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07 23:52:45

시외버스 언양-부산

시외버스 부산-언양에서 넘어옴
파일:IMG_6451 (1).jpg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4. 특징5. 대체 노선6. 막차 이후
6.1. 언양→부산6.2. 부산→언양
7. 그 외8. 운임9. 시간표10. 연계 철도역11. 둘러보기

1. 개요

언양시외버스터미널에서 통도사신평버스터미널거쳐 부산종합버스터미널을 잇는 노선.

2. 노선 정보

시외버스 언양-부산
기점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남부리(언양시외버스터미널) 종점 부산광역시 금정구 노포동(부산종합버스터미널)
언양행 첫차 06:20 부산행 첫차 06:20
막차 21:30 막차 21:30
운수사명 푸른교통 운행횟수 1일 24회
상세 노선 언양터미널 - 구.언양타미널 - 작천정 - 35번국도 -삼성SDI - 통도사(신평)터미널 - 통도사하이패스IC - 경부고속도로 - 노포IC - 부산(노포동)터미널

3. 역사

  • 일제강점기 때부터 전신이 운행된 유서 깊은 노선이다. 경부고속도로가 개통된 이후 직행인 본 노선과 완행인 양산 버스 12로 계통 분리된 것으로 추정된다.
  • 2021년 12월 1일부터 12번의 양산 단축에 따라 작천정, 삼성SDI에 추가로 정차하며 부산과 언양을 한번에 잇는 유일한 버스가 되었다.[2]
  • 2022년 11월 1일부터 전국 시외버스 요금 인상에 따라 요금이 인상되었다.

4. 특징

  • 전체 소요시간은 40~45분 정도이다. 통도사까지는 25분~30분 정도 걸린다.
  • 만약에 최종 목적지가 부산 남부라면 울산역에서 KTX, KTX-산천, SRT를 타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나, 요금이 배로 비싸므로 주의할 것.
  • 통도사 - 언양 구간승차도 가능하며 해당 구간은 15분 정도 걸린다. 같은 구간을 달리는 시내버스인 양산 버스 13도 있지만 있지만 이 노선을 타는 것이 가성비가 좋다. 요금 차이도 거의 없다. 같은 구간를 시내버스로는 2배 이상 더 걸리기에 시외버스가 가지않는 중간정류장을 가는 경우가 아니라면 이 노선을 이용하는것이 좋다.
  • 노선 특성상 석남사로 가려는 승객도 이용하며 경주시 내남면으로 가는 승객도 종종 이용한다. 다만 내남으로 가는 경우 울산 버스 308-경주 버스 500간 연계가 잘 안되므로 그냥 경주행 버스를 타서 경주에서 내남행 버스를 타는 것을 추천한다. 그리고 서부산에서 석남사로 갈 거면 밀양행 버스를 탄 뒤 밀양에서 석남사로 가는 버스를 타는 게 더 탁월한 선택일 수 있다.

5. 대체 노선

  • 부산 노포역에서 1127번이나 1147번을 타고 신복로터리에서 1703번, 1713번, 1723번, 1733번으로 환승하면 시내버스로도 언양까지 이동할 수 있다. 11x7번 운임 3,100원에 17x3번 환승 운임 900원을 더하면 4,000원으로, 시외버스 운임 4,200원보다 200원 저렴하다. 그러나 위 시내버스 노선들은 고속도로를 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승객을 태우기 위한 정차도 여러 번 있다. 그리고 신복로터리에서 환승하는 시간도 있으므로 시간이 더 걸리는데 여기에 환승에 의한 번거로움과 편차까지 생긴다. 특히 1127번 버스와 1137번 버스를 이용하는 경우 웅촌과 웅상 지역을 경유하므로 시간이 더 많이 걸린다. 그나마 빠른 1147번을 타더라도 환승지인 신복로터리 까지 45분은 잡아야 한다. 게다가 언급했듯 요금차이도 크게 없기 때문에 울산-부산간 광역환승이라도 실시하지 않는이상 언양갈땐 그냥 시외버스를 타는게 가성비가 압도적으로 좋다
  • 울산을 안 거치고 부산까지 시내버스로 가겠다면 언양에서 부산까지 13번을 이용해 통도사로 가서 12번으로 환승하면 환승요금이 적용되어 1,450원에 갈 수 있다. 과거 12번이 언양까지 왔을 때는 환승 없이도 갈 수 있었지만 이때는 시계외요금이 붙었기에 요금은 현재보다 비싼 1,900원이었다. 두 방법 모두 시외버스의 절반 혹은 그 이하의 가격이지만 시간은 3배 이상 걸리므로 시외버스를 타고 가는 것을 추천한다.

