다. 이 때문에 완구/애니업계에선 "완구의 매상과 시청률은 관계없다" 란 견해가 정착하게 된다.

나가하마 다다오가 중간에 그만뒀다는 이유만으로 완성도가 높고 제대로 완결도 났음에도 미완성작이자 나가하마의 작품이 아닌 것으로 여겨져서 마이너 작품의 영역을 벗어나지 못했으며 자료집이나 관련 영상물 등을 구할 방법이 특히 없어서 많은 팬들이 이 작품을 보려고 해도 보지 못했다. 2009년 12월 DVD BOX가 출시된 게 다행이지만, 수주 한정 생산이었고, 이 DVD 박스도 화질을 제대로 리마스터링 하지 않아서 별 성의가 없었다. 적 로봇의 일부는 이름조차 설정이 되어있지 않다. 그나마 현재는 토에이의 해외 대상 유튜브 채널인 TOEI TOKUSATSU WORLD OFFICIAL에서 업로드 되고있다.

일본에서의 부진함과 달리 이탈리아에선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지금도 상당한 팬이 있다. 이는 일본이나 이탈리아의 애니메이션 서적에서도 다뤄지기도 했는데, 작품 분위기가 유럽적인 면이 있고, 작품의 테마가 전쟁하에서도 밝고 명랑하게 살아가려 하는 것이기에 전쟁 당시의 이탈리아의 역사적 상황이나 국민 정서에도 부합해서 그랬던 것 같다는 분석이 많다. 사실 중간에 나오는 설명이나 국기, 일본 아저씨 모습 같은 걸 빼면 일본이 아니라 전후 이탈리아라고 해도 믿을 정도로 분위기가 유럽스럽기 때문에 더 공감하기 쉬웠을 것이다. 본 작품 뿐 아니라, 서구적인 코드가 강했던 백수왕 고라이온[11][12]이나 그랜다이저 등도 일본보다 외국에서 더 많은 인기를 누린 것과 비슷하다. 그런데 정작 이 작품의 배경은 일본 규슈다.[13]

한국에선 비디오조차 나온 적도, 방영된 적이 없었고, 완구, 잡지나 카탈로그 등을 통해 소개된 게 전부라 슈퍼로봇대전을 통해 알게 된 사람이 많다.

9. 미디어 믹스

9.1. 슈퍼로봇대전 시리즈

파일:external/www.suparobo.jp/gc_cha_f02.jpg

슈퍼로봇대전 D슈퍼로봇대전 GC, 슈퍼로봇대전 XO, 슈퍼로봇대전 DD에서 등장. 원작 내용은 자주 다뤄줬으나 왠지 나올 때마다 성능이 뭔가 부족한 점이 있어서 잘 쓰지 않게되는 비운의 작품이었다.

우선 근년의 합체로봇 치고는 신기하게도 분리가 재현되어 있는데다가 출격은 합체후의 상태로 하기에 출격수에 압박당하는 일은 없다. 또한 파일럿은 2명이지만 베라리오스도 파일럿 취급이라 실질적으로 3인승이며 분리기 중 건퍼에게 보급장치가 있어서 분리후 베라리오스 보급->재합체시 기력 다운 없이 EN을 조금 회복하는 것이 가능하고, 파일럿인 단지에겐 히트 앤 어웨이가 있어서 보급노가다의 둘도없는 친구.

D에서는 개조한계가 매우 오묘해서 풀 개조할 경우 다른 기체의 최종기보다 심할 경우 1000 정도 차이가 나는 것도 부족해서 추가 무장의 공격력 설정까지 잘못되어있어서 추가 무장을 얻어도 안얻어도 다른 기체에 밀린다. 기체 자체도 장갑이 뛰어나지 못하며 운동성이 높은 것도 아니다. GC 에서는 그냥 기체의 기본 공격력이 이뭐병스럽게 등장했다.지못미

무장추가는 슈퍼로봇대전 D의 경우 구 에리오스령 루트로 가면 무기 1개와 필살기 2개가 추가되며 이 루트에선 마그의 마지막 설득 플래그가 있기에 OVA판 갓마즈 사용조건이 되기도 한다. 또한 무기추가후 마지막 분기를 기신성쪽으로 가서 끝까지 생존해있으면 초공간에너지 이벤트로 갓마즈의 반양자폭탄이 제거되기 때문에 사실상 갓마즈와 분기를 완벽하게 공유한다. 다만 반대쪽 루트인 엔젤하이로 루트라면 추가되지 않고 이 루트의 숨겨진 요소인 V2AB, 하만, 카테지나 루스도 워낙 출중한지라 선택의 고민이 있다. 다행히 GC와 XO에선 서브시나리오 하나 들어가면 해결되기에 이런 문제는 없지만.

추가무장이 생겼을때 난감한 점은 추가되는 강력한 무장 2개의 공격력 차이가 꼴랑 100이며, GC의 경우 초공간에너지해방이 사격의존이란것. 참고로 XO에선 초공간에너지해방이 맵 병기라는 미친 성능으로 변화해있다(…)

또한 D는 달타니어스의 분리 합체기능을 전부 사용하지 않으면 클리어할 수 없는 쯔메슈퍼로보가 있고, 주회차 플레이시 2주당 적 1단계씩 개조인 사양 때문에 미육성시 절대 클리어불가가 되는 기체중 하나니 반드시 신경써야 한다. 특히 윙 제로(EW)와 빅오와 베라리오스 단 셋이서 초반을 해결해야 하는 맵 "생과 사의 주박" 의 악몽은 F의 "화평성립" 에서 뻘쭘하게 강제출격되는 빅모스로 도망치기 수준의 트라우마로 회자되고 있다(…).

