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02 19:23:01

페데스탈 작전


<colkeepall> 제2차 세계 대전의 전투 목록​|​유럽/아프리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0.92em; letter-spacing: -0.3px"
※문서가 생성된 전투만 기재
둘러보기 : 아시아 및 태평양 전선 전투목록
<rowcolor=#fff> 전투 이름 교전 국가 및 세력
<rowcolor=#FFF> 공격 측 방어 측
<nopad> 1939년
<colbgcolor=#b31c31> 폴란드 침공
베스테르플라테 전투
단치히 우체국 방어전
바르샤바 전투
비츠나 전투
브주라 전투
코츠크 전투
겨울전쟁
수오무살미 전투
콜라 전투
<nopad> 1940년
가짜 전쟁
노르웨이 침공
프랑스 침공
아라스 전차전
됭케르크 철수작전
이탈리아의 프랑스 침공
북아프리카 전역
몰타 항공전
캐터펄트 작전
칼라브리아 해전
영국 본토 항공전
독수리의 날
동아프리카 전역
유고슬라비아 침공
그리스 침공
타란토 공습
<nopad> 1941년
마타판곶 해전
라인 연습 작전
크레타 섬 전투
시리아-레바논 전역
바르바로사 작전(독소전쟁)
브레스트 요새 방어전
발트해 전역
브로디 전투
비아위스토크-민스크 전투
계속전쟁
은색 여우 작전
뮌헨 작전
제1차 스몰렌스크 전투
우만 전투
모스크바 폭격
제1차 키예프 전투
페르시아 침공
레닌그라드 공방전
뱌지마-브랸스크 포위전
모스크바 공방전
툴라 전투
세바스토폴 공방전
로스토프 전투
알렉산드리아 습격
<nopad> 1942년
류반 공세
르제프 전투
데미얀스크 전투
영불 해협 돌파작전
마다가스카르 전투
제2차 하리코프 공방전
류반 구원 작전
빌헬름 작전
프리데리쿠스 작전
청색 작전
보로네시 전투
엘 알라메인 전투
PQ-17 호송선단 전투
자이들리츠 작전
칼라치 전투
제1차 르제프-시쵸브카 공세
비르벨빈트 작전
디에프 상륙 작전
스탈린그라드 전투
횃불 작전
튀니지 전투
천왕성 작전
벨리키예루키 전투
화성 작전
겨울폭풍 작전
바렌츠 해 해전
<nopad> 1943년
북캅카스 공세
콜초 작전
이스크라 작전
보로네시-하리코프 공세
스카쵸크 작전
제3차 하리코프 공방전
쿠르스크 전투
연합군의 시칠리아 침공
쿠투조프 작전
제1차 돈바스 공세
므가 공세
플로이에슈티 공습
제4차 하리코프 공방전
제2차 스몰렌스크 전투
브랸스크 공세
드네프르 강 전투
도데카니사 전투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무솔리니 구출 작전
슈바인푸르트 공습
제2차 키예프 전투
드네프르-카르파티아 공세
노스케이프 해전
<nopad> 1944년
칼린코비치-모지리 공세
몬테카시노 전투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코르순-체르카시 포위전
안치오 상륙 작전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나르바 전투
비텝스크 공세
논쟁 작전
로가체프-즐로빈 공세
카메네츠-포돌츠크 포위전
크림 반도 공세
노르망디 상륙작전
빌레르보카쥬 전투
비보르크-페트로자보츠크 공세
바그라티온 작전
레지차-드빈스크 공세
프스코프-오스트로프 공세
리보프-산도미에시 작전
루블린-브레스트 작전
타넨베르크 선 전투
바르샤바 봉기
타르투 공세
코브라 작전
팔레즈 포위전
용기병 작전
도펠코프 작전
제2차 야시-키시네프 공세
슬로바키아 민족봉기
파일:체코 국기.svg 슬로바키아 봉기군
동부 카르파티아 공세
발트해 공세
라플란드 전쟁
베오그라드 공세
휘르트겐 숲 전투
마켓 가든 작전
아헨 전투
데브레첸 전투
페차모-키르케네스 공세
판처파우스트 작전
굼비넨 작전
벌지 전투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임시정부
부다페스트 공방전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헝가리 국민단결정부
<nopad> 1945년
보덴플라테 작전
비스와-오데르 대공세
동프로이센 공세
한니발 작전
하부 슐레지엔 공세
드레스덴 공습
남풍 작전
봄의 새싹 작전
모라바-오스트라바 공세
상부 슐레지엔 공세
연합군의 독일 본토 침공
텍셀 봉기
파일:Georgische_Legion.png 조지아 군단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저항군
삼란드 공세
베를린 공방전
오드자크 전투 파일: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 깃발.svg 유고슬라비아 연방 인민공화국
이터 성 전투 파일:슈츠슈타펠 깃발.svg 항전파 무장친위대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저항군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VIP
프라하 봉기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저항군
※시기 구분은 전투 및 교전 발생 일자 기준, 전투 기간은 개별 문서 확인
}}}}}}}}} ||
페데스탈 작전
Operation Pedestal
Battaglia di Mezzo Agosto
날짜
1942년 8월 9일 ~ 1942년 8월 15일
장소
지중해
교전국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영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영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나치 독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나치 독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탈리아 왕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탈리아 왕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지휘관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문서명}}}{{{#!if 출력 != null
}}}}}}]]
에드워드 네빌 시프렛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문서명}}}{{{#!if 출력 != null
}}}}}}]]
해롤드 버로우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문서명}}}{{{#!if 출력 != null
}}}}}}]]
알베르트 케셀링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문서명}}}{{{#!if 출력 != null
}}}}}}]]
알베르토 다 자라
전력
항공모함 4척
전함 2척
경순양함 7척
구축함 32척
코르벳 4척
소해함 4척
잠수함 11척
모터 런치 7척
수송선 14척
급유선 2척
예인선 1척
전투기 74대
뇌격기 28대
영국 공군
중순양함 3척
경순양함 3척
구축함 12척
M,A,S 어뢰정 23척
잠수함 21척
폭격기 285대
피해규모
항공모함 1척 격침
경순양함 2척 격침
구축함 1척 격침
수송선 9척 격침
항공모함 1척 대파
경순양함 2척 손상
항공기 34대 손실
350~550명 사망
잠수함 2척 격침
중순양함 1척 손상
경순양함 1척 손상
잠수함 1척 손상
항공기 48~60대 손실
100명 이상 사망 및 실종
결과
영국의 전략적 승리, 추축국 수송선 항로 차단으로 북아프리카 전역의 전세가 연합군에게 넘어옴.
1. 개요2. 서론3. 몰타의 상황4. 양측 편제
4.1. 영국4.2. 독일 및 이탈리아군
5. 전투
5.1. 준비5.2. 8월 10일5.3. 8월 11일5.4. 8월 12일5.5. 8월 13일5.6. 8월 14일5.7. 8월 15일
6. 결과

