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4 00:48:16

복분자

복분자딸기에서 넘어옴
🍊 과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장미
<colkeepall> 산딸기
산딸기 · 블랙베리 · 복분자 · 진들딸기
벚나무
버찌 · 체리 · 타트체리 · 앵두 · 살구 · 자두 · 매실 · 복숭아 · 천도복숭아 · 아몬드
기타 사과 · · 딸기 · 마르멜로 · 땃딸기 · 모과 · 아로니아 · 흰땃딸기 · 비파 · 알프스딸기 · 사향딸기
까치밥나무과 구즈베리 · 블랙커런트
운향
귤속 감귤 · 금귤 · 기주밀감 · 네이블오렌지 · 당유자 · 라임 · 레몬 · 만다린 · 만백유 · 발렌시아오렌지 · 베르가모트 · 병감 · 블러드오렌지 · 시콰사 · 시트론 · 스위티 · 영귤 · 오렌지 · 온주밀감 · 유자 · 자몽 · 지중해감귤 · 칼라만시 · 키라임 · 탄제린 · 포멜로 · 핑거라임 · 페르시아라임
만감류 가을향 · 깜산 · 달코미 · 동백향 · 레드향 · 머콧 · 미니향 · 서지향 · 설향 · 쇼군 · 신예감 · 앙코르 · 윈터프린스 · 이예감 · 진지향 · 천혜향 · 청견 · 카라향 · 클레멘타인 · 탐나는봉 · 탐라향 · 팔삭 · 한라봉 · 한라향 · 황금향
기타 화이트 사포테 · 우드 애플 · 바엘
진달래목 진달래과 넌출월귤 · 월귤 · 블루베리 · 크랜베리 · 들쭉
사포테과 사포딜라 · 마메이 사포테 · 스타 애플 · 카니스텔 · 아비우 · 루쿠마 · 미라클베리 · 황제사포테 · 흰스타애플 · 마르믹사
감나무과 · 블랙 사포테 · 고욤나무
다래나무과 다래 · 키위
기타 브라질너트
무환자나무목 무환자나무과 과라나 · 리치 · 람부탄 · 용안 · 마몬 · 풀라산 · 아키
옻나무과 망고 · 캐슈애플/캐슈넛 · 피스타치오 · 마룰라 · 밤방안 · 마프랑 · 쿠이니 · 암바렐라
멀구슬나무과 산톨 · 랑삿
말피기아목 클루시아과 후쿠기 · 망고스틴 · 레몬 드롭 망고스틴 · 아차차이루 ·마풋 ·스토크드 망고스틴
말피기아과 아세롤라 · 낸스 · 피넛 버터 후르츠
기타 스너프 트리 · 백향과 · 캔들넛 · 사차인치 · 코코플럼 · 선 사포테
참나무목 자작나무과 헤이즐넛 · 개암
참나무과 도토리 ·
기타 양매 · 호두 · 피칸
도금양목 도금양과 미드겐베리 · 로즈애플 · 자보티카바 · 구아바 · 캄부카 · 자바사과 · 수리남체리 · 사바나체리
기타 석류 · 마름
판다누스과 스크류파인 · 부아메라
박과 수박 · 멜론 · 뿔오이 · 여주 · 참외 · 카이구아
뽕나무과 오디 · 무화과 · 카눈 · 빵나무 · 마랑 · 쳄페닥 · 꾸지뽕
아욱과 두리안 · 쿠푸아수 · 카카오 · 카카오닙스 · 바오밥 ·추파추파
선인장과 백년초 · 용과 · 페루 사과 선인장 · 보검선인장 · 비로사과각선인장
종려과 코코넛 · 대추야자 · 젤리야자 · 살락 · 니파야자 · 아삼 파야 · 아사이 · 빈랑 · 아이스 애플 · 기름야자 · 무루무루
아노나과 포포나무 · 슈가애플 · 아테모야 · 커스터드애플 · 롤리니아 · 그라비올라 · 체리모야 · 일라마
파파야과 파파야 · 산파파야 · 바바코 · 너도파파야 · 자카라티아
콩과 아이스크림 빈 · 타마린드 · 땅콩
능소화과 양초열매 · 멕시칸 칼라바시
꼭두서니과 커피체리(커피) · 노니 · 블랙베리 잼 과일
포도과 포도 · 거봉 · 델라웨어 · 머루 · 머스캣(샤인머스캣) · 콩코드 · 캠벨포도 · 청포도 · 피오네
가지과 나랑히야 · 나무토마토 · 가지 · 구기자 ·토마토(방울토마토) · 꽈리 · 토마티요 · 페피노 · 케이프 구즈베리
기타 기타
과일
으름 · 루비솔트부쉬 · 대추 · 주목 · 부시플럼 · 아보카도 · 엘더베리 · 올리브 · 자탁 · 스타후르츠 · 흑노호 · 오미자 · 데이비슨플럼 ·
기타 견과류 갈릭넛 · 마카다미아 · 은행 · · 해바라기
기타 과채류 바나나 · 그로 미셸 · 캐번디시(바나나) · 파인애플 · 몬스테라 · 핑귄
: 과채류 · : 일반적으로 과일/견과류보다 종자에 가까움 · : 일반적으로 산지에 가야 먹을 수 있음
그외 비가공 식품 및 재배물 틀: 고기 · 곡물 · 과일 · 채소 · 해조류 · 향신료
}}}}}}}}} ||
복분자딸기(복분, 오표자)
覆盆子 | Korean blackberry[1]
파일:복분자딸기.jpg
학명 Rubus coreanus
Miquel
분류
<colbgcolor=#d7ffce,#0f4a02> 식물계 (Plantae)
분류군 장미군 (Rosids)
장미목 (Rosales)
장미과 (Rosaceae)
아과 장미아과 (Rosoideae)
미분류 산딸기족 (Roseae)
산딸기속 (Rubus)
아속 산딸기아속 (R. subg. Idaeobatus)
복분자딸기 (R. coreanus)