그리고 달타니어스는 합체 메카들이 분리상태로 사용하는 합체 공격 αβγ어택을 가지고 있다. 즉 EN개조만 충분히 해주면 분리→단지 αβγ어택→베라리오스 αβγ어택→켄토 화염십문자베기 같은 자력 연속기를 우겨넣을 수 있단 뜻이다(사정 1이지만 P병기) 그러나… 화염십문자베기가 격투라 격투 올인으로 키우는 판에 사격무기이며. 베라리오스의 단독공격을 우겨넣을 때 외엔 거의 쓸 일이 없다. 그리고 D와 XO에서는 가스콘과 합체기가 있어서 플레이 여하에 따라선 좀 쓸만할 수도 있다. 그러나 GC에선 합체기가 없었다.

오랜 시간동안 출연이 없었으나, 슈퍼로봇대전 DD를 통해 XO 이래 오랜만에 음성지원 참전. 주인공인 켄토랑 단지는 물론이고 히로인인 시라토리 사나에(CV: 한 케이코)도 서포터로서 첫 음성수록이 이루어졌다. 월드 6의 구성작품중 하나로서 강철신 지그랑 세계관을 공유하는데, 자르 성간제국이 공격해온 50년 이상 전부터 혼슈 지방이 고립된 상태라는 설정.[14] 또한 10월 15일 슈로대 30의 DLC 1 PV에서 볼테스 V가 참전이 결정되면서 나가하마 낭만 로봇 시리즈 전체에 큰 기대감을 품는 이들이 늘어나면서 다이모스와 함께 참전에 대한 기대감이 늘어났다.

10. 기타

볼트론이 될 뻔한 로봇 애니메이션이다. 원래 미국 수입사인 '월드 이벤츠 프로덕션'에서 요구한 작품이 달타니어스였기 때문. 그러나 월드 이벤츠 측은 일본어에 미숙한 면이 있었던가, 달타니어스의 세세한 특징을 몰랐는지 정확한 타이틀이 아닌 그저 '여러 메카가 합체해서 큰 로봇이 되고, 사자 로봇이 나온다' 라고만 설명했고, 이를 백수왕 고라이온이라고 오해한 토에이 측은 달타니어스가 아닌 백수왕 고라이온 전편을 보내주었다고. 만약 토에이 측에서 고라이온이 아닌 달타니어스를 제대로 보내주었다면 미국에서 편집된 볼트론의 이미지가 크게 바뀌었을지도 모를 일이다.[15]

초합금혼 발매. 아틀라우스의 쩍벌변형과 합체시 베라리오스의 스커트가 노랑에서 검은색으로 변하는 변태적인 기믹을 재현하여 높은 완성도를 자랑하나 주목받지 못하고 있다.

후반부에 클론 문제를 다루는 스토리로 결말 부분이 급선회하게 되었는데 복제인간이 본격적으로 화두가 된 것은 17년 후였던지라 너무 시대를 앞선 스토리라는 평을 받았다.

같은 토에이에서 제작한 1988년 작품의 슈퍼전대 시리즈인 초수전대 라이브맨에서 달타니어스의 로봇을 참고하여 라이브 로보를 디자인 한것은 유명한 이야기이다. [16] 슈퍼전대 시리즈의 로봇 중에서 가슴에 사자머리가 달려있는 것은 이 달타니어스에서 따왔다. 동체 부분을 담당하는 메카인 랜드 라이온 역시 이 베라리오스의 러프 스케치와 디자인을 오마주해서 만들어져 큰 영향을 받았다.
[1] 도중에 강판되었다.[2] 1923년 9월 11일 히로시마 출신. 배우이자 성우로써 철완 아톰 흑백 애니메이션 판에서 라쟈 박사, 과학닌자대 갓차맨의 미와 박사, UFO 전사 다이아포론의 다잔 총통, 최강로보 다이오쟈에서는 중신 도오루 역을 맡았으며 특촬쪽은 1972년 울트라맨 에이스에서 스틸 성인의 인간체, 같은 년도의 거대 히어로 특촬인 썬더 마스크에서 타카세 우주연구원의 키리가네 박사 역으로 출연했다. 이후 2008년 12월 17일 향년 85세로 타계했다.[3] 켄토를 처음에는 켄토 군이라 부르면서 하대하고 은근히 갈구기도 하지만 켄토가 베라리오스를 깨우자 태도가 싹 바뀌어 켄토 님으로 부르면서 존대하기 시작한다.[4] 죽집에 있을 당시에 살이 찌게 되면 식용으로 도살될 운명임을 깨달은 모양인지 먹이를 줬음에도 불구하고 입에 대지 않고 앙상한 몸으로 있었다.[5] 마징가 Z의 캐릭터인 고곤 대공과 비슷한 형태를 하고있다.[6] 히로카와 슈이치(廣川集一)의 필명.[1인원화] [1인원화] [1인원화] [1인원화] [11] 고라이온의 경우에는 달타니어스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 제작된 작품이다. 똑같이 사자를 모티브를 한 점이나, 멸망한 왕국의 재건이라는 플롯도 비슷하다.[12] 미국에서 볼트론으로 현지화해 방영된 인기를 누렸는데 사실 미국측에서 원한것은 바로 이 달타니어스였다. 그런데 오해로 인해 대신 보내진게 바로 이 백수왕 고라이온이었다.[13] 나가하마 감독은 규슈 가고시마 출신이었다.[14] 실제 달타니어스 작중에서 후쿠오카현 북혼슈시가 자르 성인에게 공격당하는 씬이 있었다.[15] 가령 등장인물들 이미지와 파일럿이 2~3명(베라리오스의 파일럿을 오리지널 인물로 추가시킬 경우)으로 축소되거나 악역 등의 캐릭터 이미지 변형.[16] 같은 스즈키 타케유키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