1. 개요

Operation Pedestal

영국 해군이 몰타 항공전 중 몰타를 구원하기 위해 진행한 대규모 수송작전.

지중해 전역에서 가장 피비린내나는 혈전 중 하나로, 이 작전으로 인해 영국은 몰타 항공전에서 승리하고 북아프리카 전역의 주도권을 가져오게 된다.

2. 서론

몰타는 그렇게 큰 섬이 아니었지만 매우 중요한 전략적 요충지로, 몰타 항공전 문서에서도 나오듯 영국 해군이 지중해 제해권을 장악할 수 있는 주요 거점으로서 한때 영국 지중해 함대가 주둔하던 해군 기지이자 이집트 알렉산드리아행 영국 선단이 반드시 지나가는 중간기착지였다.

또한 이곳에 항공대를 배치하면 항속거리가 트리폴리, 뱅가지 항구에도 닿았기에 몰타를 장악하는 쪽은 이곳을 지중해의 불침항모로 삼아 아군 보급선을 보호하고 반대로 상대 보급선을 끊어버릴 수 있었다.[1] 즉 몰타의 운명에 따라 북아프리카 전역의 운명도 결정되는 것이었다.

3. 몰타의 상황

하지만 몰타는 시칠리아 바로 아래 있었기에 이탈리아와 독일이 해군, 공군을 동원해 두들길 수 있는 장소였고, 추축국도 무자비한 폭격을 퍼부으면서 몰타를 초토화시켰다. 특히 항공기 연료의 소모가 극심했다.