6. 막차 이후

6.1. 언양→부산

언양에서 본 노선 막차(21시 30분) 이후에 부산으로 이동하려면 서부산 쪽이 목적지라면 주말한정 22시 15분에 출발하는 김해행 시외버스가 있고, 22시 10분에 울산역에서 출발하는 3100번으로 서창, 덕계로 가서 1002번으로 환승하거나, 22시 30분에 울산역에서 출발하는 3000번으로 양산역 환승센터로 가서 부산 도시철도 2호선으로 환승할 수 있다.[3] 아니면 그 이후에는 1723번으로 통도사까지 가서 12번 심야노선으로 환승해도 된다. 1723번[4]을 이용하면 통도사에서 23시 10분에 출발하는 12번 막차를 이용할 수 있다.

위 1723번을 타는 방법조차 놓쳤다면 울산역으로 이동해 고속철도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 시간 이후로 부산 가는 고속열차는 2022년 11월 말 기준 23:37, 23:49자가 있다[5]. 다만 부산역은 부산 원도심 쪽이라 목적지가 이쪽에서 멀다면 택시비가 고속철 요금보다도 많이 나올 수 있다는 것은 각오해야 한다.

6.2. 부산→언양

반대로 부산에서 언양으로 막차 이후(21시 30분) 움직이려면 노포역에서 1127번, 1147번을 이용해 신복로터리에 내려 17x3으로 환승하는 방법이 있다. 막차 기준으로 11시 40~50분 안쪽으로 울산 시내에 도착하면 언양 가는 마지막 1723번 버스를 탈 수 있다.

두번째로는 동해선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단 부전역에서 출발하는 22:05분 열차까지는 무조건 탑승해야한다. 태화강역에 내려 1713/1723번을 이용하면 된다.

세번째는 부산역에서 고속열차를 이용해 울산역에 내려 언양에 들어오는 방법이 있다. 부산 갈때와 달리 이렇게 하면 택시를 타는 것보다 저렴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일단 울산역에 내리기만 하면 부산 시내와 달리 언양읍내가 그리 크지 않아 택시를 이용해도 그렇게 큰 부담은 없다. 특히 출발하는 곳이 부산 원도심 쪽이라면 막차 시간이든 평소든 언양을 갈 때 이 방법이 오히려 편하고 시간도 적게 걸린다. 참고로 부산역에서 울산역까지 가는 열차는 2022년 11월 말 기준 23:37, 23:49자가 있다. 만약 이 방법마저 놓쳤다면 그냥 적당한 곳에서 시간 보내다 고속철이나 언양행 시외버스 첫차를 이용하는것이 좋다.

특히 부산도심권이나 서부산쪽에서는 이 노선의 첫차를 타러 굳이 노포동터미널로 가지말고 바로 부산역으로 가서 고속철 첫차를 이용하는것이 오히려 비용이 저렴해질수도 있다.