1. 개요2. 명칭
2.1. 명칭의 유래
3. 기타

[clearfix]

1. 개요

복분자딸기(覆盆子--)는 장미과 산딸기속에 속하는 낙엽 관목의 하나로, 그 열매를 가리키기도 한다.

한반도 원산으로 남부지방 전역에 흔히 자생하고 있다. 크기는 대략 3m까지 자라며, 일반적인 산딸기와 다르게 줄기에 나 있는 가시가 장미처럼 크고 하얀 왁스층[2]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5, 6월 경에 꽃이 피고 7, 8월경에는 붉게 과실을 맺는데, 나중에는 흑색으로 변한다. 열매의 모습은 블랙베리와 비슷하다.

다른 산딸기보다는 열매가 크지만, 신맛도 적고 당도도 낮은 편에 속한다[3]. 그래서 복분자와 설탕을 넣어 담근 술 같은 제품을 생각하고 생과를 먹어본 사람들은 실망하곤 한다. 또한 씨도 굵어서, 이걸 삼키거나 씹어먹기 싫은 사람은 씨는 뱉어내고 즙만 먹기도 한다. 한약재로 쓸 때에는 덜 익은 걸 따서 사용한다.

2. 명칭

흔히 복분자딸기는 식물명으로, 복분자는 생약·한약재의 명칭으로 쓰인다. 다 익으면 포도처럼 검은색이 나기 때문에 먹딸기라고도 부른다.

서양복분자딸기(블랙라즈베리, R. occidentalis)또한 복분자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이는 산딸기속의 계통 분류가 매우 혼란스럽기 때문이다. 실제 한국의 산과 들에서 자생하는 복분자는 Rubus coreanus로, 산림청에서 정금1호 ~ 5호 등의 품종을 보급하고 있다. 하지만 그렇게 복분자의 품종을 확정하기 전에 고창 등지에서 미국의 블랙라즈베리(서양복분자)인 Rubus occidentalis를 보급하였으며, 지리적 표시제에는 고창 복분자주(3호)와 함께 고창 복분자(35호)가 등록되어 있다. 이렇게 지리적표시제까지 획득하는 바람에 실제로는 소비자는 물론 농민조차도 품종을 제대로 구분하지 못하고 이를 혼용하여 시장에 내놓고 있다.

참고로 북한에서는 Rubus coreanus 외에 Rubus crataegifolius도 복분자라 부르며, 중국과 대만에서는 화동복분자(Rubus chingii HU)의 열매를 복분자라고 칭한다.

이 밖에 품종으로 청복분자딸기(Rubus coreanus for. concolor (Nakai) T.B.Lee)가 있다.