영국도 1940년 8월부터 1942년 8월 말까지 호커 허리케인슈퍼마린 스핏파이어를 항모를 통해 보급하며 추축국 선박 다수를 격침시켰지만, 추축국도 몰타로 향하는 영국 수송선단을 공격하고 기뢰를 뿌리며 몰타를 말려죽이려 했다. 게다가 롬멜의 아프리카 군단이 토브룩을 함락시키고 영국군을 엘 알라메인으로 밀어내면서 알렉산드리아도 위기에 처했다.

이에 영국은 1942년 6월 서쪽에서는 하푼 작전비고라스 작전으로 지중해 서쪽, 동쪽에서 동시에 선단을 돌입시켜 봉쇄를 뚫고 몰타를 보급하려 했지만 하푼 작전에서는 두 척의 수송선만 겨우 입항했지만 유조선은 없었으며 비고라스 작전에서는 몰타에 발을 들이밀지도 못했다. 그 결과 몰타는 8월이 되자 민간인들에게 배급되는 식량이 하루 필수 칼로리조차 채우지 못할 지경이 되었다. 그나마 개조한 압디엘급 기뢰부설함 HMS Welshman과 잠수함들을 통해 보급을 받았지만 항공기 물자만 겨우 보낼 수 있었고, 9월 안에 몰타에 대규모 물자를 보급하지 못한다면 몰타는 진짜 말라죽을 수도 있었다.

이에 영국은 함락 직전의 몰타를 구하기 위해 지중해에 가용 가능한 함정을 전부 긁어모아 페데스탈 작전에 투입한다.

4. 양측 편제

4.1. 영국

영국 해군 - 항공모함 4척, 전함 2척, 경순양함 7척, 구축함 32척, 코르벳 4척, 소해함 4척, 잠수함 11척, 모터 런치 7척,[2] 수송선 14척, 급유선 2척, 예인선 1척, 전투기 74대, 뇌격기 28대, 영국 공군.

WS-21 수송선단
  • 수송선 13척 - MV 엠파이어 호프(Empire Hope), MV 도싯(Dorset), MV 와이랑기(Wairangi), MV 로체스터 캐슬(Rochester Castle), 와이라마(Waimarama), 브리즈번 스타(Brisbane Star), MV 포트 찰머스(Port Chalmers), 알메리아 라이크스(Almeria Lykes), 산타 엘리사(Santa Elisa), MV 클랜 퍼거슨(Clan Ferguson), MV 글레노르치(Glenorchy), 멜버른 스타(Melbourne Star), MV 듀칼리온(Deucalion)
  • 유조선 1척 - SS 오하이오(Ohio)[3]

Force Z - 대형함. 시칠리아 해협 통과 전 지브롤터로 회항.[4]
Force X
Force Y
  • 수송선 2척
  • 구축함 2척

Force R
  • 급유선 2척
  • 코르벳 3척
  • 예인선 1척

벨로스 작전
몰타 항공전력
  • 전투대대 9개
  • 뇌격대대 3개
  • 폭격대대 4대
  • 정찰대대 2개
  • 스핏파이어 38대[5]

4.2. 독일 및 이탈리아군

이탈리아군

통합
  • 잠수함
    • 아차이오급: Asteria, Avorio, Bronzo, Cobalto, Giada, Granito, Volframio
    • 아두아급: Alagi, Ascianghi, Axum, Dagabur, Dessiè, Uarsciek
    • 아르고급: Velella
    • 브린급: Brin
    • 글라초급: Otaria
    • 마르첼로급: Dandolo, Emo
    • U-73, U-205, U-333

공군
  • 사르데냐 주둔
  • 시칠리아 주둔
    • 이탈리아 공군
    • 독일 시칠리아 제2비행단

5. 전투

5.1. 준비

영국은 지중해와 북아프리카 전역의 운명이 걸린 보급작전을 위해 동양함대의 인도미터블을 차출하고 8월 대소련 수송선단 보급작전도 취소했다.