7. 그 외

  • 구언양버스터미널 시내버스 정류소에서도 승하차할 수 있다.
  • 보통 노포동터미널행 버스들이 야간에는 노포IC 대신 구서IC로 진출하여 두실역 등지에서 중간하차하는 것과 달리 이 노선은 중간하차가 없다. 시종점에서 막차가 밤 9시 반에 출발하기 때문이다. 만약 1시간이 걸려 10시 반에 도착한다 쳐도 1호선 막차시간까지는 1시간 가량이 남아서 굳이 우회경로로 갈 이유도 없다.
  • 경상남도가 2021년 말에 단거리 시외버스를 직행좌석버스등으로 전환한다는 계획을 발표하면서 이 노선도 직행좌석버스가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6] 다만 현재도 이 노선은 고속도로 요율이 적용되어 상대적으로 요금이 저렴하므로 직행좌석버스가 된다해도 환승할인이 적용되는것 말고는 요금상으로는 큰 이익은 없을것으로 예상된다.
  • 부산-울산행 시외버스 폐지로 현재 푸른교통에서 유일하게 남은 시외버스이다.

8. 운임

<rowcolor=#ffffff> 시외버스 부산 ↔ 언양 운임
부산
2,800 통도사(신평)
3,200 1,700 삼성SDI
3,900 1,700 1,700 작천정
4,200 1,700 1,700 1,700 구언양터미널
4,200 1,700 1,700 1,700 1,700 언양임시터미널

9. 시간표

파일:언양부산.png
  • 통도사는 언양에서 약 15분, 부산에서 약 25분 걸린다.

10. 연계 철도역

11. 둘러보기

파일:울산광역시 휘장.svg 문서가 존재하는 울산광역시 시외버스, 고속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울산시외 ]
{{{#!wiki style="margin: -5px 0"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008c95><colcolor=#fff> 수도권 ↔동서울 ↔안산,인천 ↔오산,수원,부천
↔인천공항 ↔성남
강원 ↔원주,횡성,홍천,춘천 ↔동해,강릉,속초
부산/경남 ↔해운대 ↔양산,진주 ↔김해
↔마산 ↔창원,진해 ↔고현,통영
충청 ↔제천 ↔충주,수안보
대구/경북 ↔동대구 ↔대구서부 ↔포항
↔경주 ↔구미 ↔안동,영주
↔상주,점촌,문경 ↔하양,대구대 ↔영남대,경산
↔밀양,청도(완행) ↔울진 ↔영천,경북도청
호남 ↔광양,순천 ↔삼호,목포 ↔동광양,여수
운행중단 ↔이천,여주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울산고속 ]
{{{#!wiki style="margin: -5px 0;"
↔서울경부 ↔대전복합 ↔광주 ↔전주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언양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 통도사(신평), 부산(동부) ↔양산,창원 ↔마산 ↔김해
↔경산,대천,운문사 ↔포항,경주
(창원발)
(김해발)
}}}}}}}}}
[ 석남사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5000px> ↔경산,밀양 ||<width=25%> ↔언양,울산 ||<width=25%> ↔밀양 ||<width=25%> ||
}}} ||