2.1. 명칭의 유래

이름이 '뒤집힐 복(覆)', '동이 분(盆)'이다보니 이름을 두고 여러가지 속설이 많다.
  • 생긴 게 항아리를 엎어 놓은 것 같아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이 있다.
  • 소변 줄기에 요강이 뒤집어진다는 의미라고도 한다. 옛 사람들은 강한 소변줄기=정력이라고 직관적으로 생각했기 때문에,[4] 식물성 식품 중엔 보기 드물게도 정력에 좋다며 찾는 음식 중 하나. 복분자주로 담가서 마시면 더 효과가 좋다고 한다. 사실 정력 외에도 안토시아닌, 칼륨, 비타민, 미네랄 등이 풍부해 노화 방지를 비롯해 건강에 전반적으로 좋은 음식. 본래 전통적으로 정력제라 알려진 것들의 대부분이 사실상 건강식품(주로 심혈관쪽)이기 때문에 이상할 건 없다. 아무튼 기생충 폭탄이나 다름없는 뱀술보다야 백배 천배 낫다.
    옛날 신혼부부가 있었는데 남편이 이웃마을에 볼 일을 보고 돌아오다가 길을 잃게 되어 배가 고파 우연히 덜익은 산딸기를 먹게 되었다. 하지만 너무 배가 고파 허겁지겁 먹고는 겨우 집으로 돌아 왔다. 남편과 아내는 그날 잠을 자지 않고 밤을 새웠으며, 다음날 아침 남편이 일어나서 소변을 보러 화장실에 갔는데 소변줄기가 너무 힘이 세어 요강이 뒤집어지고 말았다.
  • 동의보감에 의하면 복분자가 신장 기능을 강화하여 빈뇨증을 낫게 하기 때문에 요강이 필요 없어서 엎어둔다는 의미라고도 한다.
    신정(腎精)을 보태주고 소변이 새는 것을 멎게 하여 요강을 엎을 정도가 된다고 해서 복분자라고 이름하였다. <본초>



    동의보감
  • 중국 남북조시기 도사 갈홍(葛洪)에 의하면, 밤에 소변이 잦은 증상에 특효라 하여 요강이 필요없다고 복분자라 칭했다고 한다.
    옛날 중국의 노부부가 늦게 얻은 아들의 건강을 위해 산딸기를 매일 달여 먹였더니, 이 아들이 커서는 오줌을 누기만 해도 그 힘이 너무 세서 요강을 엎어버렸다고 한다. ‘覆’자는 엎어질 ‘복’자요, ‘盆’자는 요강단지 분자이니 그래서 붙은 이름이 복분자(覆盆子)이다.

3. 기타

블랙베리와 굉장히 생김새가 유사해서 복분자와 블랙베리를 구분 못하는 사람이 있다. 하지만 맛의 차이점이 좀 있는데 복분자는 약간 되직하면서도 주스 같은 것을 만들었을 때 깊은 맛이 블랙베리보다 더 강하다. 그리고 블랙베리는 복분자보다 단맛이 더 세고 은은하다.

이걸로 술을 담근 것이 복분자주며 비슷하게 복분자 과즙이 들어간 리큐르 소주 형태의 제품인 복받은 부라더도 있다.

휴대전화 블랙베리의 국내 애칭이 다름 아닌 복분자다.

시방팬도리의 복분자송이라는 노래가 있다. 링크[5]

오래 보관하면 검붉은색이 더 짙어지고 건더기 같은 것이 떠다니기 마련인 탓에 복분자를 담은 통이 과도한 숙성 때문에 터지면 살해 현장을 방불케하는 참혹한 광경으로 둔갑한다.

대항해시대 온라인에서는 기피되는 교역품이다. 조선의 특산품으로 등장하는데, 그나마 비싸게 사주는 곳이 중동이나 동아프리카이기 때문. ( ...) 구입처와 주 판매처가 너무 멀어서 생긴 안타까운 사례. 남만도래 때 복분자가 나오면 유저들이 울상을 짓는다.


[1] Bokbunja라고 음차하는 경우도 많다.[2] 그래서 줄기를 만지면 가루가 묻어나온다.[3] 일반적인 산딸기는 12 Brix 정도의 당도를 가지지만 복분자는 10 Brix 정도[4] 완전히 틀렸다고 보기도 뭐한게 전립선 비대증이나 전립선염등 전립선이 커진 상태라면 요도쪽이 압박받기에 소변이 시원치 않거나 잔뇨감이 생기는 등 소변줄기에 바로 영향을 보인다. 소변줄기가 세다면 이런 요소가 없단거니 완전 근거없는 소린 아닌 셈.[5] 가사의 뜻이 엄마가 복분자를 먹고 힘이 넘치는 몸을 주체 못하고 성관계를 해 자신이 모르는, 즉 가사 그대로 뉘집 자식인지 모르는 동생이 생긴다는 뜻이라는 얘기가 있다. 2절에서는 노래 속 화자가 더 이상 동생 생기는건 싫다고 엄마 몰래 복분자를 빼돌려 모아놓았는데, 자기도 한번 마시려고 복분자를 냉장고에서 꺼내려 했더니만 누나가 다 마셔버렸고, 누나는 복분자를 과잉섭취해서 설사를 한다. 실제로 복분자를 지나치게 먹으면 복통과 설사를 한다는 사실을 반영했다.

분류