1942년 8월 3일 페데스탈 작전을 위해 클라이드에 14척의 대형 수송선들이 모여 WS 21S 선단을 이뤘으며, 이 중 가장 중요한 배는 단연코 유조선 SS 오하이오였다. 이 유조선이 적재한 11,500톤의 연료, 그 중에서도 8,700톤의 항공유를 몰타에 보내지 못한다면 몰타는 끝장이었다.

5.2. 8월 10일

5.3. 8월 11일

10시 53분 헬무트 로젠바움 대위의 U-73이 알제리 북동쪽 해역에서 청음기로 수송선단의 소음을 포착한 뒤 11시에 잠망경으로 선단을 발견했다. 이후 11시 5분에 항공모함으로 추정되는 대형함을 발견해 선단 내로 잠입했고 12시 50분 항공모함 이글을 식별했다.
전력을 다할 것! 우리 목표는 이글이다!
12시 56분. 헬무트 대위의 훈시.
그 후 3~4번 구축함 사이를 통과한 U-73은 13시 15분 이글에게 500m 거리까지 접근해 4발의 어뢰를 일제히 발사했고, 32초 뒤 좌현에 어뢰 4발이 전부 명중했다.[6][7] 어뢰 4발을 동시에 얻어맞은 이글은 좌현 격벽 다수가 붕괴되고 보일러실이 수몰되면서 불과 8분 만에 좌현으로 기울어 침몰했으며 시 허리케인 12대도 이때 수장되었다. 그나마 승조원 1087명 중 전사자는 160명뿐이었던 것이 다행.

한편 U-73은 이글을 향해 어뢰를 발사한 뒤 급속 잠항했고, 이글의 침몰음을 들으며 호위함들의 폭뢰 공격을 뚫고 무사히 도주했다.
2척의 순양함과 15척의 구축함과 호위함들, 9~10척의 화물선, 이글이 포함된 선단. 전함 1척도 있을 것으로 추정됨. CH 9119 해역.
500m 거리에서 이글에게 어뢰 4발 명중. 커다란 침몰 소음 청취. 폭뢰 공격을 당했지만 무사함. 로젠바움.
18시 28분. 잠수함 사령부로 보낸 무전 송신.
브라보, 로젠바움!!
22시 56분. 잠수함 사령부의 회신.

한편 00시 54분. HMS 울버린이 대잠수색 중 이탈리아 잠수함 다가부르(Dagabur)를 4,500미터 거리에서 발견하고 27노트의 속력으로 돌격해 충각으로 격침시킨다.

5.4. 8월 12일

오전 5시부터 Ju 88 정찰기들이 선단을 추격하기 시작했다.

18시 35분에는 항모 인도미터블이 슈투카의 1,000kg 폭탄 두 발을 비행갑판에 맞아 대파되면서 전력에서 이탈했다.[8] 영국군에 남은 항모는 이제 빅토리어스뿐이었다. 이 때문에 취약해진 대공방어를 노린 이탈리아 SM.79 뇌격기들이 18시 45분 영국 F급 구축함 HMS 포어사이트에 어뢰를 명중시켜 기동불능으로 만들었고 끝내 자침처분되었다.

그날 밤 19시 55분, 이탈리아 잠수함 악숨이 호송선단을 노리고 네 발의 어뢰를 날려 모두 명중시켰다. 첫 발은 피지급 경순양함 나이지리아를 대파시켜 52명이 죽고 구축함 세 척의 엄호를 받아 지브롤터로 회항해야 했다. 2번과 3번 어뢰는 C급 경순양함 카이로에 명중해 선미와 프로펠러를 파괴했고, 결국 카이로는 항행 불능에 빠진 뒤 구축함에 의해 처분되었다. 네 번째 어뢰는 오하이오에 명중해 선체에 큰 구멍을 내버렸으며, 화재는 빠르게 진압했지만 측면 함체 일부가 튀어나오며 배가 계속 좌현으로 밀려나게 되었다. 혼란을 수습하는 사이 독일군의 공습을 상대로 흩어진 호위함들이 제대로 대공화망을 구성하지 못하면서 수송선 엠파이어 호프, 클랜 퍼거슨이 격침당하고 브리즈번 스타는 속력이 저하되어 후미로 처졌다.

그 사이 오하이오는 배가 좌현으로 치우치는 것을 막기 위해 방향키를 우측으로 맞추고 항해에 나섰으며, 헌터급 구축함 레드버리가 선미에 불을 켜고 오하이오를 유도했다.