파일:양산시 CI.svg 문서가 존재하는 양산시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노선{{{#!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0%; min-height: 2em;"
{{{#!folding [ 양산시외 ]
{{{#!wiki style="margin: -5px 0;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00ab4e><colcolor=#fff> 수도권 ↔동서울 ↔서울남부 ↔오산,수원,안산
대경 ↔동대구 ↔경주,포항
부울경 ↔울산,진주 ↔언양,마산 ↔해운대
↔언양,창원 ↔삼천포
호남 ↔전주,익산,군산 ↔순천,삼호,목포
충청 ↔청주
폐지 ↔광양 ↔고성,통영 ↔광주
↔인천, 인천공항
}}}}}}}}}
[ 통도사신평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5000px> ↔언양,부산동부 ||
}}}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svg 문서가 존재하는 부산광역시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2em;"
{{{#!folding [ 부산(노포) ]
{{{#!wiki style="margin: -5px 0;"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E5007F><colcolor=#fff> 고속버스 및 전환시외 (고속버스 전산망 사용 노선)
수도권 ↔서울경부 ↔동서울 ↔인천 ↔성남
↔구리,의정부 ↔용인
충청 ↔청주 ↔논산 ↔당진 ↔대전복합
↔세종
호남 ↔광주 ↔순천,여수 ↔전주
영남 ↔동대구 ↔경주(고속)
시외버스 (시외버스 전산망 사용 노선)
수도권 ↔인천공항 ↔오산,수원,안산 ↔이천
강원 ↔원주 ↔횡성,홍천,춘천 ↔호산,태백,고한 ↔강릉,속초
↔삼척,동해,강릉,속초,간성,거진
충청 ↔충주 ↔제천
대구경북 ↔울진,부구 ↔안동,영주 ↔경주(시외),포항 ↔구미,상주,점촌
↔영천
울산경남 ↔마산 ↔마산남부 ↔진주
↔창원,진해 ↔언양 ↔고현,통영
호남 ↔광양 ↔군산,익산
폐지 ↔7번국도 완행 ↔울산 ↔ 주왕산
}}}}}}}}}
[ 부산서부(사상)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E5007F><colcolor=#fff><-6> 고속버스 및 전환시외 (고속버스 전산망 사용 노선) ||
수도권 ↔서울경부 ↔동서울 ↔인천 ↔용인
↔성남 ↔수원
충청 ↔당진 ↔청주 ↔대전복합 ↔세종
호남 ↔광주,나주 ↔여수
시외버스 및 전환고속 (시외버스 전산망 사용 노선)
수도권 ↔서울남부
호남 ↔전주 ↔남원 ↔장계 ↔목포,진도
↔순천 ↔완도
대구경북 ↔경주,포항 ↔현풍,고령,거창 ↔창녕,대구서부
경남 ↔ 마산/창원 ↔함안,의령,합천 ↔밀양(직행) ↔밀양(완행)
↔진주 ↔삼천포 ↔함양 ↔통영(직행)
↔남마산,고성,통영 ↔고현,장승포 ↔용원 ↔진해(완행)
↔진교,남해 ↔율하 ↔진영 ↔장유
[ 동래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E5007F><colcolor=#fff><width=5000px><|2> 영남 ||<width=22.5%> ↔진주 ||<width=22.5%> ↔김해 ||<width=22.5%> ↔마산 ||<width=22.5%> ↔고현,통영 ||
↔진해 ↔마산남부 ↔울산,방어진
호남 ↔순천,여수 ↔광양
[ 해운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E5007F><colcolor=#fff><width=5000px> 수도권 ||<width=22.5%> ↔동서울 ||<width=22.5%> ↔서울남부 ||<width=22.5%> ↔오산,수원,안산 ||<width=22.5%> ↔인천공항 ||
대구/경북 ↔포항 ↔경주 ↔동대구,구미
울산/경남 ↔울산 ↔창원 ↔김해 ↔마산남부,통영
↔양산
충청 ↔청주
호남 ↔순천,여수 ↔전주
[ 김해공항 ]
||<|3><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E5007F><colcolor=#fff><width=5000px> 부산/경남 ||
↔울산 ↔진주 ↔고현 ↔창원,마산
↔옥포,장승포
대구/경북 ↔경주,포항 ↔동대구 ↔대전,구미
호남 ↔광양, 순천, 광주
}}} ||




[1] 현재는 1200번 운행 중이다.[2] 12번의 단축된 언양구간은 13번이 대체하게 되었다.[3] 참고로 이들 노선이 울산역에서 언양터미널까지 오는데 약 5분 정도 소요된다.[4] 태화강역을 22시에 출발하여 언양을 약 22시 40분에 지나간다.[5] 개정됐을 수 있으므로 레츠코레일을 참고하자.[6] 출발지가 도내가 아닌 부산이라서 부산시와 협의를 해야 한다. 다만 부산시는 노포역까지 들어오는 시외노선에 대해서는 딱히 터치를 하지 않고있기 때문에 경남도와 버스업체의 의지만 있으면 전환하는 건 어렵지 않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9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9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6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6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