수송선단은 이탈리아의 기뢰원을 피하기 위해 튀니지 해안에 가까이 붙어 항해했지만 육상 등대에 위치가 노출되얼고, 이탈리아 어뢰정들이 이를 요격하기 위해 달려들었다. 새벽 1시 이탈리아 어뢰정에게 순양함 맨체스터가 어뢰 두 발을 맞아 침몰했고 수송선 와이랑기, 알메리아 라이크스, 산타 엘리사, 글레노르치가 격침당했으며 로체스커 캐슬도 피해를 입었다. 오하이오와 레드버리가 대열에 재합류했을 때 수송선은 절반밖에 남지 않았다.

5.5. 8월 13일

오전 8시 10분 수송선 와이마라마가 Ju 88 10대의 공습을 받아 항공폭탄 4발을 맞고 적재한 탄약과 항공유가 유폭해 격침당했다.[9] 생존자 27명은 구축함 HMS Ledbury가 구조했다.

9시 25분 슈투카들이 오하이오에 집중공격을 가하기 시작했다. 오하이오는 다수의 지근탄을 맞았고, 오하이오가 격추시킨 슈투카 한 대가 추락하다가 충돌하기도 했다. 10시 30분에는 동력에 문제가 생겨 수송선단 후미로 처져 구축함 펜의 보호를 받았지만 11시 30분 몰타를 60마일 앞두고 추진력을 상실했다.

5.6. 8월 14일

5.7. 8월 15일

6. 결과

전술적으로 봤을 때 영국군의 피해가 훨씬 컸으며, 항모를 포함한 많은 배들이 격침당하고 수송선은 60% 가까이 상실했다.

하지만 그런 희생에도 불구하고 살아남은 수송선 5척은 몰타에 3만 톤 이상의 식량과 군수품을 전달했고, 특히 오하이오는 엄청나게 얻어맞고도 1만 톤 이상의 연료를 전달해 몰타가 몇 주 동안 버틸 수 있는 여력을 마련해주면서 지중해 전역과 2차 엘 알라메인 전투의 승리를 만들어내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10]

결국 이글을 비롯한 군함들과 상선들의 희생은 헛된 것이 아니었다.
[1] 실제로 몰타 섬 지하동굴에 영국군의 비밀 잠수함 기지가 있어 롬멜의 보급선단을 잡아먹었다.[2] 영국 해군이 항만 방어와 대잠 등 보조임무로 사용하던 소형 경비정.[3] 하푼 작전에서 격침된 SS 켄터키의 자매함이다.[4] 시칠리아 해협에 기뢰원이 있어 아프리카 쪽 해변에 바짝 붙어 항해해야 하는데, 그러면 대형함들이 추축국 항공기와 어뢰정들의 먹잇감이 될 가능성이 높았기 때문이다.[5] 8월 11일 퓨리어스에서 발진.[6] 제2차 세계대전 때 유보트의 어뢰 일제사격이 단일 함선에 전부 명중한 유일한 기록이다.[7] 그는 사관후보생 시절 경순양함 쾰른에서 근무하던 중 1933년 여름 중국 칭다오에서 열린, 이글의 함상 리셉션에 직접 참가했기에 이글을 정확히 알아볼 수 있었다. 이때 무방비 상태인 수송선과 순양함들을 보내며 '어뢰 발사관이 몇 개만 더 있었더라면'이라고 안타까워하기도.[11][8] 영국 항공모함들은 장갑화된 비행갑판을 채택하였기 때문에 웬만한 공격으로는 끄떡없었으나, 일정 수준 이상의 공격을 받고 갑판이 파손되면 야전에서는 수리가 불가능해 무조건 전장에서 이탈해야 했다. 반면 미군 항공모함들은 목재 갑판을 사용했고 영국과는 장단점을 정반대로 공유(쉽게 파손되지만 야전에서 수리 가능)했다.[9] 어찌나 폭발이 컸는지 폭격기 한 대가 휘말려 격추당했다고 한다. 유폭 당시 촬영된 사진.[10] 덕분에 몰타 박물관에는 오하이오의 모형과 타륜, 명판, 현창(창문)이 보존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